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30B1 -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830B1
KR100647830B1 KR1020040048113A KR20040048113A KR100647830B1 KR 100647830 B1 KR100647830 B1 KR 100647830B1 KR 1020040048113 A KR1020040048113 A KR 1020040048113A KR 20040048113 A KR20040048113 A KR 20040048113A KR 100647830 B1 KR100647830 B1 KR 10064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bble
address
address information
bit
gray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453A (ko
Inventor
아키라마시모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82Meand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드 및 그루브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고해상도 광 디스크 및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워블이 형성되고,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된다. 워블은 그루브에 있어서 서로 동상워블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루브에 삽입된 랜드의 어드레스는, 그루브의 워블로부터 검출한다. 랜드의 워블이 동상워블이 아니고 역상워블인 경우, 워블의 그레이코드에서 2진 어드레스로 변환할 때에 0이 되도록 바꿔 놓는다. 이에 따라, 역상워블로도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인접하는 내경측의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와 일치시켜,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확정한다.
고해상도 광 디스크, 동상워블, 역상워블, 그루브, 랜드

Description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HIGH-DEFINITION OPTICAL DISK DR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G 트랙 어드레스계의 설명도,
도 3은 워블신호의 타이밍도로, (a)는 그루브 N 및 N+1에서의 워블을 도시한 도면, (b)는 랜드 N에 또는 랜드 N으로부터 기록/재생할 때의 광검출기의 배치위치와 랜드 N의 워블을 도시한 도면, (c)는 광검출기의 검출신호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변화비트 검출회로의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로 각 부의 타이밍도로, (a)는 검파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p"를 도시한 도면, (b)는 피크홀드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 "q"를 도시한 도면, (c)는 피크홀드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 "r"을 도시한 도면, (d)는 출력신호 "q"와 출력신호 α·γ을 도시한 도면, (e)는 검출신호 "s"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블록도,
도 7은 종래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블록도,
도 8은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실시예의 하나의 G 트랙 어드레스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G 트랙 어드레스계에 대응하는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동작설명도,
도 11은 실시예의 다른 G 트랙 어드레스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G 트랙 어드레스계에 대응하는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동작설명도,
도 13은 광 디스크의 어드레스 포맷 설명도,
도 14는 랜드의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의 역변환 설명도로, (a)는 특정 랜드의 그레이코드를 도시한 도면, (b)는 해당 랜드의 2진 어드레스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랜드의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의 역변환 설명도로, (a)는 다른 랜드의 그레이코드를 도시한 도면, (b)는 해당 랜드의 2진 어드레스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광 디스크의 다른 어드레스 포맷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의 다른 처리 흐름도,
도 18은 특정 그루브의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의 역변환 설명도로, (a)는 특정 그루브의 그레이코드를 도시한 도면, (b)는 해당 그루브의 2진 어드레스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다른 그루브의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의 역변환 설명도로, (a)는 다른 그루브의 그레이코드를 도시한 도면, (b)는 해당 그루브의 2진 어드레스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실시예의 또 다른 처리 흐름도,
도 21은 종래의 어드레스 포맷 설명도,
도 22는 그루브 및 랜드의 워블 설명도,
도 23은 그레이코드 변환기의 설명도,
도 24는 어드레스값과 그레이코드와의 상관을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어드레스값과 그레이코드와의 상관을 나타낸 다른 설명도,
도 26은 2진 어드레스의 자리수 올림위치와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27은 다른 변화비트위치(자리수 올림위치) 검출회로도,
도 28은 다른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 디스크 14, 20, 22 : 드라이버
16 : 광 픽업 18 : 쓰레드 모터
28 : 어드레스 디코드회로 30 : 서보 프로세서
32 : 시스템 제어기 34 : 2진화회로
36 : 인코드/디코드회로 38 : 버퍼 메모리
42 : 기록방식회로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루브 및 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고해상도(high-definition) 광 디스크 및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그루브 뿐만 아니라, 그루브와 랜드 중 어디에도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고기록 해상도(또는 밀도)를 달성하는 광 디스크가 알려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그루브와 랜드중 어디에도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그루브와 랜드 각각으로부터 어드레스를 정확하게 검출해야 한다. DVD-RAM에서는, CAPA(Complementary Allocated Pit Address)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특수한 신호를 섹터마다 데이터 기록과는 시간적으로 독립하여 삽입하고, 이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섹터의 헤드에 데이터영역과는 독립한 어드레스영역(헤더부)을 갖는다. 이 헤더부에 데이터영역의 그루브 또는 랜드에 대하여, 좌우로 오프셋하여 복수의 CAPA 신호를 삽입한다. 그루브에 또는 그루브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경우 검출된 CAPA신호는, 랜드에 또는 랜드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경우 검출된 CAPA 신호와 다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그루브 및 랜드로부터의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그러나, 데이터부와 시간적으로 독립하여 어드레스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분량만큼 광 디스크의 데이터용량이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루브와 CAPA 신호는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지 않으므로, 광 디스크의 제조가 비교적 곤란 한 문제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 기록/재생시에 있어서 데이터부와 헤더부에서 서보방식이 다르거나, 혹은 서보 파라미터 등의 파라미터 최적점이 다른 문제도 있다.
그래서,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기억하기 위한 워블을 사용하여 그루브의 어드레스(이후, 종종 "그루브 어드레스"라고 부름) 뿐만 아니라 랜드의 어드레스(이후, 종종 "랜드 어드레스"라고 부름)도 확정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루브를 0도의 위상으로 동상워블시킨 경우, 0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루브를 180도의 위상으로 동상워블시킨 경우, 1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래서, 어드레스 정보를 매립한다. 그러나, 2개의 인접 그루브로 동상워블로 한 경우라도, 2개의 그루브 사이에 삽입된 랜드로는 반드시 동상워블이 되지는 않아 어드레스를 확정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특개평 10-312541호 공보에서는, 어드레스를 2개 준비하여,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로 랜드의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도 21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기재된 어드레스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어드레스에는, 영역어드레스와 트랙 어드레스(트랙번호)가 있고, 동일방향으로 배치된 각 세그먼트의 영역어드레스는 서로 같다. 도 21에서는, 트랙 어드레스만이 도시되어 있다. G1, G2, G3, …는 그루브이며, L1, L2, L3, …은 랜드이다. 낮은 트랙번호가 디스크의 내경에 위치되고,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트랙번호가 증대한다. G1에 할당된 트랙번호는 n+1, G2에 할당된 트랙번호는 n+2, L1에 할당된 트랙번호는 n+1, L2에 할당된 트랙번호는 n+2이다. 각 그루브에는,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워블이 형성되고, 0도의 동상워블로 0이 기록되고, 180도의 동상워블로 1이 기록된다.
G1, L1, G2에 착안하면, 원래라면 G1, G2는 트랙번호가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G1에 형성된 워블과 G2에 형성된 워블은 역상이 된다. G1과 G2 사이에 삽입된 L1에서는 G1의 워블과 G2의 워블이 서로 180도의 위상을 이루므로 그 L1이 역상이 되어 검출될 수 없다. 이 때문에, Address1에서는 G1과 G2에 동일한 트랙번호를 할당함으로써, 그 사이에 삽입된 L1의 워블을 동상으로 하고, 트랙번호 n+1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Address2에서는, G1에는 원래의 트랙번호 n+1를 할당하고, G2에는 원래의 트랙번호 n+2를 할당한다. 그러므로, G1과 G2 사이에 삽입된 L1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없어, L1에 "NG"가 할당된다.
또한, G2, L2, G3에 착안하면, 원래라면 G2, G3에 할당된 트랙번호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G2에 형성된 워블과 G3에 형성된 워블은 역상이 되고, G2와 G3 사이에 삽입된 L2에서는, G2의 워블과 G3의 워블이 서로 180도의 위상을 이루기 때문에 L1이 역상이 되어 검출될 수 없다. 이 때문에, Address2에서는 G2와 G3에 동일한 트랙번호를 할당함으로써, 그 사이에 삽입된 L2의 워블을 동상으로 하여, 트랙번호 n+2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Address1에서는 L2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없어, L2에는 "NG"가 할당된다.
