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341B1 - 차량이동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이동 제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3341B1 KR100643341B1 KR1020050030350A KR20050030350A KR100643341B1 KR 100643341 B1 KR100643341 B1 KR 100643341B1 KR 1020050030350 A KR1020050030350 A KR 1020050030350A KR 20050030350 A KR20050030350 A KR 20050030350A KR 100643341 B1 KR100643341 B1 KR 1006433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main shaft
- driven clutch
- driving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무인주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가 개시된다. 일단부가 로킹판과 결합하는 주축과, 주축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주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주축의 길이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만 하는 종동클러치와, 종동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종동클러치와 치합 또는 분리되며, 일방향으로만 주축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구동클러치와, 종동클러치와 구동클러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단순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로킹판의 역회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무인주차장, 로킹판, 클러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랑이동 제한장치에서 로킹판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b는 도 4의 이탈방지홈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축의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클러치의 분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종동클러치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종동클러치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랙의 이동에 연동하여 종동클러치가 구동클러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종동클 러치가 구동클러치에 치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랙의 이동에 연동하여 종동클러치가 구동클러치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로킹판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3 : 동력수단 15: 동력전달수단
17: 로킹판 19 : 주축 21 : 하우징
23 : 회전방지부재 25 : 구동클러치 27 : 종동클러치
29 : 가압부재 31 : 구동부재 33 : 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화된 구성을 통하여 주차된 차량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로킹판의 역회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 특히 무인 주차장에 있어서 주차장 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차량이동 제한장치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1305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주차된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중 로킹판을 차량의 하부면쪽으로 상승시키는 방법에 의해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즉, 로킹판을 상승시켜 차량의 앞뒤 바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로킹판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이동 제한장치에 사용되는 역회전 방지장치는 피니언축에 피니언과 별도의 요철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재에 걸림되는 걸림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피니언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은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동력수단과 걸림편의 조작하기 위한 조정밀대 또는 조정고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별도의 요철부재, 요철부재에 걸림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밀대 또는 조정고리 및 이를 제어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수단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특히,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협소한 공간내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설비가 복잡하고 특히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이동 장치는 걸림편 하나만으로 피니언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회전방지력이 그 만큼 감소할 수밖에 없다. 차량의 이동에 의해 로킹판에는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하는데, 이와 같이 큰 하중을 하나의 걸림편으로 역회전을 방지하기에는 그 회전방지력이 충분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판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를 간소화시켜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한 회전방지력을 제공하여 로킹판의 역회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일단부가 로킹판과 결합하는 주축과, 상기 주축에 일정 거리만큼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주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주축의 길이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종동클러치와, 상기 종동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클러치와 치합 또는 분리되며, 일방향으로만 상기 주축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구동클러치와, 상기 종동클러치와 상기 구동클러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로킹판의 상승과정에서 상기 종동클러치와 상기 구동클러치가 상호 치합하고, 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종동클러치와 치합한 상태에서 상기 주축의 자유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주축으로부터 로킹판의 상승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만을 주축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구동클러치와 치합하고 있는 상기 종동클러치는 상기 주축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로킹판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그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강한 회전방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상기 주축의 일부 및 상기 종동클러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종동클러치를 상기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종동클러치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을 가지고, 상기 종동클러치는 상기 제1삽입홈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에는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종동클러치의 회전을 방지하고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주축의 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므로써,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주축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클러치와 상기 가압부재는 볼베이링을 매개로하여 상호 접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종동클러치의 접합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클러치와 상기 종동클러치의 접합면에는 각각 다수 개의 클로를 상호 치합하게 형성함으로써 구동클러치와 종동클러치 사이에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홈에는 핀이 삽입되어 상기 