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066B1 -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66B1
KR100638066B1 KR1020000060646A KR20000060646A KR100638066B1 KR 100638066 B1 KR100638066 B1 KR 100638066B1 KR 1020000060646 A KR1020000060646 A KR 1020000060646A KR 20000060646 A KR20000060646 A KR 20000060646A KR 100638066 B1 KR100638066 B1 KR 10063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adio wave
wave absorber
absorption performanc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074A (ko
Inventor
하타나카히데유키
오츠보마사토
아리카와사다아키
고지마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8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8Rockwoo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흡수 성능이 우수한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10)는 각각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적어도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가진다. 상기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상기 전파 흡수체(10)에 입사한 전파는 제 1 층(14)내 및 제 2 층(16)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된다. 또한, 제 1 층(14)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제 2 층(16)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는,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는 것에 의해 감쇠된다. 이와 같이, 반사파 끼리가 간섭함으로써 전파 흡수체(10)의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전파 흡수체, 제 1 층, 제 2 층, 도전성 섬유, 석고, 암면, 탄소 섬유

Description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Radio Wave Absor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Interior Material}
도 1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사 손실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천정판에 있어서의 전파 반사의 모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투과 손실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파 흡수체 12: 도전성 섬유
14: 제 1 층 16: 제 2 층
본 발명은 전파 장해를 해소하기 위해서 벽면 등에 시공되어 사용하는 전파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HS로 대표되는 무선 통신 기기의 보급은 놀라우며, 오피스·점포·공장·창고 등에서도 무선 LAN이라고 일컬어지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사용되는 무선 통신 기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상기 무선 통신 기기를 오피스 등의 특정한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외로부터의 노이즈 전파의 침입을 막거나, 실내의 정보가 실외로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벽면 등에 대하여 금속 호일이나 금속 망(mesh), 도전성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파 차폐체의 시공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파 차폐체의 시공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라도, 최근의 오피스는 천정 및 바닥면에 금속제의 덱 플레이트(deck plate)가 사용되거나, 바닥면에 금속제의 2중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천정 및 바닥면은 전파 반사 환경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벽면에 대해서도 스틸제의 가구 건축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벽면이 전파 반사 환경으로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파 반사 환경에서는, 통신 기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가 내벽이나 천정, 바닥, 스틸제의 가구 건축구에 의해서 반사되어, 수신 단말에 위상이 다른 반사파가 도달하거나, 반사파가 다중적으로 도달하여, 수신기측에서 정상 신호로서 인식할 수 없으며, 통신 시간이 매우 길어지거나 통신 불능으로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 대책으로서는, 내장재에 도전성 섬유를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전파 흡수체를 시공하는 것이 유효하며,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0-107479호 공보에는, 탄소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는 전파 흡수 성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파 흡수 성능이 뛰어난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깊이 연구한 결과,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벽면 등에 대하여 시공한 경우,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되고,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것은 적층체의 각각의 층에 있어서 전파가 감쇠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층으로부터의 반사파가 간섭하여, 위상과 진폭의 관계로 서로 상쇄하는, 즉 공진에 의해서도 감쇠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견지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는 각각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적어도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파 흡수체에서는, 상기 전파 흡수체에 입사한 전파는, 제 1 층내 및 제 2 층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된다. 또한, 제 1 층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제 2 층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는,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는 것에 의해 감쇠 된다. 이와 같이, 반사파 끼리 간섭함으로써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 및 제 2 층은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전파 흡수체의 내화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은 암면(rock wool)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층은 석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암면측의 제 1 층에 의해서 흡음성의 향상,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석고는 다른 무기질재와 비교하여 경량이기 때문에, 석고측의 제 2 층에 의해서 상기 전파 흡수체를 시공할 때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 및 제 2 층은 암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층 및 제 2 층의 암면에 의해서 흡음성의 향상,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의 경우, 제 1 층과 제 2 층에서 도전성 섬유의 함유량을 다르게 하면 더욱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이고, 제 1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0O5 내지 O.3g/l 포함되어 있으며, 제 2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1 내지 1.0g/l 포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파 흡수체는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고, 제 2 층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면 적합하다. 