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426B1 -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426B1
KR100640426B1 KR1020050050973A KR20050050973A KR100640426B1 KR 100640426 B1 KR100640426 B1 KR 100640426B1 KR 1020050050973 A KR1020050050973 A KR 1020050050973A KR 20050050973 A KR20050050973 A KR 20050050973A KR 100640426 B1 KR100640426 B1 KR 10064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frame
data
video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는 녹화가 불가능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중 녹화를 허용하고자 하는 프레임 내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비트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방송 재생 시 해당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에서 녹화 허용 비트를 검색하여 녹화가 가능한 경우 녹화 가능한 상태임을 통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녹화를 결정함으로써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되는 방송 스틸컷 또는 특정 방송 부분을 녹화할 수 있게 된다.
방송, 프레임, 녹화

Description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METHOD OF RECORDING BROADCASTING PER A FRAME UNIT AND THE TERMINAL THER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설정을 위한 화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ES 패킷과 TS 패킷의 맵핑(mapping)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는 TS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는 PES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녹화 허용된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방송을 프레임 단위로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에 다수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가 바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EPG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는 무엇인지, 또한 방송 채널은 어떤 채널인지, 그리고 앞으로 제공될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은 언제이며, 또 종료 시각은 언제인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EPG 서비스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원하는 방송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예약함으로써 예약된 시간동안 방송을 녹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EPG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 프로그램 단위로 방송을 녹화한다. 이와 같이 사 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은 과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방송에서의 녹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예약 녹화를 설정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직접적인 저장 장치 제어를 통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송 녹화 방법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은 상기 시간 동안에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광고 등과 같은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저장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송신단에서 저작권 보호 등의 이유로 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녹화가 제한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사용자는 아예 해당 방송 프로그램 자체를 녹화할 수 없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예약 녹화 기능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방송을 녹화할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도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단위로 밖에 저장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녹화키를 누름으로써 방송을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도 녹화가 제한된 방송이면 원하는 방송 부분을 녹화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서비스 업체측에서 일부분만 녹화가 제한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하는 방송 스틸컷 또는 특정 방송 부분만을 사용자측에서 선택적으로 녹화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중 방송 스틸컷 또는 특정 방송 부분만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분만 녹화가 허용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녹화가 허용된 부분을 편리하게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데이터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Parsing)하는 과정과, 상기 파싱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이 녹화 허용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부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 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된 프레임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는 녹화가 불가능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중 녹화를 허용하고자 하는 프레임 내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비트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방송 재생 시 해당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에서 녹화 허용 비트를 검색하여 녹화가 가능한 경우 녹화 가능한 상태임을 통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녹화를 결정함으로써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되는 방송 스틸컷 또는 특정 방송 부분을 녹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이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 이하, TS 패킷)을 역다중화한 후 디코딩 과정을 거쳐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으로 만든다. 즉,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는 방송 데이터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한다. 이 때,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부 및 디코더부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 구현된 각 구성부에서의 동작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는 외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도시하지 않음)가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채널에 실을 수 있도록, TS 패킷 사이즈에 맞게 쪼개어 다중화한 후, 그 TS 패킷을 변조하여 RF 신호로 송출된 것이다.
이어 방송 데이터가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Parsing)되면, 파싱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는 멀티미디어부(14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부(140)는 AVPB(Audio/Video Processing Block)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부(140)는 방송 서비스 모드 시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전달된 각각의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30) 및 오디오 처리부(15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경우, 각 프레임은 i프레임 및 p프레임 단위로 구성되며,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도 코덱에 따라 다르지만 ADTS(Audio Data Transport Stream)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자체 또는 그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분이 녹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 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비트 예컨대,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녹화 허용 비트의 설정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녹화 제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은 실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프레임에 녹화 허용 비트를 설정하게 되면, 단말기에서는 불필요한 데이터가 삽입되지 않은 방송 프로그램 자체를 녹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 특정 영상이나 오디오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해당 프레임에 녹화 허용 비트를 설정하게 되면, 단말기에서는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되는 특정 영상이나 오디오에 대한 프레임을 녹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단위로 녹화 허용 여부를 설정함으로써, 단말기에서는 연속적으로 녹화 허용된 프레임일 경우에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특정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프레임에만 녹화가 허용된 경우에는, 단말기에서는 스틸컷 형식으로 해당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부(140)가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30) 및 오디오 처리부(150)로 출력하기 전에 제어부(170)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소정 필드를 검색하여 재생하고 있는 방송 데이터에 대해 녹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녹화 가능한 프레임일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표시부(130) 상에 녹화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중첩 형식 또는 팝업창 형식을 통해 표시한다. 그러면, 이 메시지를 통해 녹화 가능 상태임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녹화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부(170)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녹화키를 누를 경우, 단말기는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녹화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녹화 설정 메뉴를 통해 정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설정을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설정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에는 '1. 자동 녹화 설정', '2. 녹화 가능 프레임 알림', '3. 녹화 시점 설정' 등의 메뉴가 포함된다.
