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776B1 -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776B1
KR100638776B1 KR1020057007930A KR20057007930A KR100638776B1 KR 100638776 B1 KR100638776 B1 KR 100638776B1 KR 1020057007930 A KR1020057007930 A KR 1020057007930A KR 20057007930 A KR20057007930 A KR 20057007930A KR 100638776 B1 KR100638776 B1 KR 10063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alkyl
reacting
p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937A (ko
Inventor
피터 쥐. 엠. 워츠
Original Assignee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8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2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71/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is condensed with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5023582751-pct00085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OR4로부터 선택되고;
R4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은 C1-C6 알킬이고;
Z1은 -CH2- 또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86
(여기서, O-COR4는 α배위로 존재함)이고;
Z2는 -CH-이거나;
Z1 및 Z2가 함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Q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87
이다.
이들 중간체는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하며, 특히, 본 발명은 9,11-α-에폭시-17-α-히드록시-3-옥소프레그느-4-엔-α-7-21-디카 르복실산, γ-락톤, 메틸 에스테르 (에플레레논; 에폭시멕스레논)의 제조를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에플레레논, 중간체

Description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PROCESSES FOR PREPARING 7-CARBOXY SUBSTITUTED STEROIDS}
특정한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에플레레논은 그의 알도스테론 길항제 활성으로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순환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미국 특허 제4,559,332호 및 동 제5,981,744호 및 국제 공개 제W0 98/25948호에는 다수의 에플레레논 및 관련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에플레레논에 대한 신규하고 확대된 임상적 용도의 도래로 에플레레논 및 다른 관련된 스테로이드의 개선된 제조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생겨났다. 에플레레논 및 관련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효율적인 합성에 대한 주된 장애는 C-7에 카르복시기를 도입하는 것이다. 현재의 합성법은 C-7 카르복실기의 도입을 위해 독성의 시아나이드 시약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OR4로부터 선택되고;
R4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은 C1-C6 알킬이고;
Z1은 -CH2- 또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2
(여기서, O-COR4는 α배위로 존재함)이고;
Z2는 -CH-이거나;
Z1 및 Z2가 함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Q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3
이다.
이들 중간체는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하며, 특히 본 발명은 9,11-α-에폭시-17-α-히드록시-3-옥소프레그느-4-엔-α-7-21-디카르복실산, γ-락톤, 메틸 에스테르 (에플레레논; 에폭시멕스레논)의 제조를 위한 신규하고 유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중요한 단계는 C-7에 카르복실기를 효과적으로 삽입시키거나 C-7을 "카르보닐화"시키는 알콜, 염기 및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II의 스테로이드 중간체를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OR4이고;
Z1, Z2, R4 및 Q는 화학식 I에서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중간체는 하기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5
상기 식에서, R1, R2, Z1 및 Z2는 화학식 II에서와 같다.
'카르보닐화' 반응을 이용하는 신규한 합성 반응식을 하기 실시양태의 설명란에서 상세하게 기재한다.
실시양태의 설명
정의
본 상세한 설명에서, 하기 정의를 사용한다.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용어 "알킬"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이의 조합을 의미한다.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에틸, 시클로프로필메틸, 예를 들어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등의 동족체 및 이성질체와 같은 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 (예컨대, 아릴옥시, 아릴티옥시, 아르알킬)와 함께 사용되는 용어 "아릴" (Ar)은 단일 고리, 또는 함께 융합되거나 공유적으로 결합된 다수의 고리들 (3개 이하의 고리)일 수 있는 방향족 치환기를 의미한다.
도식적 개요
하기의 반응식 I 내지 IV는 본 발명의 방법의 예에 대한 도식적 흐름도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6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7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8
Figure 112005023582751-pct00009
반응식 I 내지 III에서의 출발 물질 1, (3β,7β,11α-트리히드록시-5-안드로스텐-17-온)의 제조는 10-L 발효 규모로 압시디아 코에룰레아(Absidia coerulea) ATCC 6647 (이명: 압시디아 오르키디스(Absidia orchidis))의 액침 배양법을 이용하는 5-안드로스텐-3β-올-17-온의 생물전환으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7 참고). 반응식 IV에서의 출발 물질은 10-L 발효 규모로 디플로디아 고시피나(Diplodia gossypina) ATCC 20571 (이명: 보트리오디플로디아 테오브로마에(Botryodiplodia theobromae) IFO 6469)의 액침 배양법을 이용하는 3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 (I)의 3β,7β-디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으로의 생물전환으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6 참고).
단계 I-A, II-E, III-D 및 IV-D: 17-옥소 중간체로의 아세틸렌 첨가
문헌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17-옥소 중간체를 아세틸렌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첨가 화합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문헌 [Schwede, W., et. al., Steroids, 63 166 (1998)]; [Corey, E. J. et. al., J. Amer. Chem. Soc. (1999), 121, 710-714]; [Schwede, W. et. al., Steroids (1998), 63 (3), 166-177]; [Ali, H. et. al., J. Med. Chem. (1993), 36 (21), 3061]; [Turuta, A. M. et. al., Mendeleev Commun. (1992), 47-8]; [Kumar, V. et. al., Tetrahedron (1991), 47 (28), 5099]; [Page, P. C., Tetrahedron (1991), 47, 2871-8]; [Curts, S. W. et. al., Steroids (1991), 56, 8]; [Kataoka, H. et. al., Chem. Lett. (1990), 1705-8]; [Christiansen, R. G. et. al., J. Med. Chem. (1990), 33 (8), 2094-100] 참고). 임의로는, 단계 I-A에서의 트리히드록시화합물 1을 아세틸렌의 첨가 전에 단리 없이 트리메틸실릴화시킬 수 있다. 실릴화는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온화한 산 촉매,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또는 사카린으로 달성한다. 아세틸렌의 첨가 후, 온화한 무기산, 아세트산, 인산, 테트라-알킬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등과 반응시키는 후처리 동안 트리메틸실릴기가 제거된다.
