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17B1 - 수액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17B1
KR100649117B1 KR1020050040807A KR20050040807A KR100649117B1 KR 100649117 B1 KR100649117 B1 KR 100649117B1 KR 1020050040807 A KR1020050040807 A KR 1020050040807A KR 20050040807 A KR20050040807 A KR 20050040807A KR 100649117 B1 KR100649117 B1 KR 10064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bag
addition
needle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664A (ko
Inventor
김헌곤
Original Assignee
김헌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곤 filed Critical 김헌곤
Priority to KR102005004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된 수액장치는, 수액백의 내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큰 방과 작은 방으로 분할하며 일측에 양측을 연통시키는 연결홀이 형성된 분할부와, 작은 방 쪽으로 첨가수액을 주입하기 위한 첨가수액투입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수액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첨가수액을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첨가수액을 첨가수액투입부로 주사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수액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도 없고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첨가수액, 링거

Description

수액장치{A ringer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수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액장치로 첨가수액을 주입하는 상황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액장치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수액백 120,220,320...주사바늘
130,230,330...연결라인 140,240,340...수액저장고
113...분할부 114...연결홀
116,241,351...첨가수액투입부
본 발명은 수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첨가수액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수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링거(ringer)라고도 불리는 수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11)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12), 그리고 수액백(11)과 주사바늘(12)을 연결하는 연결라인(13)을 포함하고 있다. 참조부호 14는 수액저장고로서 수액에 공기가 섞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메인 수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도중에, 항생제와 같은 소량의 보조 수액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메인 수액장치(10) 옆에 별도의 보조 수액용 수액장치(20)를 하나 더 준비해서 거치대(15)에 사이드로 달아놓고, 연결라인(13)을 연결해서 주입하는 방식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두 개의 수액장치(10)(20)를 사용하게 되면, 주사를 놓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주사를 맞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매우 불편한 문제가 생긴다. 즉, 주사를 놓고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첨가수액을 주입해야 할 때마다 두 개의 수액장치(10)(20)를 달아서 주사해야 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우며, 관리나 비용면에서도 부담을 안아야 한다. 그리고, 환자의 입장에서도 보면, 가끔 수액백(11)(21)을 자기 손에 들고 이동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두 개의 수액백(11)(21)을 들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이동이 상당히 불편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액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첨가수액의 주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도 간소화된 수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 및, 상기 수액백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수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에, 내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큰 방과 작은 방으로 분할하며 일측에 양측을 연통시키는 연결홀이 형성된 분할부와, 상기 작은 방 쪽으로 첨가수액을 주입하기 위한 첨가수액투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수액장치는,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과, 상기 수액백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 중에 마련된 수액저장고를 포함하는 수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저장고에 첨가수액을 주입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하여 첨가수액투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수액장치는,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과, 상기 수액백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 중에 마련된 수액저장고를 포함하는 수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과 수액저장고 사이에, 첨가수액투입부가 달린 중간백이 설치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액장치는,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110)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120), 그리고 수액백(110)과 주사바늘(12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130) 및, 수액저장고(1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액백(110) 안에는 내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큰 방(111)과 작은 방(112)으로 분할해주는 분할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분할부(113)에는 양측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연결홀(1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양쪽 방이 완전히 분리된 것은 아니다. 이 분할부(113)는 별도의 막부재를 수액백(110) 안에 설치하여 만들 수도 있고, 본 실시예처럼 수액백(110)의 양면을 프레스하여 붙여서 만들 수도 있 다. 그리고, 작은 방(112) 쪽에는 상기 연결라인(130)이 연결되는 연결부(115) 외에, 첨가수액을 주사하기 위한 첨가수액투입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수액장치(100)로 수액을 주입할 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액백(110)에 저장된 수액이 연결라인(130)과 주사바늘(120)을 통해 환자의 혈관으로 들어가게 되며, 수액백(110) 안에서도 큰 방(111)의 수액이 연결홀(114)을 통해 작은 방(112)으로 들어가서 연결부(115)를 통해 연결라인(130)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그러다가 첨가수액을 주입해야 할 필요가 생기면, 도 4와 같이 집게(160) 등을 이용하여 연결홀(114)을 막음으로써 수액백(110) 안의 큰 방(111)과 작은 방(112)의 공간을 격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첨가수액투입부(116)를 통해 첨가수액을 주사하면, 첨가수액이 작은 방(112)에 들어왔다가 연결라인(130)을 통해 환자에게 주입된다. 그리고, 작은 방(112)의 수액이 다 들어가면 집게(160)를 떼어내서 큰 방(111)과 작은 방(112)을 다시 연통시킨다. 이후에는 기존의 메인 수액이 다시 연결라인(130)과 주사바늘(120)을 통해 환자에게 투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액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첨가수액을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연결홀(114)을 막고 첨가수액을 첨가수액투입부(116)로 주사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수액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도 없고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수액백(110) 한 개만 거치되므로, 환자도 수액백(110)을 들고 이동할 필요가 있을 때 부담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200)를 도시한 것이 다.
본 실시예의 수액장치(200)도, 수액백(210), 주사바늘(220), 연결라인(230) 및, 수액저장고(2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수액백(210)을 종래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로 하는 대신에, 상기 수액저장고(240)에 첨가수액투입부(241)를 두고 있다. 즉, 첨가수액을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이 첨가수액투입부(241)를 통해 첨가수액을 주사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수액저장고(240)는 일반적인 수액저장고 용량의 약 5배 정도인 50cc 용량으로 만들어서, 첨가수액을 주사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액장치(200)도 별도의 수액장치를 쓰지 않고 첨가수액을 투입할 수 있게 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액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수액백(310), 주사바늘(320), 연결라인(330) 및, 수액저장고(3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수액백(310)과 수액저장고(340) 사이에 중간백(3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백(350)은 50cc정도의 용량으로 되어 있어서 필요 시 일측에 달린 첨가수액투입부(351)를 통해 첨가수액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첨가수액을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이 첨가수액투입부(351)를 통해 첨가수액을 주사하면, 중간백(350)에 첨가수액이 들어갔다가 연결라인(330)과 주사바늘(320)을 통해 환자에게 주입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수액장치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첨가수액의 주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첨가수액을 주입할 필요가 있을 때 첨가수액을 첨가수액투입부로 주사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수액장치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도 없고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
둘째, 수액백 한 개만 거치되므로 환자가 수액백을 들고 이동할 필요가 있을 때 부담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삭제
  2.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과, 상기 수액백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 중에 마련된 수액저장고를 포함하는 수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저장고는 첨가수액을 주입할 수 있는 50㏄의 공간을 지니며 첨가수액을 주입하기 위한 첨가수액투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3. 주사할 수액이 저장되는 수액백과, 혈관에 꽂힐 주사바늘과, 상기 수액백과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 중에 마련된 수액저장고를 포함하는 수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과 수액저장고 사이에, 첨가수액투입부가 달린 중간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KR1020050040807A 2005-05-16 2005-05-16 수액장치 KR10064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07A KR100649117B1 (ko) 2005-05-16 2005-05-16 수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07A KR100649117B1 (ko) 2005-05-16 2005-05-16 수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66U Division KR200391372Y1 (ko) 2005-05-16 2005-05-16 수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64A KR20060118664A (ko) 2006-11-24
KR100649117B1 true KR100649117B1 (ko) 2006-11-27

