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654B1 -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654B1
KR100642654B1 KR1020040107839A KR20040107839A KR100642654B1 KR 100642654 B1 KR100642654 B1 KR 100642654B1 KR 1020040107839 A KR1020040107839 A KR 1020040107839A KR 20040107839 A KR20040107839 A KR 20040107839A KR 100642654 B1 KR100642654 B1 KR 10064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sewage
washing water
sedi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900A (ko
Inventor
박성덕
Original Assignee
박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덕 filed Critical 박성덕
Priority to KR102004010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6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오물이 혼합되어 있는 침사를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입호퍼(10), 상기 유입호퍼(10)에서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걸림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디스크(22)로 구성되는 스크린(20), 상기 스크린(20)의 디스크(22) 사이에 삽입된 오물을 분리해내는 다수의 디스크(26)로 구성된 회전분리기(25), 상기 스크린(20)의 하부에 구성되어 오물이 분리된 침사를 일시 수납하고 1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광하협 형상을 하는 1차 세정탱크(30),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장치(40),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하부에 침전되는 침사를 이송하는 1차 이송스크류(50), 상기 1차 이송스크류(50)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침사배출관(61)이 형성되어 있는 2차 세정탱크(60), 상기 2차 세정탱크(60)에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70),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임펠라(81)와 그 임펠라(81)를 구동하는 교반장치, 그리고 상기 침사배출관(61)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침사를 2번이나 세정하므로 세정효과가 뛰어나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침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고 대용량의 처리능력을 가지며 제작단가가 저렴하다.
하수처리장, 침사처리시스템, 스크린, 분리, 세정, 스크류, 침사배출관

Description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SEDIMENT TREATMENT SYSTEM OF SEWAGE AND DIRTY WATER TREATMENT 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처리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처리시스템의 유입호퍼, 스크린과 회전분리기, 수거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과 회전분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입호퍼 20: 스크린
21: 회전축 22: 디스크
22a: 걸림홈 23: 감속모터
25: 회전분리기 26: 디스크
27: 회전축 28: 체인
29: 수거함
30: 1차 세정탱크 31: 물배출구
40: 세정수 분사장치 41: 물공급파이프
42: 분사노즐 50: 1차 이송스크류
51: 감속모터 60: 2차 세정탱크
61: 침사배출관 70: 세정유도부
71: 유입호스 72: 유출호스
80: 교반장치 81: 임펠라
82: 고속모터 90: 2차 이송스크류
100: 에어 컨베이어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 처리장에서 사용되는 침사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사 분리 및 세정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실행함으로써 침사처리용량을 크게 하고 또한 분리된 침사를 확실하게 세정하여 침사로부터 악취가 전혀 나지 않게 하여 고품질의 침사를 재생산하는 침사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 폐수처리장, 축산분뇨 처리장, 배수 펌프장 등 하수 및 오수 처리장에서는 유입부에 많은 침사가 쌓이게 된다. 이 침사가 유입부에 쌓이게 되면 유입부가 막히게 되고 또한 침사가 처리장의 기계 등에 끼어 들어 기계의 오동작을 일으키므로 침사는 주기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침사는 각종 오물과 혼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악취가 나므로 혼합물과 분리하여 악취를 제거하여 재활용을 한다.
