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019B1 -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019B1
KR100645019B1 KR1020050001663A KR20050001663A KR100645019B1 KR 100645019 B1 KR100645019 B1 KR 100645019B1 KR 1020050001663 A KR1020050001663 A KR 1020050001663A KR 20050001663 A KR20050001663 A KR 20050001663A KR 100645019 B1 KR100645019 B1 KR 10064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olymer
chitosan
compoun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204A (ko
Inventor
배은희
이동신
최지숙
노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to PCT/KR2005/0016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118685A1/en
Priority to US11/628,234 priority patent/US20070249733A1/en
Publication of KR2005011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액 상태에서 침전을 형성하는 특성 때문에 그 이용에 제한이 있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 비드 내부에 포집시킴으로써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활성을 고분자에 부여함으로써 고분자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는 의료,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수용성 무기화합물, 고분자, 비드

Description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High molecular substance beads encapsulated 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s, its preparation method and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따른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제조방법을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A: 동결 건조한 비드의 모습
B: 동결 건조한 비드의 단면
C: 가열 건조한 비드의 모습
D: 가열 건조한 비드의 단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열분해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열분해 후 황산칼슘 결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은 황산칼슘 결정의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A: 비드를 갈아서 얻은 분말의 X-선 회절분석(CaSO4ㆍ2H2O)
B: 비드를 열분해하여 얻은 분말의 X-선 회절 분석(CaSO4)
도 7은 칼슘이온의 방출 거동 그래프이다.
도 8은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비드를 광학 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9는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비드에 함유된 황산칼슘의 양을 열분해 분석을 통하여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각각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1은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함유된 고분자 비드를 열분해하여 얻은 무기화합물의 결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2는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비드를 열분해하여 얻은 무기화합물(A)을 표준물질(B)과 비교 분석한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골 충진용 물질로 이용한 신생골 형성 조직 분석 결과로서, 화살표는 절단된 부위를 나타낸다.
A: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경우
B: 히알루론산을 주입한 경우
C: 황산칼슘을 함유하지 않은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
D: 황산칼슘 분말을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
E: 본 발명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
본 발명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키토산(chitosan), 알긴산(algin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과 같은 고분자들의 다양한 기능 또는 생리활성이 밝혀짐에 따라 고분자들이 여러 분야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 골 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골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는 키토산은 골 충진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알긴산은 조직재생 지지체 또는 약물전달시스템의 전달지지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고분자의 기능(또는 활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물질 또는 고분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물질과 함께 이용하면 고분자의 이용성 및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키토산과 같이 조직재생에 이용되고 있는 고분자는 그 자체 로만 이용되는 것보다는 각 조직의 재생에 맞추어 발현되고 조절되는 여러 생체인자 또는 생리활성물질들과 함께 이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근 고분자의 이용성 및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성 물질(또는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개량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 예로는 물/오일(water/oil) 또는 오일/물(oil/water)의 상분리를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미립구(microsphere)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분자의 표면을 여러 기능성 물질로 코팅시키거나 또는 화학적인 결합을 유도하여 기능성 물질과 고분자를 링크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많은 무기화합물이 골 충진재,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 화장품 원료 및 잉크 페인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은 골의 재생 및 골 경화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 골 재료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산칼슘계 무기화합물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 제3인산칼슘(tricalcium phosphate, TCP; Ca3(PO4)2) 및 피로인산칼슘(calcium pyrophosphate, CPP; Ca2P2O7) 등이 있다. 그 중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골 질량의 60-70%를 차지하는 주요 무기질 성분으로, 생체 적합성과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여 주위 골의 골전도(osteoconduction)를 일으키므로 이를 인공 골 재료로 개발하여 실험 및 임상적으로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황산칼슘은 혈관성장과 골 형성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고 조기에 골을 경화시킬 뿐 아니라 생체에 적합한 물질 로 알려졌다. 또한 마그네슘, 망간, 아연 등의 무기물 등도 생체 내에서 조직의 재생에 효과를 나타냄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보고 되고 있다. 