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232B1 -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232B1
KR100248232B1 KR1019970074960A KR19970074960A KR100248232B1 KR 100248232 B1 KR100248232 B1 KR 100248232B1 KR 1019970074960 A KR1019970074960 A KR 1019970074960A KR 19970074960 A KR19970074960 A KR 19970074960A KR 100248232 B1 KR100248232 B1 KR 10024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atellite
satellite broadcasting
copy
program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056A (ko
Inventor
고진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2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protection control signal, e.g. a record inhibi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송수신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고,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하면,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는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프로그램 복제 방지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 복제를 허용하거나 불허함으로써 시스템적으로 무단 프로그램 복제를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공급자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고유한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를 부여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전송 패킷 신택스(transport packet syntax)를 근본적으로 위반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 공급자가 공급한 특정 프로그램을 위성 방송 수신자가 임의로 복제하여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Method for Disable Program-copy i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시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공급자가 공급한 특정 프로그램을 위성 방송 수신자가 임의로 복제하여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각종 디지털 기술이 방송 분야에 적극 도입되고 있는 데, 특히, 디지털 형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달은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위성 방송은 통신 위성 및 방송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며, 기존의 통신 산업과 컴퓨터 산업, 그리고 방송과 영화 산업들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각 분야의 특징으로 인식되었던 요소들이 다른 분야로 확대되는 현상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근간인 디지털 DBS(Direct 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시스템 기술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의 MPEG 위원회(ISO/IEC JTC/SC2/WG11)에 의한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시스템(ISO/IEC 13818-1)과 비디오(ISO/IEC 13818-2) 및 오디오(ISO/IEC 13818-3)에 대한 표준화가 완료되고,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과제 및 ETSI(Europe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 의한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한 디지털 TV 시스템(위성, 지상, 케이블)에 대한 표준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이에 대한 현실화 및 기술 공유가 국제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주요 디지털 위성 방송 관련 서비스들의 연혁을 간단히 살펴 보면, 1994년 중반, 미국의 프라임스타 파트너즈(PrimeStar Partners)가 MPEG과 유사한 디지치퍼(Digichipher) 기술을 종래의 DSB에 적용하여 프라임스타 DBS(PrimeStar DBS) 서비스를 시작함과 동시에, 디렉텔레비전/USSB(DirecTV/ United States Satellite Broadcasting Company)도 MPEG-1 비디오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DBS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는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1996년 초반부터는 MPEG-2 기술과 DVB 표준을 적용한 티콤(Tee-Comm)사의 알파스타(Alphastar)와 에코스타 콤(Echostar Comm)사의 디쉬 네트웨크(DISH Network)가 서비스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일본과 유럽이 각각의 통신 위성과 고유한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한국통신(KT; Korea Telecommunication)도 1996년 7월부터 무궁화호 위성(Koreasat)을 통해 MPEG-2 기술과 DVB 표준을 적용한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 기술의 발달은 중계기 대역폭의 효율적인 이용, 비디오 및 오디오의 품질 개선, 수신 안테나의 소형화 등과 같은 텔레비젼 방송 측면에서의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전송 신호가 디지털임에 기인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이나 컴퓨터 시스템 및 서로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용이하게 접속·융합할 수 있음에 따라 광범위한 기술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즉, 디지털 위성 방송은 압축된 디지털 영상 및 음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성 방송 중계기 당 하나의 채널 만을 할당하던 기존의 아날로그 위성 방송과는 달리 단일 중계기에 다수의 채널을 배정할 수 있음에 따라 아날로그 위성 방송에 비해 주어진 대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시스템과 대형 컴퓨터 시스템 등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다양한 신종 정보 서비스의 등장을 재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은 디지털 압축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것외에도 부가적인 각종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함에 기인하여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서비스 유연성, 채널 확장성 등과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선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양질의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을 통해 공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과금 체계가 적정하게 정해져야 하며, 특히, 프로그램 공급자가 선정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무단으로 복제되어 불특정 다수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그램 공급자는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됐거나 부가가치가 높으며 재미있고 유익한 프로그램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시청료를 받고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내부 동작을 통해 디스크램블링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자(즉,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데, 현재로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자가 해당 프로그램을 복제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하더라도 시스템적으로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실시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공급자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고유한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를 부여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전송 패킷 신택스(transport packet syntax)를 근본적으로 위반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 공급자가 공급한 특정 프로그램을 위성 방송 수신자가 임의로 복제하여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MPEG-2 TS의 전송 스트림 패킷의 신택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라볼라 안테나 20 : 동조부
30 :복조부 40 : 순방향 에러 정정부
50 : 역다중화부 60 : MPEG-2 비디오 디코더
70 : NTSC/PAL 인코더 80 : MPEG-2 오디오 디코더