단계 I-B, II-A, III-A 및 IV-A: 히드록시 아실화
히드록시 중간체를 당업계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아실화 시약으로 아실화한다. 아실화 시약으로는 저급 알칸산 무수물, 저급 알칸산 클로라이드, 저급 알킬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저급 알킬탄산 무수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3급 유기 염기로는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옥시드, 트리에틸 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 등이 포함된다. 별법으로, 혼합된 카르보네이트 (RO-CO-O-)의 제조는 반응 용매로서 피리딘,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극성 용매를 염화메틸렌으로 치환하는 변형법을 통해, 공개된 절차 [Harada, T., et. al., J. Carbohydrate Chem., (1995), 14, 165]에 따라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서 알콕시카르보닐옥시벤즈트리아졸과 반응시켜 달성할 수 있다.
단계 I-C, II-F, III-E 및 IV-E: 아세틸렌 부가물의 히드로포르밀화
락톨 중간체의 형성은 문헌 ([Wuts, P. G. M., et. al., J. Org. Chem. 1989, 54, 5180]; [Botteghi, C., et. al., Tetrahedron, 2001, 57, 163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촉매량의 로듐 촉매 및 로듐 배위결합 리간드의 존재하에 일산화탄소 및 수소로 히드로포르밀화함으로써 달성한다. 반응은 14 내지 500 psi,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psi의 압력에서 수행한다. 수소 대 일산화탄소의 비는 1/5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1/1이다. 적합한 로듐 촉매로는 로듐 아세테이트, 로듐 클로라이드, 히드리도로듐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카르보닐 아세틸아세토네이토 로듐 II가 포함된다. 적합한 리간드로는 트리아릴포스핀,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비덴테이트 포스핀, 예를 들어 크산트포스, 비덴테이트 포스파이트 등이 포함된다.
단계 I-D, II-G, III-F 및 IV-F: 락톨의 락톤으로의 산화:
락톨의 락톤으로의 산화는 다양한 표준 산화 시약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적합한 산화 시약의 예로는 요오도숙신이미드/테트라부틸 암모늄 요오다이드 ([Kraus, George A.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0), 10 (9), 895-897]; [Barrett, A. G. M., et. al., J. Org. Chem. (1989), 54 (14), 3321]); 존스 시약 (아세톤 중의 크롬산) ([Panda, J., et. al., Tetrahedron Letters (1999), 40, 6693]; [Tomioka, K., et. al., J. Org. Chem. (1988), 53 (17), 4094]); 탄산은 [Chow, T. J., et. al., J. Chem. Soc., Perkin Transactions 1, (1999), 1847];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 ([Uchiyama, M., et.al., Tetrahedron Letters (2000), 41 (51), 10013]; [Vanderiei, J. M. de L., Synthetic Communications (1998), 28 (16), 3047]; [Kassou, M., et. al.,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97), 62, 3696]; [Rehnberg, N., et. al., J. Org. Chem. (1990), 55 (14), 4340-9]; Ru04/테트라알킬암모늄 염/tert-아민 N-옥시드 [Jeewoo, K., et. al., Chem. Lett. (1995), (4), 299]; 피리디늄 디크로메이트 [Paquette, L. A., et. al., J. Am. Chem. Soc. (1995), 117 (4), 1455-6]; 차아염소산나트륨/tert-아민 N-옥시드 [Waldemar, A., et. al., Chem. Rev., (2001), 101, 3499]; 알루미늄 알콕시드/아세톤 ([Ooi, T., et. al., Synthesis (2002), 279]; [Djerassi, C. et. al., Org. React. (1951), 6, 207]); 트리아세톡시퍼요오도인 단 [Martin, J. C., et. al., J. Amer. Chem. Soc., (1991), 113, 7277]이 포함된다.
단계 I-E, II-B, III-B 및 IV-B: C-7에서의 카르보닐화
스테로이드성 Δ5-엔-7-아실레이트 (화학식 2)의 카르보닐화를 알콜, 아민과 같은 염기, 팔라듐 촉매, 및 임의로 공용매의 존재하에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킴으로써 달성하여 화학식 I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팔라듐 촉매는 임의의 리게이션된(ligated) 팔라듐 복합체, 예컨대 하나 이상의 Pd 원자에 리게이션된 할라이드 및(또는) 유기 리간드를 포함하며, 이는 화학식 II에서의 C-7-OR2 기가 화학식 I의 원하는 -C(O)OR3 기로 전환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적합한 팔라듐 촉매로는 팔라듐 아세테이트, 팔라듐 (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팔라듐 (0)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 (Pd2(dba)2), 팔라듐 1,3-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디브로마이드, (Pd(dppp)Br2), 디메틸-2-(디메틸포스피노)에틸포스핀 팔라듐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디브로마이드 (Pd2(Ph3P)2Br2)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염기로는 N-메틸모르폴린 (NMM), 트리에틸아민 (T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콜의 예로는 벤질 알콜 또는 화학식 C1-C6 알킬-OH의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2-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알콜의 다른 예로는 CO와 함께 스테로이드 C-7 위치에서 원하는 에스테르를 형성하게 될 -OH 관능기를 함유 하는 임의의 반응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콜은 임의의 1차 또는 2차 탄화수소 반응물일 수 있다. 반응은 약 20℃ 내지 150℃의 온도 및 약 500 psi 내지 약 2000 psi의 CO 압력에서 약 5 내지 약 24시간 동안 알콜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메탄올 중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50 내지 90℃, 예컨대 70 내지 80℃의 온도 및 800 내지 1500 psi, 예컨대 1200 내지 1400 psi의 CO 압력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은 임의로 예를 들어 리튬 브로마이드로부터의 브로마이드를 함유한다.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카르보닐화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성물의 수율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0
모든 반응은 10 내지 12시간 동안 메탄올 중에서 70 내지 80℃ 및 1200 내지 1400 psi 일산화탄소에서 수행하였다.
