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705B1 - 묘소용 석물 대용물 - Google Patents

묘소용 석물 대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705B1
KR100646705B1 KR1020040031121A KR20040031121A KR100646705B1 KR 100646705 B1 KR100646705 B1 KR 100646705B1 KR 1020040031121 A KR1020040031121 A KR 1020040031121A KR 20040031121 A KR20040031121 A KR 20040031121A KR 100646705 B1 KR100646705 B1 KR 10064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letter
substitute
hollow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847A (ko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가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가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가스텍
Priority to KR102004003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7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판을 절곡가공 및 용접가공함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중공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돌 문양 피복층이 형성되고, 상기 돌 문양 피복층 상에는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고, 소성가공을 통해 상기 돌 문양 피복층 및 투명 보호층이 경화되어 이루어져 있다.
중공체, 돌 문양 피복층, 투명 보호층, 소성가공

Description

묘소용 석물 대용물{substitute for a graveyard st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C-C)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한 결합 정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D-D)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한 결합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한 결합 배면도,
도 9는 도 8의 선(E-E)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에서 지붕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1에서 사진판의 사용 상태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선(F-F)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한 사시도, 및
도 14는 도 13의 선(G-G)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소용 석물은 묘소에 사용되는 것으로, 비석(碑石), 상석(床石) 등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비석(碑石)은 돌을 재질로 하여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다음어져 형성된 기대(基臺) 상에, 돌을 재질로 하여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다듬어져 형성된 기둥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기대의 상면 중앙에는 기둥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비석을 설치함에 있어, 기대를 땅속에 미리 묻은 다음 기대의 홈에 기둥의 하단을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석(床石)은 직사각형의 돌을 제상 크기로 다듬고 원형의 받침돌 4개를 붙여 만들어서 무덤 앞에 놓은 것을 말한 것으로서, 묘제(墓祭) 때 그 위에 제물을 진설하고 제사를 지내며, 성묘할 때에도 주과(酒果)를 위에 벌여놓고 배례한다.
이러한 묘소용 석물에 사용되는 돌은 통상 화강암 또는 대리석인데, 부피가 큰 화강암과 대리석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돌을 쪼아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묘소용 석물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다듬어진 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 운반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소정의 형상으로 다듬어진 돌이 손상되지 않게 하게 하기 위해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판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묘소용 석물의 대용물이 개발되었으나,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단지 금속판을 단순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표면이 금속성이므로 돌(화강암, 대리석)의 품위가 전혀 없다는 단점이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표면에 인조대리석무늬를 갖는 일반적인 코팅층이 형성되지만, 본 제품이 묘소용이므로 사용자가 낫 등의 제초용 도구를 사용하여 제초작업을 할 때 낫이 닿게 되면 일반적인 코팅층이 벗겨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금속판을 절곡가공 및 용접가공함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중공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는 돌 문양 피복층 및 투명 보호층이 법랑코팅에 의해 피복처리되어 구성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판을 절곡가공 및 용접가공함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중공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돌 문양 피복층이 형성되고, 상기 돌 문양 피복층 상에는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고, 소성가공을 통해 상기 돌 문양 피복층 및 투명 보호층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 글자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글자가 미리 형성된 전사지가 상기 돌 문양 피복층 상에 전사되어 글자층이 형성된 다음,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비석 대용물이며, 도면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이 비석 대용물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화 충전재가 채워지는 금속판 재질의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기대(110)와, 이 중공 기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 재질의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 가장자리 전체에 덮개부가 형성된 중공 기둥(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금속판은 