KR20190055454A - 음성 통화 공유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화 공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454A
KR20190055454A KR1020170152188A KR20170152188A KR20190055454A KR 20190055454 A KR20190055454 A KR 20190055454A KR 1020170152188 A KR1020170152188 A KR 1020170152188A KR 20170152188 A KR20170152188 A KR 20170152188A KR 20190055454 A KR20190055454 A KR 20190055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ing
call
terminal
voice c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카즈 아갈왈
Original Assignee
판카즈 아갈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카즈 아갈왈 filed Critical 판카즈 아갈왈
Priority to KR102017015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454A/ko
Publication of KR2019005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audio processing specific to telephonic conferencing, e.g. spatial distribution, mixing of partici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 간의 음성 통화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정보 수신부, 공유 단말로부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공유 허락 요청부 및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공유 허락이 있는 경우,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음성 통화를 상기 공유 단말에 공유하는 음성 통화 공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대일 통화 중간에 양자 간의 대화를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통화 공유 장치{APPARATUS OF SHARING VOICE CALL}
본 발명은 음성 통화 공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대일 통화 중간에 양자 간의 대화를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은 일대일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세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컨퍼런스(Conference) 통화 기능은 대표적인 부가기능 중 하나이다. 컨퍼런스 통화 기능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호 설정된 이후 제3자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음성 채널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컨퍼런스 통화 기능은 사용자에게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4397(2015.10.12)호는 사용자 장치 간 통화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장치 및 제1 모바일 장치에 통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통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모바일 장치와의 연결을, 사용자 장치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 제2 모바일 장치와 음성 통화를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로 부터의 통화 요청을, 제1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1 모바일 장치에서의 통화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9450(2006.11.17)호는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 상기 서버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용 기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할 제3 통신 단말기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화내용 및 상기 권한정보를 연관지어 유지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내용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3 통신 단말기를 인증 후 상기 통화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4397(2015.10.1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49450(2006.11.1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대일 통화 중간에 양자 간의 대화를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대일 통화 중인 특정 사용자의 통화를 공유할 수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대일 통화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제3자를 통화에 참여시킴으로써 컨퍼런스 통화로 변화가능한 음성 통화 공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음성 통화 공유 장치는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 간의 음성 통화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정보 수신부, 공유 단말로부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공유 허락 요청부 및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공유 허락이 있는 경우,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음성 통화를 상기 공유 단말에 공유하는 음성 통화 공유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화 정보 수신부는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의 설정을 기초로 공유 요청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상대방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의 공유에 대한 승인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승인 허락이 있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 중 공유를 허락한 공유 단말이 함께 참여하는 다자간 컨퍼런스(Conference) 통화를 개설할 수 있다.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의 전체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음성 통화의 공유에 대해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일시 중지 후 자동 공유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웹페이지의 RSS (Rich Site Summary) 피드(Feed)를 통해 전달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개인의 취향대로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컨텐츠의 갱신 여부를 자동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갱신 알림을 푸시(Push)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에서 음성 통화 공유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공유 단말 상에서 통화 참여 단말에 통화 공유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통화 참여 단말 상에서 공유 단말로부터 공유 허락을 요청받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1에 있는 공유 단말 상에서 통화 참여 단말의 공유 허락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통화 공유 시스템(100)은 통화 참여 단말(110),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 및 공유 단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참여 단말(110)은 일대일 음성 통화에 참여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통화 참여 단말(110)은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통화 참여 단말(110)이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통화 참여 단말(110)은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로부터 음성 통화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와 통신할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음성 통화 공유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통화 참여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 공유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도 1에 미도시함)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음성 통화 공유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음성 통화가 생성되면 해당 음성 통화와 연관된 통화 참여 단말(110) 정보 및 해당 음성 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고, 음성 통화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I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통화 공유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단말(150)은 현재 생성된 음성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통화 참여 단말(11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화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공유 단말(150)은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공유 단말(150)이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참여 단말(110)은 공유 단말(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공유 단말(150)은 통화 참여 단말(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참여 단말(110)이 참여한 음성 통화가 종료되고, 통화 참여 단말(110)은 다른 음성 통화에 대한 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 공유 단말(15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통화 정보 수신부(210), 공유 허락 요청부(230), 음성 통화 공유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음성 통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통화 정보는 음성 통화에 참여한 통화 참여 단말(110) 각각의 단말 정보 및 음성 통화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 통화의 생성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 음성 통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통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 관한 식별 정보, 통화 내용 및 해당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용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 비밀 키워드(keyword)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통화 내용 중 비밀 키워드가 포함된 통화 내용은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통화 정보 