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94B1 -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94B1
KR100640394B1 KR1020020057297A KR20020057297A KR100640394B1 KR 100640394 B1 KR100640394 B1 KR 100640394B1 KR 1020020057297 A KR1020020057297 A KR 1020020057297A KR 20020057297 A KR20020057297 A KR 20020057297A KR 100640394 B1 KR100640394 B1 KR 10064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cast
llid
olt
layer
mac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355A (ko
Inventor
송재연
김진희
김아정
이민효
임세윤
김수형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94B1/ko
Priority to US10/659,158 priority patent/US7286538B2/en
Priority to JP2003328812A priority patent/JP3805333B2/ja
Publication of KR2004002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하여 멀티캐스트 LLID(Logical Link ID)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ONU의 MAC계층에 알려진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LLID의 ID필드에 맵핑하는 방법과, 이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일부를 그대로 맵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수동형광가입자망, 멀티캐스트

Description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 방법{METHOD FOR PRODUCING MULTICAST LLID(LOGICAL LINK ID)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수동형광가입자망의 물리적 망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EPON에서 LLID가 포함된 프리엠블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Draft v1.0에 의한 현재의 EPON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XOR 함수를 이용하여 48비트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14비트로 맵핑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캐스트 LLID를 구성한 경우 멀티캐스트 LLID의 필터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LLID로 맵핑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LLID로 맵핑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 구조에서 IEEE 802.3 PAUSE 프레임과 slow 프로토콜을 이용한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패킷간의 충돌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가비트 이더넷 및 ATM PON용 MAC 기술은 이미 표준화가 완료되어 있는 상태로서, 그 내용은 IEEE 802.3z 및 ITU-T G.983.1에 기술되어 있다. PON(Passive Optical Network) 형태로는 ATM-PON이 먼저 표준화가 이루어졌는데 ATM-PON은 ATM cell을 일정한 크기로 묶은 프레임 형태로 상, 하향 전송이 이루어지며 tree 형태의 PON 구조에서 OLT(Optical Line Termination)는 이 프레임 안에 각 ONU(Optical Network Unit)에 배분될 하향 cell을 적절히 삽입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형광가입자망의 물리적 망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형광가입자망은 하나의 OLT(100)와 상기 OLT(100)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ONU(110-1 내지 110-3)로 구성된다. 도 1에는 하나의 OLT(100)에 3개의 ONU들(110-1 내지 110-3)이 접속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ONU들(110-1 내지 110-3)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End User(사용자, 네트워크 장치)들(120-1 내지 120-3)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들(120-1 내지 120-3)이 전송하는 데이터들(131 내지 133)이 ONU들(110-1 내지 110-3)을 거쳐 OLT(100)로 전송된다.
도 1에 도시된, 802.3 이더넷 프레임을 점대 다점 구조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구조에서, 상향 전송의 경우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각 ONU의 데이터를 액세스하게 되는데, 수동 소자인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에서 ranging 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향 전송 시에는 각 ONU들(110-1 내지 110-3)의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되어 OLT(100)로 전송되고, 하향 전송 시에는 OLT(10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ONU들(110-1 내지 110-3, 이하 복수의 ONU를 통칭하여 110-n이라 함)이 상기 데이터 중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이를 위해 상, 하향 프레임에는 일정간격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용 ATM cell 또는 일반 ATM cell 내에 필드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입자 측에서는 더욱 더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가 장비이며 대역폭에 제한이 있고 IP 패킷을 segmentation해야 하는 ATM 기술보다는 상대적으로 저가이며 높은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end to end 전송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입자 망의 PON 구조에서도 ATM이 아닌 이더넷 방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현재, EPON 표준화는 IEEE 802.3ah에서 EFM(Ethernet in the First Mile)이라는 이름으로 2003년 9월을 목표로 진행중이다. Draft v1.0이 진행중이며 2003년 1월에는 Draft v2.0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표준화의 이슈는 layering 관련하여 OAM layer와 다른 layer 간의 정합문제이며 세부적인 spec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IEEE802.3ah에서 진행 중인 EPON 표준화에서는 OLT와 ONU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때 각각의 식별을 하여 자신에게 오는 패킷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LLID(Logical Link ID)라는 것을 프리엠블(Preamble)안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Draft v1.0에 결정되었다.