이산화티타늄(TiO2)또는 산화아연(ZnO)은 민감성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품이나 유아용 화장품에 아주 작은 입자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화합물들은 대부분 수용액 내에서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므로 이들을 생체 내로 직접 이용함에 있어서는 생체내로의 섭취, 흡수, 이동 등에 제한을 받는다. 특히, 이러한 침전상태의 화학결합물은 그 반응성이 매우 낮아 다른 물질과의 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와 효과적으로 결합시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고분자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와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분자 비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분자 용액을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을 용매 위에 떨어뜨려 비드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비드를 상기 (a) 단계의 이온기에 대한 상대적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수용액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비드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함유하는 골충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이라 함은, 수용액 상에서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무기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은 금속 인산화물(metal phosphate), 금속 탄산염 (metal carbonate) 및 금속 산화물(metal oxid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황산칼슘(CaSO4), 황화납(PbS),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아연(Zn(OH)2 ), 탄산아연(ZnCO3) 및 제3인산칼슘(Ca3(PO4)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용액의 상태에서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이용(생체 내로의 섭취, 흡수, 이동 등)에 제한이 있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의 비드 내부에서 각 구성분자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무기염 결정을 생성시킴으로써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구성분자들이 침전을 위한 화학적 결합을 이루기 전에, 먼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구성분자 중 하나의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고분자 용액과 혼합한다. 이 때 상기 이온기는 고분자의 반응기와 동일한 이온기(양이온기 또는 음이온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액을 용매 위에서 겔화(gelation)시켜 고분자의 반응기와 동일한 이온기가 내부에 포함된 비드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후, 상기 이온기(양이온기 또는 음이온기)와 결합하여 수용액 내에서 침전을 형성하는 상대적 이온기(음이온기 또는 양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수용액과 상기 고분자 비드를 반응시킨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 사이가 상기 상대적 이온기에 의해 가교(cross-linking)되어 비드 형태가 더욱 강하게 됨과 동시에 비드 내부에서는 상기 이온기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결정형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비드의 제조과정을 도 1에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는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단계 : 고분자 용액을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혼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chitosan), 알긴산(algin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적당한 용매에 적당량을 용해시켜 용액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토산 용액은 아세트산을 용매로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2(v/v)% 아세트산에 3-7(w/v)%의 키토산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알긴산 용액과 히알루론산 용액은 삼차정제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알긴산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0.5-5(w/v)%의 알긴산을 삼차정제수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삼차정제수를 이용하여 최대 1(w/v)%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기는 고분자의 반응기와 동일한 이온기이다. 즉, 고분자의 반응기가 양이온인 경우에는 양이온기이고, 반대로 음이온인 경우에는 음이온기이다. 예컨대, 키토산의 반응기는 양이온이므로 양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키토산을 혼합하고, 알긴산의 반응기는 음이온이므로 음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알긴산을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이온 화합물'이라 함)은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구성하는 한 쪽 이온기, 즉 양이온기(예: Ca2+, Pb2+, Mg2+, Zn2+ 등) 또는 음이온기(예: SO4 2-, S2-, OH-, HPO4 2- 등)를 가지는 화합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양이온 화합물'이라 함)은 염화칼슘(CaCl2), 질산납(Pb(NO3)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아연(ZnCl2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음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음이온 화합물'이라 함)은 황산나트륨(Na2SO4), 황화나트륨(Na2S), 염화나트륨(NaOH), 제2인산나트륨(Na2HPO4) 및 탄산나트륨(Na 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용액과 이온 화합물의 혼합은 18-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분자로 키토산 또는 알긴산을 사용하여 다가 이온 화합물(2가 이상의 이온 화합물)과 혼합하는 경우에는 25-60℃에서 혼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키토산 또는 알긴산의 경우에는 이온(예: Ca2+ 이온)의 존재 하에서 온 도에 따라 가역적인 졸-겔(sol-gel) 변환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b) 단계 :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을 용매 위에 떨어뜨려 비드 형성을 유도한다.
이온 화합물과 고분자 용액의 혼합액을 용매 위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 겔화나 상분리를 통한 비드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 때 용매로는 오일 베이스(oil-base), 에탄올, 아세톤, 액화질소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의 온도는 -27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일 베이스의 경우에는 -10℃ 내지 4℃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의 경우에는 -40℃ 내지 -2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액을 용매 위에 한 방울씩 떨어뜨린 후 15분 내지 180분 동안 정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을 통해 이온 화합물과 고분자의 혼합액이 비드 형태로 제조되며, 그 비드의 내부에 비수용성 화합물의 이온기가 함유되게 된다.
(c) 단계 :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비드를 상기 (a) 단계의 이온기에 대한 상대적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수용액과 반응시킨다.
