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370B1 -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 Google Patents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370B1
KR100646370B1 KR1020040085551A KR20040085551A KR100646370B1 KR 100646370 B1 KR100646370 B1 KR 100646370B1 KR 1020040085551 A KR1020040085551 A KR 1020040085551A KR 20040085551 A KR20040085551 A KR 20040085551A KR 100646370 B1 KR100646370 B1 KR 10064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il tank
foreign matter
lin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557A (ko
Inventor
임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3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05Coalesc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순환설비 또는 윤활유를 이용하는 회전설비의 유체(오일) 시스템의 리턴라인 혹은 공급라인에 설치하는 이물질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라인과 오일탱크 또는 유체 라인간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에 복수개(혹은 단일개)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기를 설치하고, 순환되는 유체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여과시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을 포집하는 장치로서, 회전체의 마모분이나 공정중에서 침투된 이물질이 리턴 또는 공급되는 유체와 섞여 오일탱크로 돌아오거나 순환되는 것을 상기 여과엘리먼트에서 여과시켜 검사하므로써, 설비의 이상여부 및 이물질 유입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점검 및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턴라인과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며 상하단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된 압력측정용 탭과; 상기 압력측정용 탭과 연결된 압력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여러겹으로 포개져 장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제공한다.
오일탱크, 리턴라인, 연결파이프, 호스, 이물질 포집기, 압력측정용 탭

Description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Contaminated Particle Detector for Fluid Circulating System of paper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탱크 12 : 리턴라인
14 : 연결파이프 16 : 호스
18 : 밸브 20 : 이물질 포집기
22 : 제1 하우징 24 : 제2 하우징
26 : 유입구 28 : 배출구
30 : 압력측정용 탭 32 : 제1 중공부
34 : 제2 중공부 36 : 제1 결합부
38 : 제2 결합부 40 : 여과엘리먼트
본 발명은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리턴라인과 리턴라인 또는 리턴라인과 오일탱크, 순환라인간 등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기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중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이 리턴되는 유체와 섞여 순환되는 것을 상기 여과엘리먼트에서 여과시켜, 점검 및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이상유무 및 유체 중 이물질 혼입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신문지 등의 제지는 원료, 조성, 초지, 가공, 물류 등의 공정을 거쳐 생산되며, 실질적으로 초지공정에서 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초지공정은 정선공정, 탈수공정, 압착공정, 건조공정, 사이징공정, 광택공정, 권취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공정(Dryer part)은 압착공정에서 강제 탈수된 지필을 적은 양의 증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증발시키는 공정으로서, 주강제의 실린더 내부에 스팀을 주입시켜 실린더 표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습지를 건조시키고, 건조공정의 건조효과 증대와 지필이송을 위해 캔바스를 사용한다.
건조공정을 위한 설비는, 다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본체와, 실린더의 가동을 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드라이어 실린더 베어링과, 상기 드라이어 실린더 베어링의 윤활을 위한 오일탱크 및 오일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설비에서 윤활용으로 사용되는 오일은 윤활작용을 마친 후 리턴 라인(Return Line)을 통해 오일탱크로 돌아온다. 이때, 상기 오일탱크의 배출구측에 라인필터(Line Filter)가 내장되어, 오일이 배출구를 통해 순환라인으로 갈 때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라인필터는 탱크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오일과 함께 섞여있는 이물질이 얼마나 끼어 있는지 알 수가 없어 라인필터를 통한 이물질 발생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라인필터의 교체주기가 길어 이물질 혹은 마모분이 다량 발생된 후에나 발견이 가능하여 사고 이후에 발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철강, 발전, 화학 등 회전체를 사용하는 장치산업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체의 리턴라인과 리턴라인 또는 리턴라인과 오일탱크, 순환라인간 등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에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기를 설치하여, 순환되는 유체의 일부분을 지속적으로 여과엘리먼트를 통과시켜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을 포집함으로써, 마모분 및 이물질 유입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점검 및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체의 윤활을 위하여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오일탱크와, 윤활작용을 마친 후 상기 오일탱크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상부에 이격설치된 리턴라인을 포함하는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있어서,
상기 리턴라인과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며 상하단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된 압력측정용 탭과; 상기 압력측정용 탭과 연결된 압력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여러겹으로 포개져 장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리턴라인과 리턴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리턴라인(12)과 리턴라인(12) 또는 리턴라인(12)과 오일탱크(10), 순환라인간 등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4)에 여과엘리먼트(40)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기(20)를 설치하여, 순환되는 유체의 일부분을 지속적으로 여과엘리먼트(40)를 통과시켜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을 포집함으로써, 마모분 및 이물질 유입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점검 및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20)는 오일탱크(10)와, 윤활유가 회전체에서 윤활작용을 마친 후 리턴되는 통로인 리턴라인(12)과, 상기 오일탱크(10)와 리턴라인(12)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4)와, 상기 연결파이프(14)에 설치되는 이물질 포집기(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탱크(10)는 회전체로부터 윤활작용을 마친 후 리턴되는 오일을 저장하거나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을 펌프를 통해 각 순환라인으로 배출한다.