도 2는 EPON에서 LLID가 포함된 프리엠블 포맷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IEEE802.3ah baseline 내에 기술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LLID는 프리엠블에서 2 바이트(bytes)를 할당하여 사용한다. 프리엠블의 의 첫 번째 1바이트(SOP)는 SOP(Start of Packet) 바이트로, 패킷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 SOP 바이트(10)에 연속하는 4바이트(Reserved)는 차후(미래)의 목적을 위해 예비(reserved)하여 둔 바이트(20)이다. 예비를 위한 4바이트(20)의 다음 2 바이트(30)가 LLID(Logical PHY ID)로 할당되었다. LLID(30) 다음의 필드(40)는 CRC로 수신측이 동기를 맞추기 위한 기존의 프리엠블과는 달리 의미있는 정보가 들어간 EPON에서의 프리엠블의 체크섬(check sum)역할을 한다. 2 바이트의 LLID(30)는 다시 1 비트의 mode_bit(32)와 15 bits의 ID 부분(34)으로 나뉜다. mode_bit은 전달되는 패킷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인지 유니캐스트(unicast)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나머지 15 비트는 각 송신 또는 수신 주체의 식별자로 사용된다. 현재의 Draft에서는 LLID를 각 ONU당 하나씩 할당하는 방안과, 이를 세분화하여 각 서비스별 또는 ONU에 연결된 유저에 따라 다른 ID를 할당하는 방안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총칭하여 송신/수신의 주체라고 표현한다.
이하, LLID의 할당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PON의 초기화과정에서 파워 온(power-on)된 ONU(110-n)는 OLT(100)에게 자신을 등록하는 오토-디스커버리(auto-discovery)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OLT(100)는 등록을 요구한 송신/수신의 주체의 MAC 어드레스(address)를 보고 각 MAC 어드레스에게 특정 ID를 할당한 후 자신의 테이블에 ID 리스트를 작성하여 관리한다. 이와같이 모든 LLID의 등록과 할당이 이루어진 후 EPON망 내에서 ONU(110-n)나 OLT(100)가 보내는 패킷들은 프리엠블의 LLID에 의하여 송신/수신의 주체가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Draft v1.0에 의한 현재의 EPON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MAC 계층(layer)(204)와 RS layer(208)사이에 에뮬레이션 부계층(Emulation sub-layer)(206)이 정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LLID를 이용하여 패킷의 목적지가 자신인지를 구별하는 동작을 하는 곳이 에뮬레이션 부계층(206)이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MAC 계층(204)에서 패킷의 DA(Destination Address)를 보고 자신에게 오는 패킷여부를 확인하는 것과는 달리 EPON에서는 MAC 계층(204) 아래에서 패킷 필터링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LLID가 나타내는 주체는 패킷의 전송방향이 상향(ONU-> OLT)인지, 하향(OLT->ONU)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상향의 경우 LLID가 나타내는 주소는 전송하는 주체이며 하향의 경우 수신받는 주체가 된다. 즉, OLT(100)가 ONU(110-n)로부터 패킷을 받는 경우, LLID를 보고 자신에게 등록한 LLID 리스트(list)의 내용과 비교하여 패킷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결정한다. 반면에, ONU(110-n)가 OLT(100)으로부터 패킷을 받는 경우에는 LLID를 보고 그 내용이 자신에게 할당된 LLID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패킷의 접수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때 패킷의 속성이 유니캐스트(unicast)인 경우 ID 필드에 목적지가 되는 ID값을 할당하며, 브로트캐스트(broadcast)인 경우에는 브로트캐스트용 디폴트(default) LLID를 할당한다. 따라서 ONU(110-n)가 패킷을 받아 LLID의 모드 비트(mode_bit)가 브로트캐스트를 나타내면 모두 받아들이게 된다. 즉, ONU(110-n)은 LLID의 모드 비트를 검사하여 유니캐스트를 나타내면 ID에 따라 해당 패킷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지만, LLID의 모드 비트가 브로드캐스트를 나타내면 ID에 관계없이 해당 패킷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표준화에서는 이 모드 비트(mode_bit)에 대하여 유니캐스트와 브로트캐스트의 두 가지만이 언급되어 왔으며 현재의 Draft에서 특정한 그룹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모드에 대하여 정확한 규정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현재의 EPON 스펙에서 LLID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은 주로 초기화시 수행되고 그 이후 등록하고자 하는 주체를 위하여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추가 등록 기회를 부여한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multicast group membership)의 경우, GMRP(GARP Multicast Registration Protocol)이라는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 등록 프로토콜에 의하여 특정 그룹에 등록/해지가 자유로우며 OLT로부터 등록 기회가 주어지는 것에 상관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기존의 LLID 등록, 해지와 같은 방식으로 하는 경우는 제대로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캐스트 트래픽에 대하여 이에 적절한 LLID를 할당하고 EPON에서의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멀티캐스트 LLD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에 접속되는 복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상기 복수의 ONU중 적어도 한 개의 ONU 또는 상기 OLT가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ONU 또는 