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680B1 -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680B1
KR100638680B1 KR1020030099490A KR20030099490A KR100638680B1 KR 100638680 B1 KR100638680 B1 KR 100638680B1 KR 1020030099490 A KR1020030099490 A KR 1020030099490A KR 20030099490 A KR20030099490 A KR 20030099490A KR 100638680 B1 KR100638680 B1 KR 10063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rking
elevator
eleva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0236A (en
Inventor
김영인
Original Assignee
김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인 filed Critical 김영인
Priority to KR102003009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680B1/en
Publication of KR2005007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6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의 일종인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Rack mast) 타입 엘리베이터로 경량화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Sliding Elevator)에, 팔레트를 혼자서 자유자재로 주차실에 넣고 뺄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다단 붐(boom)형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실에는 팔레트를 적치하는 골조만 형성하면 되는 경제적인 격납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출고실의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순환 공급하는 장치(Feed Backer)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고의 신속성까지 확보하면서, 아울러 불가피한 경우의 전입전출형 주차장에 대비하여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Turn Table)도 구비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which is a kind of mechanical parking, and in detail, a sliding-mounted sliding elevator with a rack mast type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 pallet freely parking space alone. By installing a multi-stage boom pallet bi-directional feeder with the ability to put in and take out, an economical containment system is constructed in which the pallets only have pallets in the parking lot, Elevator slide type parking system equipped with a lift type pallet direction turning device to prepare for the entrance / exit parking lot in case of unavoidable, by installing a separate feeder to circulate the supply room. It is about.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노력한 기술적 과제인 기능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된다면, 일차적인 기대효과는 보다 효율적인 주차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겠고, 궁극적으로는 주차난 해소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80대 정도의 대규모 주차장으로 축조하여도 원활한 입출고에 전혀 문제가 없고, 투자의 경제성도 대폭 개선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채택한 주차장을 많이 지어 아주 저렴한 요금으로 주차 써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되어 주차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If the technical task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tried to solve is greatly improved, the primary expectation effect will be to provide a more efficient parking system, and ultimately help to solve the serious social problem of parking elimination. It is expect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parking service at a very low rate by constructing a lot of parking lots adop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no problem at all, even when built into a large parking lot of about 80 cars, and the economics of investment are greatly improved.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elimination of parking.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 랙 마스트 타입 승강 시스템, 다단 붐형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 빈 팔레트 순환 공급장치,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 전입 전출형 주차장, 전입 후출형 주차장 Elevator slide type parking system, sliding elevator, rack mast type elevating system, multi-stage boom type pallet bidirectional feeder, empty pallet circulation feeder, elevating pallet reversing device, moving in / out parking lot, moving in / out parking lot

Description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00 :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 시스템00: Elevator Slide Parking System

1: 행(line) 2: 열[column]1: line 2: column

3: 주차실[unit shed] 4: (전입후출형) 입고실3: parking lot [unit shed] 4: wearing room

5: (전입후출형) 출고실 6: (전입전출형) 입고실5: (Move-out type) Warehouse 6: (Move-in type)

7: (전입전출형) 출고실 8: 통로7: (Move-in type) Warehouse 8: Aisle

9: 팔레트(pallet) 10: 슬라이딩 엘리베이터9: pallet 10: sliding elevator

11: 승강부 12: 하부 프레임11: lift 12: lower frame

13: 상부 프레임 14: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3: Upper frame 14: First pallet bidirectional feeder

15: 수평이송장치 16: 바퀴15: leveling unit 16: wheel

17: 레일 18: 쌍 도르래17: Rail 18: pair pulley

19: 균형추 21: 랙 마스트(rack mast)19: Counterweight 21: Rack mast

22: 랙 23 : 피니언22: rack 23: pinion

24: 전동기 25: 레일 프레임24: electric motor 25: rail frame

26: 받침 프레임 27: 와이어 로우프26: support frame 27: wire rope

30: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 31: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0: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1: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

32: 승강 프레임 33: 제1휠 로울러32: elevating frame 33: first wheel rol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34: 실린더 35: 컨트롤 밸브34: cylinder 35: control valve

36: 에어 콤프레서 37: 파이프 및 호스36: air compressor 37: pipe and hose

40: 방향 전환장치 41: 기단프레임40: direction changer 41: air frame

42: 승강회전부 43: 구동장치42: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43: drive device

44: 실린더 세트 45: 꼭지44: cylinder set 45: faucet

46: 제2휠 로울러 47: 지주받침46: second wheel roller 47: prop support

48: 스프링 50: 전입 후출형 주차 시스템48: spring 50: move-in and out parking system

삭제delete

60: 전입 전출형 주차 시스템60: move-in parking system

삭제delete

71: 기단 붐 72: 중단 붐71: air mass boom 72: suspended boom

73: 상단 붐 74 : 도르래73: top boom 74: pulley

75: 리미트바 76 : 구동 전동기75: limit bar 76: drive motor

77: 구동 릴 78 : 연동 릴77: drive reel 78: interlock reel

79: 와이어 80 : 결합 핀79: wire 80: coupling pin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의 일종인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Rack mast) 타입 엘리베이터로 경량화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Sliding Elevator)에, 팔레트를 혼자서 자유자재로 주차실에 넣고 뺄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다단 붐(boom)형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실에는 팔레트를 적치하는 골조만 형성하면 되는 경제적인 격납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앞서 출고한 차량이 출고실에 남기는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순환 공급하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Feed Backer)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고의 신속성까지 확보하면서, 아울러 불가피하게 전입전출(前入前出)형 주차장으로 설치할 경우에 대비하여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Turn Table)도 구비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which is a kind of mechanical parking, and in detail, a sliding-mounted sliding elevator with a rack mast type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 pallet freely parking space alone. By installing a "multi-stage boom pallet bidirectional feeder" with the ability to put in and take out, an economical containment system is constructed in the parking lot that only requires pallets to be stacked. By installing a separate empty pallet feed backer that circulates and supplies empty pallets 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eed of incoming and outgoing goods, and inevitably in case of installation as a pre-exit type parking lot. Elevator slide parking system with lift pallet table Relate to.

본 발명이 속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 분야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현행 주차장 관련 법규상 주차(격납) 방식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 8종의 기계식 주차시스템 전반에 대하여 개관하여 볼 필요가 있는바, 국내의 승용차 보급이 천만 대를 돌파함으로써 대도시는 물론 웬만한 중소 도시까지 전국이 살인적 주차난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유에 대한 체계적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Before looking at the prior art in the field of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verview of the eight kinds of mechanical parking systems tha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urrent parking-related laws parking (containment) method As the number of domestic passenger cars has exceeded 10 million,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hy the whole country is suffering from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murderous parking shortages.

8종의 주차기계 들은 우리보다 먼저 주차난으로 고통 받은 경험이 있는 구미나 일본에서 주로 개발된 것으로 국내의 주차난이 심해지는 강도에 따라 차례로 도입되었다고 보아야 하는데, 처음에는 간단한 "2단식 주차기계"로 시작하여 10~20대 정도의 소규모 시스템인 "다단 퍼즐식"이나 "다층 순환식", "수평 순환식"등이 도입되어 부분적으로는 주차난 완화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eight kinds of parking machines were developed mainly in Kumina and Japan, which suffered from parking difficulties before us, and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domestic parking difficulties, which started with a simple "two-stage parking machine". Therefore, small-scale systems such as "multi-stage puzzle", "multi-stage rotation", "horizontal rotation", etc., were introduced, which helped alleviate parking shortages.

그러나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되어 도심의 상업· 업무지구는 물론 집단 주거지구까지 심각한 주차난으로 고통 받는 상황이 되면서, 부지 효율과 공간 집약도가 낮고 신속한 입출고에 문제가 있어서 대규모 시스템화가 어려운 초기 기종들로는 본격적인 주차난 해소가 어려웠기 때문에, 입체성과 신속성이 장점인 "수직순환 방식"이나 "승강기 방식"이 도입되어 주차난 해소에 일익을 담당했다. 그러나 이들 기종은 부지효율과 공간집약에 너무 집착하여 좁은 부지 위에 지나친 높이를 요하는 주차건물 구조상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적용성에 결정적 한계를 드러내며, 계속 빠르게 확산되는 자동차 증가로 인한 주차난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하여 주차장 건물의 높이와 넓이에 어느 정도 균형이 잡히고 규모의 경제도 확보되는 대형 주차시스템이 절실해지면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및 "평면 왕복 방식"등 대규모화가 가능한 주차 시스템까지 도입되었으나, 전자는 신속성에서 결정적 한계가 있고, 후자는 공간 집약도가 낮고 기계 설비비가 지나치게 고가이어서 투자 효율 즉, 경제성이 취약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However, due to the rapid spread of automobiles, the urban commercial and business districts and group residential districts suffered from severe parking difficulties. In the field, it was difficult to resolve the parking difficulties in earnest, so that the vertical circulation method and the lift system, which had advantages in dimensionality and rapidity, were introduced to play a role in solving the parking difficulties. However, these models were so obsessed with site efficiency and space intensive that they showed decisive limitations on the applicability due to the peculiarities of parking structures that require excessive height on narrow sites, and were insufficient to solve the parking shortage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automobiles. I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urgent need for a large parking system that is well balanced with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arking lot and economies of scale, a parking system that can be scaled up such as "lift slide type" and "flat reciprocating type" has been introduced. The latter has a decisive limit, and the latter can be analyzed to have a limited space-intensity and an excessively high cost of machinery, which means that investment efficiency, that is, economical margin is limited.