스테인레스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의 기대(110)는 소정 크기의 스테인레스강판이 현도되어 상면(111), 앞면(112), 뒷면(113) 및 밑면(114)으로 될 띠 형상의 강판부분과, 양 측면(115, 116)으로 될 직사각형 형상의 강판부분으로 절단된 다음, 상기 띠 형상의 강판부분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4번 절곡되어 양측부가 개방된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나서, 띠 형상의 강판부분의 양단부가 용접가공에 의해 서로 이음되고 그 이음된 띠 형상의 강판부분의 개방된 양측부가 폐쇄되도록 직사각 형 형상의 강판부분과 띠 형상의 강판부분의 양측부가 각각 용접가공에 의해 서로 이음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다음, 기대(110)의 상면(111)에는 양측에 2개씩 모두 4개의 삽입공(111a)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11a)을 통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의 고화 충전재(117)가 투입되는데, 중공 기대(110) 내에 고화 충전재(117)가 가득차게 투입된 다음 고화되기 전에 삽입공(111a)의 바로 아래의 고화 충전재(117)에 볼트 고정용 구멍(117a)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봉을 끼워 넣는다.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가 개방된 기둥(120)은 소정 크기의 스테인레스강판이 현도되어 상면(121) 및 양측면(122, 123)으로 될 띠 형상의 강판부분과, 앞면(124) 및 뒷면(125)으로 될 상면이 곡선인 직사각형 형상의 강판부분으로 절단된 다음, 상기 띠 형상의 강판부분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2번 절곡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나서, 띠 형상의 강판부분의 개방된 전후방부가 폐쇄되도록 상면이 곡선인 직사각형 형상의 강판부분과 띠 형상의 강판부분의 전후방부가 각각 용접가공에 의해 서로 이음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기둥(120)의 하부 가장자리의 전체에는 기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 상단 가장자리를 덮어싸도록 단차가 진 덮개부(126)가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26)의 상면 양측에는 기대(110)의 삽입공(111a)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126a)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120)의 각 이음부 뿐만 아니라 전면에는 표면연마 처리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되는 것은 돌(예를 들면, 화강암, 대리석) 색깔의 유리질 유약을 기둥(120)의 외면에 피복시키는 다음 공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120)의 상면(121), 양측면(122, 123), 앞면(124) 및 뒷면(125)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돌 문양 피복층(132)이 형성되고, 돌 문양 피복층(132) 상에는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133)이 형성되는데, 앞면(124) 및 뒷면(125)의 돌 문양 피복층(132)에는 글자가 미리 형성된 전사지가 전사되어 글자층(131)이 형성된 다음, 투명 보호층(133)이 형성되고, 소성가공을 통해 피복층 및 보호층이 경화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법랑코팅은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키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비석 대용물(100)에 대한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석 대용물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A-A)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B-B)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C-C)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석 대용물에 대한 결합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D-D)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석 대용물에 대한 결합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석 대용물에 대한 결합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E-E)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비석 대용물(1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화 충전재가 채워진 금속 재질의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기대(110)와, 이 중공 기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의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 상의 중공 기둥(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 기대(110)는 상면(111), 앞면(112), 뒷면(113), 밑면(114), 좌측면(115) 및 우측면(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 기대(110)의 상면(111)에는 양측에 2개씩 모두 4개의 삽입공(111a)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 기대(11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의 고화 충전재(117)가 채워져 있다. 삽입공(111a)의 바로 아래의 고화 충전재(117)에는 볼트 고정용 구멍(11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 기둥(120)은 상면(121), 좌측면(122), 우측면(123), 앞면(124) 및 뒷면(1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공 기둥(12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의 전체에는 기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 상단 가장자리를 덮어싸도록 단차가 진 덮개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26)의 상면 양측에는 기대(110)의 삽입공(111a)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1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120)의 상면(121), 양측면(122, 123), 앞면(124) 및 뒷면(125)에는 돌 색깔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돌 문양 피복층(132)과 투명한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투명 보호층(133)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앞면(124) 및 뒷면(125)의 돌 문양 피복층(132)과 투명 보호층(133) 사이에는 글자가 미리 형성된 전사지의 전사에 의한 글자층(131)이 형성되어 있다.
