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85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85B1
KR100639385B1 KR1020050065323A KR20050065323A KR100639385B1 KR 100639385 B1 KR100639385 B1 KR 100639385B1 KR 1020050065323 A KR1020050065323 A KR 1020050065323A KR 20050065323 A KR20050065323 A KR 20050065323A KR 100639385 B1 KR100639385 B1 KR 10063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ock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cap)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캡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 단자의 연결구를 밀폐하고 그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캡과; 상기 캡의 삽입홈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캡을 고정하는 캡락커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 공간인 락커이동부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락커유도홈과, 상기 캡이 삽입되는 캡삽입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캡이 직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도 캡과 본체하우징이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상 미관을 양호하게 보완할 수 있으며, 캡이 분실되지 않고, 본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캡, 리셉터클, 이동통신 단말기, CAP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Cap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in a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의 슬라이드식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의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하우징 102 : 락커이동부
104 : 락커유도홈 106 : 캡삽입구
107 : 모따기 108 : 연결구
110 : 캡락커 120 : 캡
122 : 락커삽입홈 124 : 캡고정부
126 : 캡외피 127 : 모따기
128 : 캡내장재 130 : 스토퍼
140 : 리셉터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cap)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리셉터클(receptacle)과 같은 외부 입출력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캡을 입출력단자의 연결구에 끼워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캡은 초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따라서 캡의 유실이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때, 캡의 유실로 인하여 개방상태인 연결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리셉터클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단자의 접촉불량 등의 불량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캡이 슬라이드식으로 구성되거나 그 일측이 고정된 형태의 캡이 등장하였다.
도 4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의 슬라이드식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캡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하우징(400)의 하부에 리셉터클과 같은 외부 입출력단자의 접속을 위하여 형성된 연결구(408)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425)와, 가이드(425)를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캡(4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식 캡(420)은 손으로 잡고 좌우로 밀 수 있는 조작돌기(421)가 돌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식 캡의 조작돌기(421)를 잡고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캡(420)이 가이드(425)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결구(408)가 개방되어 리셉터클과 같은 외부 출력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의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캡(520)은 고무소재로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하우징(500)의 하단에 형성된 리셉터클(540)의 일측에 고정 혹은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연결구(508)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는 캡에 의해 개폐되는 연결구가 협소하여 사용자가 캡을 개방하는 경우 매우 불편하며, 캡의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드식의 구조에 대해서는 내부의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 단자 보호용 캡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 단자의 연결구를 밀폐하고 그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캡과; 상기 캡의 삽입홈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캡을 고정하는 캡락커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 공간인 락커이동부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락커유도홈과, 상기 캡이 삽입되는 캡삽입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캡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캡락커와 상기 캡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상기 캡락커가 상기 락커이동부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내장재와, 상기 캡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에 고정되는 캡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부분에 형성될 수 있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의 외피가 상기 캡고정부의 일부까지 연장되고, 그 일단에 제 1 모따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의 캡삽입구의 일측에 상기 제 1 모따기에 대응하는 제 2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고정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하우징(100)과, 캡(120)을 고정하기 위한 캡락커(11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단자, 예를 들면, 리셉터클(140)과 같은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캡(120)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캡(120)이 리셉터클(140)과 같은 입출력단자의 연결구(108)를 밀폐하는 경우, 캡락커(110)는 캡(120)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캡(120)을 고정하고, 리셉터클(1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캡락커(110)를 캡(12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캡(120)은 그 탄성력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개방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고정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체하우징(100)은 캡락커(110)의 수평이동 공간인 락커이동부(102)와, 캡락커(110)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락커유도홈(104)과, 캡(120)이 삽입되는 캡삽입구(106)와, 외부 입출력단자의 연결구(108)가 형성된다.
또한, 락커이동부(102)는 캡락커(110)가 캡(120)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수평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락커유도홈(104)은 락커이동부(102)의 양측에 형성되어 캡락커(110)의 수평이동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캡삽입구(106)는 캡(120)이 본체하우징(10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캡(120)의 일부가 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구(108)는 캡(120)이 개방되는 경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140)과 같은 외부 입출력단자에 잭 또는 케이블이 접속된다.
캡락커(110)는 본체하우징(100)의 락커이동부(102)에 설치되어 락커유도홈(10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캡락커(110)는 그 일부가 캡(120)의 일단에 형성된 락커삽입홈(122)에 끼워 맞추어져 캡(120)을 고정한다.
캡(120)은 캡삽입구(106)를 통하여 본체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캡고정부(124)와, 플라스틱 재질의 캡외피(126)와, 캡외피(126)의 내부에 형성된 캡내장재(128)로 구성된다.