또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워블의 형태로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 2진 데이터를 그레이코드로 변환하여 기록한다. 여기에, 그레이코드란, 인접하는 2진 데이터의 2개의 세트사이의 부호간 거리, 즉 반전 비트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에는, 2진 데이터를 그레이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그레이코드 변환기(2)가 나타나 있다. 도 24에는, 어드레스와 그레이코드와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그레이코드 변환기(2)는, 복수의 EX-OR(배타적 논리합)게이트(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8비트인 경우, 최하위비트 LSB와 다음 하위비트와의 EX-OR 연산되어 그레이코드의 최하위비트 LSB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 어드레스의 인접비트끼리의 EX-OR 연산되어 그레이코드로 변환된다.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MSB는 그대로 유지되어 그레이코드가 된다. EX-OR 연산에서는, 2입력이 동일하면 출력은 0이 되고, 2입력이 다르면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어드레스의 2진 데이터가 00000000이면 그레이코드는 00000000이 되고, 2진 데이터가00000001이면 그레이코드는 00000001, 2진 데이터가 00000010이면 그레이코드는000000011이 된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그레이코드의 부호간 거리는 항상 1의 값이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Address1 및 Address2의 2개의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랜드 및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있지만, 2개의 어드레스를 미리 디스크에 형성하는 것은 용장이고, 그 분량만큼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밀도가 저하한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어드레스들 중 하나의 어드레스만을 이용한다. 2개의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용장 어드레스의 효과적인 활용이 도모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제거하여 큰 정도로 기록밀 도를 증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장계 어드레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어드레스 검출의 정밀도를 상승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를 매립하고,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를 보유하는 디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다.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 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를 매립하고,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를 보유하는 디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다.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 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디스크의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을 향하여 번호가 순차 증가하는 트랙 어드레스 정보를 매립하고,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를 보유하는 디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2진 데이터 가 변환된 결과로서 워블에 매립된다.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에 대해서는 그 워블이 나타낸 값으로서 규정된다.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에 대해서는 상기 2진 데이터에서의 0으로서 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디스크의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번호가 순차로 증가하는 트랙 어드레스 정보를 매립하고,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를 보유하는 디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2진 데이터가 변환되는 2진 데이터의 결과로서 워블에 매립된다.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에 대해서는 그 워블이 나타낸 값으로서 규정된다. 트랙 어드레스 정보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에 대해서는 상기 2진 데이터에서의 1로서 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또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이 드라이브는,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을 가진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갖는다.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다.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여도 된다.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실제로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랜드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현재 세그먼트(데이터영역의 단위)의 어드레스가 확정된 경우, 그 확정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고, 예측결과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여도 된다. 예측결과를 실제로 검출한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결과를 검증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그대로 출력함과 함께,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에 위치된 비트와, 그 하위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에의 입력신호를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갖는다.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비트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되도록 바꾸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비트를 차단하여 그 차단한 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를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하도록 바뀌게 동작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역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2진 데이터 중,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보다 하위의 비트가 모두 1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또,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으로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되어 그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랜드전용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또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이 드라이브는,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 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갖는다.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다.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여도 된다. 그루브에 있어서 현재 세그먼트를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데이터영역의 단위)의 어드레스가 확정된 경우, 그 확정 어드레스에 따라서 다음 세그먼트의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고, 예측결과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여도 된다. 그 예측결과를 실제의 검출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이 드라이브는,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가진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 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랜드전용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바로 연속하는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바로 연속하는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구비한다.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2진 어드레스)과 그레이코드와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연속한 2진 데이터(2진수)를 서로 비교한 경우의 자리수 올림위치는,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연속한 2개의 이진수가 주어진 경우, 작은 쪽의 2진수의 값이 0이고, 큰 쪽의 이진수의 값이 1이 되는 비트위치가, 각각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 요컨대 역상워블위치와 같다. 이 사실을 이용하여, 이미 확정한 2진 어드레스로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이 2개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를 산출한다.
이 경우, 검출수단은, 상기 확정한 2진 어드레스의 비트가 입력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반전출력 및 상기 연산된 다음 2진 어드레스의 상기 확정된 2진 어드레스의 비트와 같은 위치비트가 입력되고, 이 반전출력과 이 비트를 논리곱 연산을 행하는 게이트회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2진 어드레스의 비트가 0이고, 다음 2진 어드레스의 비트가 1인 경우, AND 게이트로부터의 출력은 1이 되고, 다른 조합에서는 출력은 0이 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로부터의 출력이 1이 되는 비트위치를 변화비트위치로서 특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한다. 이 드라이브는,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가진다.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그루브전용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연속하는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고,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가진다. 전술하였듯이, 연속한 2개의 2진수가 주어지면, 그것들에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를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경우라도, 이미 확정한 어드레스값에 선행하는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2개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그레이코드의 위치를 검출한다. 랜드의 경우에는 확정한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를 산술연산에 의해 산출하고, 그루브의 경우에는 확정한 어드레스에 선행하는 어드레스를 산술연산에 의해 산출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광 디스크에 그루브 "n", 랜드 "n", 그루브 "n+1", 랜드 "n+1",…와 순차적으로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랜드 "n"에 대하여 연속하는 인접트랙번호는 그루브(n+1)인데 대하여, 그루브 "n"에 대하여 연속하는 인접트랙번호는 랜드(n-1)이기 때문이다.
한편, 광 디스크에 랜드 "n", 그루브 "n", 랜드 "n+1", 그루브 "n+1",…와 순차적으로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랜드인 경우에는 확정한 어드레스에 선행하는 어드레스를 산술연산에 의해 산출하고, 그루브인 경우에는 확정한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를 산술연산에 의해 산출하여,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모든 비트와, 그 상기 그레이코드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와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고, 그 배타적 논리합 연산의 결과를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로부터의 출력을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출력을 0 또는 1 중 어느 하나를 고정적으로 출력하도록 바뀌게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히 이해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 도면이다. 광 디스크(10)는, 스핀들 모터(SPM)(1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스핀들 모터 SPM(12)는, 드라이버(14)로 구동되고, 드라이버(14)는 서보프로세서(30)에 의해 원하는 회전속도가 되도록 서보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드라이버(14)는 광 디스크(10)를 내경에서 외경 사이에서 복수의 존(zone)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있어서 각속도 일정이 되도록 구동한다.
광 픽업(16)은, 레이저광을 광 디스크(10)에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LD)와 상기 광 디스크(10)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검출기(PD)를 포함하고, 광 디스크(10)에 대향배치된다. 광 픽업(16)은, 쓰레드 모터(18)에 의해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구동되고, 쓰레드 모터(18)는 드라이버(20)에 의해 구동된다. 드라이버 20은, 드라이버 14와 같이 서보프로세서(30)에 의해 서보제어된다. 또한, 광 픽업(16)의 LD는 드라이버(22)에 의해 구동되고, 드라이버(22)는 오토파워 콘트롤회로(APC)(24)에 의해 구동전류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제어된다. APC(24)는, 광 디스크(10)의 테스트 에어리어(PCA)에서 실행된 최적 파워 제어(OPC:Optimum Power Control)에 의해 선택된 최적기록파워가 되도록 드라이버(22)의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OPC는, 광 디스크(10)의 PCA에 기록파워를 복수단으로 변화시켜 테스트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당 테스트 데이터를 재생하여, 그 결과의 신호품질을 평가하고, 원하는 신호품질을 얻도록 기록파 워를 선택하는 처리이다. 신호품질의 지수로서는, β값, γ값, 변조도, 지터 등이 사용된다.
광 디스크(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광 픽업(16)의 LD로부터 재생파워의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그 레이저광의 반사광이 PD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광 픽업(16)으로부터 출력된 재생신호는 RF회로(26)에 공급된다. RF회로(26)는, 재생신호로부터 포커스오차신호와 트랙킹오차신호를 생성하여, 서보프로세서(30)에 공급한다. 서보프로세서(30)는, 이들 오차신호에 따라서 광 픽업(16)을 서보제어하고, 광 픽업(16)을 온포커스 상태 및 온트랙 상태로 유지한다.