DMPE = 디메틸-2-(디메틸포스피노)에틸포스핀;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MM = N-메틸 모르폴린; IPA = 이소프로필 알콜; Pd(dppp)Br2 = 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팔라듐 디브로마이드; Pd(dba)2-CHCl3 = 팔라듐(O)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
단계 I-F, I-H, II-D, III-C 및 IV-C: 아실기 가수분해
3 및(또는) 11 아실히드록시 중간체의 가수분해는 임의로는 공용매와 함께 용매로서 메탄올을 사용하여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중탄산염 또는 탄산염,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수산화세슘, 중탄산리튬 등으로 달성한다. 또한 탄산염은 아세토니트릴 또는 염화메틸렌과 같은 용매 중에서 미리형성된 시약 또는 동일계내 생성된 시약과 함께 트리메틸실릴요오다이드 또는 트리메틸실릴브로마이드와 같은 시약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할 수 있다.
단계 I-G, II-F, III-F 및 IV-F: 3-히드록시-Δ 5 -엔 중간체의 산화
3-히드록시-Δ5-엔 중간체인 중간체 7의 Δ4-에논 8로의 산화는 단계 I-C에 기재한 바와 같은 시약으로 달성한다.
단계 I-G, II-F, III-F 및 IV-F의 산화로 인해 비콘쥬게이트된 5-6 이중 결합이 생성되는 이러한 경우에, 열역학적으로 더욱 안정한 C4-5 위치로의 이중 결합의 이동은 0 내지 80℃의 온도에서 불활성 유기 용매 또는 용매들의 수성 혼합물 중에서 8과 같은 중간체를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접촉시킴으로써 달성한다. 적합한 유기산으로는 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옥살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과염소산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별법으로, 촉매는 3급 유기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디아자비시클로운데칸 (DBU) 등이거나 무기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일 수 있다. 이중 결합 이동은 기재되어 있다 (바크쉬(Bakshi) 등의 미국 특허 제5,237,064호; [Pollack, et. al., J. Amer. Chem. Soc., 1987, 109, 5048]; [Tsubuki, et. al., J. Org. Chem., 1992, 57, 2930]; [Zeng, et. al., J. Amer. Chem. Soc., 1991, 113, 3838]).
단계 I-H
8의 가수분해는 단계 I-F에 제시된 절차에 의해 달성된다.
단계 I-I 및 I-J
공지된 중간체 9의 10 (에플레레네온)으로의 전환은 미국 특허 제4,559,332호 및 동 제5,981,744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17-옥소 중간체로의 아세틸렌의 첨가: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1
헥사메틸디실라잔 (HMDS) (100 ml)을 염화메틸렌 400 ml 중 트리올 1 50.0 g의 교반된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사카린 (0.57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 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는데, 이 시간 동안 슬러리는 맑은 호박색 용액으로 점차 용해될 것이다. 물 (5 ml)을 첨가하여 임의 과량의 HMDS를 켄칭시켰다. 환류에서 5분 후, 혼합물을 350 ml의 조립(coarse) 프릿 필터 깔때기 상에서 마그네졸 32.6 g의 CH2Cl2 습윤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은 맑고 거의 무색이어야 한다. 필터 케이크를 CH2Cl2 100 ml x 2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잔류 염화메틸렌을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500 ml 부분 x 2와 함께 증발시켜 제거하고, 각각의 첨가 후 건조물로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THF 500 ml 중 칼륨 t-부톡시드 (42.0 g)의 현탁액을 얼음/메탄올 조를 이용하여 -9 ±5℃로 냉각시켰다. 적어도 1시간 동안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아세틸렌을 표면 바로 아래의 혼합물로 버블링하였다. 0 ±5℃의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THF (400 ml) 중 상기로부터 얻은 실릴화된 스테로이드 중간체를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5 ±5℃에서 추가의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0 ml)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15 ±5℃로 가온하였다. 10% HCl 125 ml를 서서히 첨가하여 pH를 2.5 내지 3으로 감소시켰다. 혼합물을 pH 2.5 내지 3에서 교반하면서, 2.5 내지 3의 pH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바와 같은 소량의 5% HCl을 20 ±5℃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가수분해가 완료된 후, 포화 NaHCO3 용액의 절반을 첨가하여 pH를 5.5 내지 6으로 상승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희석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상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첨가 생성물 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2
실시예 2
히드록시 아세틸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3
피리딘 (150 ml)에 용해된 테트라올 2 (50.00 g, 144 mmol)의 혼합물을 빙조에서 10℃ 미만으로 냉각시켰다. 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1.7 g, 14 mmol)을 첨가한 후, 아세트산 무수물 (41.4 ml, 439 mmol)을 용액 온도를 10℃ 미만에서 유지하기 위한 속도로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 및 물 (50 ml)로 희석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10% HCl (25 ml x 4)로 세척한 후, H20 (50 ml x 2)로 세척하고, MgS0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생성물을 톨루엔 (100 ml)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4
실시예 3
아세틸렌 부가물의 히드로포르밀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5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중 트리아세테이트 3 (25.4 g, 54 mmol), PPh3 (2.13 g, 8.1 mmol) 및 Rh2(OAc)4 (716 mg, 1.62 mmol)의 용액을 170 psi의 압력에서 12시간 동안 수소/일산화탄소의 1/1 혼합물 하에 8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생성물 4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70/30 EtOAc/Hex 및 실리카 500 g)로 정제하였다. NMR 스펙트럼의 품질을 불량하게 하는 락톨 이성질체 때문에, 전형적으로 조 생성물은 특성화되지 않았다. 이를 산화로 직접 진행시켰다.