OLT의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로부터 멀티캐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멀티캐스트 LLID(Logical Link ID)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상기 MAC 계층 아래의 RS(Reconciliation Sublayer) 계층의 LLID 필드에 매핑하는 과정과,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LLID 필드에 인접하여 상기 모드 정보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EPON)의 오토-디스커버리(Auto-discovery) 과정에서는 OLT(100)가 할당한 LLID를 등록 신청한 주체(예컨대, 110-n)에게 전송함으로써 등록된 LLID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또한 기본적으로 Shared media인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각 모든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팅되는 패킷이 자신에게 온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MAC 계층(layer)에서 어드레스 필터링(address filtering) 과정을 거친다. 즉, MAC 계층에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MAC 어드레스와 도착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받아들이고 아니면 버리게 된다.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의 경우, GMRP(GARP Multicast Registration Protocol)등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획득된 어드레스를 MAC에게 알려주면 MAC은 이를 자신의 어드레스 필터링 정보에 넣고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서는 OLT가 ONU에게 할당된 LLID를 알려주지 않고도 멀티캐스트 LLID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 하나는 1.IEEE802.3ah Draft v1.0에서와 동일한 바이트수의 LLID 필드에 MAC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맵핑한 후 삽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2.프리엠블에서 LLID에게 할당된 바이트수를 증가시켜 해쉬 함수(hash function)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MAC 어드레스의 일부를 LLID 필드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MAC 계층에서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필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EPON에서의 다른 모드와 마찬가지로 에뮬레이션 계층(Emulation layer)에서 필터링이 가능하다.
1. 첫 번째 IEEE802.3ah Draft v1.0에서와 동일한 바이트수의 LLID를 사용하는 경우
IEEE802.3ah Draft v1.0에서와 동일한 바이트수의 LLID를 사용하는 경우 MAC에게 알려진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hash function)에 넣어 14비트로 만들어 이를 LLID의 ID 필드의 내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2비트를 브로트캐스트, 유니캐스트와 함께 멀티캐스트 모드 비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맵핑할 대상 의 비트수에 따라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즉, 아래의 방안 1)은 MAC 어드레스 중 뒤의 23bits만을 사용하여 LLID로 매핑하는 방안이고 2)는 MAC 어드레스의 48bits 모두를 LLID로 맵핑하는 방안이다.
1) EPON에서 이용할 계층 3의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는 클래스 D로서 이를 IEEE LAN의 MAC 어드레스로 매핑하기 위해서 48비트의 MAC 어드레스에서 첫번째 24비트 값은 0x01-00-5E로 고정되고 그 다음의 1bit은 reserved되어 '0'의 값을 갖는다. 그 나머지의 23bits는 Class D 어드레스의 28비트의 그룹 식별자(identifier)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28비트를 23비트로 표현함에 따른 중복성의 문제가 있으나 이에 대한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외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멀티캐스트용 MAC 어드레스를 LLID으로 맵핑하기 위해서는 48비트의 MAC 어드레스 중에서 뒤부분의 23비트만을 14비트로 맵핑하면 된다. 즉, 그룹 식별자를 위한 23비트만이 LLID로 맵핑한다. 여기에서 MAC 어드레스의 23 비트의 데이터를 LLID의 14 비트로 만드는 해쉬 함수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1)먼저 기존의 브리지에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소들을 서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해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브리지에서는 관리해야 할 주소의 리스트가 증가함에 따른 효과적인 주소 서치 방법으로 XOR 함수를 사용하여 23비트의 주소를 8 비트의 길이로 압축하여 표현한다. 이에 대한 예는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는 XOR 함수를 이용하여 48비트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14비트로 맵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MAC 어드레스가 특정한 비트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XOR를 사용하는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 로 매핑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도 4의 a, b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서 동일한 LLID로 매핑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2) 48비트의 MAC 어드레스를 14비트로 맵핑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48비트의 데이터를 14 비트로 만드는 해쉬 함수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2-1)기존의 MAC 계층에서는 체크섬(checksum)을 위해 CRC 함수(function)를 사용한다. 