주축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주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주축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주축으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받는일방향 클러치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피니언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레크이며, 상기 동력수단은 상기 레크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스(11)의 커버(미도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는 케이스(11), 축수용부(12), 동력수단(13), 동력전달수단(15), 로킹판(17), 주축(19), 하우징(21) 및 구동부재(3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홈(111)을 구비하며, 차량이동 제한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1)의 표면에는 자동차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수단(13)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수단(13)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는 랙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는 유압실린더 또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에어실린더는 부피가 작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수단(13)으로는 상기 구동부재(31)와 치합하는 동력전달수단인 기어를 구비한 모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은 상기 동력수단(13)의 작동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구동부재(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랙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인 랙의 길이 및 상기 구동부재(31)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로킹판(17)이 상기 케이스(11)에 대해 85°정도 상승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경우 승객이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차량의 최저지상고에 변화가 오게 되는데, 로킹판(17)이 90°로 상승하여 승객의 무게로 인해 로킹판(17)이 차량의 하부에 끼이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은 상기 동력수단(13)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부재(3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은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 또는 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로킹판(17)은 상기 케이스(11)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축(19)에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9)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하강한다. 상기 로킹판(17)은 차량 타이어에 접하여 차량의 임의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판(17)은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위치한 구동클러치(25) 및 종동클러치(27)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요금등의 정산 없이 강제로 상기 로킹판(17)을 하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킹판(17)의 상승, 역회전 방지 및 하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의 주축(19), 하우징(21), 회전방지부재(23), 구동클러치(25), 종동클러치(27), 가압부재(29), 구동부재(31) 및 스프링(33)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 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클러치(25), 스프링(33), 종동클러치(27), 가압부재(29) 및 구동부재(31)는 상기 주축(19)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부재(23)는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주축(19)의 일부 및 상기 구동클러치(25), 스프링(33), 종동클러치(27) 및 가압부재(29)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주축(19)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인 봉이며 구동부(191), 나사부(193), 클러치부(195) 및 판결합부(197)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91)의 일부, 상기 나사부(193), 클러치부(195)는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된다. 상기 주축(19)은 상기 구동클러치(25), 종동클러치(27), 가압부재(29) 및 구동부재(31)와 결합한다. 상기 주축(19)은 일반적으로 스틸(steel)과 같은 강성이 큰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191)에는 상기 구동부재(3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주축(19)의 일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91)의 반지름은 상기 나사부(193)의 골지름보다 작다. 상기 구동부(191)에는 상기 구동부재(31)의 중공부(315)가 삽입되며, 상기 주축(19)과 상기 구동부재(31) 사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92)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재(31)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나사부(193)는 상기 주축(19)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상기 구동부(191)와 상기 클러치부(195)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93)에는 상기 가압부재(29)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29)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과 나사결합한다. 상기 나사부(193)에 결합된 상기 가압부재(29)는 상기 구동부재(3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나사부(193)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사이동한다.
상기 클러치부(195)는 상기 나사부(193)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부(195)에는 상기 구동클러치(25) 및 종동클러치(27)가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부(195)에는 끼움돌기(1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돌기(196)에는 도 7에 도시된 상기 구동클러치(25)의 끼움홈(258)이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부(195)의 일단에는 단턱(19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클러치(25)가 상기 판결합부(197)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판결합부(197)는 상기 클러치부(195)의 일단에서 단턱(194)을 경계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판결합부(197)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수용부(12)에 삽입되어 상기 로킹판(17)과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21)은, 도 3 및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9)의 구동부(191)의 일부, 나사부(193) 및 클러치부(195)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부(193) 및 클러치부(195)에 삽입되는 상기 가압부재(29), 종동클러치(27) 및 구동클러치(25)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의 바닥에 고정되고 일단면은 상기 축수용부(12)와 접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은 중공부(211), 고정단턱(213) 및 제1삽입홈(215)을 구비한다.
상기 중공부(211)는 상기 하우징(21)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중공부(211)의 직경은 상기 구동클러치(25) 및 종동클러치(27)의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중공부(211)는 주축(19)의 클러치부(195) 및 나사부(193)에 결합된 상기 구동클러치(25), 종동클러치(27) 및 가압부재(29)를 수용한다.
상기 고정단턱(213)은 상기 중공부(211)의 내주면상에서 돌출되며, 상기 고정단턱(213)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클러치(25)가 안착되고, 타면에는 상기 스프링(33)이 안착된다.