실시예 4A
락톨의 락톤으로의 산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6
락톨 4a (25 g, 50 mmol), 염화메틸렌 (250 ml), 물 (38 ml),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TEMPO) (156 mg, 1 mmol), KBr (595 mg, 5 mmol), 및 NaHCO3 (5.5 g, 65 mmol)의 혼합물을 빙조에서 10℃ 이하로 냉각시켰다. 1.1 M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의 용액 (50 ml, 55 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물 (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염수 (50 ml x 2)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0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5a를 회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7
실시예 4B
락톨의 락톤으로의 산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8
CH2Cl2 25 mL 및 H20 9 mL 중 락톨 4b (1.0 g)의 용액을 NaHC03 300 mg, KBr 142 mg, TEMPO 15 mg로 처리하고, 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NaOCl 2.4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생성물을 EtOAc로 단리하고, EtOAc/Hex로부터 결정화하여 락톤 5b 876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19
실시예 5
C-7에서의 카르보닐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0
메탄올 20 ml 중의 트리아세테이트 5 (2.0 g), Pd(dppp)Br2 (126 mg), 디이소프로필 아민 (0.78 mL), Et4NBr (260 mg), NaBr (1.09 g)을 CO를 이용하여 1200 psi로 가압한 후, 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냉각시키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40-7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메틸 에스테르 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1
실시예 6
C-3에서의 아실기 가수분해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2
메탄올 (50 ml) 중의 0.15 N 탄산칼륨 중 디아세틸에스테르 6 (5.01 g)의 용 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반응을 TLC로 모니터링하였다. 출발 물질 6이 더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 혼합물을 물 (2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100 ml),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물로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히드록시 화합물 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3
실시예 7
3-히드록시스테로이드의 산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4
CH2Cl2 6 mL 및 H2O 2 mL 중 디올 (300 mg, 0.72 mmol), KBr 14 mg, NaHCO3 130 mg, TEMPO 4 mg의 용액을 18℃로 냉각시키고, NaOCl 0.73 mL (1.1 M)로 서서히 처리하였다. TLC가 반응 완료를 나타내었을 때, NaHS03을 첨가하여 과량의 차아염소산염을 켄칭하였다. 생성물을 EtOAc로 단리하고 EtOAc로부터 결정화하여 탈콘쥬게이트된 에논 23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5
EtOAc 용액 중에 정치시키면, 이중 결합은 서서히 콘쥬게이트된 위치로 이성질체화되었다.
실시예 8
트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6
피리딘 80 mL 및 트리에틸아민 15 mL 중 테트롤 2 9.97 g의 용액을 N-메톡시카르보닐옥시벤즈트리아졸 33.6 g 및 DMAP 360 mg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물 (15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트리카르보네이트 3을 수득하였다. TLC (100% EtOAc) rf = 0.94
실시예 9
트리카르보네이트의 히드로포르밀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7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 9.95 g의 3, Rh2(OAc)2 18 mg 및 트리페닐포스핀 430 mg의 용액을 일산화탄소/수소 (1:1)를 이용하여 190 psi로 가압하고, 8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계속해서 따뜻한 상태로 여과하였다. 냉각시킨 후, 생성물 4를 결정화하고 여과로 수집하였다. TLC (75% EtOAc/Hex) rf = 0.96
실시예 10
트리-카르보네이트의 카르보닐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8
MeOH (300 ml) 중 트리카르보네이트 18 (20.00 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1 ml), Pd(dppp)Br2 (582 mg)의 혼합물을 CO로 가압하고 (1200 psi), 18시간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마그네졸을 통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물 (2 x)로 세척하고, MgS0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1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29
실시예 11
디-카르보네이트의 카르보닐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0
EtOH (10 ml) 중의 디카르보네이트 25 (521 mg, 1.25 mmol) 디이소프로필아민 (0.219 ml, 1.25 mmol), Br2Pd(PPh3)2 (18 mg, 0.063 mmol) 및 NaBr (26 mg, 0.25 mmol)을 80℃에서 1300 psi 일산화탄소 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50/50 EtOAc/헥산 및 실리카 100 g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에스테르 1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1
실시예 12
디-카르보네이트의 제조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2
피리딘 5 mL 중 트리올 1 (2.0 g)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CH2Cl2 5 mL 중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4 m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한 후, 물 및 CH2Cl2 각각 50 ml를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 을 CH2Cl2 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20 mL로 세척하고 농축하였다. 50% EtOAc/Hex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디카르보네이트 1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3
실시예 13
카르보네이트의 가수분해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4
MeOH (10 mL) 중의 디카르보네이트 18 (0.86 g) 및 탄산칼륨 (1.49 g)을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물 (50 ml x 2)로 세척하고, MgS04 상에서 건조시키고, 맑은 무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가수분해하여 C7 에스테르를 이성질화하였다. 카르보네이트를 30% 아세톤/CH2Cl2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하여 19를 C7에서의 α 및 β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HPLC: 피노메넥스 뉴클레오실(Phenomenex Nucleosil) C18, 65:35 ACN:H20, t = 4.17분, t = 4.60분.