상기 (a) 단계의 이온기에 대한 상대적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로는, 만약 (a) 단계에서 양이온 화합물을 사용하였다면 상기 양이온 화합물에 대한 상대적인 음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a) 단계에서 음이온 화합물을 사용하였다면 상기 음이온 화합물에 대한 상대적인 양이온기를 가지는 화합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온기에 대한 상대적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a) 단계의 이온기와 결합하여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고분자의 반응기와도 결합하여 고분자 사이를 가교시키는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CaCl2), 질산납(Pb(NO3)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아연(ZnCl2), 황산나트륨(Na2SO4), 황화나트륨(Na2S), 염화나트륨(NaOH), 제2인산나트륨(Na 2HPO4) 및 탄산나트륨(Na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를 통하여 비드 내부로 들어간 상기 상대적 이온기는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비드 내부에 미리 존재하는 이온기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비수용성 무기염 결정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분자 사이를 가교(cross-linking)시킨다. 상기 상대적 이온기는 본 발명의 고분자 비드에서 유일한 이온 가교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결정형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가 제조된다.
예컨대, 상기 (a) 단계에서 염화칼슘을 사용했다면 이 단계에서는 용매 위에 형성된 비드에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은 황산이온(SO4 2-, 음이온)이 고분자의 하나인 키토산의 아미노기와 결합(interaction)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황산이온에 의한 고분자 사이의 가교작용을 통해 비드 형태를 더욱 강하게 이루게 됨과 동시에 비드 내부에 이미 존재하는 칼슘이온은 황산이온과 결합하여 비드 내부에서 황산칼슘 결정을 이루게 된다.
Figure 112005000986068-pat00001
(d) 단계 :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비드를 세척 및 건조한다.
상기 세척은 IPA(isopropylalcohol) 및/또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적어도 5회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척과정을 통해 비드 외부에 붙어 있는 비수용성 무기염 결정들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건조는 동결 건조 방법 또는 가열 건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다공성 비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동결 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밀도 구조의 비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열 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고분자 비드는 황산칼슘(CaSO4), 황화납(PbS),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아연(Zn(OH)2), 제3인산칼슘(Ca3 (PO4)2) 및 탄산아연(Zn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염화칼슘(양이온 화합물), 황산나트륨(음이온 화합물) 및 키토산(고분자)을 이용하여 황산칼슘이 포집되어 있는 키토산 비드(이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라 함)를 제조하였다. 이 때 양이온 화합물과 고분자의 혼합액의 겔화를 유도하기 위한 용매로 오일 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분석한 결과, 황산이온이 키토산 사슬을 효과적으로 가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키토산 비드 내부에 황산칼슘 결정이 포집되어 있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도 7 참조). 반면, 용매를 이용하여 양이온 화합물과 고분자의 혼합액을 겔화(또는 상분리)시키지 않고 바로 음이온 화합물 용액과 반응시킨 경우에는 비드가 형성되지 않았다(결과 미도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일 베이스 이외에 다른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다른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비드가 잘 제조됨을 확인하였으며(도 8 참조), 그 내부에 황산칼슘이 포집되어 있음도 확인하였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황산칼슘 이외에 다른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키토산 비드를 제조하였다(도 10 참조). 제조된 각 키토산 비드를 분석한 결과, 그 내부에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모두 포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내지 도 12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이루는 음이온기와 양이온기가 결합되어 형성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결정을 그 내부에 포집시킨 고분자 비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비드는 고분자 비드 ㎎ 당 약 0.2~0.6㎎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는 그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 및/또는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의료,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황산칼슘 또는 인산칼슘을 함유하는 고분자 비드는 골 충전물 또는 치아 재생 등 단단한 경조직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고분자 비드는 마그네슘 이온이 장에서는 잘 흡수가 되지 않으므로 친수성 성향을 보이는 고분자 비드를 이용하여 장에서의 흡수를 증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산화마그네슘은 위장의 산도를 조절하여 중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아연 이온은 생체 내 200여 가지의 다양한 효소의 작용에 필요한 물질로서 성장호르몬 활성, 당뇨병의 혈당 조절 호르몬 활성 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수산화아연 또는 탄산아연의 경우에는 고분자의 비드 내 함유된 아연 화합물이 조직에서 필요한 양만큼 방출되는 서방형 제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황화납의 경우, 화합물의 사이즈를 나노 크기만큼 작게 결정화를 시키면 반도체로서의 기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므로(TD Krauss, FW Wise, and DB Tanner, Physical Review Letters, 76: 1376-1379, 1996; JZ Zhang, 6th Forsight Conference on Molecular nanotechnology, 1998), 고분자 비드 안에서 나노 크기의 황화납 결정물질이 군체(Cluster)를 이루게 된다면 군체는 반도체의 성질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반도체의 성질을 지닌 황화납은 적합한 조건에서 전자 또는 광학적 에너지를 변화시킴으로서 