이 CRC 함수를 이용하여 해쉬 방법을 적용한다. 기존의 이더넷에서는 CRC-32 함수를 사용한다. 6바이트의 MAC 어드레스를 CRC-32 함수에 적용하면 6비트의 나머지값 Reminder R(x)을 결과물의 하나로 얻을 수 있는데, 이를 MAC 어드레스와 맵핑되는 LLID값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R(x)는 6비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64종류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 방안은 기존의 MAC에서 이미 built-in으로 가지고 있는 CRC 함수를 해쉬 함수로 이용함으로써 부가적인 함수가 필요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2-2)기존의 브리지에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소들을 서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hash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브리지에서는 관리해야 할 주소의 리스트가 증가함에 따른 효과적인 주소 서치(search) 방법으로 XOR function을 사용하여 6 bytes의 주소를 8 bits의 길이로 압축하여 표현한다. 이에 대한 예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MAC 어드레스가 특정한 비트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XOR를 사용하는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매핑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LLID를 구성한 경우 멀티캐 스트 LLID의 필터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LT가 ONU에게 할당된 LLID를 알려주지 않고도 멀티캐스트 LLID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IEEE802.3ah Draft v1.0에서와 동일한 바이트수의 LLID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OLT(100)의 맵퍼(110)는 MAC에게 알려진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hash function)에 넣어 14비트로 만들어 이를 LLID의 ID 필드의 내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2비트를 브로트캐스트, 유니캐스트와 함께 멀티캐스트 모드 비트로 사용한다. 이에 대한 구조는 이하 설명하는 도 6에 도시하였다. OLT(100)는 이와 같이 생성된 멀티캐스트 LLID를 ONU(110-n)으로 전송하면 ONU(110-n)의 에뮬레이션 계층(206)은 OLT(100)로부터 전송되어온 멀티캐스트 LLID(300)을 보고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LLID로 맵핑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 중에서 그룹 식별자를 위한 23비트가 LLID로 맵핑된다. LLID(30)는 MAC 어드레스의 23 비트의 데이터가 맵핑된 14 비트와 모드 비트로 사용된 2비트를 포함한다. 모드 비트는 2비트이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송 방식이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 중에서 후반 23비트가 LLID의 14 비트로 맵핑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MAC 어드레스의 48비트가 LLID의 14비트로 맵핑될 수 있다.
2. 두 번째 프리엠블에서 LLID에게 할당된 바이트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도 7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해쉬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LLID로 맵핑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리엠블에서 LLID에게 할당된 바이트수를 1 바이트 증가시켜 해쉬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MAC 어드레스를 LLID 필드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첫번째 23비트는 항상 고정적인 값을 갖는다. 따라서 구별해야 할 어드레스 부분은 그 이후의 23비트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IEEE802.3ah/D1.0에서의 LLID에게 할당된 2바이트를 3바이트로 증가시켜 해쉬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맵핑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3바이트의 LLID중 첫번째 비트는 멀티캐스트 여부를 나타내는 멀티캐스트 모드 비트에 할당한다. 즉, 값이 '1'이면 이후의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가 되고, '0'이 되면 그 외의 모드(broadcast/unicast)를 나타낸다. 이후의 23비트는 뒷부분의 MAC 어드레스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 경우,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프리엠블을 사용하여 부가적인 해쉬 함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 캐스트 이외의 모드인 경우, 두번째 비트가 해당 모드를 나타내도록 할당한다. 도 7을 보면 두 번째 비트가 '1'이면 브로드캐스트와 SCB(Single Copy Broadcast)모드를, '0'이면 unicast의 경우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위프로토콜인 GMRP에 의하여 생성되는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를 EPON에 적용시켜 기존의 다른 모드(broadcast, unicast)와 마찬가지로 에뮬레이션 계층(MAC계층과 RS계층 사이)에서 어드레스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LLID의 경우처럼 오토-디스커버리 과정을 거쳐 LLID를 할당받지 않고 자유롭게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multicast group membership)의 등록과 해지를 할 수 있다.