제 1 층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 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층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은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층은 유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층이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화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 2 층이 유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파 흡수체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은 암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에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유기계 도료를 도포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암면측의 제 1 층에 의해서 흡음성의 향상,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제 1 층에 대하여 유기계 도료를 도포하는 것만으로, 제 2 층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이고, 제 1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2 내지 O.5g/l 포함되어 있으며, 제 2 층에는 상기 도 전성 섬유가 상기 제 2 층의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 포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파 흡수체는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제 1 층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고,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은 100 내지 30O0g/㎡이면 적합하다. 제 1 층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층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이 100g/㎡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이 3000g/㎡보다도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 아닐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도전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0.1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도전성 섬유의 섬유 길이가 0.1mm보다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가 유전체로서 작용하여 전파의 유전 손실을 일으키는 유전 손실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게 되어,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며, 또한 섬유 길이가 30mm보다 큰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재의 시공 방법은,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를 기초로 하여 시공한 후에, 상기 석고 보드에 대하여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암면 보드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석고 보드에 대하여 암면 보드를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내장재에 입사된 전파는 암면 보드내 및 석고 보드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된다. 또한, 암면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석고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는,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는 것에 의해 감쇠된다. 이와 같이, 반사파 끼리 간섭함으로써 내장재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석고 보드를 기초로서 사용하여, 그 위에 암면 보드를 시공함으로써, 내장재가 시공되는 공간의 의장성 향상이 도모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파 흡수체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는 각각 도전성 섬유(12)를 함유하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은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내화성이 향상되어 있다. 상기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기질재」라는 것은 비금속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질 재료를 의미하며, 실질적으로 금속 단일체, 복수종의 금속만을 함 유하는 금속 복합 재료, 또는 합금류 등의 금속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무기질재로서는, 예를 들면 석고, 석회, 규산 칼슘, 각종 시멘트 등의 외에, 암면, 실라스 벌룬, 글래스 파이버, 글래스 울, 펄라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세비올라이트, 어태펄리자이트(attapuligite)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구성하는 무기질재는, 동일하거나 다른 것이여도 좋지만, 제 1 층(14)을 암면에 의해 구성하고, 제 2 층(16)을 석고에 의해 구성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어 석고측의 제 2 층(16)을 기초로서 이면에 사용하고, 암면측의 제 1 층(14)을 표면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전파 흡수체가 시공되는 실내 공간의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암면측의 제 1 층(14)에 의해서 흡음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층(16)을 구성하는 석고는 다른 무기질재와 비교하여 경량이기 때문에, 전파 흡수체(10)의 시공에 있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고, 제 2 층(16)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면 적합하다. 제 1 층(14)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12)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층(14)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10)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16)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12)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16)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10)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각각 함유되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섬유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구리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경량성의 관점에서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탄소 섬유가 적합하다. 탄소 섬유로서는, 피치계, PAN계의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콜 타르 피치, 석유 피치, 석탄 액화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한 탄소 섬유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는 O.1 내지 30mm, 특히 2 내지 6mm이면 적합하다.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가 0.1mm보다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12)가 유전체로서 작용하여 전파의 유전 손실을 일으키는 유전 손실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게 되고,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며, 또한 섬유 길이가 30mm보다 큰 경우는, 도전성 섬유(12)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은 도전성 섬유(12)로서 탄소 섬유를 사용한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에는 도전성 섬유(12)가 0.005 내지 O.3g/l포함되어 있고, 또한 제 2 층(16)에는 도전성 섬유(12)가 O.1 내지 1.0g/l 포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석고판 단독으로 전파 흡수체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층(14)에는 도전성 섬유(12)가 0.05 내지 0.1g/l 포함되어 있고, 또한 제 2 층(16)에는 도전성 섬유(12)가 O.2 내지 1.0g/l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전파 흡수체(10)의 전파 흡수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며, 예를 들면 TV 고스트(ghost)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에 필요한 -14dB 정도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진다.