광 픽업(16)은, 광 디스크(10)의 그루브 및 랜드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한다. 광 디스크(10)에는 나선형으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그루브1, 랜드1, 그루브2, 랜드2, 그루브3, 랜드3의 순으로 그루브와 랜드에/로부터 교대로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 이와는 달리, 존마다 그루브만 기록/재생한 후에, 랜드에 기록/재생한다. 존에 속하는 그루브를 모두 기록/재생한 후에, 동일 존내의 랜드를 기록/재생하여도 된다. 또한, RF회로(26)는, 재생신호에 포함된 어드레스신호를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는, 어드레스신호로부터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복조하여, 서보프로세서(30)와 시스템 제어기(32)에 공급한다. 이 어드레스 데이터는, 광 디스크(10)의 그루브 및 랜드에 워블로서 매립된다. 광 디스크(10)는,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영역어드레스 및 트랙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데이터는, 도 24에 나타낸 것 같은 그레이코드로서 광 디스크(1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 포맷은, 도 21에 나타낸 것처럼, 2개의 어드레스계가 아니라, 하나의 어드레스계로 구성된다. 즉, 기본적으로 그루브에, 내경에서 외주를 향하여 연속하는 트랙번호가 부여된다. 구체적으로, 어드레스 포맷은,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G1, L1, G2, L2, G3,…의 순으로 그루브 및 랜드가 나선형으로 배열된 경우, 그루브의 트랙번호가 n+1, n+2, n+3,…가 되도록 부여하고 있다. 모든 그루브에 있어서 0도의 동상워블 및 180도의 동상워블이 되도록 워블이 형성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어드레스 포맷은,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G 트랙 어드레스)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G 트랙 어드레스로부터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그루브들 사이에 삽입된 랜드의 어드레스도 검출한다. 즉, 도 21에 있어서 NG라고 된 워블의 조합에 의거하여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또한,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로서, 이와 같이 그루브의 트랙번호를 연속하도록 형성하는 것 외에,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계를 2개 형성하고, 한쪽의 어드레스계로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다른쪽의 어드레스계로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이것을 "L 트랙 어드레스"라고 칭한다)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G 트랙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검출된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L 트랙 어드레스를 검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1) 광 디스크(10)에 G 트랙 어드레스계만을 형성하고, L 트랙 어드레스계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와,
(2) 광 디스크(10)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G 트랙 어드레스계와 L 트랙 어드레스계를 형성한다. 랜드 트랙 어드레스 검출시에, 광 디스크(10)에 형성된 L 트랙 어드레스계를 체크용 어드레스로서 사용하는 형태의 2개의 형태가 있다.
RF회로(26)는, 재생 RF신호를 2진화회로(34)에 공급한다. 2진화회로(34)는, 재생신호를 2진화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EFM 신호(CD 디스크의 경우) 또는 8-16변조신호(DVD 디스크의 경우)를 인코드/디코드회로(36)에 공급한다. 인코드/디코드회로(36)에서는, 2진화신호를 복조 및 에러정정하여 재생데이터를 얻고, 해당 재생데이터를 인터페이스 I/F(40)를 통해 퍼스널컴퓨터 등의 호스트에 출력한다. 또, 재생데이터를 호스트에 출력할 경우, 인코드/디코드회로(36)는 버퍼메모리(38)에 재생데이터를 일단 축적한 후에 출력한다.
광 디스크(1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호스트로부터의 기록해야 할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I/F(40)를 통해 인코드/디코드회로(36)에 공급된다. 인코드/디코드회로(36)는,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버퍼메모리(38)에 저장하고, 해당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인코드하여 변조데이터로서 기록방식(write strategy)회로(42)에 공급한다. 기록방식회로(42)는, 변조데이터를 소정의 기록방식에 따라서 멀티펄스(펄스열)로 변환하고, 기록데이터로서 드라이버(22)에 공급한다. 기록방식은, 예를 들면 멀티펄스에 있어서의 선두펄스의 펄스폭, 후속펄스의 펄스폭, 펄스듀티로 구성된다. 기록방식은 기록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상은 특정 최적방식으로 고정된다. 최적파워제어(OPC)시에 기록방식을 더불어 설정하여도 된다. 기록데이터에 의해 파워변조된 레이저광은, 광 픽업(16)의 LD로부터 조사되어 광 디스크(10)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데이터를 기록한 후, 광 픽업(16)은 재생파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해당 기록데이터를 재생하여, RF회로(26)에 공급한다. RF회로(26)는 재생신호를 2진화회로(34)에 공급하고, 2진화된 데이터는 인코드/디코드회로(36)에 공급된다. 인코드/디코드회로(36)는, 변조데이터를 디코드하고, 버퍼메모리(38)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데이터와 대조한다. 검증의 결과는 시스템 제어기(32)에 공급된다. 시스템 제어기(32)는, 검증의 결과에 따라서 계속해서 데이터를 기록할지, 또는 교체처리를 실행할지를 결정한다.
<G 트랙 어드레스계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디스크(10)에 G 트랙 어드레스만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 랜드에 대한 기록/재생동작시에 G 트랙 어드레스로부터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광 디스크(10)에 형성되는, 그루브 N, 랜드 N, 그루브 N+1, 랜드 N+1, 그루브 N+2, 랜드 N+2, 그루브 N+3에 있어서의 G 트랙 어드레스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그루브 및 랜드는 내경에서 외경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그루브에는 0도의 동상워블(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 및 외경측 워블이 함께 0도의 위상) 또는 180도의 동상워블(내경측 워블 및 외경측 워블이 함께 180도의 위상)이 형성된다(도 22참조). 도면에서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8비트로 표현되어 있지만, 비트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12비트여도 된다. G 트랙 어드레스의 2진 데이터는 연속하는 트랙번호간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루브 N의 G 트랙 어드레스가 00000000인 경우, 그루브 N+1의 G 트랙 어드레스는 최하위비트 LSB만큼 반전한 00000001이다. 또한, 그루브 N+2의 G 트랙 어드레스는, 그 하나 상위의 비트만큼 반전한 00000011이다. 또한, 그루브 N+3의 G 트랙 어드레스는, 최하위비트만큼 반전한 00000010이다. 여기서, "0"은 도 22에 나타낸 것 같이 위상이 0도의 동상워블로서 형성되고, "1"은 위상이 180도의 동상워블로서 형성된다.
한편, 그루브 N과 그루브 N+1 사이에 삽입된 랜드 N의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그루브 N과 그루브 N+1이 모두 0이면 위상이 0도의 동상워블이 되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0을 검출할 수 있지만, 최하위비트에 관해서는 그루브 N의 워블이 0도의 위상의 워블이며, 그루브 N+1의 워블이 180도의 위상의 워블이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역상이 되어 검출할 수 없다. 즉, 랜드 N을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이 180도 반전한 위상이 되기 때문에 워블신호가 사라진다. 도면에서는, 이와 같이 워블이 역상이 되어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는 비트를 변화비트(100)로서 "X"로 도시하고 있다.
그루브 N+1와 그루브 N+2 사이에 삽입된 랜드 N+1의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그루브 N+1와 그루브 N+2가 모두 0이면 위상이 0도의 동상워블이 되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0을 검출할 수 있고, 그루브 N+1과 그루브 N+2가 모두 1이면, 위상이 180도의 동상워블이 되므로 랜드의 워블로서 1을 검출할 수 있지만, 최하위비트의 하나 상위의 비트에 관해서는 그루브 N+1의 워블이 0도의 위상의 워블이며, 그루브 N+2의 워블이 180도의 위상의 워블이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역상이 되어 검출할 수 없다.
또한, 그루브 N+2와 그루브 N+3 사이에 삽입된 랜드 N+2의 어드레스에 관해서는, 그루브 N+2와 그루브 N+3이 모두 0이면, 위상이 0도의 동상워블이 되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0을 검출할 수 있고, 그루브 N+2와 그루브 N+3이 모두 1이면 위상이 180도의 동상워블이 되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1"을 검출할 수 있지만, 최하위비트에 관해서는 그루브 N+2의 워블이 180도의 위상의 워블이며, 그루브 N+3의 워블이 0도의 위상의 워블이기 때문에 랜드의 워블로서 역상이 되어 검출할 수 없다. 인접하는 트랙번호는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이미 변환되어 있으므로, 8비트중 어느 하나의 비트가 미정의된다.
이와 같이, 그대로 랜드어드레스를 검출하려고 하였다면, 어드레스가 미정의가 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랜드 N에 관해서는 원래는 그루브 N과 같은 2진 어드레스 "00000000"이며, 최하위비트의 X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하여 버리면 랜드 어드레스가 정확히 확정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랜드 N+1에 관해서도 원래는 그루브 N+1과 같은 2진 어드레스 "00000001"이며, 최하위비트의 다음 비트(제1위 비트)의 X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하여 버리면 랜드 어드레스가 정확히 확정될 수 있다. 게다가, 랜드 N+2에 관해서도 원래는 그루브 N+2와 같은 2진 어드레스 "00000010"이며, 최하위비트의 X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하여 버리면 랜드 어드레스가 정확히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G 트랙 어드레스계만으로부터 그룹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랜드 어드레스에 대해서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랜드 어드레스의 검출은, 크게 나눠 2개의 스텝으로 구성된 다. 즉, 제1은 도 2에 나타낸 X위치, 즉 워블이 역상이 되는 변화비트를 검출하는 스텝이고, 제2는 변화비트에 있어서 2진 어드레스비트의 값을 0으로 대체하여 2진 어드레스를 얻는 스텝이다.