'1. 자동 녹화 설정' 은 사용자에 의해 자동 녹화가 설정되면, 예약 녹화시처럼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키조작없이도 녹화 가능한 프레임에 대해서 자동으로 녹화하는 기능을 말한다.
'2. 녹화 가능 프레임 알림' 은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녹화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거나 방송 시청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녹화 가능 프레임을 알리는 메시지의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3. 녹화 시점 설정' 은 녹화가 시작되는 시점을 결정하는 기능으로서, 이에 대한 서브 메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눌림 시점부터 해당 프레임을 녹화하는 기능, 10초 전 등 키눌림 시점의 소정 초(Second) 이전부터 녹화하는 기능, 최초 녹화 가능 프레임부터 녹화하는 기능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녹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각 프레임에 설정된 녹화 허용 비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면서 녹화가 허용된 프레임이 검출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녹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리(18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16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방송 서비스 수행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면서 녹화 가능한 프레임이 있으면 녹화 가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멀티미디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멀티미디어부(140)로 전달한다.
키입력부(16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16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7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8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방송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멀티미디어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무선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허용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가 설정되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구조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는 TS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는 PES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살펴보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ES 패킷과 TS 패킷의 맵핑(mapping) 구조를 도시한 도면인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에서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채널에 실을 수 있도록, AU(Access Unit)를 일정 간격으로 자르고, 그 잘라진 각각의 블록에 PES 헤더를 부가하여 PES 패킷으로 만든 후,이 PES 패킷을 TS 패킷 사이즈에 맞게 나눈다. 이어, 나누어진 PES 패킷 각각에는 TS 헤더가 부가되어 TS 패킷이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는 녹화 허용 플래그를 PES 패킷의 소정 필드 또는 TS 패킷의 소정 필드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를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해 TS 패킷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그를 설정하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PES 패킷은 여러 개의 TS 패킷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TS 패킷의 마지막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aptation field가 존재한다. 이러한 Adaptation field는 도면부호 40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stuffing bytes 를 가지며, stuffing bytes(400)는 Null값(0xFF)로 채워져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Video PES가 42개의 Video TS로 구성된다고 가정했을 경우, 42번째 Video TS는 stuffing bytes용으로 상당부분이 Null값으로 채워져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당부분이 Null값으로 채워져있는 stuffing bytes(400)의 한 비트를 녹화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이용할 수 있다. stuffing bytes(400) 이외에도 여분의 필드 예컨대, optional field 중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splice countdown(410) 또는 adaptation field extension length(420)에 녹화 허용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TS 패킷과 도 5에 도시된 PES 패킷의 구조는 통상적인 쓰이는 TS 패킷 및 PES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므로, 각 패킷의 각 필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PES 패킷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그를 설정하는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ES 패킷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녹화 허용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는 PES 패킷의 optional field 중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DSM trick mode(510) 또는 PES extension(520)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optional PES HEADER의 처음 '10' field에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서는 PES 패킷 또는 TS 패킷의 특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그를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예비 필드(reserved field) 또는 optional field 등 실제 사용하지 않는 필드이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에서 녹화 허용 플래그를 통해 녹화 허용된 프레임을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녹화 허용된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6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방송 데이터 재생 요청(예컨대, 실시간 재생 요청)에 따른 키입력이 있으면, 61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데이터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도록 한다. 이어, 제어부(170)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표시부(130)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전에 6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서 녹화 허용 플래그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170)는 630단계에서 녹화 허용 플래그의 설정 여부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이 녹화 가능한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녹화 가능한 프레임이 아닌 경우 제어부(170)는 64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서비스 모드 수행에 따른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30)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녹화 가능한 프레임인 경우 제어부(170)는 650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녹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녹화 설정 정보를 메모리(180)로부터 로드하여 참조한다. 예를 들어, 녹화 가능한 프레임에 대해 자동 녹화가 설정된 경우에는 녹화 가능 상태임을 통보하지 않고 바로 녹화를 시작하면서 아이콘 등을 통해 녹화 중 상태임을 알린다.
