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805B1 -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805B1
KR100648805B1 KR1020010075766A KR20010075766A KR100648805B1 KR 100648805 B1 KR100648805 B1 KR 100648805B1 KR 1020010075766 A KR1020010075766 A KR 1020010075766A KR 20010075766 A KR20010075766 A KR 20010075766A KR 100648805 B1 KR100648805 B1 KR 10064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heat
phosphate
weight
t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301A (ko
Inventor
박성근
김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1007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8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내열제로서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 보다 자세하게는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sodium-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yl)phosphat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조성물은 상기 내열제가 제품 가공시 또는 사용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열산화 분해에 의한 활성 라디칼 확산 방지 및 핵제로 작용하여 미세 결정영역의 증대에 의해 열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높은 온도에 쉽게 노출되는 각종 기계부품의 외장재 및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사용되는 동력선의 피복, 호스, 완충장치 등의 탄성재료 및 높은 내열성이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Heat-resistant,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m}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며 내열제로서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 특히 소디움-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sodium-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yl)phosphate]를 함유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성재료인 가황고무는 천연상태나 인위적인 합성에 의해 제조한 저점도의 고무원료를 가황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 유연성과 탄성회복력은 우수하지만 복잡한 성형공정, 불량한 안정성, 열경화성으로 인한 재활용의 문제 등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티렌 형태(styrene type), 우레탄 형태(urethane type), 올레핀 형태(olefin type), 아마이드 형태(amide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비교적 근래에 개발된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에스테르 형태의 체인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재료로 유연성, 탄성회복력,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가황공정없이 일반적인 열가소성 재료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과 같은 성형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어 각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고분자재료들은 열안정성의 부족으로 열이나 광과 같은 외부에너지를 받으면 열산화반응에 의한 연쇄반응을 통해 저분자량의 사슬로 분해되어 수지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고분자들의 안정성은 고분자들의 구조 및 열, 광,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의 작용과 관련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열 안정제(Therml stabilizer), 내후 안정제(UV stabilezr), 내가수분해 안정제(hydrolysis stabilizer) 등의 첨가제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3,723,427호는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입체장애형(hindered) 페놀계 1차 내열제인 트리스(하이드록시벤질)시아누레이트형의 안정제를 기술하고 있고, 미국특허 제3,758,579호는 티오에스테르형태의 2차 내열제를 제시하면서 페놀계의 1차내열제와 혼용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3,996,675호 및 제4,414,408호는 1차형과 2차형의 안정제를 혼용함으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유발시켜 안정성의 개선을 도모하였으며, 미국특 허 제4,069,200호는 6-터셔리-부틸-2,3-디메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6-터셔리-옥틸-2,3-디메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6-터셔리-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5,6,7,8-테트라하이드로-1-나프톨, 5-터셔리-부틸-2,3-디메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등과 같은 입체장애형 페놀계 1차 내열제 단독이나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나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티오에스테르형 2차 내열제를 혼용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의 내열안정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미국특허 제4,185,003호는 N,N'-헥사메틸렌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N,N'-trimetylenebis(3,5-di-t-buty1-4-hydroxyhydrocinnamamide), N,N'-트리메틸렌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N,N'-trimethylenebis(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mide)등과 같은 페놀계 내열제(phenolic antioxidants)와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n-부틸-(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bis(1,2,2,6,6-pentamethyl-4-piperidinyl)-n-butyl-(3,5-di-t-butyl-4-hydroxybenzyl)malonte},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비스(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bis(2,2,6,6-tetramethy1-4-piperidiny)bis(3,5-di-t-buty1-4-hydroxybenzy1)malonate}등의 입체장해형 아민(hindered amine) 광안정제(photostabilizer)를 혼합해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의 안정성을 개선하였고, 미국특허 제4,405,749호는 1,3,5-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1,3,5-tris-2-hydroxyethy1)-s-triazine-2,4,6- (1H,3H,5H)trion)과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믹산{3,5-di-t-buty1-4-hydroxy hydrocinnamic acid}의 에스테르화물 (triester compounds)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특허 공고 제88-38371호는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이량체(dimer)함량이 많은 안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일본특허 공고 제88-40817호는 상기의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형의 화합물과 페노티아딘(phenothiazine)형의 화합물을 혼합 사용하는 방법을, 일본특허 공고 제88-40819는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쿠놀린형의 화합물에 2-멀캅토벤조이미다졸이나 2-멀캅토메틸벤조이미다졸 