상기 전파 흡수체(10)는 별도로 구성된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공장 등에 있어서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하여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별도로 구성된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이 시공 현장에 별도로 반입되고, 하향 연장된 제 2 층(16) 위에 제 1 층(14)이 적층되어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가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12)가 콘덴서와 같은 기능을 부과하고 있고, 전파 흡수체(10)에 입사한 전파는 제 1 층(14)내 및 제 2 층(16)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전류로 변환되며, 또한 열로 변환되어 감쇠된다. 또한, 제 1 층(14)을 투과하여 제 2 층(16)에 도달한 전파는, 위상이 지연되는 동시에 각 층의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제 1 층(14)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제 2 층(16)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가 서로 위상이 다른 조건(각 층의 유전율과 유전 손실, 각 층의 두께, 전파의 주파수의 관계로 결정된다)으로 되었을 때,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이, 전파가 제 1 층(14)내 및 제 2 층(16)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할 뿐만 아니라,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있어서의 반사파 끼리의 간섭에 의해서도 감쇠하기 때문에, 전파의 반사량이 저감되고, 상기 간섭에 의한 감쇠도 포함시켜 넓은 의미에서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차기 무선 LAN이라고 일컬어지는 5GHz대나, 더욱 진행한 19GHz대의 무선 LAN에서는, 전망 통신(송신측과 수신측을 전망할 수 있는, 즉 전파가 일직선에 도달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의 통신 형태로,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에 장해물이 있기 때문에 벽이나 천정 등에 의해 전파를 반사시켜 통신하는 형태의 전망외 통신과 다르다)에 의해 통신이 행해진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파 흡수 성능이 뛰어난 전파 흡수체(10)를 실내에 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반사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통신 속도의 향상이나 통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차기 무선 LAN에서는 전파 흡수 성능으로서 -10 내지 -20dB 정도의 반사 손실이 요구되지만,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이러한 전파 흡수 성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TV 고스트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를 위해서는, 전파 흡수 성능으로서 -10dB 이상, 적합하게는 -14dB 내지 -2OdB 정도의 반사 손실이 요구되지만,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이러한 전파 흡수 성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이 다른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동일한 무기질재, 예를 들면 암면끼리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때, 제 1 층(14)과 제 2 층(16) 사이에서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을 다르게 하면 적합하다. 상기 전파 흡수체(10)는, 별도로 구성된 제 1 층(14)과 제 2 층(16)을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하여도 좋고, 또한 암면의 초조(抄造)의 단계에서 도전성 섬유의 함유량을 다르게 하도록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순차 적층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전파 흡수체(10)를 실제로 시공하는 경우는,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이 낮은 측, 즉 전파의 투과성이 높은 측을 표면측으로 하고,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이 높은 측, 즉 전파의 반사성이 높은 측을 이면측으로 하여 사용하면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의 2층 구조의 전파 흡수체(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파 흡수체는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지의 여부를 막론하고 또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는 제 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도전성 섬유(12)를 함유하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층(14)은 무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층(16)은 유기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층(16)을 유기질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전파 흡수체의 경량화가 도모되며, 시공 시의 작업성 향상을 도 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1 층(14)을 구성하는 무기질재로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질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스티렌 수지, 페놀 수지,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에틸렌 비닐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합성 고무 등 및 그 수지의 발포 소재를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기질재나 유기질재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제 1 층(14)은 암면에 의해 구성하고, 제 2 층(16)은 제 1 층(14)에 도전성 섬유(12)를 함유하는 상기 수지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계 도료를 도포하여 구성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기계 도료측의 제 2 층(16)을 기초로서 이면에 사용하여, 암면측의 제 1 층(14)을 표면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전파 흡수체(10)가 시공되는 실내 공간의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암면측의 제 1 층(14)에 의해서 흡음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제 1 층(14)에 유기계 도료를 도포하는 것만으로, 제 1 층(14)의 위에 제 2 층(16)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기계 도료로서는 비닐아세테이트계의 도료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의 두께는 1 내지 30mm이고, 제 2 층(16)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은 100 내지 300Og/㎡이면 적합하다. 제 1 층의 두께가 1mm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층의 두께가 30mm보다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이 100g/㎡보다도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층을 구성하는 유기계 도료의 도포량이 30O0g/㎡보다도 큰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중량화로 이어져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각각 함유되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제 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가지는 섬유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구리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경량성의 관점에서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탄소 섬유가 적합하다.