Claims (8)

  1.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에 접속되는 복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상기 복수의 ONU중 적어도 한 개의 ONU 또는 상기 OLT가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ONU 또는 OLT의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로부터 멀티캐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멀티캐스트 LLID(Logical Link ID)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상기 MAC 계층 아래의 RS(Reconciliation Sublayer) 계층의 LLID 필드에 매핑하는 과정과,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LLID 필드에 인접하여 상기 모드 정보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구비하여 상기 ONU 또는 OLT로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RS 계층에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변경은 해쉬 함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쉬 함수는 기존의 브리지에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소들을 서치하기 위한 XOR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변경은 상기 MAC 계층에서의 체크섬을 위한 CRC 함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S 계층은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한 LLID를 보유하는 있는 주소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는 48비트이고, 상기 매핑 과정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48비트중 그룹 식별자를 위한 23비트를 상기 MAC 계층 아래의 RS 계층의 LLID 필드의 14비트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는 48비트이고, 상기 매핑 과정은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의 48비트를 상기 MAC 계층 아래의 RS 계층의 LLID 필드의 14비트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에 접속되는 복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되는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상기 복수의 ONU중 적어도 한 개의 ONU 또는 상기 OLT가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ONU 또는 OLT의 MAC 계층의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로부터 멀티캐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멀티캐스트 LLID(Logical Link ID)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MAC 어드레스중 그룹 식별자(group identifier)를 상기 LLID에 할당된 프리엠블의 바이트수를 증가시켜 상기 MAC 계층 아래의 RS 계층의 LLID 필드에 그대로 삽입하는 과정과,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LLID 필드에 인접하여 상기 모드 정보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구비하여 상기 ONU 또는 OLT로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전송임을 RS 계층에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57297A 2002-09-19 2002-09-19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KR10064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97A KR100640394B1 (ko) 2002-09-19 2002-09-19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US10/659,158 US7286538B2 (en) 2002-09-19 2003-09-10 Method for checking multicast LLID transmission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JP2003328812A JP3805333B2 (ja) 2002-09-19 2003-09-19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型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キャスト伝送方式確認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97A KR100640394B1 (ko) 2002-09-19 2002-09-19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355A KR20040025355A (ko) 2004-03-24
KR100640394B1 true KR100640394B1 (ko) 2006-10-30

Family

ID=3198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297A KR100640394B1 (ko) 2002-09-19 2002-09-19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86538B2 (ko)
JP (1) JP3805333B2 (ko)
KR (1) KR100640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79B1 (ko) * 2012-04-25 2014-06-03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위한 이더넷 프레임의 프리앰블 구성 방법 및 그 독출 방법
KR2017011078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유비쿼스 수동광네트워크에서 서비스별 멀티캐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53B1 (ko) * 2002-08-0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점대다 토폴로지의 네트워크에서 논리링크의 형성과 그보안 통신 방법
KR100456675B1 (ko) * 2002-11-26 2004-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pon의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의 이더넷 데이터처리방법 및 장치
US7379676B2 (en) * 2002-11-27 2008-05-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apparatus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448635B1 (ko) * 2002-11-27 2004-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기반의 수동 광통신망에서의 통신 노드 시스템,제어 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6967949B2 (en) * 2003-09-15 2005-11-22 Teknov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packet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67323B1 (ko) * 2003-12-13 2006-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그룹 아이디를 고려한복수의 공유 랜 에뮬레이션 방법
KR100523490B1 (ko) * 2003-12-17 2005-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지원 방법
JP4575439B2 (ja) * 2004-04-28 2010-11-04 テクノバ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l3−アウェアスイッチングの方法と装置
JP2005318306A (ja) * 2004-04-28 2005-11-10 Nec Electronics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式
US7512141B2 (en) * 2004-07-08 2009-03-31 Alcatel Lucent Domain configuration in an ethernet OAM network having multiple levels
JP4534708B2 (ja) * 2004-10-14 2010-09-01 Kddi株式会社 Ponシステムにおける動的論理リンク確立方法及びユーザ側光終端装置
US7636354B2 (en) * 2004-12-11 2009-12-22 Alcatel Lucent Deriving passive optical network port identifiers
WO2006118203A1 (ja) * 2005-04-27 2006-11-09 Cyber Solutions Inc. ネットワークマップ生成方法