비석이 무덤에 설치될 때, 기대(110)가 먼저 땅속에 묻혀진 다음, 기둥(120)이 기대(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기둥(120)의 덮개부(126)가 기대(110)의 고화 충전재(117)의 볼트 고정용 구멍(117a)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기둥(120)의 상면(121)과 양측면(122, 123)에는 빗물이 잘 흐르게 하기 위한 홈(127)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둥(120)의 뒷면(125)에는 상단 부근에 편지 투입구(140)가 형성되며 하단 부근에 편지 배출구(150)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편지 투입구(140)에는 그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141)에 의해 마개판(142)이 편지 투입구(140)를 막을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편지 배출구(150)에는 그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힌지(151)에 의해 마개판(152)이 편지 배출구(150)를 막을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지 투입구(140)와 편지 배출구(150)의 위쪽에는 편지 투입구(140) 및 편지 배출구(150) 내로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143, 1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편지 투입구(140) 및 편지 배출구(150)를 통해 고인을 추모하는 편지를 써서 중공 기둥(120) 내에 보관할 수도 있고 필요시 꺼내 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글자가 미리 전사된 전사지를 돌 문양 피복층 상에 전사하여 글자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기둥의 앞면 및 뒷면에 글자가 나타나도록 하였으나, 기둥의 앞면 및 뒷면으로 될 상면이 곡선인 직사각형 형상의 강판부분에 글자를 음각으로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중공 기둥(120)의 상부에는 지붕(160)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60)은 금속판을 프레스로 판금성형하여 기와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중공 기둥(120)의 상단의 원호형 홈(1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대(161)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161)는 직선의 연결부(161a)의 말단에 원호형의 고정대(161b)가 형성된 것으로서, 연결부(161a)의 상단부가 지붕(160)의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원호형의 고정대(161b)가 중공 기둥(120)의 홈(127)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대(161b)가 나사(B)로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중공 기둥(120)의 앞면(124)에는 사진판(17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기둥(120)의 앞면(124)의 상부 부분에 프레스에 의해 오목부(124)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124)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오목부(124) 내에 사진판(170)이 설치되는데, 사진판(170)은 그 중간에 사진 삽입홈(171)이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투명체로서 그 상하단부가 오목부(124)의 상하 내측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되 어느 일측면 단부가 오목부(124)의 좌우 내측면에 대하여 사진 삽입홈(171)에 사진(173)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격되어 있다.
다음,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상석 대용물이며, 도면부호 2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이 상석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 재질의 중공의 직육면체부(210)와 이 직육면체(210)를 지지하는 것으로 금속판 재질의 4개의 다리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금속판은 스테인레스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직육면체부(210)는 소정 크기의 스테인레스강판이 현도되어 상면, 앞면, 뒷면 및 밑면으로 될 제 1강판부분, 양 측면으로 될 제 2 및 제 3강판부분으로 절 단된 다음, 상기 제 1강판부분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4번절곡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 지고 나서, 상면으로 될 제 1강판부분의 일부가 프레스 가공되어 소정된 크기를 갖고서 그리고 소정된 간격을 두고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가 상면으로 될 상기 제 1강판부분의 일부에 형성된 다음, 제 1강판부분의 양단가 용접가공에 의해 서로 이음되고 그 이음된 제 1강판부분의 개방된 양측부가 폐쇄되도록 제 2 및 제 3강판부분과 제 1강판부분의 양측부가 각각 용접가공에 의해 서로 이음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각 이음부 뿐만아나라 직육면체부(210)의 전면에 걸쳐서 표면연마처리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되는 것은 돌(예를 들면, 화강암, 대리석) 색깔의 유리질 유약을 직육면체부(210)의 외면에 피복시키고 그리고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상면의 오목부들에 제물 또는 주과의 이름을 새기는 다음 공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외면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돌 문양 피복층이 형성되고, 돌 문양 피복층 상에는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는데, 오목부들의 돌 문양 피복층에는 제물 또는 주과의 이름이 미리 형성된 전사지가 전사되어 글자층이 형성된 다음,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고, 소성가공을 통해 피복층 및 보호층이 경화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법랑코팅은 금속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키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상석 대용물이 4개의 다리부가 직육면체부(210)의 밑면에 용접가공에 의해 부착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리부가 배제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다리부(220)가 배제된 경우에는 직육면체의 밑면이 지면과 접하게 되므로 이 밑면에는 상기 피복처리공정이 배제될 수 있고, 그리고 다리부(220)가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밑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밑면에 상기 다리부(220)가 용접가공에 의해 부착고정된 다음에 상기 피복처리공정이 상기 밑면에 대하여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상석 대용물에 있어서 다리부를 구비한 상석 대용물(200)에 대한 구조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석 대용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선(G-G)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상석 대용물(2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강판의 중공의 직육면체부(10)와 이 직육면체(210)를 지지하고 있는 스테인레스강판의 4개의 다리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육면체부(10)는 상면(211), 앞면(212), 뒷면(213), 밑면(214),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면들중 상면(211)은 진설될 제물 또는 주과를 담고 있는 제기의 바닥부를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 제기를 유지할 정도의 형상과 크기로된 복수의 오목부(211a)와 그리고 위패(位牌)의 