상기 제1삽입홈(215)은 상기 하우징(21)의 내주면상에 상기 종동클러치(27)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제1삽입홈(215)은 반원의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회전방지부재(23)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상기 제1삽입홈(215)에 일부가 수용된 상기 회전방지부재(23)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종동클러치(27)의 제2삽입홈 (255)에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홈(215)에 삽입된 상기 회전방지부재(23)로 인해 상기 종동클러치(27)가 상기 하우징(21) 내부에서의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회전방지부재(23)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운동만 한다. 상기 제1삽입홈(215)의 형성위치 및 형성갯수는, 상기 종동클러치(27)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삽입홈(215)을 하나만 형성하거나 4개의 제1삽입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3)는 상기 제1삽입홈(215) 및 상기 제2삽입홈(255)에 삽입되어 상기 종동클러치(27)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삽입홈(215) 및 상기 제2삽입홈(255)의 단면 형상과 대응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3)는 상기 제1삽입홈(215)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의 내부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구동클러치(2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클러치(27)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구동판(251), 상기 구동판(251)과 결합하는 클러치베어링(256) 및 상기 클러치베어링(256)과 접하는 구동와셔(259)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클러치(25)는 상기 로킹판(17)의 상승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만 상기 주축(19)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클러치(25)는 상기 로킹핀(17)의 상승방향으로는 상기 주축(19)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주축(19)을 자유회전하게 한다.
상기 구동판(251)은 구동플렌지(252), 구동안착면(253), 중공부(254) 및 결합돌출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플렌지(252)는 상기 구동판(25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있으 며, 상기 구동플렌지(252)의 상면에는 다수의 구동클로(2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클로(252a)는 상기 종동클러치(27)의 종동클로(272a)와 치합(齒合)한다. 상기 구동클로(252a)가 증가할수록 상기 종동클로(272a)와 치합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상기 종동클러치(27) 사이에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상기 종동클러치(27)를 클로를 이용하여 힘을 전달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클러치(25)가 상기 종동클러치(27)와 결합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클로 및 종동클로를 대신하여 다수의 홈과 다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유체클러치 또는 전기클러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안착면(253)은 상기 구동플렌지(252)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외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구동안착면(253)에는 스프링(33)이 안착된다. 상기 중공부(254)는 상기 구동판(251)의 중앙에 관통된 구멍이다. 상기 중공부(254)는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의 중공부와 정렬되어 상기 주축(19)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55)는 상기 구동판(251)의 소정의 위치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의 판결합홈(257)에 결합한다. 상기 결합돌출부(255)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셋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은 상기 구동판(251)과 결합하며 상기 주축(19)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은 상기 주축(1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만 상기 주축(19)과 동시에 회전하고, 주축(1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주축(19)을 공전시킨다. 상기 클러치베어링(256) 은 자전거 뒷바퀴의 허브에 부착되어 있는 프리휠처럼, 한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로는 공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은 상기 결합돌출부(255)가 삽입되는 판결합홈(2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의 끼움홈(258)에는 상기 주축(19)의 클러치부(195)에 형성된 끼움돌기(196)가 삽입됨으로써, 로킹판의 하강시 상기 클러치베어링(256) 및 상기 구동판(251)은 상기 주축(19)과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의 이면에는 구동와셔(259)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종동클러치(27)는,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판(271), 제1와셔(277), 볼베어링(278) 및 제2와셔(279)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가압부재(29)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치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종동판(271)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판(251)의 구동플렌지(252)에 대응하는 종동플렌지(272)를 가진다. 상기 종동플렌지(272)의 상면에는 복수의 종동클로(27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클로(272a)는 상기 구동클로(252a)와 치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종동안착면(273)은 상기 구동플렌지(252)의 하단부에 형성된 면으로서, 상기 종동안착면(273)에는 상기 스프링(33)이 안착된다.
