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711B1 -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711B1
KR100646711B1 KR1020040039545A KR20040039545A KR100646711B1 KR 100646711 B1 KR100646711 B1 KR 100646711B1 KR 1020040039545 A KR1020040039545 A KR 1020040039545A KR 20040039545 A KR20040039545 A KR 20040039545A KR 100646711 B1 KR100646711 B1 KR 10064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predetermined
high pressure
ho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804A (ko
Inventor
엄원배
Original Assignee
엄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원배 filed Critical 엄원배
Priority to KR102004003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71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판의 소정위치에 소정높이로 돌설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단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중공부가 형성된 토출구가 끼워지게하며, 토출구의 소정위치는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부 저면에 삽입되는 패킹에 토출구의 중공부로 관통되는 통공을 개폐하고, 결합부의 저부에서 패킹 하단까지 삽입되며, 내경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탄성부재가 내설되어 토출구 하단을 상향탄지하고 상, 하단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밀폐된 수용본체에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으로 압축된 소정의 기체를 충진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의 기체가 토출구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용본체에 소정의 물질을 고압으로 압축수용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구 하단에서 소정길이로 하향형성되며, 하부 외경면에 걸림턱이 돌설된 걸림부와; 상기 토출구가 소정거리 이상 하강되면 걸림턱이 걸려지게 되어 토출구의 승강이 멈춤유지되도록 연결부재의 내경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압용기를 사용한 후 수용물을 완전히 방출하여 폐기처분하고자 할 경우에는 토출구를 소정거리 이상 하강시키면 걸림부의 걸림턱이 후크에 걸려 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용된 수용물 및 압축된 기체가 연결부재의 연통 공과 통공 및 토출구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완전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를 제공한다.
고압, 충진, 용기

Description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remaining substance removal apparatus of can for high pressure}
도 1a, 도 1b는 종래 고압용기의 구조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도 2b, 도 2c는 본 발명 고압용기의 구조 및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압용기 2 : 수용본체
3 : 상부판 4 : 토출구
5 : 패킹 6 : 연결부재
7 : 탄성부재 8 : 결합부
9 : 가이드공 10 : 리브
11 : 배출유로 20 : 걸림턱
21 : 걸림부 22 : 후크
23 : 연결리브 24 : 안내유로
본 발명은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판의 소정위치에 소정높이로 돌설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단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중공부가 형성된 토출구가 끼워지게하며, 토출구의 소정위치는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부 저면에 삽입되는 패킹에 토출구의 중공부로 관통되는 통공을 개폐하고, 결합부의 저부에서 패킹 하단까지 삽입되며, 내경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탄성부재가 내설되어 토출구 하단을 상향탄지하고 상, 하단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밀폐된 수용본체에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으로 압축된 소정의 기체를 충진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의 기체가 토출구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용본체에 소정의 물질을 고압으로 압축수용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용기를 사용한 후 수용물을 완전히 방출하여 폐기처분하고자 할 경우에는 토출구를 소정거리 이상 하강시키면 걸림부의 걸림턱이 후크에 걸려 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용된 수용물 및 압축된 기체가 연결부재의 연통공과 통공 및 토출구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완전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용기는 가연성 가스(예를 들면, 부탄가스)나 헤어 스프레이, 살충제 및 분사용 기체 등을 압축충진하여 수용하도록 된 것으로 생활용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한 고압용기에 충진된 내용물 및 소정의 물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분사되게끔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이하에서는 도 1a 와 도 1b를 참조 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스프레이 용액 및 분사용 가스 등을 충진하도록 된 소정크기의 수용본체(2)와, 이 수용본체(2)의 수용되는 소정의 물질을 밀폐보관토록 수용본체(2)의 상부에는 상부판(3)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3)에는 후술하는 토출구(4), 패킹(5), 연결부재(6) 및 탄성부재(7)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높이로 