실시예 14
3-히드록시-Δ5-엔의 산화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5
알콜 7 (6.0 g), CH2Cl2 (40 mL), 물 (9.0 mL),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TEMPO) (38 mg), KBr (142 mg) 및 중탄산나트륨 (4.0 g)의 혼합물을 5℃로 냉각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1.1 M NaOCl 14.1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추가의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희석된 HCl로 산성화하였다. 생성물을 CH2Cl2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6
실시예 15
11-히드록시 중간체의 탈수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7
PCl5 (1.08 g)를 -51℃에서 THF 중의 알콜 용액에 첨가하였고, 이로써 온도가 -48℃로 상승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수성 NaHCO3에 붓고, EtOAc로 추출하 고 농축하였다. 물질을 EtOAc/헥산으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디엔 2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3582751-pct00038
실시예 16
3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의 3β,7β-디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으로의 생물전환
3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 (I)의 3β,7β-디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으로의 생물전환은 10-L 발효 규모로 디플로디아 고시피나 ATCC 20571 (이명: 보트리오디플로디아 테오브로마에 IFO 6469)의 액침 배양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A) 1차-시딩 단계
디플로디아 고시피나 (ATCC 20571)의 동결된 식물성 세포를 해동시키고, 감자-덱스트로스-아가 플레이트 (PDA)로 이동시키고, 28℃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단일 균사체-마개 (6-7 mm 직경)를 사용하여 1차-시딩 배지 100 mL를 함유하는 실리콘화 점각된 진탕 플라스크 (500 mL)에 접종하였다. 1차-시딩 배지는 (1 L 당) 덱스트린 50 g; 대두 가루 35 g; 세렐로스 5 g; 염화코발트 6수화물 2 mg; 실리콘 기포방지제 (SAG 471) 0.5 mL로 이루어졌다. 멸균 전에 수산화나트륨 (2 N)으로 pH를 7.0 내지 7.2로 조정하였다. 발효 배지를 멸균하고, 디플로디아 고시피나 ATCC 20571을 접종하고, 280 rpm으로 설정된 제어-환경 인큐베이터-진탕 기 (1" 궤도식 타격)를 이용하여 28℃에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B) 2차-시딩 단계
식물성 1차-시딩 배양물 (1.2 mL; 0.012% (v/v) 접종률)을 이용하여 2차-시딩 발효물 10 L을 접종하였다. 2차-시딩 배지는 (RO수 1 L 당) 세렐로스 60 g; 대두 가루 25 g; 대두유 30 mL; 마그네슘 7수화물 1 g; 인산이수소칼륨 0.74 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2 mL; 실리콘 기포방지제 (SAG 471) 0.5 mL를 함유하였다. 멸균 전에 농축 황산으로 pH를 3.95 내지 4.00로 조정하였다. 2차-시딩 배지를 함유하는 발효기를 재킷 및 주사 스팀을 둘다 이용하여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멸균하는 동안의 교반 속도는 200 RPM이었다. 멸균 후에 배지의 pH를 멸균 황산 (5%)을 이용하여 4.0으로 조정하였다. 디플로디아 고시피나 ATCC 20571을 28℃에서 하기 초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접종하였다: 교반, 100 RPM; 역압 = 5 psig; 기류 = 2.5 SLM (0.25 VVM); 낮은 DO 설정점, 30%; pH 제어 없음. DO가 최초로 30%로 떨어졌을 때, 기류를 5 SLM (0.5 VVM)으로 증가시켰다. 배양물이 낮은 DO에 다시 도달했을 때, 교반 제어를 이용하여 30% DO를 유지하였다. OUR이 약 10 내지 약 15 mM/L/h일 때, 접종 후 대략 60시간 째에 2차-시딩 배양물을 수거하였다.
(C) 스테로이드 생물전환
스테로이드-생물전환 배양물 10 L를 제조하였다. 접종 후 약 24시간 째에, 최소량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0.2%) 중에 슬러리화된 미분 3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 120 g을 10-L 발효물에 첨가하였다.
생물전환 배양물을 3β,7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에 대해 매일 분석하였다. 3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의 3β,7β-히드록시안드로스타-5,9(11)-디엔-17-온으로의 생물전환은 접종후 대략 3일 째에 완료되었다.