이제 본 발명이 속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분야의 종래 기술을 특히 신속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좀더 자세히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Now, the prior art in the field of "lift slide type park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more detail, focusing on the issue of speed.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은 다시 팔레트 이송식과 차량 직접 이송식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먼저 개발된 팔레트 이송식이 입출고의 신속성에 특히 문제가 있다. 슬라이딩 엘리베이터가 입고실에 입고한 차량을 주차실로 옮기고 출고할 차량을 주차실에서 빼내어 출고실로 옮기기 전에 반드시 앞서 출고한 차량이 출고실에 남긴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옮겨서 출고실을 비우면서 입고 대기차량 의 입고에도 대비해야 한다. 즉, 세 가지 역할을 슬라이딩 엘리베이터 혼자서 수행해야 되는 시스템이다. 게다가, 입고 운전자의 입고 작업 시간이나 출고 운전자의 출고 작업시간을 대기하여야 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차량 한대의 입출고 전체 과정이 평균 3분 가량이 소요되고 때로는 4분 가까이 소요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된 팔레트이송식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은 근본적으로 60대 이상 대규모화에 부적절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The "lift slide" parking system can be further divided into pallet transfer and direct vehicle transfer. The pallet transfer scheme, which was developed earlier, is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the speed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sliding elevator moves the car that has been loaded into the warehouse to the parking space, and before the vehicle to be released from the parking space is removed from the parking space, the empty pallet left by the previously released vehicle left in the warehouse and emptied the warehouse. Be prepared for receipt. In other words, it is a system that must play three roles by sliding elevator alone. In addition, there is a case that the waiting time of the receiving driver's wearing or the leaving driver's leaving work is waited, so the calculation of the entire loading / unloading process of a vehicle takes about 3 minutes and sometimes 4 minutes. Therefore, the pallet-transported "lift slide type" parking system developed so far is fundamentally inadequate for large scale over 60 vehicles.

이러한 팔레트 이송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 직접 이송식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이 개발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엘리베이터가 출고실에 남겨지는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옮길 필요가 없게되고 입출고 운전자들의 진입·퇴출 작업을 대기할 필요가 없게 되어서 입출고 과정의 신속성이 배가되는 효과 즉 대규모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목적으로 한 개발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차량 직접이송식"의 경우에는 또 다른 문제점이 드러났는데, 고가의 차량을 직접 견인하여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기계장치를 슬라이딩 엘리베이터에 설치하여야 하는(사실, 국내외에 개발 출시된 차량 견인 이송장치들은 대부분 로봇에 가까운 복잡한 고가 장비임) 즉,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성이 별로 없는 시스템이 되고 말았다. 게다가 차량 견인장치가 견인 준비하는 시간이 별도로 필요하여 입출고 시간이 단축되는 것도 1분이 채 되지 않아서 만족할 만한 규모의 경제적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였다.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pallet transfer type, a direct vehicle type "lift slide type" park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re is no need to move empty pallets left in the warehouse to the warehouse. The development was aimed at doubling the speed of the entry and exit process by eliminating the need to wait for entry and exit operations, that is, the effect of larger scale. However, this "vehicle direct transfer type" revealed another problem. In order to safely tow and transport expensive vehicles directly, complicated mechanisms must be installed in sliding elevators (in fact, towing transfers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The devices are mostly expensive, expensive equipment that is close to robots), which means that the system is very cost-effective. 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towing device to prepare for towing separately, shortening the entry and exit time in less than one minute did not achieve a satisfactory economic effect.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주차시스템은 신속성과 경제성 측 면의 결정적 약점이 있지만, 본 발명자는 팔레트이송식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주차시스템의 입출고 신속성을 잘 보강하여 차량 1대 당 평균 입출고 시간을 2분 이내로 줄일 수 있다면, 80대 정도를 적정 주차 규모로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고, 주요 부분 장치들 특히 슬라이딩 엘리베이터와 팔레트 이송장치를 경량화 및 단순화하여 경제성까지 대폭 제고할 수만 있다면, 주차난 해소에 가장 유력한 시스템이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오랫동안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다단 붐(boom)형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라는 명칭의 발명특허를 획득하여 제0247572호로 등록(1999. 12. 13.)한 바 있고, "순환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특허를 획득하여 제0361268호로 등록(2002. 11. 04.)한 바 있는데, 본 발명의 경제성과 기능성 제고에 큰 몫을 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lift slide type" parking system has a decisive weakness in terms of speed and economy, but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inforced the entry and exit speed of the pallet transfer type "lift slide type" parking system well, so that the average loading and unloading time per vehicle If it can be reduced to less than 2 minutes, it is possible to build a system with an appropriate parking scale of about 80 cars, and if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economic efficiency by lightening and simplifying the main parts devices, especially the sliding elevator and the pallet conveyer, Many efforts have been made for a long time, considering that it can be the most influential system for resolution. As part of such efforts, the company obtained the invention patent entitled "Multi-stage boom pallet bi-directional conveying device" and registered it as No. 0247572 (December 13, 1999), and named "circular elevator system". Acquired an invention patent and registered as No. 0361268 (2002. 11. 04.), which contributes to the economic and functional enhan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최근에는, 제일 중요한 문제인 입출고의 신속성을 대폭 제고할 수 있는 "빈 팔레트 환송 공급장치"를 고안해 내고, 마지막으로 주변 도로의 여건으로 불가피하게 전입전출형 주차장으로 설치해야할 경우에 대비하는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까지 갖추게 됨으로써 기능성과 편리성까지 보강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주차시스템을 완성하였는바, 결론적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한 기술적 과제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company has devised a "empty pallet conveyance supply devic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speed of entry and exi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and finally, the "lift type" in ca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as a transfer-type parking lot due to the surrounding road conditions. Pallet direction changer "to complete the" lift slide system "parking system reinforced with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in conclus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첫째, 입출고의 신속성 제고; First, to increase the speed of entry and exit;

출고실의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환송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슬라이딩 엘리베이터의 작업 부담을 덜고, 입출고 운전자를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 없도록 했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이 바로 "빈팔레트 순환공급장치(Feed Backer)"인바,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A separate device for returning the empty pallets from the warehouse to the warehouse has been set up to reduce the burden on the sliding elevator and eliminate the need for waiting time for drivers. The technical problem is solved by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Feed Backer)",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둘째, 경제적인 시스템 구축; Second, building an economic system;

슬라이딩 엘리베이터를 위시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을 최대한 단순화, 경량화 및 기능화하여 가장 경제적인 시스템이 되도록 했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이 랙 마스트 타입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채택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며,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를 탑재한 아주 기능적인 팔레트 이송장치와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의 구동기술을 응용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 수평 이송장치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Including sliding elevators, the entire system is as simple as possible, lightweight and functionalized to be the most economical system. The technical problem is solved by the sliding elevator adopting the rack mast type elevator system, and the horizontal elevator conveying technology using the driving technology of the "pallet bidirectional conveying device" and the highly functional pallet conveying device and the "pallet bidirectional conveying device". It is a devic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셋째, 기능성과 편리성 제고;Third, improv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이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해 슬라이딩 엘리베이터를 위시한 주요 장치 전반에 기능상의 개선노력을 기울였으며, 특히 불가피하게 전입전출형 주차장으로 설치할 경우에 대비한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도 갖추도록 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technical problem,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the overall functions including sliding elevators, and inevitably, there was also an "elevating pallet reversing device" in case of installation as a moving parking lo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Rack mast) 타입의 슬라이딩 엘리베이터(Sliding Elevator)에, 양방향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실에는 팔레트를 적치하는 골조만 형성하면 되는 경제적인 격납시스템을 구축하고; 출고실의 빈 팔레트를 입고실로 순환 공급하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고의 신속성을 확보하며; 전입전출형 주차장에 대비하여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Turn Table)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는, 팔레트 이송 전용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를 탑재한 승강프레임의 양 측단에 제1휠 로울러를 세 개씩 형성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네 귀퉁이에는 4조의 실린더를 받쳐 세워서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승강 프레임을 상승시켜 팔레트의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ck mast (Sliding Elevator) type of the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by installing a two-way feeder only need to form a frame to pile the pallet in the parking room Build economic containment systems; A separat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empty pallets of the warehouse to the storage room to ensure rapidness of the warehous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type pallet turning device (Turn Table) in preparation for the move-in parking lot,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the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dicated to pallet transfer Three first wheel rollers are formed at each side end of the lifting frame equipped with the device, and four corners of the lifting frame are supported by four sets of cylinders to raise the lifting frame by operation of the cylinders so that pallets can be transport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삭제delete