결합부(8)가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8)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공(9)에는 단턱(4c)에 패킹(5)이 끼워진 토출구(4)가 저부로부터 삽입되어 상부판(3) 외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4)는 상단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중공부(4a)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단까지 연결되지는 않으며, 단턱(4c)이 형성된 외경면 소정위치에 중공부(4a)와 연통되는 통공(4b)을 형성하여 이 통공(4b)을 통한 수용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9) 및 결합부(8)의 결합홈(8a)에 토출구(4) 및 패킹(5)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패킹(5)의 저부를 향하여 연결부재(6)가 삽입되는 바, 상기 연결부재(6)는 수용본체(2)의 수용 물질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 하단으로 관통되는 연통공(6a)을 가지며, 상단은 결합홈(8a)에 끼워짐과 동시에 결합부(8) 하단이 내측을 향하여 소정깊이로 프레싱되면 결합부(8)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상단 외경에 소정높이로 돌설된 돌출부(6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8)의 상단 내경에는 탄성부재(7)가 삽입되어 결합홈(8a)으로 연결부재(6)가 끼워짐과 동시에 탄성부재(7)가 토출구(4)의 하단에 탄지되도록 하며, 이 탄성부재(7)를 탄지할 수 있도록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의 내경 상부 소정위치에는 받침턱(6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의 상부 내경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설된 다수개의 리브(10)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바, 이 리브(10)는 리브(10)와 리브(10)사이에 배출유로(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구(4)의 승하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배출유로(11)를 따라 수용물질이 토출구(4)의 통공(4b)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토출구(4)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로 하강하게 되면 패킹(5)의 외측면은 연결부재(6)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나 단턱(4c)과 접촉된 내측면은 하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통공(4b)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4)의 하단은 탄성부재(7)를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연결부재(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b)가 결합부(8) 하단이 내측으로 프레싱된 상태로 끼어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결합부(8)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본체(2)에 수용된 수용물질 및 압축된 기체는 연결부재(6)의 연통공(6a), 연결부 상단 내부의 배출유로(11), 토출구(4)의 통공(4b) 및 중공부(4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4)를 하향으로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7)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토출구(4)는 승강하고, 이때, 패킹(5)은 패킹(5)자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됨과 동시에 단턱(4c)에 밀착되어 통공(4b)을 폐쇄함으로써 충진 된 물질 및 기체를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고압용기(1)의 배출 및 분사구조는 수용되는 물질의 양이 어느 정도 소모되면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폐기하여야 하는데, 이 고압용기(1)에 수용된 물질 및 고압기체는 열에 약하여 쓰레기를 소각할때 자칫 고압용기(1)가 포함되면 수용본체(2)에 잔류되었던 고압기체가 가열되어 수용본체(2)가 폭발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압용기(1)를 폐기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매번 못이나 송곳 등으로 수용본체(2)를 뚫어서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질 및 압축된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어 폭발을 예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 고압용기(1)를 폐기할 때 매번 못이나 송곳으로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일부 사용자들은 고압용기(1)에 수용된 물질 및 압축된 기체를 방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폐기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압용기에 수용된 물질 및 기체를 완전 방출하고자 할 경우에 못이나 송곳 등을 이용하지 않고, 토출구를 소정 깊이로 하강시키면 이 토출구가 멈춤유지된 상태에서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질 및 기체가 토출구의 중공부를 통하여 완전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2)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판(3)의 소정위치에 소정높이로 돌설된 결합부(8)가 형성되고, 결합부(8)의 상단에는 가이드공(9)이 형성되어 중공부(4a)가 형성된 토출구(4)가 끼워지게하며, 토출구(4)의 소정위치는 단턱(4c)이 형성되어 결합부(8) 저면에 삽입되는 패킹(5)에 토출구(4)의 중공부(4a)로 관통되는 통공(4b)을 개폐하고, 결합부(8)의 저부에서 패킹(5) 하단까지 삽입되며, 내경면에 다수개의 리브(10)가 형성되어 배출유로(11)를 형성하고, 탄성부재(7)가 내설되어 토출구(4) 하단을 상향탄지하고 상, 하단으로 연통공(6a)이 형성된 연결부재(6)를 포함하여 밀폐된 수용본체(2)에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으로 압축된 소정의 기체를 충진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의 기체가 토출구(4)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용본체(2)에 소정의 물질을 고압으로 