<변화비트 위치검출>
도 3a∼도 3c에는,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그루브 N 및 그루브 N+1에 있어서의 워블이고, 변화비트(100), 즉 그루브 N에서 위상 0도의 동상워블과 그루브 N+1에서 위상 180도의 동상워블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것 등의 구성에 있어서, 랜드 N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경우의 광검출기의 배치위치와 랜드 N의 워블만을 추출한 것이다. 광검출기는 4분할 광검출기가 사용된다.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배치된 2개의 광검출기를 각각 광검출기 A, B라고 칭하면(4분할 광검출기의 요소를 "a", "b", "c", "d"로 하고, "a", "b"가 내경측에 위치하고, "c", "d"가 외경측에 위치한다고 하면, 광검출기 A= a+ b, 광검출기 B= c+ d다), 광검출기A는 랜드 N의 양벽의 워블중 내경측의 워블, 즉 위상 0도의 워블을 검출하고, 광검출기B는 랜드 N의 양벽의 워블중 외경측의 워블, 즉 위상 180도의 워블을 검출한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광검출기 A, B의 검출신호의 차이 A-B를 나타낸 것이다. 동상워블의 비트에서는 소정값 이상의 진폭을 가지는 신호가 출현한다. 변화비트(1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위상반전한 워블신호의 차이를 연산하기 때문에 진폭은 거의 0이 된다. 따라서, 차이 A-B의 진폭을 검출하여, 진폭이 실질적으로 제로가 되는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변화비트(100)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서의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에 포함되는 변화비트 검출회로의 회로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5a∼도 5e에는, 도 4에서의 각 부의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변화비트 검출회로는, 검파회로(28a), 2개의 피크홀드회로(28b, 28c) 및 비교기(28d)로 구성된다.
검파회로(28a)에는, 광검출기A, B의 차이신호 A-B가 공급된다. 또, 차이신호 A-B는, RF회로(26)로 생성할 수 있다. 검파회로(28a)는, 차이신호를 검파하여 2개의 피크홀드회로(28b, 28c)에 출력한다. 도 5a에는, 검파회로(28a)에서의 출력신호 "p"가 도시되어 있다.
피크홀드회로(28b)는, 방전 시정수가 크고, 피크홀드회로(28c)는 방전 시정수가 작다. 피크홀드회로(28b)에서는 방전 시정수가 크기 때문에 변화비트위치에서도 신호진폭은 거의 유지된다. 한편, 피크홀드회로(28c)에서는 방전 시정수가 작기 때문에, 변화비트위치에서 급속하게 신호진폭이 감소한다. 도 5b에는, 피크홀드회로 28b로부터의 출력신호 "q"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피크홀드회로 28c로부터의 출력신호 "r"이 도시되어 있다. 피크홀드회로(28b, 28c)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비교기(28d)에 공급된다.
비교기(28d)는, 피크홀드회로 28b로부터의 출력신호 "q"와, 피크홀드회로 28c로부터의 출력신호 "r"을 소정배 α(예를 들면 α=1.4)만큼 증폭한 신호를 대소비교한다. 도 5d는, 출력신호 "q"와 출력신호 r×α를 나타내고, 비교기(28d)는, 출력신호 "q"가 커지는 경우만 레벨이 하이가 되는 검출신호 "s"를 출력한다. 출력신호 "q"는 변화비트위치에서도 진폭레벨을 유지하고, 한편 출력신호 "r"은 변화비트위치에서는 진폭레벨이 급속히 감소하여 거의 제로가 된다. 따라서, 양신호를 대소비교함으로써, 변화비트위치에서 하이(high)가 되는 검출신호 "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e에는, 검출신호 "s"가 나타나 있다.
<변화비트의 치환 및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데이터로의 역변환>
다음에, 변화비트를 검출한 후의 변화비트위치에서의 비트의 치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는,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에 포함된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의 회로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는, 그레이코드를 원래의 2진 데이터로 복조하기 위한 회로이다. 그레이코드 변환기는, 도 23에 나타낸 것같이 인접하는 비트사이의 배타적 논리합연산을 행하는 회로이며, 그레이코드 역변환기는, 기본적으로 이 배타적 논리합 결과의 역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도 7에는, 도 23의 그레이코드 변환기에 대응하는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 MSB는 그대로 출력하고, 최상위비트의 아래 비트는, 해당 비트와 최상위비트가 EX-OR 게이트(1)로 배타적 논리합 연산이 행하여져 역변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 특정 비트에 착안하면, 그 비트와 그 하나 위의 2진비트와의 배타적 논리합에 의해 해당 비트가 2진 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는, 도 7에 나타낸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에, 각 비트마다 스위치 SW를 부가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 MSB는 스위치 SW7의 접점 "d"에 접속되고, 스위치 SW7의 다른쪽의 접점 "u"는 접지(0에 해당)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최하위비트 LSB는, 스위치 SW0의 접점 "d"에 접속되고, 스위치 SW0의 다른쪽의 접점 "u"는 LSB보다 하나 위의 2진비트에 접속된다. 다른 스위치 SW1∼SW6에 대해서도 SW0과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각 스위치 SW0∼SW7은, 통상은 접점 "d"측으로 바뀌어져 있고, 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한편, 변화비트가 검출된 경우, 그 변화비트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SW의 접점은 접점 "d"로부터 접점 "u"측으로 바뀐다. 예를 들면, 그레이코드의 최하위비트 LSB의 위치에서 변화비트가 검출된 경우, 검출신호에 따라서 SW0의 접점이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뀐다. 또한 아래에서 2번째의 위치에서 변화비트가 검출된 경우, 검출신호에 따라서 SW1의 접점이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뀐다. 이와 마찬가지로, 변화비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SW의 접점을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꾼다.
도 8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랜드 어드레스의 검출처리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우선,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의 변화비트 검출회로로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한다(S101). 이러한 검출신호는,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에 공급된다. 변화비트를 검출한 후, 변화비트위치에서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SW의 접점을 바꾼다(S102). 이 접점전환이 랜드 트랙 어드레스의 변화비트 X를 0으로 대체하여 인접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키는 처리에 대응한다. 그리고, 2진 어드레스를 시스템 제어기(32)에 출력한다.
이하,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의 SW를 바꾸는 효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는, 그루브 N의 G 트랙 어드레스의 그레이코드와, 그루브 N+1의 G 트랙 어드레스의 그레이코드가 나타나 있다. 그루브 N은 00000000의 어드레스이고, 그루브 N+1은 00000001의 어드레스이다. 랜드 N에서의 변화비트(100)는, 최하위비트의 위치에 있다.
도 10에는,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에 있어서, 최하위비트에 대응하는 SW0의 접점을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꾼 경우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최상위비트 MSB에서 제1위 비트까지는 모두 랜드 N의 그레이코드는 0이며, 최하위비트는 미정의된 X이다. 최상위비트로부터 제1위비트까지는 통상의 그레이코드 역변환에 따라서 변환된다. 예를 들면, 최상위비트 0은 그대로 2진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6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6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5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6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5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4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5위비트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4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3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4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3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2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3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2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1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2위비트 0의 배 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1위비트 0이 된다. 한편, 그레이코드의 최하위비트 LSB X에 관해서는, SW0의 접점이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뀌어져 있고, 2진 어드레스의 제1위비트 0끼리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최하위비트 LSB 0이 된다. 결국, 랜드 N의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여 얻어진 2진 어드레스는00000000이 되고, 이것은 인접하기 전의 그루브 또는 인접하는 내경측의 그루브의 트랙번호와 동일하게 되어, 정확한 트랙 어드레스가 된다.
도 11에는, 그루브 N+1 및 그루브 N+2에 있어서의 G 트랙 어드레스의 그레이코드가 나타나 있다. 그루브 N+1은 00000001의 어드레스이고, 그루브 N+2는00000011의 어드레스이다. 랜드 N+1에 있어서 변화비트(100)는, 제1위비트의 위치에 있다.
