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231B1 - 승마용 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231B1
KR100645231B1 KR1020050022504A KR20050022504A KR100645231B1 KR 100645231 B1 KR100645231 B1 KR 100645231B1 KR 1020050022504 A KR1020050022504 A KR 1020050022504A KR 20050022504 A KR20050022504 A KR 20050022504A KR 100645231 B1 KR100645231 B1 KR 10064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housing
coupled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751A (ko
Inventor
윤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
Priority to KR102005002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231B1/ko
Priority to PCT/KR2005/001775 priority patent/WO2006098532A1/en
Publication of KR2006010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20Toy animals for riding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6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 A01K85/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other than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plugs in two or more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10)와, 구동 모터(200)와, 상기 캠 구동풀리에 축결합된 캠 구동축(218)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캠 구동축(218)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부(240)와, 상기 캠 구동축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캠 하우징(220)과, 상기 캠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캠 구동축(218)의 일측 끝단이 고정결합되는 캠(222)과, 상기 캠 구동축와 어긋나게 상기 캠에 고정 결합되는 크랭크 축(224)과,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된 원통형 크랭크 하우징(226)과, 상기 크랭크 하우징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안장(230)에 타측 끝단이 결합되는 안장지지 샤프트(228)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지지 샤프트(228)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하우징(220) 및 상기 크랭크 하우징(226)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캠 하우징은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승마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승마, 안장, 모터, 회전, 베어링

Description

승마용 기구{HORSE RID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기구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 기술의 승마용 기수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축지지수단
200 : 구동 모터 202 : 구동 풀리
204 : 벨트 206 : 제 1 연동풀리 208 : 연동축
210 : 연동축 하우징 212 : 제 2 연동풀리
214 : 벨트 216 : 캠 구동풀리 218 : 캠 구동축
220 : 캠 하우징 222 : 캠 224 : 크랭크 축
226 : 크랭크 하우징 228 : 안장지지 샤프트
240 : 구동전달부
본 고안은 승마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베어링이 장착된 캠 하우징, 크랭크 하우징 및 연동축 하우징을 통하여 역학적으로 견고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여 기구에 사람이 올라탄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한 승마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 출원인이 전용실시권을 갖고 있는 등록실용 20-0361425호 등에 승마용 기구가 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승마용 기구는 운동이나 오락을 위해 사용자에게 승마의 느낌을 몸으로 느끼게 하는 장치로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120)와, 모터(1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크랭크축(130)과, 크랭크축(130)에 결합되는 크랭크암(140)과, 크랭크암(140)에 결합되어 본체(110) 상측으로 노출되는 지지축(150)과, 지지축(150)의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160)과, 본체(110)에 설치되어 지지축(150)을 지지하는 축지지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모터(120)는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여 크랭크축(13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데, 복수의 벨트 및 풀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속전달수단(180)에 의해 모터(120)의 회전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크랭크축(130)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증대시킨다. 안장(160)은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161)에 손잡이(16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재로서 고정되며, 손잡이(162) 사이에 조작패널(163)이 설치된다. 조작패널(163)은 사용자가 승마용 기구(100)의 구동 및 정지, 그리고, 동작 시간 및 스피드 설정 등을 위한 조작스위치(163a)들이 마련된다. 축지지수단(170)은 본체(110) 상부에 설치되며, 지지축(150)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즉 크랭크축(130)과 크랭크암(140)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축지지수단(170)은 단순하게 본체(110)의 상부가 지지축(150)을 지지하는 구조로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150)이 회전을 일으키는 양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71)과, 슬라이딩홈(171)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블럭(172)과, 슬라이딩블럭(172)이 지지축(15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슬라이딩블럭(172)과 슬라이딩홈(171)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7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홈(171)은 기울어지는 지지축(150)을 탄성부재(173)에 의해 탄성지지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블럭(172)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는 슬라이딩홈(171)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도록 상측 끝단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받침판(115)이 용접이나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상측 끝단에 커버(116)가 볼트(B)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받침판(115)과 커버(116)는 지지축(150)이 통과하기 위하여 개구(115a,116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0) 상부의 받침판(115)과 커버(116)사이에 슬라이딩홈(17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블럭(172)은 일측에 탄성부재(173)인 코일스프링(173)의 일단이 끼워져서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홀(172a)이 형성되며 슬라이딩블럭(172)은 지지축(150)을 지지시 지지축(150)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 