신호(signal)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고분자 비드에 함유된 황화납은 생체 이미징(Imaging) 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기재한 생체 내 각 기능을 지닌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은 자체 특성 상 체내 섭취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안에 함유시켜 비드로 형성시킨다면 고분자의 생체적합성에 따라 체내 섭취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고분자의 특성을 조절하여 필요한 때에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체내에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체내 이용이 매우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고분자의 특성인 분자간의 얽힌 연결고리, 즉 매트릭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에서 제공될 수 없는 물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겔화, 조건적 졸-겔 이동, 몰드를 이용한 특정 형태의 지지체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원발명의 효과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와 단순히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는 예상 또는 유도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키토산 비드를 함유하는 주사형 골충진용 물질을 제조하여 이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함유하는 골 충진용 물질이 신생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키토산 비드 단독 또는 분말형태의 황산칼슘만을 함유하는 골 충진용 물질에 비해 더욱 우수하였다(도 13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키토산 비드 내부에 황산칼슘을 포집시킴으로써 생체 내로의 이동 및 흡수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물질과의 결합 유도가 어려운 황산칼슘의 이용성이 향상되고, 키토산 및 황산칼슘에 의하여 골 형성 및 골 재생 촉진 효과 또한 더욱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고분자 비드를 함유하는 골 충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 충진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황산칼슘 또는 제3인산칼슘이 포집되어 있는 키토산 비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충진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고분자 비드와 폴리머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변형된 또는 천연의 다당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성을 갖는 다당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토산, 키틴,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비닐에스테르(polyvinyl esters), 폴리스티렌(polystyrens), 셀룰로스 에테르(cellulose ethers), 셀룰로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s), 전분(starches), 글루코사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케라탄 설페이트(keratan sulfate), 더마탄 설페이트(dermatan sulfate), 헤파린(heparin) 및 헤파린 설페이트(heparin sulf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또는 키토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1-2(v/v)% 아세트산, 0.5-1M 사과산(DL-malic acid) 및 0.5-2M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분 자량 10만 내지 60만 kDa의 키토산 1-5(w/v)%를 0.5-1M 사과산이나 0.5M 아스코르브산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분자량 10만의 키토산 3(w/v)%를 2(v/v)% 아세트산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 충진용 조성물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조직 재생, 골 재생, 골 경화 및/또는 골 형성과 관련된 기능을 하는 물질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 예로는 βig-h3, TGF-β, FGF, IGF-1, PDGF, 골 형태발생 단백질(bone morphogenic protein; BMP), 폴리락틴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콕산(polyglycolic acid, PGA), 콜라겐(collagen) 등이 있다(Beck et al., J. Bone Miner. Res., 6:961, 1991; Dieudonne et al., J. Cell Biochem., 76:231-243, 1999; Zegzula et al., J. Bone Join. Surg., 79:1778, 1997).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부형제, 붕해제, 방향제, 활택제 등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 첨가물과 혼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형은 주사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일 베이스를 용매로 이용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제조
먼저 2(v/v)% 아세트산 10 ㎖에 3(w/v)% 키토산을 용해시켜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키토산 용액에 염화칼슘(CaCl2) 600 ㎎을 첨가하였다. 이후, 60℃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염화칼슘이 용해된 키토산 용액을 0℃의 오일 베이스(Acros Organics, Belgium)를 함유하는 플레이트 위에 비드 드랍퍼(bead dropper)를 이용하여 떨어뜨렸다(도 2 참조). 비드가 형성되도록 냉장 상태에서 15분 내지 20분 동안 정치하였다. 5(w/v)%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Na2SO4) 용액을 상기 플레이트 위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4℃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키토산의 겔 상태를 유지하면서 비드의 표면에 가교를 먼저 유도하였다. 이후, 다시 상온(RT; room temperature)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드 내부에 황산나트륨의 가교 및 무기염 결정형성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오일베이스가 제거될 때까지 IPA(isopropylalcohol)를 이용하여 5회 이상 세척하였다. 이후, 증류수로 다시 5회 이상 세척하였다. 이후, 동결 건조 또는 60℃ 드라이 오븐에서 가열 건조하였다. 그 결과, 구슬형태의 비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비교예 1>
용매를 이용하지 않은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키토산 용액에 염화칼슘을 혼합하였다. 이후, 염화칼슘이 용해된 키토산 용액을 0℃의 5(w/v)% 황산나트륨 용액 위에 비드 드랍퍼를 이용하여 떨어뜨렸다(도 2 참조).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 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드가 아닌 비결정질(amorphous) 형태의 물질이 형성되었다(결과 미도시).