수신부(2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화 내용 중에서 비밀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을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공유 단말(150)로부터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공유 단말(150)로부터 공유 요청 대상이 되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공유 요청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게 공유 요청을 한 공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의 설정을 기초로 공유 요청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 참여 단말(110)은 해당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 요청에 대한 알림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기 전에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의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이 공유 요청에 대해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공유 요청 알림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공유 요청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참여 단말(110)은 상대방과의 통화 중에 팝업 메시지를 통해 공유 요청 알림을 수신할 수 있고, 공유 요청 알림은 공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공유 요청 알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공유 요청 알림 인터페이스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 공유 허락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공유 허락 또는 공유 거부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음성 통화 중 제3자인 공유 단말(150)이 직접 공유를 요청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음성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통화 참여 단말(110) 중 어느 하나가 제3자인 공유 단말(150)에게 공유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 참여 단말(110)의 공유 요청은 공유 단말(150)에 대한 통화 참여의 요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상대방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의 공유에 대한 승인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음성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통화 참여 단말(110) 중 어느 하나가 제3자인 공유 단말(150)에게 공유 요청을 하는 경우, 음성 통화의 상대방 단말의 승인 허락이 있어야만 제3자의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상대방 단말이 승인을 거부한 경우에는 공유 단말(150)의 공유 허락이 있더라도 공유 단말(150)의 통화 공유는 허용되지 않는다.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공유 허락이 있는 경우, 통화 참여 단말(110)의 음성 통화를 공유 단말(150)에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 음성 통화 내용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음성 통화 내용을 수신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공유 단말(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상대방 단말의 승인 허락이 있는 경우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 중 공유를 허락한 공유 단말(150)이 함께 참여하는 다자간 컨퍼런스(Conference) 통화를 개설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상대방 단말의 승인 허락이 있는 경우,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일대일 음성 통화를 공유를 허락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이 참여한 컨퍼런스 통화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음성 통화를 종료하고,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및 공유를 허락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150)이 참여한 컨퍼런스 통화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의 전체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통화 참여 단말(110)로부터의 음성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고, 음성 통화 도중 공유를 허락 받은 공유 단말(150)에게 공유를 허락 받은 시점까지의 모든 음성 통화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공유 단말(150)에게 공유를 허락 받은 시점부터의 음성 통화 내용을 제공할 수 있고, 허락 받은 시점까지의 음성 통화 내용은 별도의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음성 통화의 공유에 대해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일시 중지 후 자동 공유할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부(250)는 공유 단말(150)로부터 공유 요청을 받아 이를 허락한 통화 참여 단말(110)에 음성 통화의 공유를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일시 중지 후 자동으로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화 정보 수신부(210), 공유 허락 요청부(230) 및 음성 통화 공유부(250) 간의 제어 흐름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에서 음성 통화 공유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통화 정보 수신부(210)를 통해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음성 통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10).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공유 허락 요청부(230)를 통해 공유 단말(150)로부터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공유 요청이 특정 시간 이내에 복 수개 있는 경우에는, 각 공유 요청을 한 공유 단말(150)과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 간의 친밀도가 가장 높은 공유 단말(150)에 대해서 통화 참여 단말(110)에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유 허락 요청부(230)는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공유 요청이 특정 시간 이내에 복 수개 있는 경우에는 다음 수학식을 통해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과 각 공유 단말(150) 간의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P는 친밀도를, C는 전체 통화 횟수를, T는 전체 통화 시간을, D는 마지막 통화로부터 경과된 일수를 나타낸다. 처음 통화인 경우 1/D=0이다. W0, W1 및 W2는 가중치이고, W0+W1+W2=1이다. 통화 참여 단말(110)과 공유 단말(150) 간의 친밀도는 전체 통화 횟수, 전체 통화 시간 및 마지막 통화로부터 경과된 일수에 대한 가중합으로 산출할 수 있다. 친밀도는 쌍방 간의 통화 횟수가 많을수록, 전체 통화 시간이 길수록, 마지막 통화로부터 경과된 일수가 짧을수록 높아질 수 있다.
음성 통화 공유 장치(130)는 음성 통화 공유부(250)를 통해 통화 참여 단말(110)의 공유 허락이 있는 경우, 통화 참여 단말(110)의 음성 통화를 공유 단말(150)에 공유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는 도 1에 있는 공유 단말 상에서 통화 참여 단말에 통화 공유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유 단말(15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통화를 공유 받고자 하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411), '연결하기(CONNECT)' 메뉴(412)를 클릭하여 통화 참여 단말(110)에 공유 허락을 요청할 수 있다(410). '연결하기(CONNECT)' 메뉴(412)를 클릭하는 경우, 공유 단말(150)에 의해 지정된 특정 통화 참여 단말(11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431),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에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중임을 나타내는 이미지(432)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다(430).
도 5는 도 1에 있는 통화 참여 단말 상에서 공유 단말로부터 공유 허락을 요청받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화 참여 단말(110)은 상대방 단말과 일대일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간에 공유 단말(1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터페이스(511, 531)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화 참여 단말(110)의 설정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가 달라질 수 있고, 공유 알림만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510)에는 특정 공유 단말(1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인터페이스(511)가 통화 참여 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알림 인터페이스(511)는 공유를 요청한 공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허락 요청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530)에는 특정 공유 단말(150)로부터의 공유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인터페이스 하단부에 공유 허락(532) 또는 공유 거부(533)를 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요청 인터페이스(531)가 통화 참여 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는 도 1에 있는 공유 단말 상에서 통화 참여 단말의 공유 허락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화 참여 단말(110)의 공유 허락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가 달라질 수 있다. 공유를 허락한 경우(610)에는, 공유 단말(150)에 통화를 공유하는 통화 참여 단말(110)의 식별정보(611)가 표시될 수 있고, 통화 공유를 종료할 수 있는 종료 메뉴(612)가 표시될 수 있다. 공유를 거부한 경우(630)에는, 공유 단말(150)에 공유를 거부한 통화 참여 단말(110)의 식별정보(631)가 표시될 수 있고, 해당 통화 참여 단말(110)로의 공유를 재요청할 수 있는 재요청 메뉴(632)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음성 통화 공유 시스템
110: 통화 참여 단말 130: 음성 통화 공유 장치
150: 공유 단말
410: 공유 허락 요청 인터페이스
430: 공유 허락 요청 중인 인터페이스
411: 통화 참여 단말의 식별번호 412: 연결하기 메뉴
431: 통화 참여 단말의 식별번호 432: 공유 허락 요청 이미지
510: 공유 알림만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인터페이스
530: 공유 허락 요청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인터페이스
511: 알림 인터페이스 531: 요청 인터페이스
532: 공유 허락 메뉴 533: 공유 거부 메뉴
610: 공유 허락한 경우 공유 단말 인터페이스
611: 통화 참여 단말의 식별 정보
612: 종료 메뉴
630: 공유 거부한 경우 공유 단말 인터페이스
631: 통화 참여 단말의 식별 정보
632: 재요청 메뉴