등의 멀캅토화합물을 혼합 사용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는 달리 열에 의한 분해가 일어날 때 연질 세그먼트(soft segment)인 폴리올(polyo1) 부분이 먼저 분해되어 포름산(HOOH, formic acid)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포름산이 분해작용을 가속화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포름산의 포획(capturing)이 필요하며, 구성분자의 산도가 염기성을 띠는 물질들에 의해 포획할 수 있으나, 염기성을 띠는 물질들 중 아민 계열의 안정제들은 내열성능은 뛰어나지만 제품의 초기색상을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들이 갖고 있는 성형공정상의 문제점 이나 색상을 비롯한 제품의 물성 저하 없이 열안정성을 향상시킨 폴리에스테르 내열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내열제로서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을 함유하며, 상세하게는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sodium 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yl)phosphat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조성물의 주성분은 하기 화학식 1의 경질세그먼트와 하기 화학식 2의 연질세그먼트가 교대로 반복되는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1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2
화학식 1에서 D는 C2~C8의 포화지방족 디올 및 사이클릭 디올 단독 혹은 2개 이상의 혼합물에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이고, 화학식 2에서 G는 분자량이 400∼4000인 폴리에테르 글리콜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로서 2개의 히드록시기가 제거된 라디칼이며, R은 분자량 500 이하의 방향족, 지방족 및 사이클릭 디카르복실산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에서 2개의 카르복실기가 제거된 라디칼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에 내열제로서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을 첨가한다.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은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R1과 R2는 각각 C2~C20의 지방족, 방향족 및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M은 1가의 전하를 가지는 Li,Na,K 등의 알카리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sodium-2,2′-methylene-bis-(4,6-di-tert-butylphenyl)phosphate]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조성물 내에 서 핵제의 역할을 하여 제품 가공시에 결정화 속도를 증가시키며 결정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열산화 분해반응에 취약한 연질 세그먼트에서 발생한 분해반응이 이웃 세그먼트로 전이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3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4

본 조성물중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에 대하여 0.05~3.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 0.05∼0.5중량부이다.
본 조성물은 내열제로서 상기한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다른 내열제를 함께 함유하는 경우 열안정성의 상승효과를 유발하여 우수한 내열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내열제로는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 2,2′-m-phenylene bis(2-oxazoline)],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스페닐아민)[4,4′-bis(alpha, alpha-dimethylbenzyl diphenylamine)],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N,N′-hexane-1,6-diyl 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은 화학식 5의 구조를,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스페닐아민)은 화학식 6의 구조를,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는 화학식 7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5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6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7

본 조성물이 내열제로서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와 상기한 다른 내열제를 포함하는 내열제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의 함량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에 대하여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05∼0.5중량부, 다른 내열제 0.1~3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열제 시스템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에 대하여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05~0.5중량부,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 0.1~1.0중량부, 4,4′-비스(α, α-디메틸벤질 디스페닐아민) 0.1~1.0중량부,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 프로피온아마이드 0.1~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효과적이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열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내열제들을 혼합하여 첨가하는데 있어서는 수지의 특성에 맞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비율로 내열제 시스템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열안정성의 상승효과를 유발하는 동시에 미려한 외관에 필수적인 초기 색상의 백색도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 중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와 (c) 4,4′-비스(α, α-디메틸벤질 디스페닐아민)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함께 동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내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은 열산화 분해반응에서 발생하는 과산화물(peroxide)의 분해제(decomposer)로 작용하는 동시에 연질 세그먼트의 분해에서 발생하는 포름산(formic acid)의 포집제(capaturing agent)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 프로피온아마이드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라디칼을 트랩핑(trapping)하는 역할을 하며 적절한 내열성을 발휘하면서도 초기 색상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함량으로 내열제 또는 내열제 시스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열제 또는 내열제 시스템과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와 내열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내열제 또는 내열제 시스템 10∼50중량%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90-50중량%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 제조된 마스터배치 5~30중량%와 내열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70~95%를 배합하여 제조하게 되면 수지조성물 중에 내열제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균일한 품질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의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것이다.