바닥부를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 위패를 유지할 정도의 형상과 크기로 된 하나의 오목부(211b)가 소정된 배열을 가지고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육면체(210)의 상면(211), 앞면(212), 뒷면(213),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 상에는 돌 색깔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돌 문양 피복층(232)과 투명한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투명 보호층(233)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211)의 오목부(211a, 211b) 상의 돌 문양 피복층(232)과 투명 보호층(233) 사이에는 제물 또는 주과의 이름이 미리 세팅되어 형성된 전사지의 전사에 의한 글자층(231)이 피복처리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석이 다리부(220)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다리부(220)와 접하고 있는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밑면의 부분만을 제외한 밑면의 전체의 면과 다리부의 측부 전체의 면은 돌 문양 피복층(232) 및 투명 보호층(233)으로 피복처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석 대용물에 의하면, 금속판을 절곡가공 및 용접가공함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중공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는 돌 문양 피복층 및 투명 보호층이 피복처리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화강암, 대리석)의 품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재료비가 저가일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감소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7)

  1. 금속판을 절곡가공 및 용접가공함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중공체로 만들어지고,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돌 문양 피복층이 형성되고,
    상기 돌 문양 피복층 상에는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고,
    소성가공을 통해 상기 돌 문양 피복층 및 투명 보호층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묘소용 석물 대용물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의 외면에 글자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글자가 미리 형성된 전사지가 상기 돌 문양 피복층 상에 전사되어 글자층이 형성된 다음, 투명한 유리질 유약이 법랑코팅되어 투명 보호층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비석 대용물이며,
    상기 비석 대용물은 금속판 재질의 넓적한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기대(110)와, 상기 중공 기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판 재질의 상면이 곡선인 길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기둥(120)으로 구성된 비석 대용물로서,
    상기 중공 기대(110)는 상면(111), 앞면(112), 뒷면(113), 밑면(114), 좌측면(115) 및 우측면(116)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공 기대(110)의 상면(111)에는 양측에 2개씩 모두 4개의 삽입공(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기대(110)의 내부에는 고화 충전재(117)가 채워지고,
    상기 삽입공(111a)의 바로 아래의 상기 고화 충전재(117)에는 볼트 고정용 구멍(11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기둥(120)은 상면(121), 좌측면(122), 우측면(123), 앞면(124) 및 뒷면(125)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공 기둥(12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의 전체에는 상기 기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 상단 가장자리를 덮어싸도록 단차가 진 덮개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126)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기대(110)의 삽입공(111a)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12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둥(120)의 상면(121), 양측면(122, 123), 앞면(124) 및 뒷면(125)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돌 문양 피복층(132)과 투명한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투명 보호층(133)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둥(120)의 앞면(124) 및 뒷면(125)의 돌 문양 피복층(132)과 투명 보호층(133) 사이에는 글자가 미리 형성된 전사지의 전사에 의한 글자층(131)이 형성 되어 있고,
    상기 기둥(120)은 기대(110)의 상면에 얹혀져 상기 기둥(120)의 덮개부(126)가 상기 기대(110)의 고화 충전재(117)의 볼트 고정용 구멍(117a)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20)의 상면(121)과 양측면(122, 123)에는 빗물이 잘 흐르게 하기 위한 홈(1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20)의 뒷면(125)에는 상단 부근에 편지 투입구(140)가 형성되며 하단 부근에 편지 배출구(150)가 형성되고,
    상기 편지 투입구(140) 및 편지 배출구(150)에는 그 상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힌지(141, 151)에 의해 마개판(142, 152)이 상기 편지 투입구(140) 및 편지 배출구(150)를 막을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140)와 편지 배출구(150)의 위쪽에는 빗물이 편지 투입구(140) 및 편지 배출구(15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143, 1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묘소용 석물 대용물은 상석 대용물이며,
    상기 상석 대용물은 금속판 재질의 중공의 직육면체부(210)로서,
    상기 직육면체부(210)는 상면(211), 앞면(212), 뒷면(213), 밑면(214),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직육면체부(210)의 면들중 상면(211)은 진설될 제물 또는 주과를 담고 있는 제기의 바닥부를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 제기를 유지할 정도의 형상과 크기로된 복수의 오목부(211a)와 그리고 위패(位牌)의 바닥부를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 위패를 유지할 정도의 형상과 크기로 된 하나의 오목부(211b)가 소정된 배열을 가지고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면(211), 앞면(212), 뒷면(213),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 상에는 돌 색깔의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돌 문양 피복층(232)과 투명한 유리질 유약의 법랑코팅에 의한 투명 보호층(233)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211)의 오목부(211a, 211b) 상의 돌 문양 피복층(232)과 투명 보호층(233) 사이에는 제물 또는 주과의 이름이 미리 세팅되어 형성된 전사지의 전사에 의한 글자층(231)이 피복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210)를 지지하고 있는 금속판 재질의 4개의 다리부(22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리부(220)와 접하고 있는 직육면체부(210)의 밑면의 부분만을 제외한 밑면의 전체의 면과 다리부(220)의 측부 전체의 면에는 상기 돌 문양 피복층(232) 및 투명 보호층(233)이 피복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소용 석물 대용물.