여기서,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는, 제 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 마찬가지로 0.1 내지 30mm, 특히 제 1 층(14)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가 2 내지 6mm이고, 제 2 층(16)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가 0.2 내지 2mm이면 적합하다. 도전성 섬유(12)의 섬유 길이가 0.1mm보다 작은 경우는, 도전성 섬유(12)가 유전체로서 작용하여 전파의 유전 손실을 일으키는 유전 손실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게 되며,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고, 또한 섬유 길이가 30mm보다 큰 경우는, 도전성 섬유(12)의 분산이 나빠져서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그다지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은 도전성 섬유(12)로서 탄소 섬유를 사용한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에는 도전성 섬유(12)가 0.2 내지 0.5g/l 포함되어 있고, 또한 제 2 층(16)에는 도전성 섬유(12)가 제 2 층(16)의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 포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기계 도료 단독으로 전파 흡수체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층(14)에는 도전성 섬유(12)가 O.25 내지 0.35g/l 포함되어 있고, 또한 제 2 층(16)에는 도전성 섬유(12)가 제 2 층(16)의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8 내지 23중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며, 예를 들어 TV 고스트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에 필요한 -14dB 정도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한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에서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12)가 콘덴서와 같은 기능을 부과하고 있고, 제 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와 마찬가지로, 전파 흡수체(10)에 입사한 전파는, 제 1 층(14)내 및 제 2 층(16)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전류에 변환되며, 또한 열로 변환되어 감쇠된다. 또한, 제 1 층(14)을 투과하여 제 2 층(16)에 도달한 전파는, 위상이 지연되는 동시에 각 층의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제 1 층(14)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제 2 층(16)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가 서로 위상이 다른 조건(각 층의 유전율과 유전 손실, 각 층의 두께, 전파의 주파수의 관계로 결정된다)으로 되었을 때,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이, 전파가 제 1 층(14)내 및 제 2 층(16)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할 뿐만 아니라, 제 1 층(14) 및 제 2 층(16)에 있어서의 반사파 끼리의 간섭에 의해서도 감쇠하기 때문에, 전파의 반사량이 저감되고, 상기 간섭에 의한 감쇠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에서 전파 흡수체(10)의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술한 도전성 섬유(12)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전파 흡수 성능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10)는, 예를 들면 천정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T 바 매달기 공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층(14) 및 제 2 층(16)의 2층 구조의 전파 흡수체(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파 흡수체는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지의 여부를 막론하고 또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내장재의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내장재의 시공 방법은,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를 기초로서 시공한 후에, 상기 석고 보드에 대하여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암면 보드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석고 보드 및 암면 보드가 함유되는 도전성 섬유로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섬유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구리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 을 들 수 있다. 특히, 경량성의 관점에서는 도전성 섬유로서 탄소 섬유가 적합하다. 탄소 섬유로서는, 피치계, PAN계의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콜 타르 피치, 석유 피치, 석탄 액화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한 탄소 섬유를 들 수 있다.
천정판의 시공에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의 시공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천정으로부터 볼트를 달아내리고, 그 볼트에 C 채널이나 M 바 등의 스틸재를 고정하고, 우물정자(井) 형상으로 조합하여 철골 기초를 만든다. 다음에, 철골 기초에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를 나사 고정하여 수평인 평면을 만든다. 그리고, 석고 보드의 하면에 접착제와 태커(tacker)를 병용하여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암면 보드를 붙여 채워 간다.
상기 내장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암면 보드 및 석고 보드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가 콘덴서와 같은 기능을 부과하기 때문에, 암면 보드와 석고 보드의 적층체에 입사한 전파는, 암면 보드내 및 석고 보드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전류로 변환되며, 또한 열로 변환되어 감쇠된다. 또한, 암면 보드를 투과하여 석고 보드에 도달한 전파는, 위상이 지연되는 동시에 각 보드의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암면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석고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가 서로 위상이 다른 조건(각 층의 유전율과 유전 손실, 각 층의 두께, 전파의 주파수의 관계로 결정된다)으로 되었을 때, 서로 간섭하여 상쇄하여 감쇠된다. 이와 같이, 전파가 암면 보드내 및 석고 보드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할 뿐만 아니라, 암면 보드 및 석고 보드에 있어서의 반사파 끼리의 간섭에 의해서도 감쇠하기 때문에, 전파의 반사량이 저감되고, 상기 간섭에 의한 감쇠도 포함시켜 넓은 의미에서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반사파에 의한 통신 장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석고 보드를 기초로서 시공한 후에 암면 보드를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암면 보드측이 표면에 나타나 시공 공간의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전파 흡수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사용 재료)
전파 흡수체 A:
제 1 층(14)을 암면에 의해 구성하고, 제 2 층(16)을 석고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 1 층(14)의 두께를 12mm로 하며, 제 2 층(16)의 두께를 9mm로 하였다. 또한, 도전성 섬유(12)로서는 섬유 길이가 6mm인 탄소 섬유를 사용하였다. 또한, 전파 흡수체 A는 세로 40cm×가로 4Ocm의 판체로 하였다.