도 12에는,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에 있어서, 제1위비트에 대응하는 SW1의 접점을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꾼 경우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랜드 N+1의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 MSB로부터 제2위비트까지는 모두 0이며, 제1위비트는 미정의된 X, 최하위비트는 1이다. 최상위비트로부터 제2위비트까지는, 통상의 그레이코드 역변환에 따라서 변환된다. 예를 들면, 최상위비트 0은 그대로 2진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6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최상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6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5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6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5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4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5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4위비트 0 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3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4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3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제2위비트 0과 2진 어드레스의 제3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2위비트 0이 된다. 한편, 그레이코드의 제1위비트 X에 관해서는, SW1의 접점이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뀌어져 있고, 2진 어드레스의 제2위비트 0끼리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제1위비트 0이 된다. 또한, 그레이코드의 최하위비트 1과 2진 어드레스의 제1위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2진 어드레스의 최하위비트 1이 된다. 결국, 랜드 N+1의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여 얻어진 2진 어드레스는 00000001이 되고, 이것은 인접하기 전의 그루브 또는 인접하는 내경측의 그루브의 트랙번호와 동일하게 되어, 정확한 트랙 어드레스가 된다.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예를 들면 그루브 M의 그레이코드가 00000111(2진 어드레스는 00000101), 그루브 M+1의 그레이코드가 00000101(2진 어드레스는 00000110)인 경우, 랜드 M의 그레이코드는 000001X1이 되고, 제1위비트가 변화비트 X가 되고, SW1의 접점이 접점 "d"에서 접점 "u"로 바뀌어, 2진 어드레스의 제2위비트끼리의 배타적 논리합이 되기 때문에 항상 0이 된다. 결국, 랜드 M의 2진 어드레스는 00000101이 되고, 그루브 M의 2진 어드레스와 동일한 정확한 트랙 어드레스를 얻는다.
이와 같이, 랜드 어드레스의 그레이코드에 있어서, 변화비트의 위치에 있어서의 미정의된 값 X를 역변환에 의한 2진 어드레스비트의 0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그 랜드에 인접하는 내경측의 그루브와 동일한 2진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고, 따라 서 L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지 않고 G 트랙 어드레스만으로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데이터의 포맷이 나타나 있다.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세그먼트정보 등의 영역어드레스 외, G 트랙 어드레스만이 형성되어 있다. 랜드 N의 트랙 어드레스 200은 그루브 N 및 그루브 N+1의 동상워블로부터 검출된다. 랜드 N+1의 트랙 어드레스 201은 그루브 N+1 및 그루브 N+2의 동상워블로부터 검출된다. 랜드 N 및 랜드 N+1 자체는 역상워블이고, 도 21에 나타낸 종래기술에서는 이들은 모두 NG가 되는 것에 주의한다.
<변화비트위치 검출의 체크>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차이신호 A-B를 시정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피크홀드회로(28b, 28c)로 피크홀드하여 얻어지는 신호끼리를 비교함으로써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변화위치비트가 정말 바른 비트위치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에 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도 14a에는, 특정 랜드의 그레이코드 00000X10이 나타나 있다. 제2위비트에 변화비트(100)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변화비트(100)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역변환기의 SW군중 대응하는 SW의 접점을 바꾸는 것으로 그 변화비트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한다. 도 14b에는, 2진 어드레스가 나타나 있다. 변화비트위치에서는 항상 0이 되고, 그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102)는 모두 1이 된다. 2진 어드레스에 있어서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102)가 모두 1이 되는 것은, 그레이코드의 기본적 성질 및 도 6에 나타 낸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의 구성으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즉, 2진 어드레스의 제2위 비트를 0으로 대체하면, 2진 어드레스의 제1위 비트는, 그레이코드의 제2위 비트 0과 제1위 비트 1의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여 얻어진 결과에 해당하기 때문에 항상 1이 된다. 2진 어드레스의 최하위비트는 그레이코드의 제1위 비트 1과 최하위 비트 0의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여 얻어진 결과에 해당하기 때문에, 항상 1이 된다.
도 15a에는, 다른 랜드의 그레이코드 000X1000이 나타나 있다. 제4위 비트에 변화비트(100)가 존재한다. 이 경우에, 변화비트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하면, 도 15b에 나타낸 것 같이 그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102)는 모두 1이 된다.
이와 같이, 그레이코드를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할 때에, 변화비트를 0으로 하면 그 변화비트보다 하위의 비트는 모두 1이 된다. 이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변화비트검출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얻어진 랜드 트랙 어드레스 중,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가 모두 1이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모두 1이면 변화비트위치의 검출처리는 양호하다고 판정한다. 한편,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가 모두 1이 아닌 경우에는 변화비트위치의 검출처리는 NG라고 판정한다. 모두 1인지 여부는, 예를 들면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를 입력으로 하는 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L 트랙 어드레스계에서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도 있다. 즉, 광 디스크(10)에 L 트랙 어드레스계 만을 형성하고,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이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또한,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도 이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이 경우,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때에 역상워블이 되는 비트에 대해서는 2진 어드레스에 있어서 1이 되도록 역변환함으로써, 해당 그루브에 인접하는 랜드중 외경측의 랜드의 트랙번호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랜드 N의 그레이코드가 00000001(2진 어드레스 00000001)이며, 랜드 N+1의 그레이코드가 00000011(2진 어드레스 00000010)이 된다. 랜드 N과 랜드 N+1에 삽입된 그루브 N+1의 그레이코드는 000000X1이 된다. 제1위의 비트는 역상워블(즉, 그루브 N+1의 내경측 워블은 0도의 위상의 워블인 반면, 외경측 워블은 180도의 위상의 워블)이므로 변화비트가 된다. 이 그루브 N+1의 그레이코드를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에 의해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할 때, 변화비트의 2진 어드레스가 1이 되도록 역변환한다. 그 때문에, 그루브 N+1의 그레이코드는 2진 어드레스 00000010로 역변환되고, 이것은 외경측의 랜드 N+1과 같은 2진 어드레스가 되어, 정확한 어드레스를 얻는다.
변화비트의 2진 어드레스를 1로 하는 회로구성은 임의이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에 있어서, 접점 "u"측에 NOT 게이트를 부가하여, 랜드에/랜드로부터 기록/재생시에는 이 NOT 게이트를 무효로 하고, 그루브의 기록/재생시에는 이 NOT 게이트를 유효로 하면 된다. 변화비트위치에서는, 변화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어드레스값과 그 반전값과의 배타적 논리합이 출력되기 때문에, 변위비트위치에서의 2진 어드레스는 항상 1이 된다.
<G 트랙 어드레스와 L 트랙 어드레스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G 트랙 어드레스계(그루브의 동상워블)로부터 랜드 트랙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 포맷으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G 트랙 어드레스계와 L 트랙 어드레스계를 형성한 경우, L 트랙 어드레스계는, G 트랙 어드레스로부터 검출한 랜드 트랙 어드레스의 검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 트랙 어드레스와 L 트랙 어드레스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랜드 N의 트랙 어드레스는 상술한 처리에 의해 G 트랙 어드레스계만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검출한 어드레스와, L 트랙 어드레스계를 판독하여 얻어진 트랙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G 트랙 어드레스계에서 검출한 랜드 트랙 어드레스가 정확한 어드레스라고 검증할 수 있다.
도 16에는, G 트랙 어드레스계와 L 트랙 어드레스계가 형성된 경우의 광 디스크(10)의 어드레스 포맷이 나타나 있다. 어드레스 정보 항목 중의 영역 어드레스는 "세그먼트"(즉, 세그먼트 정보)로서 나타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랜드 N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때의 랜드 트랙 어드레스(즉, 도면에서 A부분)는, 그루브 N에 형성된 G 트랙 어드레스 및 그루브 N+1에 형성된 G 트랙 어드레스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 N+1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때의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도면에서 B부분)는, 랜드 N에 형성된 L 트랙 어드레스 및 랜드 N+1에 형성된 L 트랙 어드레스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또,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처 럼, 변화비트를 2진 어드레스의 0으로 하여 인접하는 그루브중 내경측의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킨다.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한 경우에는, 변화비트를 2진 어드레스의 1로 하여 인접하는 랜드중 외경측의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킨다. 즉, 그루브 N의 트랙 어드레스를 랜드 N-1과 랜드 N의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하는 경우, 외경측에 위치하는 랜드 N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킨다.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한 경우, L 트랙 어드레스계를 체크용 어드레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한 경우에도, G 트랙 어드레스계를 체크용 어드레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7에는, 랜드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때에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함과 아울러, 그루브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때에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하는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의 처리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우선, 워블신호의 차이신호 A-B에 따라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한다(S201). 변화비트위치는, 도4에 나타낸 변화비트 검출회로에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록/재생하는 트랙이 랜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기록/재생하는 트랙이 랜드인지 여부는, 시스템 제어기(32)가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기록/재생하는 트랙이 랜드인 경우에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의 변화비트가 0이 되도록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한다(S203). 이 때문에, 착안하고 있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인접하는 그루브중의 내경측의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하게 된다. S203에서 얻어진 2진 어드레스 대신에, 변화비트보다 하위의 비트가 모두 1인지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얻어진 2진 어드레스를 체크해도 된다. 그리고, L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S203에서 검출한 트랙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S204). S204에서 양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203에서 검출한 어드레스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간주하여 L 트랙 어드레스를 채용하여도 된다.