캡고정부(124)와 캡내장재(128)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되고, 캡고정부(124)는 본체하우징(100)의 캡삽입구(10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캡외피(126)는 바람직하게는 본체하우징(100)의 재질과 유사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캡(120)과 본체하우징(100)이 구별되지 않고 외관상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캡(120)은 그 일단에 캡락커(110)가 삽입되는 락커삽입홈(122)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락커삽입홈(122)은 캡외피(126)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캡락커(110)가 락커이동부(102)에서 수평이동하여 삽입홈(1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캡(120)은 캡내장재(128)와 캡고정부(124)의 탄성력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캡(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고정부(12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캡외피(126)의 일부를 캡고정부(124)가 휘어진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캡(120)이 개방되는 경우 캡의 캡외피(126)와 본체하우징(100)이 간섭되지 않도록, 캡외피(126)의 일단에 사선형상의 모따기(127)를 형성하고, 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캡삽입구(106)의 일측에 캡외피(126)의 모따기(127)에 대응하는 모따기(10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모따기 구조에 의해, 캡(120)이 개방되는 경우 캡외피(126)의 모따기(127)와 캡삽입구(106)의 모따기(107)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캡(120)과 본체하우징(100)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캡외피(126)의 일측이 캡고정부(124)까지 연장됨으로써 본체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캡고정부(124)가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캡(120)이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캡락커(110)와 캡(120)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캡 고정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0)은 리셉터클(140)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연결구(108)를 밀폐시키는데, 이때, 캡락커(110)는 캡(120)의 락커삽입홈(122)에 삽입됨으로써, 캡(120)이 고정된다.
여기서, 스토퍼(130)는 캡(120)을 닫기 위한 가압에 의해 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140)과 같은 외부 입출력단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락커(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리셉터클(140)과 같은 외부 입출력단자를 사용하기 위하여 연결구(108)를 개방하는 경우, 캡락커(110)가 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락커유도홈(104)을 따라 락커이동부(102)로 수평이동하면, 락커삽입홈(122)에 삽입되어 있던 캡락커(110)의 일부가 락커삽입홈(122)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캡(120)이 캡락커(110)로부터 잠금 해제된다.
이때, 캡(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0)에 삽입 고정된 캡고정부(124)와 그 내부의 캡내장재(128)에 탄성력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락커(110)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캡(12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 구조는 본체하우징에 수평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여 캡락커를 설치하고, 캡의 일단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캡락커의 일단이 캡의 삽입홈에 삽입됨에 의해 캡이 연결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본체하우징에 고정되고, 캡락커의 해제시에 캡의 탄성에 의해 캡이 직각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외피의 일부를 연장하여 그 일단에 모따기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는 본체하우징에 모따기를 형성함으로써, 캡이 직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도 캡과 본체하우징이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외피를 본체하우징과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여 그 일부를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외관상 미관을 양호하게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하우징에 결합 고정되므로 캡이 분실되지 않고, 슬라이드식과 같이 본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본체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출력 단자의 연결구를 밀폐하고, 그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캡과;
    상기 캡의 삽입홈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캡을 고정하는 캡락커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 공간인 락커이동부와, 상기 캡락커의 수평이동을 유도하는 락커유도홈과, 상기 캡이 삽입되는 캡삽입구가 형성된 본체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캡락커와 상기 캡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락커가 상기 락커이동부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내장재와, 상기 캡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에 고정되는 캡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피가 상기 캡고정부의 일부까지 연장되고, 그 일단에 제 1 모따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의 캡삽입구의 일측에 상기 제 1 모따기에 대응하는 제 2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KR1020050065323A 2005-07-19 2005-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KR10063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23A KR100639385B1 (ko) 2005-07-19 2005-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323A KR100639385B1 (ko) 2005-07-19 2005-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385B1 true KR100639385B1 (ko) 2006-10-27

Family

ID=3762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323A KR100639385B1 (ko) 2005-07-19 2005-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765B1 (ko) 방수 안전 콘센트
JP4984563B2 (ja) 電子機器の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
ATE498172T1 (de) Versiegelungsvorrichtung
EP3561964A1 (en) Connector
JP5369586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の防塵構造
KR100639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캡 개폐구조
CN217037224U (zh) 接口防护结构及移动终端
KR200382006Y1 (ko) 슬라이드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46927Y1 (ko) 방독면의 마이크단자용 밀폐커버
CN110571585B (zh) 一种防水装置以及一种插座
JP2012186031A (ja) 電子機器における外部コネクタ接続口のシール構造、及び電子機器、並びにシール方法
KR200258153Y1 (ko) 방수 휴대폰
KR200350271Y1 (ko) 휴대폰 소켓 보호장치
EP071537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cap supported by flexible electrical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JP2018014234A (ja) カードコネクタ
KR200172287Y1 (ko) 휴대용통신단말기의커버장치
CN213816531U (zh) 防护罩及插座
JP5884023B2 (ja) 蓋開閉機構
JPH10155014A (ja) 携帯電話機
CN216487748U (zh) 一种防水保护开关
KR20037894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잭 보호장치
JP5398005B2 (ja) 電子部品収納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01698A (ko) 슬라이딩형 아이오 카킷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50523Y1 (ko) 휴대폰용 젠더의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