실시예 17
5-안드로스텐-3β-올-17-온의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으로의 생물전환
5-안드로스텐-3β-올-17-온의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으로의 생물전환은 10-L 발효 규모로 압시디아 코에룰레아 ATCC 6647 (이명: 압시디아 오르키디스)의 액침 배양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A) 1차-시딩 단계
압시디아 코에룰레아 ATCC 6647의 1차-시딩 배양물은 실시예 16에서 디플로디아 고시피나 ATCC 20571에 대해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B) 2차-시딩 단계
식물성 1차-시딩 배양물 1.2 mL (0.012% [v/v] 접종율)를 이용하여 2차-시딩 발효물 10 L를 접종하였다. 2차-시딩 배지는 (RO수 1 L 당) 덱스트린 50 g; 대두 가루 35 g; 세렐로스, 5 g; 염화코발트 6수화물 2 mg; 실리콘 기포방지제 (SAG 471) 0.5 mL를 함유하였고, 멸균 전에 농축 황산으로 pH를 4.95 내지 5.00로 조정하였다. 2차-시딩 배지를 함유하는 발효기를 재킷 및 주사 스팀을 둘다 이용하여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멸균하는 동안의 교반 속도는 200 r.p.m.이었 다. 멸균 후에 배지 pH를 멸균 황산 (5%)을 이용하여 5.0으로 조정하였다. 압시디아 코에룰레아 ATCC 6647을 28℃에서 하기 초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접종하였다: 교반, 100 r.p.m.; 역압 = 5 psig; 기류 = 2.5 SLM (0.25 VVM); 낮은 DO 설정점, 50%; pH 제어 없음. DO가 최초로 30%로 떨어졌을 때, 기류를 5 SLM (0.5 VVM)으로 증가시켰다. 배양물이 낮은 DO에 다시 도달했을 때, 교반 제어를 이용하여 30% DO를 유지하였다. OUR이 약 4 내지 약 7 mM/L/h일 때, 접종 후 약 76시간 째에 2차-시딩 배양물을 수거하였다.
(C) 스테로이드 생물전환
식물성 2차-시딩 배양물 500 mL (5% [v/v] 접종율)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생물전환 발효물 10 L를 접종하였다. 스테로이드-생물전환 배지는 (RO수 1 L 당) 덱스트린 50 g; 대두 가루 35 g; 세렐로스 20 g; 실리콘 기포방지제 (SAG 471) 0.5 mL를 함유하였고, 멸균 전에 농축 황산으로 pH를 2.95 내지 3.00으로 조정하였다. 멸균 조건은 2차-시딩 배지에 대해 기재한 바와 같았다. 멸균 후에 배지 pH를 멸균 황산 (5%)을 이용하여 3.0으로 조정하였다. 압시디아 코에룰레아 ATCC 6647을 28℃에서 2차-시딩 배양을 위해 사용한 것과 동일한 초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큐베이션하였다. 접종 후 약 17시간 째에, 최소량의 0.2%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중에 슬러리화된 미분 5-안드로스텐-3β-올-17-온 200 g을 10 L 발효물에 첨가하였다.
생물전환 배양물을 TLC를 이용하여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에 대해 매일 분석하였다. 통맥주(whole beer) 1 ml를 메탄올 10 mL로 추출하였 다. 세포를 원심분리 (10분 동안 3,000 x g)로 수성-메탄올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수 ㎕를 TLC 플레이트에 도포하였다. TLC 플레이트를 시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90: 60: 15) 중에서 현상하고, TLC에 50% 황산을 분무한 후 오븐에서 구움으로써 생성물을 가시화하였다. 50% 황산을 분무했을 때 청색으로 변하는 인증된 표준물과 생성물을 비교하였다. 5-안드로스텐-3β-올-17-온의 5-안드로스텐-3β,7β-디올-17-온으로의 생물전환은 접종 후 대략 4일 째에 완료되었다.
5-안드로스텐-3β-올-17-온의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으로의 생물전환은 접종 후 대략 6 내지 7일 째에 완료되었다.
(D) 단리 절차
통맥주 고체를 원심분리로 회수하였다. 액체를 따라냈다. 45℃ 내지 50℃에서 85% 아세톤과 15% 물 10 L를 이용하여 진한 고체를 추출하고, 따뜻한 추출물을 여과로 정화하였다. 진한 여액을 증류로 농축시켜 아세톤을 제거하면서 조 결정의 수성 슬러리를 생성하였다. 결정 슬러리를 여과하고, 모액을 따라냈다. 물에 젖은 결정을 염화메틸렌 600 ml에서 연화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메탄올 700 ml 중에 용해시킨 후 (55℃로 가열함으로써), 다르코(Darco) G-60 탄소 5 g으로 탈색하였다. 여과하여 탄소를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시켜 생성물을 결정화하였다. n-부틸 아세테이트 300 mL를 첨가하고 진한 결정 슬러리를 농축시킴으로써 메탄올을 추가로 제거하였다. 결정을 여과하고 n-부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조 결정질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 75.5 g을 수득하였다.
조 결정을 염화메틸렌 600 ml에서 연화처리하여 추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메탄올 700 ml 중에 용해시킨 후 (55℃로 가열함으로써), 다르코 G-60 탄소 5 g으로 탈색하였다. 여과하여 탄소를 제거한 후, 여액을 농축시켜 생성물을 결정화하였다. n-부틸 아세테이트 300 mL를 첨가하고 진한 결정 슬러리를 농축시킴으로써 메탄올을 추가로 제거하였다. 결정을 여과하고 n-부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정제된 결정질 5-안드로스텐-3β,7β,11α-트리올-17-온 42.1 g을 수득하였다.

Claims (4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05023583662-pct00088
    상기 식에서, R1은 COR4이고;
    R4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은 C1-C6 알킬이고;
    Z1은 -CH2- 또는
    Figure 112005023583662-pct00089
    (여기서, O-COR4는 α배위로 존재함)이고;
    Z2는 -CH-이거나;
    Z1 및 Z2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Q는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0
    이다.