압축수용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4) 하단에서 소정길이로 하향형성되며, 하부 외경면에 걸림턱(20)이 돌설된 걸림부(21)와; 상기 토출구(4)가 소정거리 이상 하강되면 걸림턱(20)이 걸려지게 되어 토출구(4)의 승강이 멈춤유지되도록 연결부재(6)의 내경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22)는 연결부재(6)의 내경면에 형성된 연결리브(23)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되, 도 2는 수용본체(2), 상부판(3)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부호를 종래의 도면에서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스프레이 용액 및 분사용 가스 등을 충진하도록 된 소정크기의 수용본체(2)와, 이 수용본체(2)의 수용되는 소정의 물질을 밀폐보관토록 수용본체(2)의 상부에는 상부판(3)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3)에는 후술하는 토출구(4), 패킹(5), 연결부재(6) 및 탄성부재(7)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높이로 결합부(8)가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8)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공(9)에는 단턱(4c)에 패킹(5)이 끼워진 토출구(4)가 저부로부터 삽입되어 상부판(3) 외부를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4)는 상단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중공부(4a)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단까지 연결되지는 않으며, 단턱(4c)이 형성된 외경면 소정위치에 중공부(4a)와 연통되는 통공(4b)이 형성함으로써 이 통공(4b)을 통하여 수용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종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토출구(4)의 하단은 후술하는 탄성부재(7)와 간섭이 방지되며 하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연장되는 걸림부(21)를 가지며, 이 걸림부(21)의 하단에는 걸림턱(20)이 외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9) 및 결합부(8)의 결합홈(8a)에 토출구(4) 및 패킹(5)이 고정될 수 있도록 패킹(5)의 저부를 향하여 연결부재(6)가 삽입되는 바, 상기 연결부재(6)는 수용본체(2)의 수용 물질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 하단으로 관통되는 연통공(6a)을 가진다.
따라서, 상단 외경에는 돌출부(6b)가 형성되어 결합홈(8a)에 끼워짐과 동시에 결합부(8) 하단이 내측을 향하여 소정깊이로 프레싱되면 결합부(8)로부터 탈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8)의 상단 내경에는 탄성부재(7)가 삽입되어 결합홈(8a)으로 연결부재(6)가 끼워짐과 동시에 탄성부재(7)가 토출구(4)의 하단에 탄지되도록 하며, 이 탄성부재(7)를 탄지할 수 있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의 내경 상부 소정위치에는 받침턱(6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의 상부 내경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설된 다수개의 리브(10)가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바, 이 리브(10)는 리브(10)와 리브(10)사이에 배출유로(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구(4)의 승하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배출유로(11)를 따라 수용물질이 토출구(4)의 통공(4b)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토출구(4)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로 하강하게 되면 패킹(5)의 외측면은 연결부재(6)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나 단턱(4c)과 접촉된 내측면은 하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통공(4b)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4)의 하단은 탄성부재(7)를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연결부재(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b)가 결합부(8) 하단이 내측으로 프레싱된 상태로 끼어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결합부(8)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본체(2)에 수용된 수용물질 및 압축된 기체는 연결부재(6) 의 연통공(6a), 연결부 상단 내부의 배출유로(11), 토출구(4)의 통공(4b) 및 중공부(4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토출구(4)를 하향으로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7)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토출구(4)는 승강하고, 이때, 패킹(5)은 패킹(5)자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됨과 동시에 단턱(4c)에 밀착되어 통공(4b)을 폐쇄함으로써 충진된 물질 및 기체를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6)에 형성된 받침턱(6c)의 하부 연통공(6a)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리브(23)가 형성되고, 이들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리브(23)들 사이사이에는 안내유로(24)가 형성되며, 이들 연결리브(23)의 내경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22)가 형성되고, 토출구(4) 하단에 연장형성된 걸림부(21)의 걸림턱(20)은 연결리브(23)의 내경면에 근접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된 물질 및 기체를 방출 또는 분사하기 위하여 토출구(4)가 정상적인 작동에 의하여 도 2b와 같이 소정거리 만큼 하강하게 되더라도 걸림부(21)의 걸림턱(20)은 후크(22)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용본체(2)에 수용된 물질 및 기체를 완전방출하고자 의도하는 경우, 토출구(4)를 더욱 깊이 하강시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4)가 