내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축(150)을 지지하는 측에 지지롤러(172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롤러(172b)는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172c) 양단이 슬라이딩블럭(172)의 삽입홀(172e)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회전지지대(172d)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안장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좌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풀리, 베어링, 벨트 등의 구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게 되며 제조에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을 보다 개량하여 형성한 개량고안으로서 종래 기술에 비해 더 견고한 역학적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고장위험을 더 줄인 승마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좌우 한 쌍의 풀리, 벨트 등의 구조를 갖던 종래 기술의 구조를 비약적으로 단순화시키켜 제조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캠 하우징, 크랭크 하우징 및 연동축 하우징을 통하여 역학적으로 견고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여 기구에 사람이 올라탄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본체(10)와, 구동 모터(200)와, 상기 캠 구동풀리에 축결합된 캠 구동축(218)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캠 구동축(218)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부(240)와, 상기 캠 구동축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캠 하우징(220)과, 상기 캠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캠 구동축(218)의 일측 끝단이 고정결합되는 캠(222)과, 상기 캠 구동축와 어긋나게 상기 캠에 고정 결합되는 크랭크 축(224)과,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된 원통형 크랭크 하우징(226)과, 상기 크랭크 하우징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안장(230)에 타측 끝단이 결합되는 안장지지 샤프트(228)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지지 샤프트(228)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하우징(220) 및 상기 크랭크 하우징(226)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캠 하우징은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승마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달부(240)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 풀리(202)와,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204)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202)가 회전하면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1 연동풀리(206)가 축결합된 연동축(208)과, 상기 연동축을 지지하는 원통형 연동축 하우징(210)과, 상기 연동축(208)에 축결합된 제 2 연동풀리(212)와, 상기 캠 구동축(218)에 축결합된 캠 구동풀리(216)과, 상기 제 2 연동풀리(212)와 상기 캠 구동풀리(216)을 연결하는 벨트(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축 하우징(210)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 내에 모터 등 주요 구성부품이 내장된다. 한편 본체 하우징 상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지지 샤프트(228)가 돌출되어 있고 그 상단에 안장(230)이 결합된다. 안장지지 샤프트는 축지지수단(12)에 의하여 수직이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축지지수단의 구성은 도 4c의 종래 기술과 동일하고 이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 기술과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0)의 회전구동력은 구동전달부(240)을 거쳐서 캠 구동축(218)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캠 구동축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전달부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터축과 캠 구동축 사이에 중간에 배치되는 회전축인 연동축(208)이 존재한다. 연동축 상에는 두 개의 풀리가 축 결합되어 있다. 두 개의 풀리는 사이즈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모터 회전 속도를 충분히 감속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모터축에 축결합된 구동풀리(202)와 연동축에 축결합된 제 1 연동풀리(206)은 벨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연동축에 역시 축결합된 제 2 연동풀리(212)는 캠 구동축(218)에 축결합된 캠 구동풀리(216)과 벨트(214)에 의하여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 게 된다. 따라서 모터축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되어 연동축(208)이 회전하고 연동축에 연동하여 캠 구동축(218)이 회전하게 되어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캠 구동축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풀리의 크기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하여 적절히 조정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연동축(208)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연동축 하우징(210) 내에 연동축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연동축 하우징 내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양 끝단에 베어링(233, 234)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축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캠 구동축(218)도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캠 하우징(220)을 관통하여 캠 구동축(218)이 캠 하우징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캠 하우징 내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양 끝단에 베어링(235, 236)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베어링은 상기 캠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캠 구동축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캠 하우징(220)은 지지대(232) 등에 의하여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캠 구동축이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캠(222)이 회전하게 되는데 캠(222)에는 캠 구동축과 어긋나게 크랭크 축(224)이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캠 구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캠이 회전하면 크랭크 축은 상하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크랭크 축(224)는 원통형의 크랭크 하우징(226)에 결합된다. 크랭크 하우징의 내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양 끝단에 베어링(237, 238)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크랭크 하우징에는 안장지지 샤프트(228)이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다. 안장지지 샤프트의 일측 끝단은 안장(23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크랭크 하우징(226)에 결합된다. 