또한 불가피한 경우의 전입전출형 주차장에 대비한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는, 소정의 폭과 높이가 있는 원형 테 모양의 승강회전부와; 상기 승강회전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형성되어있는 기단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승강회전부의 회전 구동력은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의 수평이송장치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기단 프레임 내부에 접이식 제2휠 로울러 8개조를 기단 프레임의 원주 위에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휠 로울러의 중심 축들을 와이어로 연결하되 제2휠 로울러의 접이식 지주받침의 접히는 방향의 와이어 끝은 스프링을 연결하여 기단프레임 바닥에 고정하고, 와이어의 반대 방향 끝은 실린더 세트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세트의 작동으로 승강회전부가 상승하여 팔레트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allet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for the move-in and out-type parking lot in the case of unavoidable, the elevating rotary part of the circ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Consists of the base frame is formed with a lif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lifting rotary part;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rotation unit is installed using a horizontal transfer device and a wire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The elevating device is formed symmetrically on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frame of the eight foldable second wheel rollers in the base frame, connecting the central axes of the second wheel roller with a wire in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foldable support of the second wheel roller Th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pring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and the opposit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set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set to rotate the pallet.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00)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입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과 같이 중앙 열(2)에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가 왕복하는 통로(8)가 있고 그 양편에 주차실(3)이 배치되는 형태이다. 도 1a에 도시된 것은 4행 5층 구조의 건물로 40실의 주차실(3)을 갖추게 되어 본 발명이 목표하는 시스템으로는 제일 작은 규모의 주차장 건물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 120분 이내에 주차할 차량 전부를 입고하고 또 출고하여야 하는 현행 법규 하에서 이후 설명할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로 신속성을 보강한 본 발명 시스템의 적정 규모는 60~80대 정도가 되리라 판단되며 최대 규모는 100대 까지도 수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50대 이상 규모의 주차장은 진입로와 퇴출로를 별도로 분리 설치하여야 하는 법 규정에 따라서 입고실(4)을 전면 열(2) 제일 좌측 행(1)에 두고 출고실(5)을 후면 열(2)의 같은 행(1)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구조(前入後出型 구조)이며, 주변 도로의 여건으로 불가피하게 전면 열(2)에 입고실(6)과 출고실(7) 모두를 두어야 하는 전입전출형(前入前出型)구조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1a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elevator in the center column (2) like other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as shown There is a passage 8 through which the 10 reciprocates, and the parking space 3 is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In FIG. 1A, a four-row, five-storey building is provided with 40 parking spaces 3, and the targe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smallest parking lot building.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legislation that should be shipped all the vehicles to be parked and shipped within 120 minutes, the appropriate scale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which is reinforced with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about 60 to 80 vehicles. The maximum size is expected to accommodate up to 100 units. Therefore, parking lots with more than 50 cars are placed in the leftmost row (1) in the front row (2) and the storage room (5) in the rear row according to the law that separates the access road and the exit path separately. It is the most efficient structure to arrange in the same row (1) of 2), and it is inevitable that both the warehouse 6 and the warehouse 7 are located in the front row 2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 road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move-in structure, which requires the

도 1b는 주차 차량의 진입방향에서 볼 때의 전체 주차장 건물의 측면도라 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엘리베이터가 횡행하는 통로(8)인 중앙 열(2)의 양편 열(2)에 배치된 주차구획이 건물의 기본구조를 형성하는 점을 보이면서 모든 주차실(3) 및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승강부(11)에 팔레트(9)가 적치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9)는 종래의 규격화된 제품으로 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상세한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는데, 추후 설명할 다단 붐(boom)형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결합 핀(80)과 결합 및 해체 작동이 가능하도록 팔레트(9) 밑면의 중앙에 결합공(Joint Hole)을 특별히 형성해야 하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한편 차량을 실은 팔레트(9)의 총 중량이 2톤에까지 다다를 것이므로 이를 이송하여 격납할 주차구획은 H-Beam을 주로 사용하는 종래의 축조 방식대로 하는 것이 적합하리라 판단되며, 관련된 공지의 철 구조물 기술을 원용하면 별다른 문제가 없으리라 본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가 설치된 것처럼 도 1b에는 표현되어 있지만 도 5a 내지 도 5c에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듯이 입고실(4)과 출고실(5) 사이의 통로(8)에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 장치인데 일종의 단면도 개념으로 포함시켜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FIG. 1B is a side view of the entire parking lot building when viewed from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parking vehicle, in which the parking compartments are arranged in both rows 2 of the central row 2, which is a passage 8 through which the sliding elevator traverses. While showing the point of form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3 and the elevator 11 of the elevator 11 of the sliding elevator 10 is expressed the appearance of being stacked. The pallet 9 is not represented in a separate detailed drawing because there is no problem even if it is a conventional standardized product, but the multi-stage boom typ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apparatuses 14 and 31 will be described lat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joint hole (Joint Hole) must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allet 9 so as to be able to engage and disengage with the coupling pin 80 of th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weight of the pallet 9 loaded with the vehicle will reach 2 tons, so the parking compartment to be transported and stored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using mainly H-Beam, and related known steel structure technology. If you use it, I don't think there is any problem. One point to be noted is that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liding elevator 10 is represented in Figure 1b, but as clearly shown in Figures 5a to 5c the warehouse and the warehouse ( 5) It is a device to be fixedly installed in the passage (8) between is expressed as a kind of cross-sectional concept.

도 2는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슬라이딩 엘리베이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준비한 것인데,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의 해결 노력이 집중된 부분이다. 2 is prepared to explain the sliding elevato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the focus of efforts to solve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 부분이 기존의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 시스템과 차별화 되는 특징점은, 첫째는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Rack-mast)형 승강시스템이라는 점이고, 둘째는 팔레트(9)를 혼자서 자유자재로 주차실(3)에 넣고 뺄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를 탑재하고 있다는 점, 셋째는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구동기술을 원용하여 만든 효율적인 슬라이딩 엘리베이터 수평이송장치(15)를 갖추고 있다는 점, 이렇게 셋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 전체 시스템의 경제성이 크게 보강되는데, 그중 둘째와 셋째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그 구조와 작동 원리 및 경제적 효과 등이 자세히 설명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첫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ther words, the sliding elevator (10)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distinction from the conventional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the first is that the rack-mast type lifting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the second is the pallet (9) It is equipped with a first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14 having a function that can be freely put into and out of the parking lot (3) alone, the third is to utilize the driving technology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14) Equipped with an efficient sliding elevator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made, it can be summarized in three. This greatly enhances the economics of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d third of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7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ng principle and economic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first.

본 발명의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에 채택한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 타입 승강시스템의 구조와 형상은 도 2에 비교적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네 모퉁이에 세운 'H'빔 기둥의 마주보는 내향 면에 랙(22)을 부착하여 랙 마스트(21)형 승강통로를 축조하고, 승강부(11) 밑면에 전동기(24)로 구동되는 피니언(23) 네 개조를 랙 마스트(21)와 각각 맞물리게 설치하여 랙(22)과 피니언(23)의 상호작용으로 승강부(11)가 승강 작동되도록 구축한 승강시스템이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rack mast type elevating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dopted in the sliding elev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detail in FIG. 2, and the racks on the opposite inward faces of the 'H' beam pillars set at four corners ( 22) to build a rack mast (21) type elevating passage, and four modifications of the pinion (23)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24) at the bottom of the elevating portion (11) to engage the rack mast (21), respectively. The lifting system constructed to elevate the elevating unit 11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nion 23 and the pinion 23 may be referred to as a core function.

다음으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에 당연히 필요한 수평이송장치(15)는, 도 2에서 처럼 레일(17)과 바퀴(16)는 종래의 슬라이딩 승강기와 같고, 구동장치만은 앞에서 언급한 대로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구동기술을 원용하여 만든 독특한 수평이송장치(15)를 갖추고 있는데,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7a 내지 도 7c의 설명에서 다시 보충될 것이다. 그밖에 하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3)은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프레임을 완성하면서 양측의 주차구획 프레임과 상호 견지하며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 전체의 안정을 유지하는 기능도 수행토록 설계되어있다.Next,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which is naturally required for the sliding elevator 10 is, as shown in FIG. 2, the rail 17 and the wheel 16 ar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sliding elevator, and only the driving device is the first pallet as mentioned above. A unique horizontal feeder 15 made using the driving technique of the bidirectional feeder 14 will be replenish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5A-5C and 7A-7C. In addition, the lower frame 12 and the upper frame 13 are designed to perform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entire sliding elevator 10 while completing the frame of the sliding elevator 10 and mutually holding the parking compartment frames on both sides. .