종래 침사를 분리하고 세정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장치 는 값비싼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세정이 확실하게 하지 못하여 침사로부터 악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또한 짧은 시간에 대용량의 침사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비용이 저렴하고 침사의 세정을 확실하게 하여 악취가 전혀 나지 않게 하고 짧은 시간에 대용량의 침사를 처리하는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를 분리, 세정하는 침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오물이 혼합되어 있는 침사를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입호퍼, 상기 유입호퍼에서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디스크 사이에 삽입된 오물을 분리해내는 다수의 디스크로 구성된 회전분리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구성되어 오물이 분리된 침사를 일시 수납하고 1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광하협 형상을 하는 1차 세정탱크, 상기 1차 세정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장치, 상기 1차 세정탱크의 하부에 침전되는 침사를 이송하는 1차 이송스크류, 상기 1차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침사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2차 세정탱크, 상기 2차 세정탱크에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 상기 2차 세정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임펠라와 그 임펠라를 구동하는 고속모터로 구성된 교반장치, 그리고 상기 침사배출관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1차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하부에 3개이상의 침사배출관이 일정간격으로 분기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2차 세정탱크, 상기 2차 세정탱크에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 상기 2차 세정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임펠라와 그 임펠라를 구동하는 고속모터로 구성된 교반장치, 그리고 상기 침사배출관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처리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처리시스템의 유입호퍼, 스크린과 회전분리기, 수거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과 회전분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유입호퍼(10), 상기 유입호퍼(10)에서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스크린(20), 상기 스크린(20)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1차 세정탱크(30), 상기 1차 세정 탱크(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세정수 분사장치(40),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하부에 침전되는 침사를 이송하는 1차 이송스크류(50), 상기 1차 이송스크류(50)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2차 세정탱크(60), 상기 2차 세정탱크(60)에 세정수를 주입하는 세정수유도부(70),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교반장치(80), 그리고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90)를 포함한다.
유입호퍼(10)는 처리장에서 채취한 오물이 뒤섞여 침사를 처리시스템으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입호퍼(10)는 침사가 상부에서 유입하여 스크린(20)의 측방으로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호퍼(10)는 각 스크린(20)마다 설치된다.
스크린(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22) 다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22)의 중심에는 회전축(21)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1)과 디스크(22)의 관통공 사이에는 키이(미도시)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다수의 디스크(22) 사이의 간격은 침사는 통과하고 오물은 통과하지 않는 정도로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부에는 오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20) 3개가 하나의 회전축(21)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21)은 하나의 감속모터(23)에 의하여 회전한다.
스크린(20)과 회전분리기(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분리를 위하여 서로 겹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스크린(20)의 디스크(22)사이에 회전분리기(25)의 디스크(26)를 삽입하게 구성하여 스크린(20)의 디스크(22)에 끼여 있는 오물을 빼내도록 되어 있다. 오물은 1차 세정탱크(30)의 외부에 있는 오물수거함(29)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분리기(25)의 다수의 디스크(26)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27)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26)의 중심에는 회전축(27)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7)과 디스크(26)의 관통공 사이에는 키이(미도시)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7)은 스크린(20)의 회전축(21)과 체인(28)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도 3은 상기 유입호퍼(10), 스크린(20)과 회전분리기(25), 수거함(29)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차 세정탱크(30)는 상기 스크린(20)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침사를 수납하고 모을 수 있도록 상광하협(上廣下陜)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세정수가 침사와 함께 이송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경사되어 있다. 1차 세정탱크(30)내에서 침사가 1차적으로 세정된다.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상부에 설치된 세정수 분사장치(40)는 스크린(20)의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물공급파이프(41)와 그 물공급파이프(41)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42)로 구성되어 있다. 세정수분사장치(40)의 설치위치는 전술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1차 세정탱크(30)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이며 어떤 구조라도 좋다. 1차 이송스크류(50)는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하부에 침전되는 침사를 이송하여 1차 세정탱크(30)의 외부로 배출하며 감속모터(51)에 의하여 회전한다.
2차 세정탱크(60)는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침사배출관(61)이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70)가 구성되어 있다. 침사배출관(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분에서 경사져 있으며 3개가 120도 각도로 균일하게 분기되어 있다. 침사배출관(61)과 2차 이송스크류(90)가 많이 구성되어 있을 수록 대용량의 침사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1차 세정장치의 용량에 따라 침사배출관(61)과 2차 이송스크류(90)의 설치 대수를 변경하여 침사를 처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세정수 유도부(70)는 탱크 내에 세정수를 유입하는 유입호스(71)와 탱크내의 세정수를 유출하는 유출호스(72)로 구성된다.
교반장치(80)는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상부에 설치되어 2차 세정탱크(60) 내에 유입되는 침사와 세정수를 교반함으로써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한다. 세정된 침사는 하부로 침전하여 3개의 침사배출관(61)으로 이동한다. 교반장치(80)는 2차 세정탱크(60)내에서 회전하는 임펠라(81), 상기 임펠라(81)를 회전시키는 고속모터(82)로 구성된다.