기록/재생하는 트랙이 그루브인 경우에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의 변화비트가 1이 되도록 그레이코드로부터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한다(S205). 이것에 의해, 착안하고 있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는, 인접하는 랜드중의 외경측의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하게 된다. S205에서 얻어진 2진 어드레스 대신에, 변화비트보다 하위의 비트가 모두 0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얻어진 2진 어드레스를 체크하여도 된다. 또, 그루브의 변화비트를 1이라고 하여 변화비트보다도 하위의 비트가 모두 0이 되는 것은 그레이코드의 성질 및 그레이코드 역변환기의 구성으로부터 분명하다.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에는,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일 경우의 그레이코드와 2진 어드레스와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도 18a, 도 18b에서,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100)를 2진 어드레스의 1로 대체하면, 변화비트보다 하위의 최하위비트 및 제1위비트는 모두 0이 된다. 2진 어드레스의 제1위비트의 값은 제2위비트와 그레이코드의 제1위비트의 배타적 논리합으로 연산되고, 최하위비트는 제1위비트와 그레이코드에서의 최하위비트의 배타적 논리합으로 연산되기 때문이다. 마 찬가지로, 도 19a, 도 19b에서,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를 2진 어드레스의 1로 대체하면, 그 변화비트보다 하위의 제3위비트∼최하위비트는 모두 0이 된다.
다시 도 17로 되돌아가서,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얻은 후, G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트랙 어드레스와 S205에서 얻어진 어드레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S206). 양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얻어진 어드레스는 바른 어드레스라고 하여 출력한다(S207).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할 때에, 변화비트를 2진값 0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그루브중 내경측의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킨다. 또한,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변화비트를 2진의 1로 대체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그루브중 외경측의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와 일치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할 때에, 변화비트를 2진의 1로 대체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랜드중의 외경측의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변화비트를 2진의 0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내경측의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할 때에, 인접하는 그루브의 워블이 역상이 되는 위치를 변화비트위치로 하고, 이 변화비트를 2진의 0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기록/재생하고자 하는 랜드트랙의 세그먼트보다도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에 있어서 랜드 트랙 어드레스가 이미 확정되어 있는 경우, 다음 세그먼트에서의 변화비트위치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예측된 위치의 2진 어드레스를 0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해당 세그먼트의 랜드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간적으로 앞선 세그먼트에 있어서 랜드 트랙 어드레스가 이미 확정되어 있는 경우, 다음 세그먼트에서의 워블신호의 변화비트는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에서의 변화비트위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비트위치에서 그레이코드를 자동적으로 2진 어드레스의 0으로 대체한다. 이 경우, 워블신호로부터 실제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할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실제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여,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로부터 예측된 변화비트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실제로 검출한 변화비트위치의 검증에 사용하여도 된다.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그루브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에서의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가 이미 확정되어 있는 경우, 다음 세그먼트에서의 변화비트위치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예측된 위치의 2진 어드레스를 1로 대체하는 것으로 해당 세그먼트의 그루브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도 20에는, 이 때의 처리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우선, 시간적으로 앞선 세그먼트에 있어서 트랙 어드레스가 이미 확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1). 상기 시간적으로 앞선 세그먼트에 있어서 트랙 어드레스가 이미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안하고 있는 다음 세그먼트의 트랙 어드레스도 논리적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다음 세그먼트의 트랙 어드레스에 있는 변화비트위치를 연산한다(S302). 한편, 시간적으로 앞선 세그먼트에 있어서 트랙 어드레스가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 은 경우에는, 차이신호 A-B를 사용하여 변화비트위치를 실제로 검출한다(S303). 이하는 도 17에서의 S202 이후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랜드의 경우에는, 변화비트가 0이 되도록 그레이코드를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하고, 그루브의 경우에는 변화비트가 1이 되도록 그레이코드를 2진 어드레스로 역변환한다(S304∼S309).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10)를 ZCAV로 회전구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광 디스크(10)를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있어서 선속도일정이 되도록 구동하여도 된다(ZCLV).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경우, 동상워블 및 역상워블로부터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그루브와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내경에서 외경을 향해 연속번호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 정보를 인접하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할 수도 있다. 즉, 광 디스크(10)에 G 트랙 어드레스계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루브에/로부터 기록/재생시에는 항상 동상워블이 되어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랜드에/로부터의 기록/재생시에는 직접, 해당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인접하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기록/재생해야 할 랜드가 랜드 N인 경우, 우선 그루브 N의 트랙 어드레스를 동상워블로부터 확정한다. 그루브 N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는 경우, 목적 랜드 N은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한 그루브의 외경측 인접랜드이므로, 가령 그 랜드의 워블이 역상워블이어도 해당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32)는, 특정 랜드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경우, 해당 랜드 에 인접하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우선 확정하고, 그 그루브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예측하면 된다.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한 경우, 그 그루브의 내경측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확정트랙보다 1만큼 작지만, 외경측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는 확정트랙과 동일하다. 인접 그루브의 확정 어드레스로부터 목적랜드의 어드레스를 예측한 후에, 실시예와 연관지어 설명한 방법으로 동상워블 및 역상워블로부터 실제로 목적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예측 트랙 어드레스와 추출 트랙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예측 트랙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검증하여도 되고, 이에 따라 어드레스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목적 랜드에 인접하는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가 아니라, 소정 트랙수만큼 목적 랜드로부터 이격된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하고, 확정한 그루브로부터 소정 트랙수만큼 점프함으로써 목적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하여도 된다. 소정 트랙수를 예를 들면 3으로 한 경우(해당 랜드에 인접하는 그루브를 트랙수 1로 할당하여), 목적 랜드보다도 트랙번호가 1만큼 작은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확정한다. 그 그루브 어드레스로부터 3트랙분량만큼 외경측으로 점프하면 그 랜드의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다. 내경측에서 외경측을 향하여 그루브 "n", 랜드 "n", 그루브 "n+1", 랜드 "n+1",...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목적 랜드가 랜드 n+1인 경우, 그루브 n으로부터 3트랙만큼 외경측으로 점프하면 랜드 n+1에 이르게 된다.