이때, 회전체로부터 윤활작용을 마친 후 리턴되는 오일은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턴라인(12)은 각 공정 또는 회전체에서 윤활작용을 마친 후 리턴되는 오일의 통로로서, 상기 오일탱크(10)의 상부와 이격되게 위치하여 오일탱크(10)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파이프(14)는 상기 리턴라인(12)과 오일탱크(10)를 연결하는 파이프이고, 이 연결파이프(14)에 이물질 포집기(20)를 설치한다. 이때, 이물질 포집기(20)의 상단에 연결된 연결파이프(14)에는 역류방지 및 유량조절을 하는 밸브(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리턴라인(12)과 리턴라인(12)간 또는 순환라인과 순환라인간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이물질 포집기(20)는 상부에 제1 하우징(22)과 하부에 제2 하우징(24)으로 구성되고, 제1 하우징(22)의 상단에는 유입구(26)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4)의 하단에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26) 및 배출구(28)의 내주면에는 연결파이프(14)와 연결가능한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22)의 소정위치에는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계(42)가 장착될 수 있도록 압력측정용 탭(30)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압력측정용 탭(30)에는 압력계(42)뿐만 아니라, 오일 레벨게이지 또는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제1 중공부(32)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제1 결합부(수컷)(36)가 형성된다. 이때, 이 제1 결합부(36)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4)의 내부에는 제2 중공부(34)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제2 결합부(암컷)(38)가 형성된다. 이때, 이 제2 결합부(38)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22)의 제1 결합부(36)와 제2 하우징(24)의 제2 결합부(38)는 나사결합되어 착탈이 용이하다. 여기서, 제1 하우징(22)과 제2 하우징(24)의 결합은 나사결합외에도 15°회전으로도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주지의 착탈방식 등 여러가지 결합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4)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여과엘리먼트(40)가 포개진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여과엘리먼트(40)가 여러개일 경우 각각 통과되는 입자의 크기를 달리하도록 여러가지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상부에 있는 여과엘리먼트(40)가 큰 입자순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리턴라인(12)과 이물질 포집기(20)의 연결파이프(14)에는 금속파이프를 사용하고, 이물질 포집기(20)와 오일탱크(10)의 연결은 속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호스(1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의해, 회전체로부터 윤활작용을 마친 후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리턴오일은 리턴라인(12)과 상기 이물질 포집기(2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은 상기 여과엘리먼트(40)에 포집되고, 오일만 통과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엘리먼트(40)에 이물질 또는 마모분이 포집되어 여과엘리먼트(40)가 막히게 되면 이물질 포집기(2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고, 제1 하우징(22)에 형성된 압력측정용 탭(30)에 장착된 압력계(42)를 통하여 압력차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이 리턴오일과 섞여 오일탱크(10)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이물질 또는 마모분을 조기에 포집하여 이물질 포집기(20)에 장착된 압력계(42)를 통해 이물질 또는 마모분의 양을 예측할 수 있어, 여과엘리먼트(40)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포집기(20)의 제1 및 제2 하우징(22,24)은 나사결합되어 착탈이 용이하여 내부에 여과엘리먼트(4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점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제1 및 제2 하우징(22,24)을 분리하여 점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하우징(24)의 하단에 연결된 호스(16)를 통해 오일이 흐르고 있는 지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측정용 탭(30)에 오일레벨게이지를 설치하여 여과엘리먼트(40)가 막혔을 때 오일의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마모분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지기 오일탱크 리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의하면, 오일탱크와 리턴라인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에 복수개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기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체에서 마모되거나 공정에서 침투된 이물질 또는 마모분을 조기에 포집하여 이물질이나 