2차 이송스크류(90)는 각 침사배출관(61)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침사를 세정수로부터 분리하면서 배출한다. 2차 이송스크류(90)에서 배출되는 세정된 침사는 에어 컨베이어(100)에 의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각각의 2차 이송스크류(90)마다 에어 컨베이어(100)를 설치할 수도 있고 각 2차 이송스크류(90)에서 배출되는 침사를 하나의 에어컨베이어(100)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하수 및 오수 처리장에서 채취한 침사에는 오물이 혼합되어 있고 악취가 발생하여 그대로 재활용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채취한 침사를 컨베이어 등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유입호퍼(10)에 집어넣는다. 침사는 오물과 함께 대형의 스크린(20)으로 이동하여 크기가 작은 침사는 스크린(20)의 디스크(22)사이를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하고 오물은 디스크(22)에 걸려 걸림홈(22a)에 의하여 회전되다가 회전분리기(25)에 의하여 분리되어 수거함(29)으로 이동된다. 수거함(29)에 수거되는 오물은 폐기된다.
오물이 스크린(20)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부에서 물이 분사되므로 오물에 혼합되어 있는 침사는 분리되어 아래로 낙하한다.
한편 1차 세정탱크(30)에는 세정수 분사장치(40)에 의하여 세정수가 공급된다. 세정수 분사장치(40)는 물공급파이프(41)에 설치된 분사노즐(42)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1차 세정탱크(30)내에서 세정수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물배출구(31)를 통해서 배출된다.
침사는 1차 세정탱크(30)의 세정수 내부에서 낙하되면서 세정되고, 하부의 1차 이송 스크류(5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1차 이송 스크류(50)는 경사져 있기 때문에 세정수를 제외한 침사만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1차 세정탱크(30)에서 1차적으로 세정된 침사는 2차 세정탱크(60)로 공급되어 2차적으로 세정된다. 2차 세정탱크(60)에는 유입호스(71)를 통하여 깨끗한 세정수가 유입되며 또한 탱크내의 수위가 일정 이상 올라가는 경우에는 유출호스(72)를 통하여 유출된다.
2차 세정탱크(60)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침사는 위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서 세정수에 의하여 세정되고 하부에 분기되어 있는 다수의 침사배출관(61)으로 들어가고 각 침사배출관(61)의 끝단에 수직으로 구성된 2차 이송스크류(9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2차 이송스크류(90)는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는 배출되지 않고 세정된 침사만이 배출된다.
2차 세정탱크(60)에서 깨끗하게 세정된 침사는 에어 컨베이어(100)에 의하여 원하는 장소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침사를 스크린(20)에 의하여 오물을 분리한 후 2차례에 걸쳐 세정하고 침사는 세정탱크내에서 낙하하면서 세정되므로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2차 세정탱크(60)에서는 임펠라(81)에 의하여 세정수를 교반하면서 낙하하는 침사를 세정하고, 침사배출관(61)쪽으로 침전된 침사를 2차 이송스크류(90)에 의하여 배출하고 오물찌꺼기를 포함하는 부유물은 탱크의 상부로 떠올라 유출호스(72)를 통하여 탱크를 빠져 나오게 하므로 침사는 부유물로부터 격리되어 세정되므로 세정효과가 더욱 뛰어나다.