Family

ID=3770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07A KR100649117B1 (ko) 2005-05-16 2005-05-16 수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04A (ko) 2017-08-17 2019-02-27 김도훈 링거 고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457A (ja) * 1989-03-15 1990-09-26 Nippon Seiyaku Kk 綜合栄養輸液製剤及び輸液製剤用バツグ
KR200201601Y1 (ko) * 2000-06-12 2000-11-01 방영철 주사기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457A (ja) * 1989-03-15 1990-09-26 Nippon Seiyaku Kk 綜合栄養輸液製剤及び輸液製剤用バツグ
KR200201601Y1 (ko) * 2000-06-12 2000-11-01 방영철 주사기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04A (ko) 2017-08-17 2019-02-27 김도훈 링거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64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45771A3 (en) Microneedle adapter
ATE507862T1 (de) Medizinisches injektionsgerät
RU97108284A (ru) Насос для вливаний с игольчатым фиксатором трубки
JP2008528116A (ja) 往復処置シリンジ
CN106110445A (zh) 一种便携式药物输注装置的输注系统
RU2674282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узел инъекционной иглы для шприца
JP7466847B2 (ja) 薬液注入器具
ES2188249T3 (es) Contenedor para una administracion intravenosa.
KR101535947B1 (ko) 약액 주입장치
KR100649117B1 (ko) 수액장치
KR200391372Y1 (ko) 수액장치
JP2000070376A (ja) 動脈穿刺針のハブ
US7621885B2 (en) Set of units for a device integrated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US11878139B2 (en) Endcap for liquid medicine-injecting tube
EP2502559A1 (en) Inner diameter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priming same
JP6298208B1 (ja) 液体供給システム
JP4769113B2 (ja) コネクタ
JP5816708B2 (ja) 薬液注入装置
DE602004019894D1 (de) Medizinische Kartusche mit Filter-Schlitzen
JP6206933B1 (ja) 体内孔注入具
CN208911122U (zh) 一种连通式冲管封管装置
CN210145199U (zh) 一种输液器
EP1323443A1 (en) Continuous liquid infusion device
KR20220136741A (ko) 주사기용 필터기구
US1990646A (en) Syrin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