이어, 제어부(170)는 660단계로 진행하여 녹화 가능 상태임을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입력을 통한 녹화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녹화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670단계로 진행하여 녹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프레임을 저장한다. 다시 말하면,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키입력 시점부터의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거나 키입력 시점의 소정 초 이전부터의 해당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녹화 시점부터 해당 프레임에 대한 저장이 가능하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70)는 680단계에서 녹화가 종료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녹화가 허용된 프레임에 대한 저장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는 방송 데이터에 녹화 제한을 설정하더라도 프레임 단위로 가변적으로 녹화 허용 부분을 결정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를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자체, 그 일부분 또는 스틸컷 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는 방송 데이 터의 특정 부분에 대해서 서비스 차원에서 저장가능하도록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부분이 녹화 가능함을 알림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측에서는 다양한 녹화 설정 기능을 통해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하는 방송 스틸컷 또는 특정 방송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녹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데이터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Parsing)하는 과정과,
    상기 파싱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이 녹화 허용된 프레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또는 TS(Transport Stream) 패킷 중 어느 하나의 소정 필드에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허용된 프레임으로 판단되면, 자동 녹화가 설정된 경우 녹화 가능한 프레임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허용된 프레임으로 판단되면, 녹화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알림에 대응하여 녹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 허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저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녹화 요청 키입력 시점부터의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녹화 요청 키입력 시점의 소정 시간 이전부터의 해당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부와,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된 프레임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된 프레임이 검출되면 녹화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메시지 출력에 대응하는 녹화 요청이 입력되면 녹화 가능한 프레임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녹화 설정 정보에 자동 녹화가 포함된 경우 상기 녹화 허용 플래그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로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단측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의 소정 필드에 녹화 허용을 지시하는 플래그가 설정된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의 프레임의 소정 필드 내에 녹화 허용을 지시하는 플래그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녹화 허용된 프 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50973A 2005-06-14 2005-06-14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64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73A KR100640426B1 (ko) 2005-06-14 2005-06-14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73A KR100640426B1 (ko) 2005-06-14 2005-06-14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426B1 true KR100640426B1 (ko) 2006-10-30

Family

ID=3762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973A KR100640426B1 (ko) 2005-06-14 2005-06-14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4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232B1 (ko) 1997-12-27 2000-03-15 윤종용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KR100348264B1 (ko) 1999-12-30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vcr 기능 제공 방법
JP2003061022A (ja) 2001-08-14 2003-02-28 N H K Itec:Kk デジタル放送の放送番組記録装置
JP2004007494A (ja) 2002-03-25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記録装置、読出装置、プログラ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232B1 (ko) 1997-12-27 2000-03-15 윤종용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KR100348264B1 (ko) 1999-12-30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vcr 기능 제공 방법
JP2003061022A (ja) 2001-08-14 2003-02-28 N H K Itec:Kk デジタル放送の放送番組記録装置
JP2004007494A (ja) 2002-03-25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記録装置、読出装置、プログラ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079B2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broadcast i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recording/reproduction program
US7327931B2 (en) Alternate method of showing commercials using personal video recorders
US20090013363A1 (en) Broadcast system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7869694B2 (en) Method of providing recordable time according to remaining memory capacity and terminal therefor
KR10080773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4137520B2 (ja) 携帯端末
KR10075458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중 방송 다시보기를 위한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방법
KR20090020007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06270299A (ja) Cm検出装置およびcm検出方法
JP2012130048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40426B1 (ko)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800834B1 (ko) 디지털 방송을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771857B2 (ja) 放送受信装置
JPWO2009011319A1 (ja) 放送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放送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3568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059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재생 중 화면캡쳐 방법
KR100739603B1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cbs 메시지를 이용한디지털방송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1584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우선순위 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892465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및 방법,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EP1758400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0152046B1 (ko) Ts 복호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