  2. 삭제
  3. 알콜, 아민 및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II의 스테로이드 중간체를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의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1
    <화학식 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2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O)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는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3은 C1-C6 알킬이고;
    Z1은 -CH2- 또는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3
    (여기서, OCOR4는 α배위로 존재함)이고;
    Z2는 -CH-이거나;
    Z1 및 Z2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Q는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4
    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알콜이 C1-C6 알킬-OH 또는 벤질 알콜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벤질 알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에탄올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인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압력이 약 500 psi 내지 약 2000 psi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압력이 약 800 psi 내지 약 1500 psi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압력이 약 1200 psi 내지 약 1400 psi인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가 팔라듐 아세테이트, 팔라듐 (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팔라듐 (0)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 (Pd2(dba)3), 팔라듐 1,3-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디브로마이드, (Pd(dppp)Br2), 디메틸-2-(디메틸포스피노)에틸포스핀 팔라듐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디브로마이드 (Pd2(Ph3P)2Br2)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가 Pd2(dba)3, Br2Pd(PPh3)2, (dppe)PdBr2, Pd(OAc)2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가 Br2Pd(PPh3)2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팔라듐 촉매가 Pd2(dba)3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추가의 브로마이드 염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방법.
  16. 제3항에 있어서, 아민이 3급 아민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3급 아민이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8. 제3항에 있어서, 반응을 약 20℃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반응을 약 70℃ 내지 약 8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500 psi 내지 1500 psi의 압력 및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메탄올, 3급 유기 염기 및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화학식 VII의 락톤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III의 에스테르 디아실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5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1. 제20항에 있어서, 화학식 VI의 락톨을 하기 화학식 VII의 락톤으로 산화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6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2. 제21항에 있어서, 로듐 촉매 및 수소 및 일산화탄소의 존재하에 화학식 V의 트리아실 화합물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I의 17-락톨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7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3. 제22항에 있어서,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IV의 17-아세틸렌계 트리-알콜을 아실화 시약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의 트리아실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4. 제23항에 있어서,
    a) 사카린 또는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III의 17-케토 스테로이드를 헥사메틸디실라잔과 반응시켜 실릴화된 17-케토 스테로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b)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단계 a)에서 형성된 실릴화된 17-케토 스테로이드를 아세틸렌과 반응시키는 단계;
    c) 산 또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존재하에 단계 b)의 생성물을 단리하여 하기 화학식 IV의 17-아세틸렌계 알콜을 수득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099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0
    .
  25. 제24항에 있어서, 메탄올 또는 수성 용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VIII의 아실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IX의 3-알콜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1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6.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IX의 알콜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의 케톤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에플레레논을 제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2
    상기 식에서, R은 C1-C4 알킬-CO- 또는 C1-C4 알킬-OCO-이다.
  27. 제26항에 있어서, 염기의 존재하에 메탄올을 이용하여 화학식 X의 화합물의 11-아실기를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XI의 11-히드록시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54
    .
  28. 제27항에 있어서, 화학식 XI의 11-히드록시 화합물을 오염화인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디엔온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55
    .
  29. 제28항에 있어서, 화학식 XII의 디엔온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II의 에플레레논을 형성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56
    .
  30. 제3항에 있어서,
    a)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III의 케토 스테로이드를 C1-C6 알킬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하기 화학식 M의 N-히드록시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IV의 디카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3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4
    상기 식에서, Z는 1-벤조트리아졸릴, N-숙신이미도 또는 N-프탈이미도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6 알킬이고;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5
    상기 식에서, R은 C1-C6 또는 벤질이다.
  31. 제30항에 있어서, 250 psi 내지 1500 psi의 압력 및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팔라듐 촉매, 메탄올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IV의 디-아실 화 합물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V의 디아실에스테르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0
    .
  32. 제31항에 있어서, 화학식 XV의 화합물을 탈수시켜 하기 화학식 XV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1
    .
  33. 제32항에 있어서, 염기 및 메탄올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의 디아실에스테르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XVII의 히드록시 에스테르를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2
    .
  34. 제33항에 있어서, 강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I의 화합물을 아세틸렌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V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3
    .
  35. 제34항에 있어서, 로듐 촉매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일산화탄소 및 수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IX의 락톨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4
    상기 식에서, R은 H이다.
  36. 제35항에 있어서, 화학식 XIX의 락톨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락톤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XII>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5
    .
  37. 제36항에 있어서,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II의 에플레레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XIII>
    Figure 112005023582751-pct00066
    .
  38. 제3항에 있어서,
    a)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III의 케토 스테로이드를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X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b) 250 psi 내지 1500 psi의 압력 및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팔라듐 촉매, 메탄올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II의 디-아실 화합물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X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c) 화학식 XXI의 디아세테이트를 가수분해하여 하기 화학식 XXII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d) 강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XII의 화합물을 아세틸렌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X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e) 로듐 촉매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X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일산화탄소 및 수소와 반응시켜 화학식 XXIV의 락톨을 수득하는 단계;
    f) R이 H인 화학식 XXIV의 락톨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의 락톤을 수득하는 단계;
    g) 화학식 XI의 화합물을 탈수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h) 화학식 XII의 디엔온을 산화시켜 에플레레논 (화학식 XIII)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플레레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6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7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8
    Figure 112005023583662-pct00109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0
    <화학식 X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1
    <화학식 X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2
    <화학식 XI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3
    .
  39. 제3항에 있어서,
    a)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하기 화학식 XXV의 디올을 C1-6 알킬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XVI의 디카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b) 250 psi 내지 1500 psi의 압력 및 25℃ 내지 150℃의 온도에서 팔라듐 촉매, 메탄올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XVI의 디-아실 화합물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VI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c) 강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I의 화합물을 아세틸렌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V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d) 로듐 촉매 및 3급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XVIII의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일산화탄소 및 수소와 반응시켜 R이 H인 하기 화학식 XIX의 락톨을 수득하는 단계;
    e) 화학식 XIX의 락톨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락톤을 수득하는 단계;
    f)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XIII의 에플레레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플레레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4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5
    상기 식에서, R은 C1-6 알킬이다;
    <화학식 XV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6
    <화학식 XVI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7
    <화학식 XIX>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8
    <화학식 X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19
    <화학식 XIII>
    Figure 112005023583662-pct00120
    .