* 인장강도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이다.
* 신도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 이다.
*내열성 : UL 오븐 내에서 168℃의 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열처리한 후, 초기의 물성에 대해 인장강도 및 신도가 저하되는 정도로서 평가하였으며, 초기 물성의 50%까지 저하하는 지점에서 실험을 중지하였다.
[실시예 1]
표면경도가 쇼어(shore) 55D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주식회사 코오롱의 KOPEL KP3355)를 이축 스크류형의 압출형 혼련기(Twin screw extruder)의 1차 투입구를 통해 투입한 후 내열안정성 첨가제로서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a) 1중량%, 2,2′-m-페닐렌-비스(2-옥사졸린)(b) 10중량%, 4,4′-비스(α,α-디메틸벤질 디스페닐아민)(c) 10중량%,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 프로피온아마이드(d) 10중량%를 미세 조정이 가능한 2차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면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기의 온도를 1차 투입구에서부터 다이까지의 순서로 180℃, 200℃, 210℃, 220℃, 230℃로 하고 스크류의 회전수를 250RPM으로 설정하여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되어져 나온 수지는 스트랜드(Strand)상으로 토출되면서 온도가 35℃인 냉각조 내에서 고화된 다음 펠렛타이저(pelletizer)를 통해 펠렛화된 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마스터배치를 제습형 열풍건조기로 100℃에서 6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형체력이 150톤인 사출성형기를 이용해 표면경도가 shore 55D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인 KOPEL KP3355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표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내열제의 조성을 달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각 예의 평가결과는 표 1에 제시된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열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아무런 내열제를 포함하지 않는 기본조성에 비해 약 20배 이상의 내열성을 구현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수치는 일반적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열안정성에 비해 매우 우수한 수준이다.
구분 내열제 함량 (중량부) aging 시간 (hr) 기계적 특성 유지율(%)
a b c d 인장강도 신도
실 시 예 1 0.05 0.5 0.5 0.5 24 95.2 98.8
48 85.2 98.4
72 65.1 88.3
96 61.0 68.0
2 0.05 0.3 0.3 0.5 24 90.0 93.2
48 74.9 92.1
72 69.2 75.1
96 39.8 3.5
3 0.05 0.5 0.5 0.3 24 91.0 97.5
48 83.8 96.9
72 73.7 87.6
96 52.2 24.5
4 0.05 0.5 0.5 0 24 86.2 92.0
48 69.3 65.6
72 45.2 14.1
5 0.1 0.3 0.3 0.5 24 92.4 96.2
48 78.5 92.6
72 72.1 78.9
96 40.8 5.8
비 교 예 1 0 0 0 1.0 24 83.2 87.5
48 67.2 68.9
72 56.9 26.2
96 58.3 14.1
2 0 0.2 0 0.3 12 75.4 43.5
20 17.8 4.1
3 0 0.5 0 0 5 55.7 52.4
10 8.5 7.2
4 0 0 0.5 0 12 64.7 70.9
24 55.4 49.7
48 31.6 30.5
5 0 0.3 0.3 0.5 24 91.2 94.2
48 74.7 85.8
72 66.4 71.5
96 40.0 6.0
[실시예 6 및 비교예 6] :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의 내열안정효과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내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열제로서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5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6)과 내열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비교예 7)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표 2에서,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내열안정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구분 a 함량 (중량부) aging 시간 (hr) 기계적 특성 유지율(%)
인장강도 신도
실시예 6 0.5 5 55.3 51.4
10 10.3 7.6
비교예 6 0 5 49.6 43.5
10 5.6 4.1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가공시 또는 사용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열산화 분해에 의한 활성 라디칼의 제거 및 핵제를 이용한 미세 결정영역의 증대에 의해 열안정성을 향상시킨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높은 온도에 쉽게 노출되는 각종 기계부품의 외장재 및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사용되는 동력선의 피복, 호스, 완충장치 등의 탄성재료로 사용되면서 우수한 내열성이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내열제로서 화학식 3과 같은 비스페닐 리간드를 가진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01031759460-pat00008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페이트의 알카리 금속염이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이고, 그 함량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3.