상기 중공부(274)는 상기 종동판(271)의 중앙에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274)에는 상기 주축(19)의 클러치부(195)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275)은 상기 종동판(271)의 외주면상에 상기 하우징(21)의 제1삽입홈(215)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홈(275)은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방지 부재(23)의 일부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봉(23)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 운동만하며,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종동클러치(27)의 내주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미도시)와, 상기 주축(19)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미도시)에 의해 상기 종동클러치(27)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삽입홈(276)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판(271)의 이면에 형성된 홈이다. 상기 베어링삽입홈(276)에는 제1와셔(277), 볼베어링(278) 및 제2와셔(279)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와셔(277) 및 제2와셔(279)는 오목한 홈(277a)을 구비하여 상기 볼베어링(278)의 볼을 안내한다. 상기 가압부재(29)와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볼베어링(279)을 매개로하여 접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재(29)의 회전력이 마찰에 의해 상기 종동클러치(27)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클러치(27)와 상기 가압부재(29)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9)의 회전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29)는 상기 구동부재(31)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종동클러치(27)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29)의 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렌지(291)가 상기 구동부재(3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압플렌지(291)에는 끼움홈(293)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293)에 상기 구동부재(31)의 돌출부(311)가 삽입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가압부재(29)의 중앙에는 중공부(29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297)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9)의 나사부 는 상기 주축(19)의 나사부(193)와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29)는 상기 주축(19)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나사이동한다.
상기 구동부재(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9)의 구동부(191)에 삽입되는 피니언이다. 상기 구동부재(31)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홈(313)과 상기 핀(192)에 의해 상기 주축(19)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축(19)에 대해서 소정의 길이만큼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수단(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서 상기 가압부재(29) 및 상기 주축(19)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재(31)를 피니언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동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가압부재(29) 및 주축(19)에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니언의 기어 대신에 벨트 또는 체인 등을 모터와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재(31)는 돌출부(311), 이탈방지홈(313) 및 중공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구동부재(31)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끼움홈(293)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끼움홈(293)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재(31)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부재(29)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동력수단(13)이 상기 구동부재(31)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상기 구동부재(31)가 상기 주축(19)에 대해 자유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부재(29)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29)는 나사이동하면서 상기 종동클러치(27)를 상기 구동클러치(25)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이탈방지홈(313)은 상기 구동부재(31)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이탈방지홈(313)에는 핀(192)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재(31)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31)은 상기 이탈방지홈(313)의 길이만큼 상기 주축(19)에 대해 자유 회전한다. 따라서, 로킹판(17)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재(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주축(19)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구동부재(31)만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부재(29)를 회전시켜 상기 종동클러치(27)를 상기 구동클러치(25)와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로킹판(17)을 하강시키면 상기 주축(19)과 상기 구동클러치(25)만이 상기 로킹판(17)과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재(31)가 상기 주축(19)에 대해 자유 회전하지 않고 주축(19)과 동시에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베어링(256)에 의해 상기 로킹판(17)의 하강시 상기 주축(19)이 상호 치합되어 있는 구동클러치(25) 및 종동클러치(27)와 동시에 회전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종동클러치(27)는 회전이 상기 회전방지부재(23)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재(31)의 회전도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홈(313)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재(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주축(19)에 대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재(31)의 중공부(315)의 내부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주축의 구동부(191)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315)는 상기 구동부재(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주축(19)의 구동부(191)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33)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구동클러치(25)의 구동안착면 (253)과 상기 종동클러치(27)의 