  40. 삭제
KR1020057007930A 2002-11-06 2003-03-21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KR100638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410202P 2002-11-06 2002-11-06
US60/424,102 200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937A KR20050084937A (ko) 2005-08-29
KR100638776B1 true KR100638776B1 (ko) 2006-10-31

Family

ID=3231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930A KR100638776B1 (ko) 2002-11-06 2003-03-21 7-카르복시 치환된 스테로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196208B2 (ko)
EP (1) EP1560841A1 (ko)
JP (1) JP3814284B2 (ko)
KR (1) KR100638776B1 (ko)
CN (1) CN1694897A (ko)
AU (1) AU2003213807A1 (ko)
BR (1) BR0316049A (ko)
CA (1) CA2504745A1 (ko)
MX (1) MXPA05004913A (ko)
PL (1) PL376919A1 (ko)
RS (1) RS20050310A (ko)
RU (1) RU2304144C2 (ko)
TW (1) TW200407150A (ko)
WO (1) WO2004043987A1 (ko)
ZA (1) ZA200503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655B2 (en) * 2002-03-22 2007-06-26 Pharmacia & Upjohn Company Processes to prepare eplerenone
ITMI20042338A1 (it) * 2004-12-06 2005-03-06 Ind Chimica Srl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drospirenone
CN1310941C (zh) * 2005-07-13 2007-04-18 南京大学 依普利酮的合成方法
CN1321128C (zh) * 2005-07-15 2007-06-13 浙江医药股份有限公司新昌制药厂 孕甾-4-烯-7,21-二甲酸,9,11-环氧-17-羟基-3-氧代,γ-内酯,甲酯,(7α,11α,17α)-的制备方法
EP2300489B1 (en) 2008-06-06 2015-11-11 Harbor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preparing 17-alkynyl-7-hydroxy steroids and related compounds
CN102250173B (zh) * 2010-05-18 2015-07-08 上海医药工业研究院 一种6-o-甲基红霉素a衍生物和克拉霉素的制备方法
RU2528990C1 (ru) * 2013-03-29 2014-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МГУ) КРИСТАЛЛИЧЕСКАЯ МОДИФИКАЦИЯ 3β-ГИДРОКСИ-5-АНДРОСТЕН-17-ОНА FVII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N114478672A (zh) * 2022-01-27 2022-05-13 浙江仙居君业药业有限公司 一种he3286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8006A (en) * 1972-08-24 1974-09-25 Searle & Co 4alpha,7alpha-carbonyl-5-cyano-17-hzydroxy-3-oxo-5beta,17alpha- pregnane-21-carboxylic acid ypsilon-lactone
US4069219A (en) * 1976-12-27 1978-01-17 G. D. Searle & Co. 7ξ-(Alkoxycarbonyl)-6ξ-alkyl/halo-17-hydroxy-3-oxo-17α-pregn-4-ene-21-carboxylic acid γ-lactones and corresponding 21-carboxylic acids, their salts, and esters
FI77669C (fi) * 1983-04-13 1989-04-10 Ciba Geigy Ag 20-spiroxaner och analoger, som innehaoller en oeppen ring e, foerfarande foer deras framstaellning samt dessa innehaollande farmaceutiska preparat.
US5237064A (en) * 1992-05-20 1993-08-17 Merck &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7β-substituted-aza-5αandrostan-3-ones
EP0973791B1 (en) * 1995-12-11 2007-06-20 G.D. Searle L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epoxy compound
BR9714510A (pt) 1996-12-11 2000-11-28 Searle & Co Processo e preparo de esteróides de 9,11-époxi e intermediários úteis dos mesm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4897A (zh) 2005-11-09
EP1560841A1 (en) 2005-08-10
CA2504745A1 (en) 2004-05-27
RU2005113872A (ru) 2006-01-20
RU2304144C2 (ru) 2007-08-10
AU2003213807A1 (en) 2004-06-03
WO2004043987A1 (en) 2004-05-27
MXPA05004913A (es) 2005-07-22
KR20050084937A (ko) 2005-08-29
US20040087562A1 (en) 2004-05-06
ZA200503132B (en) 2006-11-29
JP3814284B2 (ja) 2006-08-23
PL376919A1 (pl) 2006-01-09
TW200407150A (en) 2004-05-16
RS20050310A (en) 2007-08-03
US7196208B2 (en) 2007-03-27
JP2006513163A (ja) 2006-04-20
BR0316049A (pt)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2698B (en) Processes for preparing C-7 substituted 5-androstenes
ZA200503132B (en) Processes for preparing 7-carboxy substituted steroids
EP1534732B1 (en) 5 androsten-3-ol steroid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S6254317B2 (ko)
US20040265948A1 (en) Microbial method for hydrolysis and oxidation of androst-5-ene and pregn-5-ene steroid esters
JPS6137280B2 (ko)
Kaji et al. Synthesis of 3-Epi-6, 7-dideoxyxestobergsterl A
US20060100185A1 (en) 5-Androsten-3beta-ol steroid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EP1679317A2 (en) 5-Androsten-3 -ol steroid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fheir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