도 2의 하단 원내그림은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승강부(11) 배면 입체 사시도로서, 전동기(24)로 구동되는 피니언(23) 네 개조가 랙 마스트(21)와 각각 맞물리게 설치된 형상과, 레일 프레임(25)을 받치고 있는 받침 프레임(26)에 랙 마스트(21)의 최 상단에 형성된 쌍 도르래(18)를 경유하여 균형추(19)와 연결되는 와이어 로우프(27)가 도면에서와 같이 직접 결착되는 형상을 좀더 자세히 표현하고 있다.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part 11 of the sliding elevator 10, in which four retrofits of the pinion 23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24 are engaged with the rack mast 21, respectively, and a rail. The wire rope 27 directly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19 via the pair of pulleys 18 formed at the top of the rack mast 21 to the supporting frame 26 supporting the frame 25 is directly connected as shown in the drawing. It expresses the shape in detail.

한편, 균형추(19)는 (승강부 중량 + 팔레트의 중량 + 탑재 차량의 최대중량)÷2에 상응하는 무게를 사용하여 전동기(24)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며, 끝으로 이 시스템이 갖는 특유의 경제성과 안전성 측면의 장점에 대해 특별히 이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아래에 부연하여 설명토록 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balance weight 19 can minimize the electric motor 24 capacity by us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weight of the lifting unit + weight of the pallet + maximum weight of the mounted vehicle) ÷ 2 to build an economical drive system It is useful in this regard, and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al understanding of the unique economic and safety advantages of the system.

먼저 경제성 측면의 장점을 설명하자면, 만약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에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권상기(Traction Machine)형 승강 시스템을 채택할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13) 위에 별도의 기계실을 형성하여야 하고 와이어에 매달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승강부(11)는 견고한 박스형 케이지로 형성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전동기(24)의 용량은 커지게 되고 와이어의 파단 사고에 대비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상승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랙 마스트 타입 엘리베이터는 도시한 것처럼 기계실이 필요 없는 자주식 승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부(11)가 경량화되고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 전체의 구조도 단순하여지는 등 직접적이면서 유형적인 효과가 상당히 크며, 아울러 전체건물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무형적 장점 등도 있어서 권상기형 승강기보다 한층 경제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First of all, in terms of economical advantages, if the machine adopts a lifting machine type lifting system most commonly used in the sliding elevator 10, a separate machine room must be formed on the upper frame 13 and wire The elevating portion 11 should be formed of a rigid box-type cage so that it can be hung up on it. Accordingly, the capacity of the electric motor 24 is increased, and a safety device for the breakage of the wire is required. It is bound to rise significantly. However, since the rack mast type elevator can build a self-propelled hoisting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rect and tangible effects of the elevator 11 are lighter and the structure of the entire sliding elevator 10 is simplified. It is quite large and also has intangible advantages such as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entire building spa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build a more economic system than a hoist type lift.

다음으로 안전성 측면의 장점을 설명하자면, 랙 마스트 타입 승강 시스템이 기존의 권상기형 승강 시스템보다 안전성이 월등한 이유는 승강통로의 기둥을 랙 마스트(21)로 쓰는 구조적 장점에서 비롯된다. 권상기형 승강기의 안전성 측면의 최대 약점은 한 줄의 와이어 로우프(27)에 케이지를 위시한 모든 중량이 매달려 있는 구조적 문제에 있다. 따라서 외줄의 와이어가 끊어지는 사고는 치명적이기 때문에 와이어의 파단 사고에 대비하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추가해야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말했듯이 경제적 부담도 늘어나게 되어있다. 그러나 랙 마스트 타입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랙 마스트(21)의 전동기(24) 네 대중 두 대 이상의 브레이크 기능이 동시에 작동불능 상태가 되지 않는 이상 근본적으로 심각한 추락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인데, 현재의 고도로 발달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시스템이 이런 사고를 완벽하게 막아주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더욱 안전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Next, to explain the advantages of the safety aspects, the reason why the rack mast type elevating system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hoist type elevating system is due to the structural advantage of using the column of the elevating passage as the rack mast (21). The biggest weakness of the safety aspect of the hoist type elevator is a structural problem in which all the weight including the cage is suspended on a single wire rope 27. Therefore, the accident of breaking the outer wire is fatal, so it is necessary to add various safety devices in preparation for the breakage of the wire, and as mentioned above,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rack mast type elevator, unless the brake functions of two or more four electric motors 24 of the rack mast 21 become inoperable at the same time,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erious fall does not occu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 is a safer system because it completely prevents such an accident.

도 3a 및 도 3b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입체 사시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기술적 과제인 "입출고의 신속성"을 제고하는 핵심 장치라 할 수 있다. 이 장치로 인하여 입출고의 신속성이 제고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 그리고 작동 원리 등에 관하여 설명키로 한다.3A and 3B illustrate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ore device for improving the "swiftness of the goods", which is the first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quickness of the entry and exit by the device is improved is as described above. Here, the specific structure, shape, operation principle,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a는 공압 실린더 기술을 승강 시스템의 원천기술로 하여 실시한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전체적인 외관을 표현한 입체 사시도이다. 빈 팔레트 이송 전용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1)를 탑재한 승강 프레임(32)에 제1휠 로울러(33)가 빈 팔레트(9)를 할주시킬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최소 세 개씩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First, Figure 3a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is carried out using the pneumatic cylinder technology as the source technology of the lifting system. At least three sides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frame 32 equipped with the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 for exclusive use of empty pallets should be formed to allow the empty pallets 9 to run arou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차량을 싣지 않은 빈 팔레트(9)만을 반복적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네 개의 실린더(34)를 도면에서와 같이 네 귀퉁이에 세워서 승강 시스템을 구축하여도 문제가 없으리라 판단되나 총 중량과 실린더(34)의 행정거리 상의 문제로 유압이 더 효율적인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도 효과는 같다. 컨트롤 밸브(35)와 에어 콤프레서(36) 그리고 이들 세트를 연결하는 파이프 및 호스(37; Pipe & Hose)는 도 3a에서 처럼 설치하여 전체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를 완성하게 된다.Since only empty pallets 9 without vehicles are repeatedly transported,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 problem to build a lifting system by standing four cylinders 34 at four corners as shown in the drawing. If the hydraulic pressure is more efficient due to the stroke distance problem, the effect is the same even with the hydraulic cylinder. The control valve 35 and the air compressor 36 and pipes and hoses 37 connecting these sets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3A to complete the entir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도 3b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작동상황을 표현하는 것인데, 빈 팔레트(9) 이송작업이 필요치 않은 때에는 상단 그림처럼 공압(또는 유압) 실린더(34)의 로드(rod)가 실린더(34) 경통 내부로 들어가서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1)와 승강 프레임(32)이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왕래에 장애가 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빈 팔레트(9) 이송작업이 필요할 때 하단 그림처럼 실린더(34)의 로드가 실린더(34) 경통 외부로 나와서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1)와 승강 프레임(32)을 승강시키는 형상을 표현하고 있다. 공압(또는 유압) 실린더(34)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대로 실시하여 문제가 없다. Figure 3b represents the operation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the rod of the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34 is the cylinder ( 34) When entering the barrel and the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 31 and the lifting frame 32 remain unobstructed to the coming and going of the sliding elevator 10, when the empty pallet (9) transfer work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the rod of the cylinder 34 comes out of the cylinder 34 to express the shap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31 and the elevating frame 32. The configuration of the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34 is carried out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and there is no problem.

도 4a와 도 4b는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본 발명의 세 번째 기술적 과제인 기능성과 편리성을 제고하는 데에 중요한 장치이다.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ifting type pallet turning device 40, which is an important device for improving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which is the third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방향 전환장치(팔레트방향전환장치)는 입고와 출고 기능을 동시에 갖는 입출고실의 진입로 상에 설치하여 운전자들이 후진 출고 시에 겪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차량의 방향을 돌려주는 보조장치로서의 기능을 주로 수행해 왔는데, 입고 대기 차량과 상충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전체 입출고의 신속성에 장애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일부 주차 시스템에서 입출고실 내부에 설치하여 종래의 불편과 단점을 보완하고는 있으나, 입출고실에 직경 5.38 미터 이상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법규정 때문에 적용상 한계가 있으며, 또한 팔레트방향전환장치 자체도 직경 4 미터 이상이어서 상당히 대형의 고가 장치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팔레트(9)가 튼튼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는 팔레트(9)의 방향 전환만 하면 되도록 직경 2 미터 이하로 소형화하고, 주요 구성 장치도 경제성을 최대한 추구하였다.Conventional turning device (palette turn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ntry and exit room having both the receipt and release functions at the same time to function as an auxiliary device for turn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that drivers experience when leaving the factory It has been performed mainly, and it has been an obstacle to the promptness of the entire warehousing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onflicting with the waiting vehicle. Recently, some parking systems have been installed inside the warehouse to compensate for the inconvenience and shortcomings.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ication due to the law that requires a space of more than 5.38 meters in diameter in the warehouse, and also the pallet turning device itself.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a large, expensive device because it is more than 4 meters in diamet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pallet 9 is formed of a sturdy frame, the pallet redirection device 40 can be downsized to a diameter of 2 meters or less so that only the pallet 9 needs to be changed in direction, and the main components are also economical. I sought as much as I could.