90 :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 단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전송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복제를 방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복제 방지 여부 기록 단계;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분리하는 식별자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복제 방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제 방지 판단 단계;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허용을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허용하는 복제 허용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불허를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불허하는 복제 불허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는 전파를 방사 및 흡수하는 도체인 파라볼라 안테나(parabola antenna; 10)와, 상기 파라볼라 안테나(10)에 수신된 전파에서 전송 패킷 반송파를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동조시키는 동조부(tuner; 20)와, 상기 전송 패킷 반송파로부터 QPSK 복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emodulation)를 통해 전송 패킷을 분리하는 복조부(30)와, 상기 전송 패킷 신호에 대해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수행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와,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에 결합되어 순방향 에러 정정부(40)의 출력으로부터 MPEG-2 비디오 데이터와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DEMUX; 50)와, 상기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비디오 디코더(60)와,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의 출력을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 Commit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s)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NTSC/PAL 인코더(70)와, 상기 역다중화부(50)에 결합되어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MPEG-2 오디오 디코더(80)와,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의 출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to-Analog Conversion)을 수행하는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 대한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디지털 위성 방송용 안테나로는 개구면적과 초점 거리에 의해 지향성이 결정되는 파라볼라 안테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는 포물면에서 전파가 반사되어 개구면의 방향으로 거의 평면파가 방사되는 바, 단방향성의 매우 날카로운 지향성과 고이득이 얻어짐에 따라 위성 방송과 같은 마이크로파용 안테나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선, 상기 동조부(20)가 파라볼라 안테나(10)에 수신된 전파로부터 전송 패킷 반송파를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동조시키면, 상기 복조부(30)에서는 대표적인 디지털 변복조 방식인 QPSK 복조를 통해 상기 전송 패킷 반송파로부터 전송 패킷을 분리하며, 순방향 에러 정정부(40)를 통해 상기 전송 패킷에 대해 순방향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전송되어 온 데이터 내에서 자체적인 에러 정정 기법으로 에러를 정정한다.
이후, 역다중화부(50)가 순방향 에러 정정이 수행된 상기 전송 패킷의 헤더를 참조하여 전송 패킷으로부터 MPEG-2 비디오 데이터와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역다중화하면,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가 상기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NTSC/PAL 인코더(70)에 인가함에 따라 NTSC/PAL 인코더(70)는 상기 MPEG-2 비디오 디코더(60)의 출력을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NTSC 또는 PAL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는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에 인가하면,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90)는 상기 MPEG-2 오디오 디코더(80)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한 후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를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실시예로 채택하는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 단계(S10);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전송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복제를 방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복제 방지 여부 기록 단계(S20);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분리하는 식별자 분리 단계(S30);
상기 분리된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복제 방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허용을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허용하는 복제 허용 단계(S50); 및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불허를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불허하는 복제 불허 단계(S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수행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 중에서 MPEG-2 TS(MPEG-2 Transport Stream) 방식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디지털 위성 방송은 MPEG-2에 따른 전송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 이하"TS 패킷"으로 명하기로 함)을 이용한 DVB 방식인 MPEG-2 TS 방식과 TS 패킷을 이용하지 않는 비 DVB(Non-DVB) 방식인 미국의 Direc TV 방식으로 크게 양분되는 데, MPEG-2 TS 방식에 기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는 것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영역이 MPEG-2 TS 방식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전송 패킷으로 이용할 수 있는 TS 패킷의 신택스(syntax)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MPEG-2 TS의 전송 스트림 패킷(즉, TS 패킷)의 신택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TS 패킷은 188바이트로 구성되고, 크게 해당 TS 패킷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헤더(header)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인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되는 데, 헤더는 싱크 바이트(sync byte), 전송 에러 표시자(transport error indicator ), 시작 표시자(start indicator), 전송 우선순위(transport priority),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 스크램블링 제어(scrambling control), 적응 필드 제어(adaptation field control), 연속성 카운터(continuity counter),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 마다 각각 소정 비트가 할당되어 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2 비트의 스크램블링 제어 비트(scrambling control bit)는 페이로드의 스크램블링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써, 그 비트 조합이 '00'인 경우에는 페이로드가 스크램블되지 않음을 나타내며, 반면에 나머지 비트 조합, 즉,'01','10','11'은 통상 페이로드가 스크램블링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 정의(user- defined)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2비트의 적응 필드 제어 비트(adaptation field control bit)는 적응 필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써, 그 비트 조합이 '01'인 경우는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는 없으나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반면에 '10'인 경우는 페이로드는 없으나 적응 필드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11'인 경우는 페이로드 및 적응 필드가 모두 존재함을 나타내는 비트이다.
한편, 패킷 식별자(PID)는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는 비트로 13비트가 할당되어 있음에 따라 8192(즉, 213=8192)가지의 서로 다른 패킷에 대한 식별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복제 방지 여부를 MPEG-2 TS 헤더에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 데, 그 하나는 MPEG-2 TS 패킷의 8192개의 패킷 식별자 번호(PID number)들 중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예약 영역의 식별자 번호들 중 어느 하나를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각각 2비트가 할당된 스크램블링 제어 비트(scrambling control bit)와 적응 필드 제어 비트(adaptation field control bit)의 총 4비트를 본 발명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전자는 MPEG-2 TS의 신택스를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부가 정보 서비스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패킷 식별자(PID) 번호를 할당할 수 있는 것에 반해 후자는 MPEG-2 TS의 신택스(syntax)를 위반하는 방법이다.