상기 결과로부터, 비드 생성에 있어서,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키토산 용액을 낮은 온도의 오일 베이스를 이용하여 겔화(gelation)시킨 후 황산칼슘을 가하여 황산이온과 키토산을 가교시키는 방법(실시예 1)이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키토산 용액을 황산칼슘 용액에 직접 떨어뜨리는 방법(비교예 1)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산칼슘을 함유하는 키토산 비드의 성상 및 함량의 특성을 아래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1-1>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전자현미경 관찰
황산칼슘을 함유하는 키토산 비드를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드가 구형임을 볼 수 있다. 이로부터 황산이온(sulfate ion)이 키토산을 효과적으로 가교시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동결 건조된 비드의 경우 비드의 지름이 2.0-2.5 ㎜ 정도이었으며(도 3의 A 참조), 단면을 관찰한 결과 다공성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도 3의 B 참조). 반면, 오븐에서 가열 건조하면서 굳어진 비드의 경우 지름이 1.0-1.5 ㎜로 수축되어 크기가 작아졌으며(도 3의 C 참조), 단면을 관찰한 결과 고밀도의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도 3의 D 참조).
<1-2> 열분해 함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 비드 내부에 황산칼슘이 포집된 것과 포집된 황산칼슘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열분해 함량 분석 방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수행하였다(Inorganic thermogravimetric analysis 2nd ed. Ralph E. Oesper translated Duval, Claement. cn Amsterdam, New York, Elsevier Pub. Co., 1963).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 질소 가스를 제거(purging)하는 조건 하에서 상온에서 1,000℃ 까지 20℃/min의 속도로 가열하면서 온도에 따른 중량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100℃ 미만에서는 수화되어 있던 물분자들이 서서히 증발하다가 150℃ 부근에서 비드 내부에 포집된 황산칼슘의 2수화물이 반수화물로 변화하면서 급격한 중량의 변화를 보였다. 이후 200℃가 넘으면서 본격적으로 키토산의 분해가 진행되어 동결 건조한 비드의 경우 600℃ 정도까지, 보다 치밀한 구조를 지닌 가열 건조 비드의 경우에는 약 800℃까지 분해가 진행되었으며, 무기 화합물의 함량이 1,000℃까지 유지되었다. 열분해 후에 남은 무기물의 무게를 열분해 전의 키토산 비드의 무게와 비교하여 비드 내 함유된 무기물의 함량을 산출해 본 결과, 키토산 비드 내 황산칼슘 함유량이 건조방법에 따라 약 10-3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1-3>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열분해한 후 수득된 무기물의 전자현미경 관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황산칼슘 함유 비드(동결 건조한 비드)를 600℃까지 열분해하여 무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무기 화합물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브마이크로미터(Sub-micro meter) 수준의 작고 균일한 결정 단위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4>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analysis)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 비드 내에 함유된 무기 화합물이 제조 공정에서 사용한 염화칼슘과 황산나트륨이 반응하여 생성된 황산칼슘임을 확인하고 또한 그 결정구조를 살펴보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하였다(Elements of Modern X-ray Physics, Jens Als-Nielsen and des McMorrow, John Eiley & Sons, Ltd., 2001; BE Waren, General Publishing Company, 1969, 1990;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2nd Ed., BD Cullity, Addison-Wesley, 1978; and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ry and Topography, DK Bowen and BK Tanner, Taylor & Francis, Ltd., 1998).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키토산 비드를 곱게 갈아서 얻어진 분말의 X-선 회절 분석에서는 황산칼슘의 2수화물 결정구조가 분명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의 A 참조). 또한 상기 키토산 비드를 열분해하여 얻어진 분말의 X-선 회절패턴은 도 6의 B에 도시되었으며, 이는 황산칼슘의 무수화물의 결정구조 패턴과 일치하였다(결과 미도시).