전파 흡수체 B:
전파 흡수체 B는 제 2 층(16)의 두께를 12mm로 한 것 이외는 전파 흡수체 A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전파 흡수체 C:
제 1 층(14)을 암면에 의해 구성하고, 제 2 층(16)은 제 1 층(14)의 한쪽 면의 전체에 유기계 도료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을 도포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 1 층(14)의 두께를 12mm로 하고, 제 2 층(16)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도포량은 625g/㎡로 하였다. 또한, 제 1 층(14)에 함유되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섬유 길이가 6mm인 탄소 섬유를 사용하며, 한편 제 2 층(16)에 함유되는 도전성 섬유(12)로서는 섬유 길이가 O.7mm의 탄소 섬유를 사용하였다. 또, 전파 흡수체(C)는 세로 40cm×가로 40cm의 판체로 하였다.
(전파 흡수 성능 측정 방법)
(1) 반사 손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반사 손실을 지표로서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반사 손실이란, 전파를 100% 반사하는 금속판과 비교하여, 시료로부터의 반사파가 어느 정도 감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파는 전계와 자계가 서로 직교한 파이고, 전계와 자계의 단위는 각각 [V/m]과 [A/m]이다. 전송전력으로서 파악한 경우의 단위는 [W]이다. 반사 손실에는, 전계로부터 구한 반사 손실과 전송전력으로부터 구한 반사 손실이 있다. 이하에, 반사 손실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21)로부터 방사된 전파가 소정의 일정한 거리(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놓여진 금속판(시료)에 입사각(θ1)에서 입사하고, 반사각(θ2)에서 반사하고 있는 일정한 거리(D2) 만큼 이격된 위치 에 놓여진 수신 안테나(23)에 도달하는 경우,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25)에 의해서 반사되어 수신 안테나(23)에 도달한 전파의 전계 강도를 E0, 에너지를 P0,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료(27)에 의해서 반사되어 수신 안테나(23)에 도달한 전파의 전계 강도를 E1, 에너지를 P1로 하면, 반사 손실 S는,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1
로부터 구해진다.
반대로, 에너지의 감쇠는,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2
로부터 구해진다.
여기서 반사 손실의 측정 시에, 전파는 동심원형으로 넓어지는 성질이 있고, 안테나간 거리가 짧은 경우는 전계 강도의 거리에 의한 변화가 현저하기 때문에, 송신 안테나(21)와 시료(27)의 거리(L)를 이격하여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원방계측정). 상기 거리(L)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파의 파장(λ)과 안테나 방형 개구 치수가 긴쪽 변의 길이(D)에 의해서,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3
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전파의 파장(λ)은 2.5GHz에서 12cm이고, ENICO사 제조의 더플리지트폰 안테나 3115의 안테나 방형 개구 치수가 긴쪽 변의 길이(D)는 24.5cm 이기 때문에, 원방계라고 볼 수 있는 거리(L)는 1.0m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것보다 긴 1.2m을 안테나와 시료와의 거리(L)로 하였다.
이로써, 예를 들면 금속판(25)에 의해서 반사되는 전파의 에너지(PO)가 1[W]인 조건에서, 시료(27)로부터의 반사파의 에너지(P1)가 O.3[W]로 된 경우의 반사 손실 S는,
S=-10log(1/0.3)= -5.2[dB]
로 된다.
또한, -5[dB]의 반사 손실을 가지는 시료(27)의 경우, 시료(27)로부터의 반사파의 에너지의 감쇠는,
P1/P0= exp(-5/10)= O.32
로 되고, 금속판(25)으로부터의 반사파의 에너지에 대하여 32%로 감쇠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사 손실 측정 조건은, 전파의 주파수를 2.45 GHz로 하고, 송신 안테나(21)와 금속판(25){시료(27)}의 거리(D1)와, 수신 안테나(23)와 금속판(25){시료(27)}의 거리(D2)를 모두 1.2m로 하였다. 또한, 전파의 입사각(θ1)과 반사각(θ2)을 모두 20°로 하였다.