이하, 도 2에 도시한 순서도를 통해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식별자 설정 단계(S10)에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한다.
여기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은 MPEG-2 TS 패킷(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packet)이고, 복제 방지 식별자는 MPEG-2 TS 패킷의 8192개의 패킷 식별자 번호(PID number)들 중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예약 영역의 식별자 번호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제 방지 여부 기록 단계(S20)에서는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전송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복제를 방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한다.
이후, 식별자 분리 단계(S30)에서는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분리한다.
만약,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복제 방지 식별자와 상관없이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를 수신한 후, 페이로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재생함으로써 정상적인 재생 기능을 수행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식별자 분리 단계(S30)에서 복제 방지 식별자를 분리하면,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에서는 상기 분리된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복제 방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허용을 나타내면, 복제 허용 단계(S50)에서는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허용한다.
반면에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S40)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불허를 나타내면, 복제 불허 단계(S60)에서는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불허한다.
이때, 프로그램의 복제를 불허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나 그 일례를 들면, 입출력 제어 신호를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로 셋팅하거나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비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을 선택 신호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셋팅함으로써 간단하게 프로그램 복제를 시스템적으로 불허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송수신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고,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하면,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는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프로그램 복제 방지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 복제를 허용하거나 불허함으로써 시스템적으로 무단 프로그램 복제를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에 따르면, 프로그램 공급자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고유한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를 부여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전송 패킷 신택스(transport packet syntax)를 근본적으로 위반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 공급자가 공급한 특정 프로그램을 위성 방송 수신자가 임의로 복제하여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향후,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공급자는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들이 공급하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해 희소가치를 가지고 관리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기를 점점 더 요구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의 충족은 디지털 위성 방송 사업자에게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하게 될 것임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Claims (4)

  1.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내의 소정 비트를 복제 방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식별자로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 단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통해 전송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복제를 방지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에 복제 방지 여부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복제 방지 여부 기록 단계;
    프로그램의 복제를 요구하는 사용자 키입력을 인가받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을 수신한 후,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의 헤더 영역에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를 분리하는 식별자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복제 방지 식별자를 판독하여 복제 방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제 방지 판단 단계;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허용을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허용하는 복제 허용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가 프로그램 복제 불허를 나타내면, 해당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복제를 불허하는 복제 불허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전송 패킷은,
    MPEG-2 TS 패킷(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pack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는,
    상기 MPEG-2 TS 패킷의 패킷 식별자 번호(PID number)들 중에서 예약 영역의 식별자 번호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방지 식별자는,
    스크램블링 제어 비트(scrambling control bit)와 적응 필드 제어 비트(adaptation field control bit) 중 어느 한 비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KR1019970074960A 1997-12-27 1997-12-27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KR10024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960A KR100248232B1 (ko) 1997-12-27 1997-12-27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960A KR100248232B1 (ko) 1997-12-27 1997-12-27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056A KR19990055056A (ko) 1999-07-15
KR100248232B1 true KR100248232B1 (ko) 2000-03-15

Family

ID=1952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960A KR100248232B1 (ko) 1997-12-27 1997-12-27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26B1 (ko) 2005-06-14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000B1 (ko) * 2000-03-02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 복사방지를 위한 부가정보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26B1 (ko) 2005-06-14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단위로 방송을 녹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05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713B2 (en) Television signal distributor apparatus, receiver apparatus,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72254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reception of conditional access information in multi-tuner receivers
CA2106828C (en) Interactive television multicasting
EP115879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tegrated presentation of a secondary service as a part of a primary service
US71914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program guides to meet subscriber criteria
US20050005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ired operation of a conditional access module and an integrated receiver and decoder
WO2001043444A2 (en) Method of identifying multiple digital streams within a multiplexed signal
US6981272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EP0966121A2 (en)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programmes transmitted on a plurality of channel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iving circuits
US69228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program guides according to originating network
US8607297B2 (en) Remote setting of recording timers
US70361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ied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US76611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n-resident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a media subscriber
US20020118608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recep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248232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복제 방지 방법
US6671290B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s
US200401021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onditional access information overhead while ensuring conditional access information reception in multi-tuner receivers
KR100676913B1 (ko) 조건부 억세스 시스템의 추가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관련된 방법
CN101710984A (zh) 基于pid重构的数字电视节目处理方法
JP2000115113A (ja) 多重化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0240077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 시스템의 에러 보정 방법
EP0884908A2 (en) Terminal apparatus for storing and reproducing video signals for a high definition movie distribution service
KR19990070447A (ko)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캡션 방송장치
JP4329144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番組の伝送方法
JP2004135170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コンテンツ送信方法、伝送路切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