KR100776787B1 (ko) * 2005-09-05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의 브리지 장치 및 그 포워딩 방법
JP2007116587A (ja) * 2005-10-24 2007-05-10 Fujitsu Access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191721B1 (ko) * 2005-11-03 2012-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IPv6 기반의 와이어리스 네트워크에서 그룹 별멀티캐스트 지원을 위한 연결 식별자 생성 및 관리 방법과이를 채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US8266272B2 (en) * 2005-11-07 2012-09-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for IT network representation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1048010B (zh) * 2006-03-31 2013-02-2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源光网络系统中实现存储功能的方法及装置
US7873039B2 (en) * 2006-06-29 2011-01-18 Broadlight Ltd. Enhanced optical line terminal controller
KR100889729B1 (ko) * 2006-11-30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및 가상랜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처리 방법
US9014563B2 (en) 2006-12-11 2015-04-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thernet interface
US8121123B2 (en) * 2008-10-20 2012-02-21 Broadlight, Ltd. Method for multicasting of packets in PON residential gateways
JP5467574B2 (ja) * 2009-01-05 2014-04-09 ピーエムシー−シエラ イスラエル,エルティディ. EPON(1GEPONと10GEPON)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IEEE802.1AEと802.1afセキュリティの実行方法
US8743845B2 (en) * 2009-02-04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298813B1 (ko) * 2009-11-04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 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멀티캐스트 포트 식별자 필터링 방법 및 장치
US20130142514A1 (en) 2011-12-02 2013-06-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a Transit Node in a Unified Optical-Coaxial Network
CN104871489A (zh) * 2012-12-17 2015-08-26 高通股份有限公司 多播话务桥接
KR101498501B1 (ko) * 2013-12-27 2015-03-05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코딩을 적용한 패킷 버스트 기반의 e-pon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방법
JP2019029953A (ja) * 2017-08-03 2019-02-21 富士通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US11436185B2 (en) * 2019-11-15 2022-09-06 Arteri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broadcast in a network on chi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1980B2 (en) * 2001-12-14 2008-08-12 Broadcom Corporation Filtering and forwarding frames within an optical network
US6967949B2 (en) * 2003-09-15 2005-11-22 Teknov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packet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23490B1 (ko) * 2003-12-17 2005-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지원 방법
US7664019B2 (en) * 2004-08-23 2010-02-16 Teknov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ie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US7636354B2 (en) * 2004-12-11 2009-12-22 Alcatel Lucent Deriving passive optical network port identifi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79B1 (ko) * 2012-04-25 2014-06-03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위한 이더넷 프레임의 프리앰블 구성 방법 및 그 독출 방법
KR20170110785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유비쿼스 수동광네트워크에서 서비스별 멀티캐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639919B1 (ko) * 2016-03-24 2024-02-23 주식회사 유비쿼스 수동광네트워크에서 서비스별 멀티캐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86538B2 (en) 2007-10-23
JP3805333B2 (ja) 2006-08-02
KR20040025355A (ko) 2004-03-24
US20040057431A1 (en) 2004-03-25
JP2004112813A (ja)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94B1 (ko)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llid 생성방법
EP1499155B1 (en) Multicast GPON transmission and GEM frame processing method
US910643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ing MAC control messages in EPON
US7962037B2 (en) PON system and optical network unit
US7613187B2 (en) Shared LAN e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VLAN recognition and LLID management functions on EPON
KR100448635B1 (ko) 이더넷 기반의 수동 광통신망에서의 통신 노드 시스템,제어 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JP3742406B2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697547B2 (en) Internet protocol video delivery in passive optical networks
US20090208204A1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JP2003283521A (ja) ギガビットイーサネット受動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媒体接続制御方法
JP2003333061A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型光加入者網及び点対点エ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20040025354A (ko) 이더넷 수동형광가입자망에서 오에이엠 기능 디스커버리방법
US20050129030A1 (en) Multiple shared LAN emulation method in EPON based on group ID
KR100617725B1 (ko) 기가 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gem모드에서 멀티캐스트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30079311A (ko)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점 대 점에뮬레이션 방법
KR100889729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멀티캐스트 및 가상랜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처리 방법
KR100689483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 및 레이어 2 스위칭 방법
KR20050008443A (ko)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gem 모드에서의멀티캐스트 전송 방법과 그 프레임 처리 방법
KR100243392B1 (ko) 통신 시스템의 알에이유 정보 제어방법
KR20040047573A (ko) 이더넷 기반의 수동형 광통신망을 위한 통신장치
KR20100096772A (ko) 공통 vlan 사용 방법 및 그를 위한 pon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