Claims (8)

  1.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 간의 음성 통화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정보 수신부;
    공유 단말로부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공유 허락 요청부; 및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공유 허락이 있는 경우,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음성 통화를 상기 공유 단말에 공유하는 음성 통화 공유부를 포함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보 수신부는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특정 통화 참여 단말의 설정을 기초로 공유 요청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에게 공유 허락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허락 요청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상대방 단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의 공유에 대한 승인 허락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승인 허락이 있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통화 참여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 중 공유를 허락한 공유 단말이 함께 참여하는 다자간 컨퍼런스(Conference) 통화를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통화 참여 단말의 음성 통화가 생성된 시점부터의 전체 통화 내용을 순서대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공유부는
    상기 음성 통화의 공유에 대해 일시 중지하거나 또는 일시 중지 후 자동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공유 장치.

KR1020170152188A 2017-11-15 2017-11-15 음성 통화 공유 장치 KR20190055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88A KR20190055454A (ko) 2017-11-15 2017-11-15 음성 통화 공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88A KR20190055454A (ko) 2017-11-15 2017-11-15 음성 통화 공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54A true KR20190055454A (ko) 2019-05-23

Family

ID=6668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188A KR20190055454A (ko) 2017-11-15 2017-11-15 음성 통화 공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4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50B1 (ko) 2005-11-01 2006-11-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KR20150114397A (ko)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간 통화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50B1 (ko) 2005-11-01 2006-11-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화내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내용 공유서버 및상기 서버의 동작방법
KR20150114397A (ko)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간 통화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or inviting a party to jo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session
EP326619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55843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788680B1 (en) Virtual collaboration session access
US9762725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an ongoing call of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30179491A1 (en)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 sessions
US8068866B2 (en) Group communication server
US20140282095A1 (en)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administering a user group,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US20110270936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monitoring a conference and communicating with participants without joining as a participant
US1008293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placing a contact entry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contact entry corresponding to a user group
US7574473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 conference with a virtual participant
US20200341625A1 (en) Automated conference modality setting application
KR101630793B1 (ko) 대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8540500B (zh) 多人通话的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40272814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notifying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ers about missed communications
CN112291629A (zh) 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7957827A (zh) 在通信平台中建立新连接
US20080101575A1 (en) Participant prioritization on telephone conference calls
US10938588B2 (en)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connection terminal thereof
CN111818293B (zh) 通信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90055454A (ko) 음성 통화 공유 장치
US10904301B2 (en)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conference connection thereof
KR102279576B1 (ko) 컨퍼런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컨퍼런스 접속 처리 방법
CN117640561A (zh) 基于会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048848B1 (ko) 음성 회의통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