본 발명의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는 크게 회전장치와 승강장치의 둘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선 도 4a의 상단 그림으로 회전장치 부분을 설명하자면, 상부 프레임인 원형의 승강회전부(42)와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는 회전부 구동장치(43)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한 구동장치(43)도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릴 박스를 응용한 것이며, 와이어(녹색 띠)와 와이어 고정용 꼭지(45)로 회전부 구동장치(43)가 완성된다. 한편 하단의 그림은 보이지 않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치의 작동으로 승강회전부(42)가 상승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데, 승강회전부(42)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팔레트(9)와 직접 접촉하여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Lifting pallet direction change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largely the rotary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first to describe the rotary device portion of the upper picture of Figure 4a, the circular lifting and lowering rotary part 42 of the upper frame rotates It is composed of a rotary drive unit 43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he drive unit 43 used here also applies the reel box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14, for fixing the wire (green strip) and wire The rotating part drive device 43 is completed with the tap 45. On the other hand, the lower figure shows a shape in which the elevating rotating part 42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visible interior. The elevating rotating part 42 is rotated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llet 9 at the same time. .

상기 승강장치는 도 4b의 상단 그림에 표현된 것처럼 기단 프레임(41) 내부에 접이식 제2휠 로울러(46) 8개조(승강회전부(42)의 승강과 회전을 동시에 가능케 하기 위해 고안한 장치이다)를 도면에서와 같이 기단 프레임(41)의 원주 위에 대칭되게 형성하고, 제2휠 로울러(46)의 중심 축들을 와이어(자주색 띠)로 연결하되 접히는 방향의 와이어 끝은 스프링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와이어의 반대 방향 끝은 그림에서처럼 실린더 세트(44)에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하단의 그림처럼 실린더 세트(44)의 로드가 경통 내부로 들어가면 제2휠 로울러(46)의 지주가 접이식 지주받침(47)에 직립하게 되어서 승강회전부(42)를 상승시키게 되고, 반대의 작동과정을 거쳐 승강회전부(42)가 하강한 것이 상단 그림인 것이다. 이때 스프링(48)은 반대 작동과정을 도와서 확실하게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elevating device has eight sets of foldable second wheel rollers 46 (the device designed to simultaneously elevate and rotate the elevating rotary section 42) inside the base frame 41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4B. As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symmetrically on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frame 41, and connect the central axes of the second wheel roller 46 with a wire (purple band), the wire end in the folding direction is fixed by connecting the spring, wire The opposite end of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set 44 as shown. Therefore, when the rod of the cylinder set 44 enters the barrel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the props of the second wheel roller 46 are upright on the folding prop support 47, thereby elevating the elevating rotation part 42, and the reverse operation It is the upper picture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rotary part 42 descends through the process. At this time, the spring 48 performs the function of reliably completing the opposite operation process.

도 5a 내지 도 5c는 주차차량이 전방에서 진입하여 입고하고 후방으로 출고하여 나가는 전입후출형(前入後出型) 주차 시스템(50)의 입출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parking system 50 in which the parking vehicle enters and enters the front and leaves the rear.

도 5a는 슬라이딩 엘리베이터의 횡행통로인 중앙열에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와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가 배치된 형상과, 전(F)·후(B) 열에 배치된 팔레트(9)를 적치하는 철골조만 축조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일 좌측 행(즉, 4행)에 입고실(F4)과 출고실(B4)이 배치되어 있다. 미국이나 한국처럼 좌측 운전석 구조의 차량용 주차장으로서는 입고실 좌측에 운전자의 하차 공간과 출고실 좌측에 운전자 대기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영국이나 일본 같은 우측 운전석 구조의 차량용 주차장은 좌우가 대칭 되는 정반대 구조의 주차장으로 설계하면 된다.FIG. 5A shows a shape in which a sliding elevator 10 and an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are arranged in a central row that is a transverse passage of a sliding elevator, and a pallet 9 arranged in a front (F) and a rear (B) row. Although only the steel frame is illustrated, the storage chamber F4 and the storage chamber B4 are arranged in the leftmost row (that is, four row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This is because, as in the US and Korea, it is most efficient to have a driver's disembarkation space on the left side of the wearing room and a driver waiting space on the left side of the warehouse as a vehicle parking lot with a left driver's seat structure. A parking lot for a vehicle with a right driver's seat such as the UK or Japan can be designed as a reverse parking lot with symmetrical left and right.

도 5b는 입출고 층의 정단면도라고 할 수 있는데, 우선 제일 좌측 행에 약간의 피트를 파서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횡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높이로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를 설치하여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이 도면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횡행 구동장치인 수평이송장치(15)의 위치와 와이어(79)의 로우핑 형태인데, 수평이송장치(15)의 와이어(79)를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하부 프레임(12) 반대 방향의 양 측단에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하고, 도르래(74)와 리미트바(75)는 1-2행과 3-4행의 경계에 배치하여야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가 1행과 4행의 최 측단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도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수평이송장치(15)를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의 횡행장치로 응용하였는데,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다양한 용도 중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5b can be referred to a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ry and exit flo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should be installed at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verse run of the sliding elevator 10 by digging a few feet in the leftmost row. Should be. In this fig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which is the transverse drive device of the sliding elevator 10, and the rowing form of the wire 79. The wire 79 of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is moved by the sliding elevator. The two sides of the lower frame 12 opposite to the lower frame 12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5B, and the pulley 74 and the limit bar 75 should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1-2 rows and the 3-4 rows. The elevator 10 can reach the farmost end of the 1st and 4th row. Here,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15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conveying device 14 is applied as a transverse device of the sliding elevator 10. An example of various uses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conveying device 14 is shown.

도 5c에는 도 5a에 팔레트(9)가 탑재된 모습과 일부 주차실(3)에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형상을 표현한 평면도라 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는 입고실(4)에서 이송한 차량을 F3 주차실(3)에 막 입고하려 하고 있고,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는 출고실(5)에 남아있는 빈 팔레트(9)를 입고실(4)로 이송하기 위해 붐들이 출고실(5)로 뻗어나가 있는 상황이다. In FIG. 5C, a pallet 9 is mounted in FIG. 5A and a plan view representing a shape in which a vehicle is parked in some parking rooms 3. The sliding elevator 10 is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room 4. The vehicle is about to be put into the F3 parking compartment (3), and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is loaded with booms to transfer the empty pallet (9) remaining in the delivery compartment (5) to the storage compartment (4). It is a situation extending to the thread (5).

도 5c에서 유심히 관찰해야 할 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팔레트(9) 이송과정에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제1휠 로울러(33)의 역할이다. 빈 팔레트(9)의 이송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1)가 팔레트(9)를 이송하는 초기 단계에는 팔레트(9)의 바퀴(16)로 팔레트 레일 프레임(25)을 타고 견인되다가, 팔레트(9)의 가운데 바퀴(16)가 레일(17)을 벗어나기 전에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제1휠 로울러(33)에 팔레트(9)의 양 측단 프레임 강관이 얹히면서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 위를 통과하는 중간 단계의 이송작업이 진행되고, 초기 단계의 역순으로 빈 팔레트(9)가 입고실(4)로 이송 완료되는 마지막 단계가 진행된다.5C is a role of the first wheel roller 33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pallet 9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as described above. To describe the transfer process of the empty pallet 9 in detail, in the initial stage of the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 31 conveying the pallet 9, the pallet rail frame 25 is moved by the wheels 16 of the pallet 9. While being towed and towed, both side frame steel pipes of the pallet 9 are placed on the first wheel roller 33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before the center wheel 16 of the pallet 9 leaves the rail 17. While the intermediate pallet transfer operation is passed through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is progressed, the final stage in which the empty pallet 9 is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room 4 is comple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itial stage.

이러한 팔레트(9) 이송의 전과정이 완벽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제1휠 로울러(33)가 양쪽에 각각 3개씩 형성되어야 하고, 중앙열의 폭과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 레일(17)의 폭(즉, 제1휠 로울러(33)의 간격), 그리고 팔레트(9)의 길이(즉, 바퀴(16)의 간격)이 서로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적정 간격을 계산하여 일정 비율로 축소 한 그림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In order for the entire process of conveying the pallet 9 to proceed completely, three first wheel rollers 33 of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must be formed on each side, and the width of the center row and the sliding elevator 10 rails. The width of 17 (i.e. the spacing of the first wheel rollers 33) and the length of the pallet 9 (i.e. the spacing of the wheels 16) should be kept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such an appropriate spacing should be calculated. Figure 5a to 5c is shown in a reduced ratio by a certain ratio.