종동안착면(273)에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종동클러치(27)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클러치(25)에서 이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종동클러치(27)는 항상 상기 스프링(33)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29)에 의해 가압된 경우만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치합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로킹판(17)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15)의 이동에 연동하여 종동클러치(27)가 구동클러치(25)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동력수단(미도시)이 작동하여 동력전달수단인 랙(15)을 도 9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구동부재(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재(31)는 상기 이탈방지홈(313)에 삽입된 상기 핀(192)에 걸림되어 상기 주축(1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구동클러치(25)의 클러치베어링(256)은 주축(19)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받고 시계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동클러치(25)는 상기 주축(1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그 자신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주축(19)의 공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주축(19)의 판결합부(197)에 연결된 상기 로킹판(17)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는 상기 끼움홈(293)에 삽입된 돌출부(311)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재(29)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31)의 회전에 연 동하여 상기 가압부재(29)가 상기 나사부(193)를 따라 상기 구동클러치(25)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종동클러치(27)와 상기 가압부재(29) 사이에는 상기 볼베어링(278)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재(29)는 상기 종동클러치(27)에 축방향의 힘만을 전달한다. 이로 인해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회전방지부재(2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구동클러치(25)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가압부재(29)의 나사이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33)을 압축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치합한다. 상기 로킹판(17)이 소정의 각도로 상승하면 상기 동력수단(13)이 정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종동클러치(27)가 구동클러치(25)에 치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로킹판(17)이 원하는 각도만큼 상승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15) 및 구동부재(31)가 정지하고, 상기 스프링(33)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상기 종동클러치(27)가 치합한다. 상기 구동부재(31)는 고정된 상기 동력전달수단(15)에 의해 상기 주축(19)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29)도 상기 주축(19)의 나사부(193)의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치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로킹판(17)에 반시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로킹판(17)을 역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로킹판(17)과 연결된 상기 주축(19)은 상기 구동클러치(25)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클러치(25)의 클러치베어링(256)은 상기 주축(1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상기 주축(19)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클러치(25)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구동판(251)은 상기 종동클러치(27)의 종동판(271)과 치합하고 있는데,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재(23)에 의해 회전을 방해받기 때문에 상기 구동클러치(25) 및 상기 종동클러치(27)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주축(19)도 외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전자가 요금의 정산없이 무단으로 상기 로킹판(17)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회전방지부재(23)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강한 회전방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상기 로킹판(17)이 역회전하여 하강하는 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이동 제한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15)의 이동에 연동하여 종동클러치(27)가 구동클러치(2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로킹판(17)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5)이 도 1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부재(31)가 상기 이탈방지홈(313) 길이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부재(29)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주축(19)은 상기 구동부재(31)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가압부재(2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압부재(31)를 향해 나사이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종동클러치(27)는 상기 스프링 (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방지부재(23)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치합을 해제한다. 이 때 상기 로킹판(17)을 역회전시키기 위해서 외력을 작용하면 상기 주축(19) 및 상기 구동클러치(25)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로킹판(17)이 하강한다. 이는 상기 구동클러치(25)에 대한 상기 종동클러치(27)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구동클러치(25) 및 상기 주축(19)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클러치(25)와 상기 종동클러치(27)는 분리되었기 때문에, 종동클러치(27), 가압부재(29) 및 구동부재(31)는 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킹판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를 간소화시켜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회전방지력을 제공하여 로킹판의 역회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0)