KR1020040031121A 2004-05-03 2004-05-03 묘소용 석물 대용물 KR10064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121A KR100646705B1 (ko) 2004-05-03 2004-05-03 묘소용 석물 대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121A KR100646705B1 (ko) 2004-05-03 2004-05-03 묘소용 석물 대용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84U Division KR200357551Y1 (ko) 2004-05-03 2004-05-03 상석 대용물
KR20-2004-0012383U Division KR200358999Y1 (ko) 2004-05-03 2004-05-03 비석 대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847A KR20050105847A (ko) 2005-11-08
KR100646705B1 true KR100646705B1 (ko) 2006-11-23

Family

ID=3728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121A KR100646705B1 (ko) 2004-05-03 2004-05-03 묘소용 석물 대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186A (ko) * 1996-09-30 1998-07-06 조셉 제이. 스위니 공동 rf 터미널을 가지는 대칭적인 병렬 다중 코일과 유도성으로 연결된 플라즈마 반응기
KR19980054762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습동저항이 최소화된 브래킷 조립체를 구비한 파킹 케이블
KR19990024221A (ko) * 1998-12-22 1999-03-25 정석연 묘비 및 납골함용 사진판
KR20000017816A (ko) * 1999-12-17 2000-04-06 김인규 변형안정성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30047823A (ko) * 2001-12-11 2003-06-18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구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186A (ko) * 1996-09-30 1998-07-06 조셉 제이. 스위니 공동 rf 터미널을 가지는 대칭적인 병렬 다중 코일과 유도성으로 연결된 플라즈마 반응기
KR19980054762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습동저항이 최소화된 브래킷 조립체를 구비한 파킹 케이블
KR19990024221A (ko) * 1998-12-22 1999-03-25 정석연 묘비 및 납골함용 사진판
KR20000017816A (ko) * 1999-12-17 2000-04-06 김인규 변형안정성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30047823A (ko) * 2001-12-11 2003-06-18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공구홀더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24221
2003478230000
2019980025186
2019980054762
2020000017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847A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8143T3 (es) Panel para suelo y metodo de fabricacion asociado.
US7243405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EP0979910B1 (en) Discardable formwork for columns
CN100552173C (zh) 不溢水游泳池的排水管道成套组件
KR100646705B1 (ko) 묘소용 석물 대용물
US5606831A (en) Enclosed monolithic swimming pool
ATE105042T1 (de) Vorgefertigte verlorene schalung fuer stahlbeton- treppen.
KR200358998Y1 (ko) 비석 대용물용 기대
DE3634422A1 (de) Einrichtung zur einfassung und ausschmueckung von graebern
KR200357551Y1 (ko) 상석 대용물
ES2291127B1 (es) Procedimiento para el revestimiento interior de piscinas.
JP4455793B2 (ja) 石製槽
DE29708234U1 (de) Stahlkappe zur Verstärkung von Flachdecken im Bereich einer Stütze
JPS627814Y2 (ko)
ES2320614B1 (es) Dispositivo de moldeado de una estructura de piscin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IT8948194A0 (it) Giunto universale in materiale plastico, per strutture portanti di vasche per piscine smontabili a basi poligonali per giardini, o simili
JP3043693U (ja) 墓 石
ES2250256T3 (es) Baldosa con medio de conexion, y procedimiento para solar tales baldosas.
JP3045792U (ja) 墓 標
JPH0412140Y2 (ko)
US20040157007A1 (en) Reusable mold and method for using same
ES2245537B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platos de duchas de madera.
KR20000003533U (ko) 묘소 표지물
JPH08270261A (ja) 石材製卒塔婆立て、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墓用外柵
JPS63466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