도 6a 내지 도 6c는 주변 도로의 여건상 또는 주차장 부지의 형편상 불가피하게 주차차량이 전방에서 진입하여 다시 전방으로 출고하여 나가야하는 전입전출형(前入前出型) 주차 시스템(60)으로 축조할 경우에, 50대 이상 규모의 주차장은 진입로와 퇴출로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관련법 규정(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 제1항 4.호) 에 적합한 주차 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해 준비한 도면들로서, 도 5a에 도시된 기본구조는, 전입후출형인 도 5a 내지 도 5c와 비교해 볼 때, 입고실(6)은 F1에, 출고실(7)은 F3에 옮겨져 배치되어 있고, 중앙 열(2)에 배치되어 있던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가 전(F)열로 옮겨지면서 구조가 약간 달라졌으며,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가 입고실(6)에 추가되는 점이 달라졌을 뿐 대부분 같음을 알 수 있다.6A to 6C are constructed by a pre-exit parking system 60 in which a parking vehicle enters the front and leaves the front inevitably due to the condition of the surrounding road or the circumstances of the parking lot site. In this case, parking lots of 50 or more are prepared to present a parking system conforming to the related regulations (Article 6, Paragraph 1, Paragraph 4, Article 4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Parking Lot Act), which has to separately install access and exit routes. Compared with FIGS. 5A to 5C,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5, the storage compartment 6 is arranged at F1, the storage compartment 7 at F3, and is arranged at the center row 2 As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was moved to the front (F) row, the structure was slightly chang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ame as the pallet direction changer 40 was added to the wearing room 6 except that it was mostly the same.

도 6b는 입출고실(6)(7)과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가 집중 배치된 전열의 정단면도인데, 도 6a와 연계하여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의 구조에서 달라진 점을 살펴보면 승강 프레임(32)에 제1휠 로울러(33)가 양쪽에 각각 2개씩 덧붙여졌음을 알 수 있다. 출고실(7)(F3)의 빈 팔레트(9)를 승강장치인 실린더 세트(44)가 설치된 중간 대기실(F2)을 거쳐 입고실(6)(F1)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여기서 중간 대기실의 존재가 꼭 필요한 이유가 설명되어야 하겠는데, 전입 전출형 주차시스템에서는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에 의한 팔레트(9)와 차량의 회전공간이 필수적이고, 입고차량 운전자의 하차공간 및 출고차 운전자의 대기 공간도 당연히 필요하다. 중간 대기실은 이러한 세 가지 목적을 모두 충족할 다용도 공간으로 고안된 것이다.FIG. 6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heat transfer in which the entry and exit chambers 6 and 7 and the pallet direction changer 40 are concentrated. A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wo first wheel rollers 33 are attached to each of the frames 32. It is designed to transfer the empty pallet 9 of the leaving room 7 (F3) to the wearing room 6 (F1) via the intermediate waiting room F2 in which the cylinder set 44 which is a lifting device is installed. Here, the reason why the existence of the intermediate waiting room is necessary should be explained. In the moving-in / exit parking system, the pallet 9 and the rotation space of the vehicle by the pallet turning device 40 are essential, and the unloading space of the driver and the driver Naturally, the driver's waiting area is also necessary. The intermediate waiting room is designed as a versatile space for all three purposes.

도 6c는 출고실(7)(F3)에 있던 빈 팔레트(9)를 입고실(6)로 이송한 후 다시 출고할 차량을 출고실(7)로 넣기 위해 슬라이딩 엘리베이터(10)가 대기하고 있는 상황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이 그림에서 몇 가지 유의할 점은 중간 대기실(F2) 바닥 밑으로 팔레트(9)가 이송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점과, 앞에서 설명한대로 5.2 미터 길이에 2.3 미터 폭의 중간 대기실이 붉은 원으로 표시된 팔레트(9)의 회전 공간을 확보해 주면서, 입고차 운전자의 하차 후 통행로 및 출고차 운전자의 대기 공간으로 쓰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점인데 관련 철구조물 및 건축 분야의 공지의 기술로 실시하는데 별다른 문제는 없다.FIG. 6C shows that the sliding elevator 10 waits to transfer the empty pallet 9 in the warehouse 7 (F3) to the warehouse 6 and to put the vehicle to be released again into the warehouse 7. It is a floor plan expressing the situation. Some points to note in this figure are that the pallet (9) must be designed to be transported under the floor of the middle waiting room (F2), and as described above, a pallet with a red circle with a 5.2 meter long, 2.3 meter wide middle waiting room is indicated by a red circle. It should be designed to be used as a waiting space for the driver and the driver of the warehouse after getting off the rider's parking space while securing the rotation space of).

도 7a 내지 도 7c는 앞에서 여러 번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단 붐(boom)형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준비한 도면들로서, 특허 제027572호를 참조하지 않더라도 이해가 가능하도록 요약해 보겠다. 7A to 7C are drawings prepared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multi-stage boom typ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s 14 and 31,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several times. I will summarize it to make it understandable without referring to 027572.

먼저,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의 기능적 특성을 요약하자면, 기계식 입체 주차빌딩이나 자동화 창고에 흔히 사용되는 팔레트의 효율적 이송을 목적으로 고안한 기계장치이다. 다단의 붐들이 안테나처럼 신장·수축하면서 이송 목적물을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데, 최상단 붐에 형성된 승강 조절형 결합 핀(80)이 팔레트와의 결합 및 해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와 기술적으로 가장 유사한 기계장치가 다단 붐형 유압 크레인인데, 크레인의 경우 붐들이 한 쪽 방향으로만 신장·수축하는데 비하여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는 양방향 신장·수축이 가능한 점이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며, 주로 일정 거리를 왕복하여야 하는 이동 목적물의 이송, 즉 셔틀(shuttle) 작동에 적합한 장치인 것이다. 이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 하나로 양편의 격납고 어느 쪽에나 원하는 곳에 팔레트를 넣고 빼는 것을 임의롭게 할 수 있고, 격납고에는 팔레트를 적치하는 골조만 형성하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이고 경제적인 팔레트 이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발명품이다. First, to summariz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llet two-way transfer device, a mechanical device designed for the efficient transfer of pallets commonly used in mechanical three-dimensional parking building or automated warehouse. Multi-stage booms can be transported by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object while extending and contracting like an antenna, because the lifting adjustable coupling pin 80 formed on the uppermost boom can freely engage and disassemble the pallet. The most technologically similar mechanism to the pallet bidirectional feeder is a multi-stage boom type hydraulic crane.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s that the pallet bidirectional feeder is bidirectionally stretched and retracted, whereas the cranes are only stretched and contracted in one direction. It is a device suitable for conveying moving objects, that is, shuttle operations, which are mainly required to reciprocate a certain distance. This pallet bi-directional feeder enables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llets anywhere on both sides of the hangar, and the hangar requires only a frame for loading pallets. to be.

이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의 구조와 그 부품의 형상, 및 작동원리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now to Figures 7a to 7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pallet bidirectional feeder, the shape of its components, the operation principle and the like.

먼저, 도 7a는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전체적 외관이 개략적으로 표현된 입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는 3단의 붐들(71~73)과 수평이송장치(15) 및 구동 전동기(76)로 구성되어 있으며, 붐(71~73) 내부에는 하나로 연결된 긴 와이어(79)와 그 와이어(79)의 로핑(Roping)에 필요한 도르래(74) 및 리미트바(75;Limit bar)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타원 안의 확대 그림은 릴 박스 내부를 도시한 것인데 구동 릴(77)과 연동 릴(78)이 나란히 들어 있으며, 구동 릴(77)의 축에 구동 전동기(76)가 연결되어 붐(71~73)들의 신장·수축에 필요한 구동력이 공급된다. 연동 릴(78)이 필요한 이유는 구동 릴(77)에 와이어(79)를 한번 감는 것만으로는 중량물이 실린 팔레트(9)를 제대로 견인할 수 있는 충분한 파지력을 갖출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번 감아야 하고, 또 전체적인 붐(71~73)의 이동 거리에 맞추기 위해 구동 릴(77)을 십여 회 이상 회전시켜야 하는데 와이어(79)의 이탈 없이 연속 회전하기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한 장치이다.First, FIG. 7A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s 14 and 31.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s 14, 31 is composed of three stages of booms (71 ~ 73),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and the drive motor 76, the long wire 79 and its wire (79) connected in one inside the boom (71 ~ 73) A pulley 74 and a limit bar 75 required for the roping of the () are installed. The enlarged picture in the right ellipse shows the inside of the reel box, which includes the driving reel 77 and the interlocking reel 78 side by side, and the driving motor 76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reel 77 so that the boom (71-73).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s is supplied. The reason why the interlocking reel 78 is required is that the winding of the wire 79 once on the drive reel 77 does not provide sufficient grip force to properly pull the heavy pallet 9. In addition, the drive reel 77 has to be rotated more than a dozen times in order to match the moving distance of the entire boom 71 to 73, but it is indispensable for continuously rotating the wire 79 without detachment.