<1-5> 유리 황산칼슘이온의 방출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e-튜브에 넣고 생리식염수(0.9% saline)를 방출 배지(release media)로 사용하여 유리되는 칼슘이온을 정량하였다. 정량된 칼슘이온의 양을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비드에서 유리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키토산 비드에 봉입된 황산칼슘의 대부분은 약 6~8시간 안에 유리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오일 베이스 이외에 다른 용매들을 이용하여 비드형성을 이루어 보았다. 용매로서 에탄올, 아세톤, 액화질소 및 메탄올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비드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용매에서 구슬형태의 비드가 모두 형성됨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특히, 에탄올의 경우에는 드라이아이스(dry ice)로 온도를 약 -30℃로 낮추어 사용하였을 경우 비드가 잘 생성되었다. 에탄올을 제외한 다른 용매의 경우에는, 각 비드 내 황산칼슘의 함유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결과 미도시), 황산나트륨 용액과 반응할 때의 온도에 상관없이 구슬형태의 비드가 모두 잘 생성되었다. 상기 시험 예 <1-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열분해 분석결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키토산 비드의 경우 가장 높은 황산칼슘 함유량을 나타내었다(도 9 참조).
<실시예 3>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함유하는 키토산 비드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키토산 비드를 제조하였다. 이 때 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
최종 금속염 (비수용성 무기화합물) 혼합 물질(mixing compartments)
양이온 화합물 음이온 화합물
황화납(PbS) 질산납(Pb(NO3)2) 황화나트륨(Na2S)
수산화마그네슘(Mg(OH)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나트륨(NaOH)
제3인산칼슘(Ca3(PO4)2) 염화칼슘(CaCl2) 제2인산나트륨(Na2HPO4)
수산화아연(Zn(OH)2) 염화아연(ZnCl2) 염화나트륨(NaOH)
탄산아연(ZnCO3) 염화아연(ZnCl2) 탄산나트륨(Na2CO3)
먼저,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양이온 화합물을 키토산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30℃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플레이트 위에 비드 드랍퍼를 이용하여 떨어뜨렸다. 비드가 형성되도록 15-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형성된 비드에 음이온 화합물 용액을 가하여 다양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 결정을 함유하는 키토산 비드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키토산 비드의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관찰 사진을 도 10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열분해분석 및 열분해 후 침전결정의 구조사진관찰 및 X-선 회절분석을 수행하여 제조된 비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열분해 분석 후 침전 결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에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모두 결정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무기화합물 각각을 X-선 회절분석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표준물질(PbS, Mg(OH)2, Ca3(PO4) tribasic 및 ZnCO3)과 각각 비교한 결과, 도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무기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황산칼슘 이외에 다른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고분자 비드를 함유하는 골 충진용 물질의 제조
<4-1>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주사형 골 충진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 50 ㎎를 1(w/v)% 히알루론산 1 ㎖에 혼합하고 상온에서 정치하여 주사형 골충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와 히알루론산을 혼합한 경우 키토산 비드가 히알루론산을 흡수하고 약 3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두 물질간의 결합이 형 성되어 겔과 같이 고정되는 형태를 보였다.
<4-2> 키토산을 이용한 주사형 골 충진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 대신 키토산과 혼합하여 주사형 골충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주사형 골충진용 조성물에 적합한 점성을 가지는 겔 형태의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키토산을 용해성(수용성/비수용성), 분자량(10만, 27만, 30만 및 40~60만) 및 농도(3, 5 및 7%)별로 0.5M 또는 1M 사과산 및 0.5M 아스코르브산에 각각 용해시키고, 이들을 이용하여 주사형 골충진용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수용성 키토산의 경우에는 점성이 매우 낮아서 골 충진용 조성물의 매트릭스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저분자량 보다는 고분자량 키토산 용액의 점성이 높았다. 분자량 60만 이상의 키토산은 저농도의 산용액에 잘 용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분자량 40-60만의 키토산 3(w/v)%를 0.5M 사과산에 용해시켜 제조된 겔 형태의 키토산 용액이 골 충진용 조성물에 가장 적합한 점성도 및 용해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과 미도시). 본 발명에서 제조된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상기 겔 형태의 키토산 용액에 혼합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에 혼합하는 경우와는 달리 바로 고정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시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골 충진용 물질의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된 골 충진용 조성물을 18게이지 주사침을 이용하여 동물모델에서 골 충진에 따른 골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동물로는 개를 이용하였다. 개의 아래턱 하악골에 골 신연장치를 식립하고, 그 가운데를 절단하여 하루에 1 ㎜씩 골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골 신연장치를 조절하였다. 약 10일이 지나 골의 신연된 길이가 10 ㎜ 정도 되었을 때, 생성된 골 공동 부위에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골 충진용 조성물(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하였다. 이 때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히알루론산, 황산칼슘을 함유하지 않은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 및 황산칼슘 분말(Osteosetㄾ , WrightMedical Technology, Inc.)을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각각 주입하였다.