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 머 수지 조성물이 내열제로서 상기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이외에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 4,4′-비스(α, α-디메틸벤질 디스페닐아민),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열제 시스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제 시스템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디움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0.05-0.5 중량부,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 0.1-1.0중량부, 4,4′-비스(α, α-디메틸벤질 디스페닐아민) 0.1-1.0중량부 및 N,N′-핵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0.1-1.0중량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내열제 또는 내열제 시스템 10∼50중량%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90-50중량%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 제조된 마스터배치 5~30중량%와 내열제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70~95%를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75766A 2001-12-03 2001-12-03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064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66A KR100648805B1 (ko) 2001-12-03 2001-12-03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66A KR100648805B1 (ko) 2001-12-03 2001-12-03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01A KR20030045301A (ko) 2003-06-11
KR100648805B1 true KR100648805B1 (ko) 2006-11-23

Family

ID=2957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766A KR100648805B1 (ko) 2001-12-03 2001-12-03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831B1 (ko) * 2002-12-09 2005-08-18 주식회사 코오롱 고내구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용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539A (en) * 1973-03-28 1976-04-27 Teijin Ltd. Arom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nhibited colora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coloration
JPS56106921A (en) * 1980-01-30 1981-08-25 Toyobo Co Ltd Cationic dye-dyeable and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JPH02189358A (ja) * 1989-01-18 1990-07-25 Nippon Ester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848823A (ja) * 1994-08-05 1996-02-20 Sanyo Chem Ind Ltd 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539A (en) * 1973-03-28 1976-04-27 Teijin Ltd. Arom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nhibited colora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coloration
JPS56106921A (en) * 1980-01-30 1981-08-25 Toyobo Co Ltd Cationic dye-dyeable and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JPH02189358A (ja) * 1989-01-18 1990-07-25 Nippon Ester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848823A (ja) * 1994-08-05 1996-02-20 Sanyo Chem Ind Ltd 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01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81B1 (ko)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KR100611554B1 (ko) 향상된 효과를 갖는 첨가제 배합물을 포함하는 합성 중합체
EP1217039B1 (de) Leichtfliessende Polyester-Formmasse
US4585835A (en) Polymer compositions
EP0794974B1 (de) Stabilisierte polyester formmassen
JP3295079B2 (ja) ナイロン成形組成物
AT405412B (de) Farbarm arbeitendes wärme- und licht-stabilisatorsystem für polypropylenfaser
DE2412591C2 (ko)
CA1237845A (en) Polyamide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KR101242686B1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EP0410230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molekularer Polyamide
KR100648805B1 (ko) 내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DE102019214712A1 (de) Polyamid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formgegenstand
DE4131986A1 (de) Unverstaerkte polyamidformmassen
DE69423369T3 (de) Wärmestabilisierte harzzusammensetzungen
CA1292227C (e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substituted amino carbamates and novel substituted amino carbamates
CA1276650C (en) Long chain (4-hydroxyphenyl) propanoate stabilizers
DE112004000366B4 (de) Polytrimethylenterephthalat-Zusammensetzung
JPH11106644A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910003510B1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그의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DE2751969A1 (de) Stabilis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 aus polyestern
KR101481224B1 (ko)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
EP0314623A2 (en) Substituted hydroxylamine ester stabilizers
KR100508831B1 (ko) 고내구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용 커버
GB960473A (en) A process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halogen-containing thermoplastic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