- 일단부가 로킹판과 결합하는 주축과;상기 주축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주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주축의 길이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가압부재와;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만 하는 종동클러치와;상기 종동클러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클러치와 치합 또는 분리되며, 일방향으로만 상기 주축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구동클러치와;상기 종동클러치와 상기 구동클러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상기 주축의 일부 및 상기 종동클러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종동클러치를 상기 주축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종동클러치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제1홈을 가지고, 상기 종동클러치는 상기 제1삽입홈에 대응하는 제2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에는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주축의 장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종동클러치와 상기 가압부재는 볼베어링을 개재하여 접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클러치와 상기 종동클러치의 접합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클로가 상 호 치합되게 형성된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홈에는 핀이 삽입되어 상기 주축에 고정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주축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주축으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받는 일방향 클러치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량이동 제한장치는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차량이동 제한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재는 피니언이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레크이며, 상기 동력수단은 상기 레크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인 차량이동 제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350A KR100643341B1 (ko) | 2005-04-12 | 2005-04-12 | 차량이동 제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350A KR100643341B1 (ko) | 2005-04-12 | 2005-04-12 | 차량이동 제한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1134U Division KR200395403Y1 (ko) | 2005-04-21 | 2005-04-21 | 차량이동 제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8156A KR20060108156A (ko) | 2006-10-17 |
KR100643341B1 true KR100643341B1 (ko) | 2006-11-10 |
Family
ID=3762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0350A KR100643341B1 (ko) | 2005-04-12 | 2005-04-12 | 차량이동 제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33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8376A (zh) * | 2017-02-22 | 2017-05-10 | 北京慧泊金科技有限公司 | 一种可锁死防撞车位锁及方法 |
KR102039413B1 (ko) * | 2018-12-19 | 2019-11-27 | 박노준 | 도로표지판, 카메라 또는 신호등 설치를 위한 회전식 종합폴 |
CN109944192A (zh) * | 2019-04-25 | 2019-06-28 | 常熟虞星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限制陌生人停车的阻碍装置 |
KR102333719B1 (ko) * | 2021-02-17 | 2021-12-01 | 강신구 | 차량용 승강기의 추락방지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6123A (ja) * | 1995-10-03 | 1997-04-08 | Nippon Park Kk | 駐車管理機 |
JPH1162302A (ja) | 1997-08-12 | 1999-03-05 | Kaa Tec Kk | ロック式駐車装置 |
KR20040079076A (ko) * | 2003-03-06 | 2004-09-14 | 이승백 | 밸브 액츄에이터의 디클러칭 시스템 |
KR200367647Y1 (ko) | 2004-07-30 | 2004-11-10 | 황호순 | 리모콘으로 조작가능한 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
KR20040102373A (ko) * | 2003-05-27 | 2004-12-08 | 벽암개발 주식회사 | 피니언 샤프트의 역회전 방지 장치 |
-
2005
- 2005-04-12 KR KR1020050030350A patent/KR1006433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6123A (ja) * | 1995-10-03 | 1997-04-08 | Nippon Park Kk | 駐車管理機 |
JPH1162302A (ja) | 1997-08-12 | 1999-03-05 | Kaa Tec Kk | ロック式駐車装置 |
KR20040079076A (ko) * | 2003-03-06 | 2004-09-14 | 이승백 | 밸브 액츄에이터의 디클러칭 시스템 |
KR20040102373A (ko) * | 2003-05-27 | 2004-12-08 | 벽암개발 주식회사 | 피니언 샤프트의 역회전 방지 장치 |
KR200367647Y1 (ko) | 2004-07-30 | 2004-11-10 | 황호순 | 리모콘으로 조작가능한 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8156A (ko) | 2006-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55112B1 (de) | Bremsgerät für ein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kugelgewindetrieb | |
US6322221B1 (en) | Mirror operating mechanism | |
US9568058B2 (en) | Disc brake | |
US5010970A (en) | Power-assisted steering system | |
US6695118B2 (en) | Reverse input blocking clutch and clutch device using the same | |
CN1991118B (zh) | 门驱动装置 | |
KR100643341B1 (ko) | 차량이동 제한장치 | |
KR20110093061A (ko) | 2단 유성기어가 모듈화되어 적용된 자동차용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 |
CN212106898U (zh) | 驻车装置及车辆 | |
JP2005538323A (ja) | 自動車の自動変速機用駆動ギヤセレクタ装置 | |
US8025129B2 (en) | Overrunning clutch parking brake actuator | |
KR20070039525A (ko) | Asr 핸드 브레이크를 위한 해제 홀딩 기구 | |
CN111469970B (zh) | 一种电动自行车链轮离合驱动方法 | |
EP1789696B1 (de) | Scheibenbremse mit einer nachsteillvorrichtung insbesondere f]r nutzfahrzeuge | |
JP2008279827A (ja) | インナーケーブルの連結解除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駆動装置 | |
KR200395403Y1 (ko) | 차량이동 제한장치 | |
JP7277673B2 (ja) | 電子パーキングの機械的ロック解除機構 | |
CA2782890C (en) |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ing device | |
KR102145987B1 (ko) |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 |
US7127921B2 (en) | Locking device for steering shaft and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device | |
KR100795356B1 (ko) | 자동변속기의 파킹 기구용 안전 장치 | |
KR100434018B1 (ko) |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 |
AU2006338082B2 (en) | Device for mechanically releasing a motor-actuated 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 |
US20170212547A1 (en) | Actuator device | |
CN209972427U (zh) | 一种车辆电子驻车制动动力装置及车辆电子驻车制动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