도 7a에서 하단좌측 그림 즉, A-A'선 확대 그림은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측 단면도로서 각 붐(71~73)의 양쪽 끝 부분 내부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단 붐(73)의 내부에는 와이어(79)의 제일 끝단이 고정되어 있고, 중단(72) 및 기단 붐(71)의 내부에는 와이어(79)의 로핑이 가능하도록 도르래(74)가 부착되어 있다. 각 붐(71~73)의 양 측면은 위·아래 붐(71~73) 상호간 요철형태로 서로 맞물려 있어서 붐(71~73)간에 상호 레일 역할을 하도록 고안되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FIG. 7A, the lower left drawing, that is, the enlarged A-A 'line,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s 14 and 31 and shows the shape inside both ends of each boom 71 to 73. The top end of the wire 79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boom 73, and the pulley 74 is rotatably formed to allow the wire 79 to be roped inside the middle 72 and the base boom 71. Attached.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sides of each of the booms 71 to 73 are designed to serve as rails between the booms 71 to 73 becaus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oms 71 to 73.

도 7c를 참조하여 상술할 와이어(79) 로핑(Wire Roping)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중단 붐(72)의 도르래(74)가 상하 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도 유의해 둘 필요가 있다. 또 아래로 연결되어 있는 타원 안의 확대 그림은 중단 붐(72)과 기단 붐(71)의 리미트 바(75)의 형상의 차이를 표현한 입체 사시도 인데 앞쪽 것은 도르래(74)가 하나인 기단 붐(71)용이며, 뒤쪽 것은 도르래(74)가 상하 2단으로 되어있는 중단 붐(72)용이다. 리미트 바(75)는 위 붐(72~73)과 아래 붐(71~72)이 서로 과도하게 지나가는 것을 막음으로써 와이어(79)가 도르래(7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ulley 74 of the suspension boom 72 is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top and bottom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wire 79 roping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C. In addition, the enlarged picture in the ellipse connected downward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expres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ape of the limit bar 75 of the middle boom 72 and the base boom 71. The front one is the base boom (71) having one pulley 74. The rear side is for the suspension boom 72 in which the pulley 74 has two stages up and down. The limit bar 75 prevents the wire 79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pulley 74 by preventing the upper booms 72 to 73 and the lower booms 71 to 72 from excessively passing through each other.

다시 도 7a중 하단우측에 도시된 B-B'선 확대 도면은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중앙부위 단면도로서 결합 핀(80)의 위치 및 형상과 구동 릴(77)의 형상을 중점 표현하고 있다. 이송 목적물인 팔레트(9)와의 결합 및 해체를 임의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승강 조절이 가능한 결합 핀(80)을 상단 붐에 설치하는 것이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독창성을 이루는 요소인데, 결합 핀(80)의 승강 작동은 전자석의 작동원리를 원용한 제품인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7B is an enlarged view of the B-B 'line shown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s 14 and 31,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and the driving reel 77 of the coupling pin 80. I express the figure of the emphasis). Origin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apparatuses 14 and 31 is to install a coupling pin 80 that can be lifted and adjusted to the upper boom so as to arbitrarily engage and dismantle the pallet 9 as a transfer object. It is an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pin 8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using a solenoid that is a product us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도 7b는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의 붐(71~73)들이 좌나 우로 자유자재 신장·수축할 수 있음을 표현하는 입체 사시도 인데, 우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타원 안 확대 그림은 기단 붐(71)의 오른쪽 끝에 와이어(79)와 도르래(74) 및 리미트 바(7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표현하고 있으며 당연히 왼쪽 끝도 같은 구조이다. 중단 붐(72)의 양쪽 끝에는 2단 도르래(74)와 2단 리밑 바(75)가 형성되어 있음은 쉽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FIG. 7B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booms 71 to 73 of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s 14 and 31 can freely expand and contract left and right, and are enlarged in an ellips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The figure expresses that the wire 79, the pulley 74, and the limit bar 75 ar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boom 71, and the left end is the same structure. It can be easily assumed that the two-stage pulley 74 and the two-stage bottom bar 7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spension boom 72.

도 7c는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가 양방향으로 신장·수축하는 와이어(79)의 로핑원리를 집중 설명하기 위한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 전체의 정단면도(7C1) 및 삼단 각 붐(71~73)의 평면도(7C2 ~ 7C4)들이다.FIG. 7C illustrates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s 14 and 31 for intensively explaining the roping principle of the wire 79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 devices 14 and 31 extend and contract in both directions. Overall cross-sectional view 7C1 and plan views 7C2 to 7C4 of the three-stage booms 71 to 73.

전체적인 구성과 각 붐(71~73)들의 형상과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여야 전체적인 로핑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7C1은 3단의 붐(71~73)들이 상하로 가지런히 결합되어 있으며, 기단 붐(71)에 수평이송장치(15)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 붐(73) 중앙에 결합핀(80)이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붐(73) 내부에는 하나로 이어진 긴 와이어(79)와 그 와이어(79)의 로핑에 필요한 도르래(74) 및 리미트 바(75)가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정면도로 표현하고 있다.Since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boom 71-73 can be understood in three dimensions, the overall roping principle can be understoo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ep of the 7C1 is that the three-stage booms 71-73 are arranged vertically. It is coupled, it is shown that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is installed on the base boom 71, the coupling pin 8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oom (73). The shape in which the long wire 79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om 73 and the pulley 74 and the limit bar 75 which are necessary for the roping of the wire 79 are provided is shown in front view.

7C2는 상단 붐(73)을 따로 떼어서 밑에서 올려다본 내부 형상의 평면도로서 좌우 양측에 와이어(79)가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결합 핀(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도면에서는 바닥 면)은 막혀 있다. 7C2 is a plan view of the inner shape of the upper boom 73 which is separated and looked up from the bottom. The wire 79 is fix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a coupling pin 80 is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upper surface (bottom surface in the drawing) is blocked. .

7C3은 중단 붐(72)만을 따로 떼어서 위에서 내려다 본 형상으로서 상단 도르래(74)와 하단 도르래(74)는 실제로는 동일 축에 겹쳐져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7C3a와 7C3b 그림으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며, 와이어(79)가 상단과 하단으로 계속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가운데는 비어 있고 도르래(74)와 리미트 바(75)가 장착된 양쪽 끝 부분에만 바닥이 있다. 7C3 is a shape of the top boom 72 and the lower pulley 74 which are actually superimposed on the same axis, but are separately shown as 7C3a and 7C3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enter is empty and the bottom is only at both ends where the pulley 74 and the limit bar 75 are mounted so that the 79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top and the bottom.

7C4는 기단 붐(71)만을 따로 위에서 내려다 본 형상으로서 좌우 양쪽에 각각 한 개씩의 도르래(74)와 리미트 바(75)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부위에는 구동 릴(77)과 연동 릴(78)이 나란히 들어 있는 수평이송장치(15)가 부착되어 있다.7C4 is a top view of the base boom 71 separately from the top, one pulley 74 and one limit bar 75 are form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driving reel 77 and the interlocking reel 78 are formed at the center part. Side by sid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is attached.

이제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가 양방향으로 신장·수축이 가능한 기술적 핵심인 와이어(79)의 로핑원리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7C2에서 볼 수 있듯이 와이어(79)의 한쪽 끝은 상단 붐(73)의 좌측부위 윗면에 고정 부착된 형태로 시작되어 중단 붐(72)의 우측으로 내려가 상단 도르래(74)를 감돌아(7C2의 D가 7C3a의 D로 연결) 수평하게 나아가 역시 중단 붐(72)의 좌측 상단 도르래(74)를 감돈 후에 기단으로 내려가 기단 붐(71)의 우측에 있는 도르래(74)를 감돈 후(7C3a의 D'가 7C4의 D'로 연결) 다시 수평하게 나아가 구동 릴(77)을 우측에서 감돌아 들어가 연동 릴(78)과 구동 릴(77)을 함께 묶는 형태로 네 바퀴를 감돈 후에 연동 릴(78)의 좌측으로 빠져 나와 기단 붐(71)의 좌측 도르래(74)를 감돌아 중단 붐(72)으로 올라가 중단 붐(72)의 우측 하단 도르래(74)를 감돌고(7C4의 U가 7C3b의 U로 연결) 수평으로 나아가 다시 중단 붐(72)의 좌측 하단 도르래(74)도 감돈 후에 상단 붐(73)으로 올라가(7C3b의 U'가 7C2의 U'로 연결) 상단 붐(73)의 우측 부위에 고정·부착되는 루트(Route)로 진행되어 로핑의 전과정이 완성되는데 앞에서 말했듯이 전체 와이어(79)가 하나로 이어져 있다.Now, to explain in detail the roping principle of the wire 79, which is a technical core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s 14 and 31, as shown in 7C2, one end of the wire 79 Starts with a fixed attachment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upper boom 73 and then descends to the right side of the suspension boom 72, winds around the upper pulley 74 (D of 7C2 connects to D of 7C3a) and stops horizontally. After the upper left pulley 74 of the boom 72 is closed, the lower end is lowered to the base, and after the pulley 74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boom 71 is wrapped (D 'of 7C3a is connected to D' of 7C4), it goes back horizontally. Winding the four wheels in the form of tying the drive reel 77 and the drive reel 78 and the drive reel 77 together from the right side, and exits to the left side of the interlocking reel 78, pulley (left) of the base boom 71 ( 74) to the suspension boom 72 and to the lower right pulley 74 of the suspension boom 72. (U of 7C4 connects to U of 7C3b) Go horizontally and again raise the lower left pulley 74 of the suspension boom 72 and then climb to the top boom 73 (U 'of 7C3b connects to U' of 7C2) Proceeds to a route that is fixed and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upper boom 73, the entire process of roping is completed. As mentioned above, the entire wire 79 is connected to one.