마모분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점검 및 분석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회전체의 윤활을 위하여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오일탱크와, 윤활작용을 마친 후 상기 오일탱크로 되돌아오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상부에 이격설치된 리턴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리턴라인과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며 상하단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된 압력측정용 탭과, 상기 압력측정용 탭과 연결된 압력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여러겹으로 포개져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엘리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KR1020040085551A 2004-10-26 2004-10-26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KR10064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51A KR100646370B1 (ko) 2004-10-26 2004-10-26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51A KR100646370B1 (ko) 2004-10-26 2004-10-26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136U Division KR200374321Y1 (ko) 2004-10-26 2004-10-26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57A KR20060036557A (ko) 2006-05-02
KR100646370B1 true KR100646370B1 (ko) 2006-11-23

Family

ID=3714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51A KR100646370B1 (ko) 2004-10-26 2004-10-26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386A (ja) * 1991-09-27 1993-04-16 Kurinpetsuto Kk スクリーン装置
US5565094A (en) 1994-08-30 1996-10-15 Nelson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purifying and conditioning turbine lubricating oil
KR20010024404A (ko) * 1997-10-06 2001-03-2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하이퍼링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386A (ja) * 1991-09-27 1993-04-16 Kurinpetsuto Kk スクリーン装置
US5565094A (en) 1994-08-30 1996-10-15 Nelson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purifying and conditioning turbine lubricating oil
KR20010024404A (ko) * 1997-10-06 2001-03-2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하이퍼링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24404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57A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09520T2 (de) Treibstofffilter mit kondensatableiter und wasserabscheider
US5566781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lushing and cleaning oil strainer, crankcase and other component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478762B2 (en) Fluid quality monitoring and filtration system
US20170248572A1 (en) Lubricant condition assessment system
TWI713888B (zh) 冷卻液處理系統
CN207882268U (zh) 润滑油检测控制系统
KR100646370B1 (ko)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포집기
KR200374321Y1 (ko) 초지기 유체라인의 이물질 검출기
JPH05501519A (ja) 汚染された液体、殊に水の濾過装置
KR20120020974A (ko) 차압을 감지하여 필터를 세척하는 메탈 에지 필터장치
CN107630931B (zh) 斗提机尾轮传动轴承装置
KR100855447B1 (ko) 펌프의 성능검사장치
JP7436378B2 (ja) 再使用可能オイルフィルタを含むシステム
CN208330696U (zh) 一种便携式窜油检测设备
Hujo et al. Test of oil filters on laboratory test device
EP1135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lubricated parts
JPH0444248Y2 (ko)
US8069717B2 (en) Method for diagnosing machine fault by analyzing hydraulic fluid
CN104535477A (zh) 新型油液污染度在线监测装置
CN216691212U (zh) 一种机油滤清器的机油滤芯堵塞的检测装置
US9714588B2 (en) Oil recirculation system for engines
EP2885620A1 (de) Vorrichtung zum feststellen von partikelverschmutzungen in fluiden
CN107758917A (zh) 乳化液智能无害化处理装置
CN103016699B (zh) 一种风电机组齿轮箱安装阀块
CN117233040A (zh) 一种润滑油品质在线监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