캠(222)이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 축(224)이 요동하면 크랭크 하우징은 크랭크 축에 대하여 한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하 전후로 요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시 한 쌍의 베어링(237, 238)이 양측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인 축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마모가 방지되고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구동전달부(240)의 벨트(204, 214)들은 바람직하게는 V 벨트이며, 풀리(202, 206, 216)들은 외주면에 벨트가 안착되도록 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승마용 기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사용자가 조작패널(14)의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동작 시간, 지지축의 동작 스피드 등을 설정하고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전달부(240)을 거쳐 캠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캠이 회전하고 캠의 회전은 크랭크 축(224)을 거쳐 안장지 지 샤프트를 움직이게 한다. 안장지지 샤프트는 상하 전후로 요동하게 되는데 안장지지 샤프트는 종래 기술에 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축지지수단(12)에 의하여 한정되고 탄성 지지되면서 움직이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승마를 즐기는 것과 같은 느낌을 몸으로 느끼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는 캠 하우징, 크랭크 하우징 및 연동축 하우징에 의하여 축을 양측에서 지지하여 줌으로써 좌우 한 쌍의 풀리, 벨트 등의 구조를 갖던 종래 기술의 구조를 비약적으로 단순화시키면서도 안정적인 축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소요되는 부품의 갯수를 줄여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나아가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캠 하우징, 크랭크 하우징 및 연동축 하우징을 통하여 역학적으로 견고한 지지 구조를 형성하여 기구에 사람이 올라탄 상태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용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승마용 기구에 있어서,
    본체(10)와,
    구동 모터(200)와,
    상기 캠 구동풀리에 축결합된 캠 구동축(218)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캠 구동축(218)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부(240)와,
    상기 캠 구동축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캠 하우징(220)과,
    상기 캠 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캠 구동축(218)의 일측 끝단이 고정결합되는 캠(222)과,
    상기 캠 구동축와 어긋나게 상기 캠에 고정 결합되는 크랭크 축(224)과,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된 원통형 크랭크 하우징(226)과,
    상기 크랭크 하우징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며 안장(230)에 타측 끝단이 결합되는 안장지지 샤프트(228)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지지 샤프트(228)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수단(12)을 포함하며,
    상기 캠 하우징(220) 및 상기 크랭크 하우징(226)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캠 하우징은 바닥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구동전달부(240)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 풀리(202)와,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204)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202)가 회전하면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1 연동풀리(206)가 축결합된 연동축(208)과,
    상기 연동축을 지지하는 원통형 연동축 하우징(210)과,
    상기 연동축(208)에 축결합된 제 2 연동풀리(212)와,
    상기 캠 구동축(218)에 축결합된 캠 구동풀리(216)과,
    상기 제 2 연동풀리(212)와 상기 캠 구동풀리(216)을 연결하는 벨트(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축 하우징(210)은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에 고정 지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기구.
  2. 삭제
KR1020050022504A 2005-03-18 2005-03-18 승마용 기구 KR10064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04A KR100645231B1 (ko) 2005-03-18 2005-03-18 승마용 기구
PCT/KR2005/001775 WO2006098532A1 (en) 2005-03-18 2005-06-10 Horse ri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504A KR100645231B1 (ko) 2005-03-18 2005-03-18 승마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51A KR20060100751A (ko) 2006-09-21
KR100645231B1 true KR100645231B1 (ko) 2006-11-10

Family

ID=369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504A KR100645231B1 (ko) 2005-03-18 2005-03-18 승마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5231B1 (ko)
WO (1) WO2006098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8438A (zh) * 2012-01-04 2012-10-03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摇摆车游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080A (ja) * 1994-08-12 1996-03-05 An Biran 全身運動機械
KR200248863Y1 (ko) * 2001-06-19 2001-11-16 김영수 복부지방제거기
KR200361425Y1 (ko) * 2004-05-15 2004-09-14 이재호 승마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8532A1 (en) 2006-09-21
KR20060100751A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465B2 (en) Exercise equipment
US5238462A (en) Stair climbing exercise apparatus utilizing drive belts
KR100595971B1 (ko) 승마용 기구
KR100645231B1 (ko) 승마용 기구
US20160257337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6283928B1 (en) Massage apparatus
US20080020900A1 (en) Balance trainer
KR101485011B1 (ko) 승마 운동 기구
WO2006027411A3 (en) Elevator arrangement
US11872443B2 (en) Closed-circuit sliding-belt gymnast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67353B1 (ko) 승마 운동기구
CA1224630A (en) Sanding device
KR200446266Y1 (ko) 승마운동기구
CN106461001A (zh) 旋转减振器
KR200361425Y1 (ko) 승마용 기구
US20080161174A1 (en) Waist training machine
KR200306047Y1 (ko) 런닝머신용 진동흡수 및 저소음형 모터
JP2012081222A (ja) 電動回転ベッドの駆動装置
KR20100041904A (ko) 승마 모션 구동장치
JP2008200433A (ja) ダイエットマシーン
KR200429682Y1 (ko) 승마형 헬스기구
CN213192464U (zh) 用于游艺机的摇手
KR101594683B1 (ko) 연동형 그네
KR200282784Y1 (ko) 실내운동용 런닝머신
KR200262470Y1 (ko) 회전형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