광 디스크(10)에 L 트랙 어드레스계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랜드에/로부터의 기록/재생시에는 항상 동상워블이 되어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루브에/로부터의 기록/재생시에는 직접, 해당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인접하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검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기록/재생해야 할 랜드가 그루브 N인 경우, 우선 랜드 N의 트랙 어드레스를 동상워블로부터 확정한다. 랜드 N의 트랙 어드레스가 확정된 경우, 목적 그루브 N이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한 랜드에 인접한 내경측 그루브이기 때문에, 가령 그 그루브의 워블이 역상워블이어도 해당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32)는, 특정 그루브에/로부터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경우, 해당 그루브에 인접하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우선 확정하고, 그 랜드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예측하면 된다.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한 경우, 그 랜드에 인접한 내경측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는 확정트랙과 동일하지만, 그 랜드에 인접한 외경측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는 확정트랙보다 1만큼 크다. 인접랜드의 확정 어드레스로부터 목적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예측한 후에,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동상워블 및 역상워블로부터 실제로 목적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예측 트랙 어드레스와 추출 트랙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예측 트랙 어드레스의 유효성을 검증하여도 된다. 목적 그루브에 인접하는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가 아니라, 소정 트랙수만큼 목적 그루브로부터 이격된 랜드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하고, 거기서부터 점프함으로써 해당 그루브의 트랙 어드레스를 확정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회로를 사용하여 워블신호로부터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는, 항상 대응하는 2진수에서의 자리수 올림 비트위치, 즉 0에서 1로 자리수올림하는 비트위치와 같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25에는, 2진 어드레스와 그 그레이코드와의 관계가 나타나 있다. 2진 어드레스 000000은 그레이코드 000000에 대응하고, 2진 어드레스 000001은 그레이코드 000001에 대응하며, 2진 어드레스 000010은 그레이코드 000011에 대응한다. 2진 어드레스 000000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 000001에는, 최하위비트(200)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한편,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 있어서도, 최하위비트(300)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된다. 변화비트위치는 최하위비트(300)이고, 2진 어드레스에서의 최하위비트(200)에 일치한다. 2진 어드레스 000001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000010에는, 최하위비트의 다음 비트(제1위비트)(202)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한편,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 있어서도, 제1위비트(302)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변화비트위치는 제1위비트이며, 2진 어드레스에서의 제1위비트(202)에 일치한다. 2진 어드레스 000010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 000011에는, 다시 최하위비트(204)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한편,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 있어서도, 최하위비트(304)에 있어서 1에서 0로 변화한다. 변화비트위치는 최하위비트이며, 2진 어드레스에서의 최하위비트(204)에 대응한다. 2진 어드레스 000011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 000100에는 제1위비트(206)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한편,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 있어서도 제1위비트(306)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2진 어드레스 000100부터 다음 2진 어드레스 000101에는, 다시 최하위비트(208)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하고,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에서도 같은 최하위비트(308)에 있어서 0에서 1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는, 대응하는 2진 어드레스에 있어서의 0에서 1로의 자리수올림 비트위치가 같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2진 어드레스의 자리수 올림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낸 것처럼, 제n번째의 랜드의 2진 어드레스가 확정된 경우,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를 연산에 의해 산출하고,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와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중 자리수올림 비트위치를 검출하면, 그 위치를 그대로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도 3a∼도 3c 및 도 4에 나타낸 방법 및 회로구성으로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고, 간단히 연산에 의해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랜드 트랙 및 그루브 트랙에,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G 트랙 어드레스계와 L 트랙 어드레스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랜드트랙에 있어서 L 트랙 어드레스계는 동상워블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그 2진 어드레스가 확정된다. 이 확정 어드레스로부터 연산에 의해 다음 2진 어드레스를 구해, 2개의 어드레스로부터 G 트랙 어드레스계의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를 연산에 의해 구하는 것이다.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는, 간단히 1을 가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와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에 있어서의 자리수 올림 위치는, 인버터와 AND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7에는, 2진 어드레스에서의 자리수 올림 비트위치의 검출회로가 나타나 있다. 이 회로는,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와,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를 입력한다. 2진 어드레스가 8비트인 경우, 이 논리회로가 각 비트위치에 대응하여 8개 병렬하여 설치된다.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로 디코드되어 확정된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는 인버터(150)에서 반전되어 AND 게이트(160)에 공급된다. 한편, 산술연산에 의해 얻어진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는 그대로 AND 게이트(160)에 공급된다. AND 게이트(160)에서는, 그 제k번째 비트를 논리곱하여 출력한다.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가 0이고,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가 1인 경우만, AND 게이트(160)로부터 "1"(혹은 하이)이 출력되는 것이기 때문에, 8개 병렬하여 설치된 논리회로의 8출력중 1이 된 출력위치가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로서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검출된 변화비트위치는, 도 12에 나타낸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에 검출신호로서 출력되고, 변화비트위치에 있어서 SW가 자동적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역상이 되는 랜드 트랙의 그레이코드가 확정되지 않아도, 랜드의 2진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다.
랜드 어드레스 추출 동작의 흐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1) L 트랙 어드레스계(랜드전용 어드레스계)로부터 랜드 어드레스 "n"을 확정(어드레스의 복조)하고,
(2) 어드레스 "n"로부터 다음 어드레스 n+1을 연산하고,
(3) 어드레스 "n"과 어드레스 n+1에서의 자리수 올림 위치를 검출하고,
(4) 상기 (3)에서의 자리수 올림 위치를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라고 간주하고,
(5) 상기 (4)에서 얻어진 변화비트위치에서의 2진 데이터를 0으로 하여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랜드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한편, 그루브의 어드레스를 얻는 경우, 제n번째의 그루브의 2진 어드레스가 G 트랙 어드레스계에 의해 확정(즉, 어드레스의 복조)한 경우, 그 제n번째 그루브에 선행하는 제(n-1)번째 그루브의 2진 어드레스를 산술연산에 의해 산출하여,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의 자리수 올림 비트위치를 검출한다. 그 위치를 대응하는 그레이코드의 변화비트위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를 연산하는 것은, 착안하는 그루브에 인접하는 연속트랙번호는 내경측에 그 그루브의 트랙번호보다 하나 작은 트랙번호이기 때문이다.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는, 간단히 1을 감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의 자리수 올림 위치는, 랜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버터와 AND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7에 있어서,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와,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를 입력으로 한다. 2진 어드레스가 8비트인 경우, 이 논리회로가 각 비트위치에 대응하여 8개 병렬하여 설치된다. 어드레스 디코드회로(28)에 의해 디코드되어 확정된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는 AND 게이트(160)에 공급된다. 한편, 산술연산에 의해 얻어 진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의 비트는 인버터(150)로 반전된 후에 AND 게이트(160)에 공급된다. AND 게이트(160)에서는, 제k번째 비트들을 논리곱하여 출력한다.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가 0이고,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제k번째 비트가 1인 경우만, AND 게이트(160)로부터 "1"(또는 하이)이 출력되기 때문에, 8개 병렬하여 설치된 논리회로의 8출력 중 1이라고 된 출력위치가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로서 검출된다.
그루브 어드레스 추출 동작의 흐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1) G 트랙 어드레스계(그루브전용 어드레스계)로부터 그루브 어드레스 "n"을 확정하고,
(2) 어드레스 "n"으로부터 선행하는 어드레스 n-1을 연산하고,
(3) 어드레스 n-1로부터 어드레스 n으로의 자리수 올림 위치를 검출하고,
(4) 상기 (3)에서의 자리수 올림 위치를 그레이코드에서의 변화비트위치라고 간주하고,
(5) 상기 (4)에서 얻어진 변화비트위치에 있어서 2진 데이터를 1로 하여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그루브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광 디스크(10)의 랜드트랙 및 그루브트랙의 각각 G 트랙 어드레스계와 L 트랙 어드레스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랜드트랙에 관해서는 L 트랙 어드레스계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연산에 의해 G 트랙 어드레스계의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그루브트랙에 관해서는 G 트랙 어드레스계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연산에 의해 L 트랙 어드레스계의 변화비트위치를 검 출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워블신호를 처리함에 의해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렇지만, 산술연산에 의해 변화비트위치를 산출하고, 도 3a∼도 3c에 나타낸 방법과 도 4에 도시된 회로구성에 의해 검출된 변화비트위치를 대조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또한, 도 3a∼도 3c 및 도 4의 구성에 의해 검출된 변화비트위치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랜드트랙에 있어서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검출한 어드레스와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산술연산에 의해 추출한 어드레스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그 추출된 G 트랙 어드레스계를 검증할 수 있다. 그루브 어드레스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또한, 그레이코드 역변환기(28e)의 구성에 관해서도, 도 12에 나타낸 구성외, 도 28에 나타낸 것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28에서는, 복수의 EX-OR 게이트의 후단에 스위치 SW가 설치된다. 또, 최상위비트에 관해서는, 상술한 것처럼, 그레이코드가 그대로 2진 어드레스로서 출력되기 때문에, EX-OR 게이트는 존재하지 않고, SW만이 존재하게 된다(그레이코드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게이트의 후단에 SW가 설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 각 스위치 SW의 접점 "u", "d"중, 접점 "u"측은 0 또는 1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내경측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접점 0으로 설정되고, 외경측의 트랙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접점 1로 설정된다. 일례로서, 어드레스가 외경측의 트랙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접점 "u"는 1로 설정된다. 내경측의 그루브 N에 인접하는 외경측 랜드 N의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경우, 접점 "u"측은 0으로 설정된다. 각 스위치 SW의 접점 "d"측은 EX-OR 게이트의 출력에 접속되고, 각 스위치 SW의 출력측은 2진 어드레스가 된다. 도 4 또는 도 27에 도시된 변화비트위치 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신호는 각 SW에 공급되고, 변화비트위치에 있어서 SW를 접점 "d"측에서 접점 "u"측으로 바꾼다. 변화비트위치 이외에서는 접점은 d측에 유지된다. 도 28은 제6위의 비트가 변화비트위치로서 검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6위의 비트에서는 SW6이 접점 "u"측으로 바뀌고, 2진 어드레스의 제6위 비트 출력은 항상 0이 된다. 한편, 다른 비트는, 통상의 역변환기의 원리에 따라서, 그 비트들보다 하나 위의 비트들과의 배타적 논리합이 연산되어 출력된다. 외경측의 랜드 N에 인접하는 내경측 그루브 N의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경우, 접점 "u"측은 1로 설정된다. 이때, SW6의 출력은 항상 1이 되어, 2진 어드레스의 대응비트는 항상 1이 된다. 이에 따라, 그레이코드가 미정의되어도 외경측의 어드레스에 일치한 어드레스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10)에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그루브 "n", 랜드 "n", 그루브 "n+1", 랜드 "n+1",…과 순차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광 디스크(10)에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랜드 "n", 그루브 "n", 랜드 "n+1", 그루브 "n+1",…와 순차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랜드트랙에 있어서는, L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2진 어드레스를 확정하고, 그 2진 어드레스에 선행하는 2진 어드레스를 연산한다. 산술연산에 의해 얻어진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와 상기 확정된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G 트랙 어드레스계에서의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한다. 즉,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 스의 각 비트를 인버터(150)에 공급하고, 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각 비트를 AND 게이트(160)에 그대로 공급하여 AND 게이트(160)의 출력이 1이 되는 비트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그루브트랙에 있어서는, G 트랙 어드레스계로부터 2진 어드레스를 확정하고, 그 2진 어드레스에 연속하는 2진 어드레스를 연산한다. 상기 확정된 n번째의 어드레스와 산술연산에 의해 얻어진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로부터 L 트랙 어드레스계에서의 변화비트위치를 검출한다. 제n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각 비트를 인버터(150)에 공급하고, 산술연산에 의해 얻어진 제(n+1)번째의 2진 어드레스의 각 비트를 AND 게이트(160)에 그대로 공급하여 AND 게이트(29b)의 출력이 1이 되는 비트위치를 검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불필요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제거하여 기록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용장계 어드레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어드레스 검출의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4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상기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비트와, 상기 하위 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된 신호를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상기 비트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되도록 바뀌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의 경우는 0이 입력되도록 바뀌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비트인 경우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상기 비트를 차단하여 상기 차단된 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되어 상기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끼리를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2진 데이터 중,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보다 하위의 비트가 모두 1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0.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으로 추출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되어 판독된 랜드전용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1. 삭제