상기 와이어(79)의 로핑 체계가 이상 설명한 대로이기 때문에 구동 릴(7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와이어(79)가 당겨지면서 중단 붐(72)과 상단 붐(73)이 좌측으로 뻗어나가고, 구동 릴(77)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와이어(79)가 당겨지면서 중단 붐(72)과 상단 붐(73)이 우측으로 뻗어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붐(71~73)들이 뻗어나가는 방향에서 줄어드는 와이어(79)의 길이만큼 반대 방향의 겹쳐지는 와이어(79)의 길이가 늘어남으로써 와이어(79)는 항상 길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팽팽함도 유지된다.Since the roping scheme of the wire 79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 reel 77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eft wire 79 is pulled out and the stop boom 72 and the upper boom 73 extend to the left side. Rotating the drive reel 77 counterclockwise pulls the right wire 79 and extends the stop boom 72 and the top boom 73 to the right. In this operation,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wire 79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increased by the length of the wire 79 decreas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ms 71 to 73 extend, so that the wire 79 is always taut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length. Is also maintained.

이상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는 본 발명을 염두에 두고 고안한 장치라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네 곳에 사용되며 시스템의 경제성과 기능성 제고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31) 자체로 두 번(슬라이딩 엘리베이터에 장착한 것과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에서 빈 팔레트 이송 전용으로 쓰인 것), 릴 박스의 구동장치 기능을 응용하여 쓰인 것이 두 번(슬라이딩 엘리베이터의 주행 구동장치로 그리고 팔레트방향전환장치에서 회전부 구동장치로)이다.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apparatuses 14 and 31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may be referred to as devices design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mind.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decisive role in enhancing functionality. The first and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ers (14,31) are used twice by themselves (attached to the sliding elevator and used for empty pallet transfer in the empty pallet circulation feeder), and are applied by the drive function of the reel box. This is the second time (from the driving drive of the sliding elevator and from the pallet turning device to the rotary dri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노력한 기술적 과제인 기능성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된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 시스템의 1차적인 기대효과는 보다 효율적인 주차시스템의 제공이지만 궁극적인 목표는물론 주차난 해소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expectation effect of the elevator slide type parking system, which is a technical task that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tried to solve, has been dramatically improved, is to provide a more efficient parking system, but the ultimate goal is, of course, the serious social problem of parking elimination. It is a solution of the problem.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속성이 보강됨으로써 60대 내지 80대 정도의 대규모 주차장으로 축조하여도 원활한 입출고에 전혀 문제가 없고, 투자의 경제성이 대폭 개선된다면(70대 규모의 주차장을 기준으로 개략 계산하여 보면, 대 당 약250만원 선의 저렴한 주차장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50대 규모이면 대 당 300만원, 100대 규모일 때는 대 당 200만원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주차 수요가 큰 도심의 대형 건물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채택한 부설 주차장을 많이 지어 아주 저렴한 요금으로, 때로는 무료로 주차 써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되어 주차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More specifically, even if a large parking lot of about 60 to 80 cars is built by rapidity, there is no problem of smooth entry and exit, and if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investment is greatly improved (based on the 70 parking lots, roughly calculat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supply inexpensive parking lot of about 2.5 million won per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3 million won per vehicle for 50 cars, and 2 million won per vehicle for 100 cars). A lot of the attached parking lot adop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provide parking service at a very low rate, sometimes free of charge, which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parking shortages.

Claims (3)

삭제delete 기계실이 필요 없는 랙 마스트(Rack mast) 타입의 슬라이딩 엘리베이터(Sliding Elevator)에, 양방향 이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실(3)에는 팔레트(9)를 적치하는 골조만 형성하면 되는 경제적인 격납시스템을 구축하고; 출고실(5)의 빈 팔레트(9)를 입고실(4)로 순환 공급하는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입출고의 신속성을 확보하며; 전입전출형 주차장에 대비하여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Turn Table)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에 있어서, By installing a bidirectional feeder in a rack mast-type sliding elevator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an economical containment system is constructed in which the parking space 3 only needs to form a frame that holds the pallet 9. and; An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the empty pallet 9 of the leaving room 5 to the receiving room 4 to secure the promptn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stor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lide typ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type pallet turning device (Turn Table) in preparation for the move-in parking lot, 상기 빈 팔레트 순환공급장치(30)는,The empty pallet circulation supply device 30, 팔레트 이송 전용 제2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31)를 탑재한 승강프레임(32)의 양 측단에 제1휠 로울러(33)를 세 개씩 형성하고, 상기 승강프레임(32)의 네 귀퉁이에는 4조의 실린더(34)를 받쳐 세워서 상기 실린더(34)의 작동으로 승강 프레임(32)을 상승시켜 팔레트(9)의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Three first wheel rollers 3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ifting frame 32 on which the pallet-only second pallet bidirectional feeding device 31 is mounted, and four sets of cylinders ar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lifting frame 32. An elevator slide-typ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conveyance of the pallet by raising the elevating frame (32) by supporting the (34) and operating the cylinder (34).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승강형 팔레트 방향 전환장치(40)는,The elevating pallet direction switching device 40, 소정의 폭과 높이가 있는 원형 테 모양의 승강회전부(42)와;A circular frame elevating rotary part 4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상기 승강회전부(42)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형성되어있는 기단프레임(41)으로 구성하되; Consists of the base frame 41 is formed with a lif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elevating rotation portion 42; 상기 승강회전부(42)의 회전 구동력은 제1팔레트 양방향 이송장치(14)의 수평이송장치(15)와 와이어(79)를 이용하여 설치하고;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rotation unit 42 is installed by using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15 and the wire 79 of the first pallet bidirectional transfer device 14; 상기 승강장치는 기단 프레임(41) 내부에 접이식 제2휠 로울러(46) 8개조를 기단 프레임(41)의 원주 위에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휠 로울러(46)의 중심 축들을 와이어로 연결하되 제2휠 로울러(46)의 접이식 지주받침(47)의 접히는 방향의 와이어 끝은 스프링(48)을 연결하여 기단프레임(41) 바닥에 고정하고, 와이어의 반대 방향 끝은 실린더 세트(44)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세트(44)의 작동으로 승강회전부(42)가 상승하여 팔레트(9)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슬라이드 방식 주차시스템. The elevating device is formed symmetrically on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frame 41, eight foldable second wheel roller 46 in the base frame 41, and connects the central axes of the second wheel roller 46 with a wire. The folding wire end of the folding support base 47 of the second wheel roller 4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41 by connecting the spring 48, and the opposit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set 44. Elevator slide type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set 44 by raising and lowering the rotating portion (42) to rotate the pallet (9).
KR1020030099490A 2003-12-30 2003-12-30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KR100638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90A KR100638680B1 (en) 2003-12-30 2003-12-30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90A KR100638680B1 (en) 2003-12-30 2003-12-30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36A KR20050070236A (en) 2005-07-07
KR100638680B1 true KR100638680B1 (en) 2006-10-25

Family

ID=3726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490A KR100638680B1 (en) 2003-12-30 2003-12-30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6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9B1 (en) * 2005-08-30 2007-03-23 전재형 Automatic moving and parking system for vehicle
CN107366457B (en) * 2017-07-27 2019-06-07 上海畅悦自动化机械有限公司 A kind of tower-type space garage
CN108412280B (en) * 2018-05-07 2024-01-26 徐州安普瑞特能源科技有限公司 Rotary head-adjusting device for vehicle in elevator in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CN109577717A (en) * 2019-01-23 2019-04-05 李仁明 A kind of intelligent three-dimensional garag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36A (en)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52B1 (en) Multi-storey garage
CN102341336A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2998106A (en) Mobile elevating and erecting device for masts assembled from separate sections
CN103362339A (en) Special tower-type parking garage for large-capacity city
KR100638680B1 (en) Elevator Slide 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KR200345050Y1 (en) One-way circulating elevator system
KR100702666B1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CN101862952A (en) Shaft station hydraulic bracket replacing facility
KR20070040069A (en) Simplify parking system
JPH04281969A (en) Elevator device for multi-level parking equipment
JPH0133628B2 (en)
JP2010190024A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EP0331291B1 (en) Parking structure
KR100295876B1 (en) Turn table equipment in elevator-style parking system
JPH07252952A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KR100257107B1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parking method thereof
RU2436919C1 (en) Piece goods storage
JP2019090292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mechanical parking device
KR100257111B1 (en) Movable platform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JP3032877B2 (en) Parking equipment
JPH03208970A (en) Multistoried parking tower
JP3592933B2 (en) Material stock equipment
JPH07113286B2 (en) Parking lot and lift balance mechanism
JP3390630B2 (en) Multi-level parking
JP2790012B2 (en) Elevator parking equipment,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