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골 형성을 관찰하였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골 절단 부위사이에 새로이 형성된 골 조직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본 발명의 황산칼슘 키토산 비드를 주입한 경우에서 섬유화된 조직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골 형성도 가장 많이 이루어짐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경우에는 6주째에 수술 부위에 전반적으로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음이 관찰되었고(도 13의 A 참조), 히알루론산 단독 또는 황산칼슘을 함유하지 않은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에는 6주째에 골 형성이 이루어지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대부분 섬유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3의 B 및 C 참조). 황산칼슘 분말을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에는 3주째에 가장 자리에만 신생 골이 관찰되었으며 6주째에는 전반적으로 약하게 골 형성이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도 13의 D 참조). 반면, 본 발명의 황산칼슘 함유 키토산 비드를 히알루론산에 혼합한 조성물을 주입한 경우에는 3주째에서도 신생골이 잘 형성되어 6주째는 골 형성이 잘 이루어진 것이 관찰되었다(도 13의 E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수용액 상태에서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특성 때문에 생체 내로의 이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다른 물질과의 결합이 어려웠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인 황산칼슘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키토산의 내부에 포집시킴으로써 황산칼슘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골 형성 및 골 재생 촉진에 있어서 황산칼슘 및 키토산에 의한 상승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골 충진용 물질은 염증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결과 미도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용액 상태에서 침전을 형성하는 특성 때문에 그 이용에 제한이 있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을 고분자 비드 내부에 포집시킴으로써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활성을 고분자에 부여함으로써 고분자의 기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는 의료,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각 구성분자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무기염 결정의 형태로 비수용성 무기화합물(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은 황산칼슘(CaSO4), 황화납(PbS),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아연(Zn(OH)2), 탄산아연(ZnCO3 ) 및 제3인산칼슘(Ca3(PO4)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키토산, 알긴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비드.
  4. (a) 고분자 용액을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의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을 용매 위에 떨어뜨려 비드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비드를 상기 (a) 단계의 이온기에 대한 상대적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수용액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비드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고분자는 키토산, 알긴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화합물은 고분자의 반응기와 동일한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염화칼슘(CaCl2), 질산납(Pb(NO3)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아연(ZnCl2), 황산나트륨(Na2SO4), 황화나트륨(Na 2S), 염화나트륨(NaOH), 제2인산나트륨(Na2HPO4) 및 탄산나트륨(Na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혼합은 18-6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용매는 오일 베이스, 에탄올, 아세톤, 액화질소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용매의 온도가 -270℃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대적인 이온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염화칼슘(CaCl2), 질산납(Pb(NO3)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아연(ZnCl 2), 황산나트륨(Na2SO4), 황화나트륨(Na2S), 염화나트륨(NaOH), 제2인산나트륨(Na 2HPO4) 및 탄산나트륨(Na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은 황산칼슘(CaSO4), 황화납(PbS), 수산화마그네슘(Mg(OH)2), 수산화아연(Zn(OH)2), 탄산아연(ZnCO3) 및 제3인산칼슘(Ca3(PO4)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의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를 함유하는 골 충진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는 황산칼슘 또는 제3인산칼슘이 포집되어 있는 키토산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키틴,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폴리비닐에스테르(polyvinyl esters), 폴리스티렌(polystyrens), 셀룰로스 에테르(cellulose ethers), 셀룰로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s), 전분(starches), 글루코사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케라탄 설페이트(keratan sulfate), 더마탄 설페이트(dermatan sulfate), 헤파린(heparin) 및 헤파린 설페이트(heparin sulf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1-2(v/v)% 아세트산, 0.5-1M 사과산(DL-malic acid) 및 0.5-2M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50001663A 2004-06-03 2005-01-07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KR10064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651 WO2005118685A1 (en) 2004-06-03 2005-06-02 High molecular substance beads having 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s encapsulated therein, their preparation method and use
US11/628,234 US20070249733A1 (en) 2004-06-03 2005-06-02 High Molecular Substance Beads Having 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s Encapsulated Therein, Their Preparation Method and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551 2004-06-03
KR20040040551 2004-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204A KR20050115204A (ko) 2005-12-07
KR100645019B1 true KR100645019B1 (ko) 2006-11-14

Family