하강함과 동시에 걸림부(21)의 걸림턱(20)이 후크(22)와 간섭되면서 하강하게 되며, 결국, 걸림턱(20)은 후크(2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도 토출구(4)는 승강하지 못하고 멈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용본체(2)에 수용된 물질 및 기체는 연통공(6a), 안내유로(24), 배출유로(11), 통공(4b) 및 중공부(4a)를 따라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용기를 내부에 수용된 물질 및 기체를 완전방출시키기 위해서 수용본체를 뚫어야 할 때, 별도의 못이나 송곳을 구비하지 않고도 내용물의 방출을 의도하면 간단히 토출구를 가압하여 토출구 하단의 걸림턱이 후크에 걸려 멈춤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본체에 수용된 물질 및 기체가 정상적인 이동경로를 따라 간단하게 완전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용기가 부주의하게 소각되거나 가열되더라도 폭발이 발생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인명의 손상을 예방하고 화재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본체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판의 소정위치에 소정높이로 돌설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의 상단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중공부가 형성된 토출구가 끼워지게하며, 토출구의 소정위치는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부 저면에 삽입되는 패킹에 토출구의 중공부로 관통되는 통공을 개폐하고, 결합부의 저부에서 패킹 하단까지 삽입되며, 내경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탄성부재가 내설되어 토출구 하단을 상향탄지하고 상, 하단으로 연통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밀폐된 수용본체에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으로 압축된 소정의 기체를 충진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소정의 물질과 고압의 기체가 토출구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용본체에 소정의 물질을 고압으로 압축수용한 후 필요에 따라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하단에서 소정길이로 하향형성되며, 하부 외경면에 걸림턱이 돌설된 걸림부와;
    상기 토출구가 소정거리 이상 하강되면 걸림턱이 걸려지게 되어 토출구의 승강이 멈춤유지되도록 연결부재의 내경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연결부재의 내경면에 형성된 연결리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
KR1020040039545A 2004-06-01 2004-06-01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KR10064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545A KR100646711B1 (ko) 2004-06-01 2004-06-01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545A KR100646711B1 (ko) 2004-06-01 2004-06-01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230U Division KR200360955Y1 (ko) 2004-06-01 2004-06-01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04A KR20050114804A (ko) 2005-12-07
KR100646711B1 true KR100646711B1 (ko) 2006-11-23

Family

ID=3728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545A KR100646711B1 (ko) 2004-06-01 2004-06-01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0684A1 (ko) * 2009-10-01 2011-04-07 주식회사 승일 가스캔의 안전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0684A1 (ko) * 2009-10-01 2011-04-07 주식회사 승일 가스캔의 안전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04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904A (en) Mixing capsule for dental compositions
KR1023081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39761Y1 (ko) 록킹수단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어셈블리
JP5450379B2 (ja) 安全蓋
KR100646711B1 (ko)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장치
KR200360955Y1 (ko) 고압용기의 잔류가스 완전제거구조
KR101081470B1 (ko)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20150037802A (ko) 병뚜껑
JP2003292072A (ja) 複数液混合用エアゾ−ル装置
KR200496598Y1 (ko)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디스펜스 커넥터
KR101569493B1 (ko) 병뚜껑
JP2001019067A (ja) 蓋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
KR100642717B1 (ko) 잔류가스제거장치가 구비된 부탄가스용기
KR200356857Y1 (ko)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200369051Y1 (ko) 이동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101395610B1 (ko) 용기마개
KR19990035562U (ko) 스프레이
KR200173370Y1 (ko) 재충전 및 열원에 의한 폭발 방지 안전 장치를 부설한휴대용 고압 가스 용기.
KR100992237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0468895B1 (ko) 가스 용기의 펀칭 겸용 보호캡
JP2006151426A (ja) エアゾール装置
KR101545114B1 (ko) 가스용기의 잔류가스배출장치
KR20100111598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0365825B1 (ko) 프린터 카트리지용 잉크 주입장치
KR200432049Y1 (ko) 에어로졸 캔의 잔류가스 안전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