  12.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그레이코드를 상기 2진 데이터로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비트와, 상기 하위비트보다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된 신호를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상기 비트가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되도록 바뀌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의 경우는 1이 입력되도록 바뀌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비트의 경우는 상기 그레이코드의 비트를 차단하여 상기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의 반전값이 상기 게이트회로에 입력되어 상기 하나 상위의 2진 데이터의 비트와 그 반전값을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2진 데이터 중,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보다 하위의 비트가 모두 0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6.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으로 추출한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되어 판독된 그루브전용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7.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8.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를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랜드에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의 확정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예측된 비트에 근거하여 상기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그루브에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의 확정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예측된 비트에 근거하여 상기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예측된 비트를 상기 검출된 비트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상기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에 인접 또는 소정 트랙수만큼 이격하는 그루브를 형성하는 동상워블로부터 예측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제2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예측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제2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으로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워블신호를 생성하는 워블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에서, 그루브의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에 인접 또는 소정 트랙수만큼 이격하는 랜드를 형성하는 동상워블로부터 예측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제2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예측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제2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0.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 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상기 랜드전용의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상기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다음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상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다음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확정된 2진 어드레스의 비트가 입력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반전출력 및 상기 연산된 다음 2진 어드레스의 상기 확정된 2진 어드레스의 상기 비트와 같은 위치의 비트가 입력되고, 상기 반전출력과 상기 비트를 논리곱하는 게이트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2.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그루브전용의 상기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상기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상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연산된 바로 앞의 2진 어드레스의 비트가 입력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반전출력 및 상기 확정한 2진 어드레스의 상기 바로 앞의 2진 어드레스의 상기 비트위치와 같은 위치비트가 입력되고, 상기 반전출력과 상기 비트를 논리곱하는 게이트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4.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상기 랜드 전용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상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바로 앞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1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랜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5. 그루브 및 랜드를 워블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정보가 매립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하는 2개의 어드레스값 사이의 부호간 거리가 1이 되는 그레이코드로 변환된 후 상기 워블에 매립된 광 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에/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동일한 동상워블, 및 내경측 워블과 외경측 워블의 위상이 반전한 역상워블로부터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상기 그루브 전용의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바로 다음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을 연산하여, 상기 확정한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과 상기 연산된 바로 다음의 2진 데이터의 어드레스값으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 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그대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그레이코드를 0으로 고정한 2진 데이터값으로 역변환함으로써 그루브의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역변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보다 하위의 비트와, 상기 하위의 비트보다 하나 상위인 2진 데이터의 비트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하여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로부터의 출력을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상기 출력을 0으로 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수단은,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를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그레이코드의 최상위비트 보다 하위의 비트와, 상기 그레이코드보다 하나 상위인 2진 데이터의 비트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하여 출력하는 게이트회로와,
    상기 게이트회로로부터의 출력을 바꾸는 스위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상기 동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에서는 상기 게이트회로의 출력을 1로 하도록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랜드에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의 확정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예측된 비트에 근거하여 상기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3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그루브에서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세그먼트의 확정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의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예측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역변환수단은, 예측된 비트에 근거하여 상기 그레이코드를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4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 추출수단은,
    상기 다음 세그먼트의 상기 워블신호로부터 상기 역상워블에 대응하는 비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예측된 비트를 상기 검출된 비트와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40048113A 2003-06-27 2004-06-25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47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5421 2003-06-27
JP2003185421 2003-06-27
JP2003336504A JP3781027B2 (ja) 2003-06-27 2003-09-26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3-00336504 2003-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453A KR20050001453A (ko) 2005-01-06
KR100647830B1 true KR100647830B1 (ko) 2006-11-23

Family

ID=3342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113A KR100647830B1 (ko) 2003-06-27 2004-06-25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45579B2 (ko)
EP (1) EP1492097A3 (ko)
JP (1) JP3781027B2 (ko)
KR (1) KR100647830B1 (ko)
CN (1) CN1305040C (ko)
TW (1) TWI297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3139B2 (ja) * 2003-06-27 2006-03-08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5346892A (ja) * 2004-06-07 2005-12-15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アドレス検出方法
CN106297834B (zh) 2013-05-31 2019-03-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盘介质、光盘装置和光盘再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438A (ja) * 1997-01-30 1998-08-11 Sharp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149644A (ja) * 1997-11-18 1999-06-02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118B1 (ko) * 1981-10-28 1987-06-08 로늘드 제이 클라아크 레코오드판의 선택된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
US4736352A (en) * 1983-11-25 1988-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therein
JPH0969230A (ja) * 1995-08-31 1997-03-11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5757567A (en) * 1996-02-08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o control with high efficiency gray code for servo track ID
WO1998013823A1 (fr) * 1996-09-26 1998-04-02 Sanyo Electric Co., Ltd. Support d'enregistrement et appareil de reproduction correspondant
US6069870A (en) * 1996-10-22 2000-05-30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ich indicat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obbling of a track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10312541A (ja) * 1997-05-09 1998-11-2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およびディスク媒体
JP3197564B2 (ja) * 1997-05-28 2001-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媒体およびそのための再生装置
WO1999017280A1 (en) * 1997-09-26 1999-04-08 Daewoo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track
US6473377B2 (en) * 1998-02-26 2002-10-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disc record carrier with wobbled grooves that permit recording on the grooves and land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a record carrier,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such a record carrier
EP1098301A2 (en) * 1999-11-03 2001-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ysical identification data addressing method using wobble signal, wobble address encoding circuit,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wobble address, and recording medium
JP2002008246A (ja) * 2000-06-20 2002-01-11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チルト検出方法
US20030117926A1 (en) * 2000-10-02 2003-06-26 Yoshihiro Hori Address decoder
TW583650B (en) * 2001-06-18 2004-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WO2003079335A1 (en) * 2002-03-15 2003-09-2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JP3753139B2 (ja) 2003-06-27 2006-03-08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438A (ja) * 1997-01-30 1998-08-11 Sharp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149644A (ja) * 1997-11-18 1999-06-02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14438
111496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45579B2 (en) 2007-07-17
CN1305040C (zh) 2007-03-14
KR20050001453A (ko) 2005-01-06
CN1577514A (zh) 2005-02-09
EP1492097A3 (en) 2007-10-31
JP2005038565A (ja) 2005-02-10
TW200501112A (en) 2005-01-01
US20040264326A1 (en) 2004-12-30
JP3781027B2 (ja) 2006-05-31
EP1492097A2 (en) 2004-12-29
TWI297489B (en) 200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4067A1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100647832B1 (ko) 광디스크 장치
KR100617521B1 (ko) 고밀도 광 디스크장치
KR100647830B1 (ko) 고해상도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47831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광 디스크
US7477585B2 (en) Error correction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US7411879B2 (en) Optical disk device
KR100647833B1 (ko) 광 디스크 장치
JP4281717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97772B1 (ko) 광디스크 장치
JP4148163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108349A (ja) 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259188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