ID=3728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663A KR100645019B1 (ko) 2004-06-03 2005-01-07 비수용성 무기화합물이 포집되어 있는 고분자 비드,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48B1 (ko) 2011-11-18 2014-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 추출제를 포함하는 고분자겔,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4832A1 (en) 1980-12-15 1982-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A colloidal size hydrophobic polymer particulate having discrete particles of an inorganic material dispersed therein
KR840006366A (ko) * 1982-10-06 1984-11-29 매즈 외브리젠 고정효소 제제의 제조방법
JPH09165328A (ja) * 1995-12-15 1997-06-24 Noboru Harada 小球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用組成物
KR20010031034A (ko) * 1997-10-09 2001-04-16 페리오 프로덕츠 리미티드 전체 방출을 지연시키는 위장의 약물 송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4832A1 (en) 1980-12-15 1982-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A colloidal size hydrophobic polymer particulate having discrete particles of an inorganic material dispersed therein
KR840006366A (ko) * 1982-10-06 1984-11-29 매즈 외브리젠 고정효소 제제의 제조방법
JPH09165328A (ja) * 1995-12-15 1997-06-24 Noboru Harada 小球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用組成物
KR20010031034A (ko) * 1997-10-09 2001-04-16 페리오 프로덕츠 리미티드 전체 방출을 지연시키는 위장의 약물 송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48B1 (ko) 2011-11-18 2014-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 추출제를 포함하는 고분자겔,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204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g et al. In situ generation of hydroxyapatite on biopolymer particles for fabrication of bone scaffolds owning bioactivity
Fang et al. Hydroxyapatite crystal formation in the presence of polysaccharide
Murugan et al. Bioresorbable composite bone paste using polysaccharide based nano hydroxyapatite
Pourhaghgouy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freeze-cast chitosan nanocomposite scaffolds reinforced with bioactive glass
Shakir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engineered biocompatible n-HA/chitosan-tamarind seed polysaccharide: Bio-inspired nanocomposite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Ca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mogeneous chitosan–polylactic acid/hydroxyapatite nanocomposit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nd evaluation of its mechanical properties
Manjubala et al. Mineralisation of chitosan scaffolds with nano-apatite formation by double diffusion technique
Duan et al. Hierarchical microspheres constructed from chitin nanofibers penetrated hydroxyapatite crystals for bone regeneration
Rogina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hydroxyapatite within chitosan matrix
EP2334346B1 (de) Kompositmaterialien aus einer mit silikat und calciumphosphatphasen mineralisierten kollagenmatrix,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Valenzuela et al. Preparation and bioactive properties of novel bone‐repair bionanocomposites based on hydroxyapatite and bioactive glass nanoparticles
Chuysinuan et al. Injectable eggshell-derived hydroxyapatite-incorporated fibroin-alginate composite hydrogel for bone tissue engineering
US20070254007A1 (en) Chitosan/nanocrystalline hydroxyapatite composite microsphere-based scaffolds
KR101053118B1 (ko) 골 재생용 실크/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복합 나노섬유 지지체의 제조방법
Mobika et al. Substantial effect of silk fibroin reinforcement on properties of hydroxyapatite/silk fibroin nanocomposit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Leeuwenburgh et al. Functionalization of oligo (poly (ethylene glycol) fumarate) hydrogels with finely dispersed calcium phosphate nanocrystals for bone-substituting purposes
Dabiri et al. Characterization of alginate-brushite in-situ hydrogel composites
KR101886413B1 (ko) 히알루론산에 기반한 연조직 충진 조성물의 제조 방법
Liu et al. The regulating effect of trace elements Si, Zn and Sr on mineralization of gelatin-hydroxyapatite electrospun fiber
Said et al. Manufacturing methods,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bone tissue regeneration of hydroxyapatite-chitosan biocomposites: A review
CN102085391A (zh) 羟基磷灰石/壳聚糖-丝素蛋白纳米复合材料及制备方法
Ataie et al. Carboxymethyl carrageenan immobilized on 3D-printed polycaprolactone scaffold for the adsorption of calcium phosphate/strontium phosphate adapted to bone regeneration
US20070249733A1 (en) High Molecular Substance Beads Having Water-Insoluble Inorganic Compounds Encapsulated Therein, Their Preparation Method and Use
Sridevi et al. Valorization of biowaste derived nanophase yttrium substituted hydroxyapatite/citrate cellulose/opuntia mucilage biocomposite: A template assisted synthesis for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s
Nabipour et al. Evaluation of Ibuprofen Release from Gelatin/Hydroxyapatite/Polylactic Acid Nanocomposites: Ibuprofen Release from Gelatin/Hydroxyapatite/Polylactic Acid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