그리고 2차 세정탱크(60)에서 3개 이상의 침사배출관(61)으로 침사를 분리하여 배출하므로 처리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값비싼 사이클론을 사용하지 않고 오물과 침사를 분리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은 침사의 세정효과가 뛰어나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침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고 대용량의 처리능력을 가지며 제작단가가 저렴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를 분리, 세정하는 침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오물이 혼합되어 있는 침사를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입호퍼(10),
    상기 유입호퍼(10)에서 유입되는 침사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걸림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디스크(22)로 구성되는 스크린(20),
    상기 스크린(20)의 디스크(22) 사이에 삽입된 오물을 분리해내는 다수의 디스크(26)로 구성된 회전분리기(25),
    상기 스크린(20)의 하부에 구성되어 오물이 분리된 침사를 일시 수납하고 1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광하협 형상을 하는 1차 세정탱크(30),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장치(40),
    상기 1차 세정탱크(30)의 하부에 침전되는 침사를 이송하는 1차 이송스크류(50),
    상기 1차 이송스크류(50)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침사배출관(61)이 형성되어 있는 2차 세정탱크(60),
    상기 2차 세정탱크(60)에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70),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임펠라(81)와 그 임펠라(81)를 구동하는 고속모터(82)로 구성된 교반장치, 그리고
    상기 침사배출관(61)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2. 1차 이송스크류(50)에 의하여 이송된 침사를 2차적으로 세정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침사를 세정하기 위하여 하부에 3개이상의 침사배출관(61)이 일정간격으로 분기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2차 세정탱크(60),
    상기 2차 세정탱크(60)에 세정수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세정수유도부(70),
    상기 2차 세정탱크(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교반하는 임펠라(81)와 그 임펠라(81)를 구동하는 고속모터(82)로 구성된 교반장치, 그리고
    상기 침사배출관(61)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2차 이송스크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20040107839A 2004-12-17 2004-12-17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064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39A KR100642654B1 (ko) 2004-12-17 2004-12-17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39A KR100642654B1 (ko) 2004-12-17 2004-12-17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927U Division KR200378894Y1 (ko) 2004-12-17 2004-12-17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900A KR20060068900A (ko) 2006-06-21
KR100642654B1 true KR100642654B1 (ko) 2006-11-10

Family

ID=3716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39A KR100642654B1 (ko) 2004-12-17 2004-12-17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1008768B1 (ko) * 2010-01-26 2011-01-14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교반 및 분리장치가 설치된 침사 탈수기
KR101352690B1 (ko) * 2013-05-02 2014-01-17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협잡물종합처리기
CN113023945A (zh) * 2021-03-16 2021-06-25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066Y1 (ko) 2001-11-15 2002-09-13 주식회사 서남환경 토사 및 협잡물 제거장치
JP2003090195A (ja) 2001-07-12 2003-03-28 Hanshin Kensetsu Co Ltd 泥濃式または泥土圧式推進工法における排泥処理設備
KR200344615Y1 (ko) 2003-12-10 2004-03-16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협잡물 처리장치
KR200346465Y1 (ko) 2003-12-31 2004-03-30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195A (ja) 2001-07-12 2003-03-28 Hanshin Kensetsu Co Ltd 泥濃式または泥土圧式推進工法における排泥処理設備
KR200289066Y1 (ko) 2001-11-15 2002-09-13 주식회사 서남환경 토사 및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44615Y1 (ko) 2003-12-10 2004-03-16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협잡물 처리장치
KR200346465Y1 (ko) 2003-12-31 2004-03-30 주식회사 미래종합이엔지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900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078B1 (ko) 여과재 세정 장치
JP2008126145A (ja) 沈砂池の集砂装置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642654B1 (ko)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CN111347587A (zh) 废旧塑料清洗回收生产线
KR101728283B1 (ko) 2단 구획구조를 갖는 침사 세정장치 및 침사 세정시스템
JP4716204B2 (ja) 汚砂・し渣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汚砂・し渣洗浄処理装置
CN110655215A (zh) 用于含油污水的处理装置
KR200378894Y1 (ko)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20090033993A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200417549Y1 (ko)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KR100397530B1 (ko) 원심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CN212498497U (zh) 废旧塑料清洗回收生产线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JP7406523B2 (ja) 沈砂洗浄装置
CN111318501A (zh) 药材清洗机
KR200221274Y1 (ko) 경사판과 유동상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JP2001129426A (ja) 洗浄処理装置
JPH01164409A (ja) 浄化装置
JP3396684B2 (ja) 洗浄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55149B1 (ko)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직접여과장치
CN219149514U (zh) 一种用于城镇污水处理厂的洗砂分砂器
KR102470849B1 (ko) 회전 브러시가 구비된 하폐수 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0429422B1 (ko)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