(2) 투과 손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반사 손실과 같이 투과 손실을 지표로서 전파 흡수체가 실제의 현장에서의 시공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투과 손실이란, 전파가 시료를 투과할 때에 투과파가 어느 정도 감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실제의 오피스 환경에 있어서의 천정면에 관한 전파의 반사 모델을 생각한 경우, 송신기(31)로부터 천정판(33)으로 향하여 방사된 전파는, 천정판(33)에서 반사되어 수신기(37)로 되돌아오는 경로(루트 I)와, 천정판(33)을 투과하여 덱 플레이트(35)에서 반사(10O%)되고, 또한 천정판(33)을 투과하여 수신기(37)에 도달하는 경로(루트 II)의 2가지가 생각된다.
여기서, 애당초 천정판(33)에 의한 전파의 반사를 저감하고자 한 경우, 천정판(33)에서의 반사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천정판(33)중에 함유시키는 도전성 섬유의 양을 적게 할 필요가 있지만, 도전성 섬유의 함유량을 적게 하면 천정판(33)에 의한 투과 손실도 작아진다. 따라서, 도전성 섬유의 함유량을 적게 하면 전파의 반사량은 적어지지만, 반대로 투과하는 전파의 양이 커져 덱 플레이트(35)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루트 II 쪽이 전파의 강도가 커져 버린다. 이것으로는, 천정판(33)에 의한 전파의 반사를 저감한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루트 II에서의 반사파의 수신 강도가 루트 I에서의 반사파의 수신 강도보다 커지는 조건을 구해둘 필요가 있다. 상기 조건은 천정판(33)의 반사 손실과 투과 손실을 사용하여,
(투과 손실)×2≥(반사 손실)
로 나타난다(도출의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천정 판(33)의 투과성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전파 흡수체는 천정판(33)으로서 실제의 현장에서의 시공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조건을 기초로 하여 전파 흡수체가 실제의 현장에서의 시공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투과 손실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과 손실에 대해서는, 수직 입사, 경사 입사의 2개의 경우가 있지만, 경사 입사의 경우는 굴절 현상도 따라서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입사의 경우를 상정하였다.
또한, 투과 손실의 측정 방법에는 시료 표면에 송신 안테나를 설치하고, 이면에 수신 안테나를 설치한 구조로 측정하는 방법(어드밴테스트법에 의한 근방계 측정)이 있지만, 상기 반사 손실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파의 강도 변동이 거리에 대하여 안정하는 원방계에서 측정하는 쪽이 적합하기 때문에,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너를 원방계라고 볼 수 있는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원방계라고 보여지는 안테나간 거리는, 상기 반사 손실의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2m로 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서는, 우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41)와 수신 안테나(43)를 거리(D3)=1.2m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 대하여 전파를 송신하고, 이 때의 수신 안테나(43)에 도달한 전파의 에너지 PO와, 전계 EO를 측정한다. 다음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43)의 직전에 시료(45)를 설치하여, 수신 안테나(43)에 도달한 전파의 에너지 P1과, 전계 E1을 측정한다. 그리고, 투과 손실 T를,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4
의 식으로부터 구한다.
예를 들면, PO가 O.2[W]에서 P1이 0.03[W]의 경우, 투과 손실 T는,
T=-10log(0.2/0.03)= 18.23[dB]
로 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전파 흡수체(A)에 대하여 제 1 층(14)을 구성하는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005 내지 0.4g/l의 사이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 2 층(16)을 구성하는 석고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1 내지 2g/l의 사이에서 변화시켜, 그 경우의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는 전파 흡수체(B)에 대하여 제 1 층(14)을 구성하는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0O5 내지 O.4g/l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 2 층(16)을 구성하는 석고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1 내지 1.5g/l 사이에서 변화시켜, 그 경우의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는, 전파 흡수체(C)에 대하여 제 1 층(14)을 구성하는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005 내지 3g/l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 2 층(16)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아세트산 100g 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5 내지 30g의 사이에서 변화시켜, 그 경우의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전파 흡수체(A)에 대한 비교로서, 두께 12mm의 암면판에 대하여,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0O5 내지 0.4g/l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암면판 단독으로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두께 9mm의 석고판에 대하여, 석고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1 내지 2g/l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석고판 단독으로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2의 전파 흡수체(B)에 대한 비교로서, 두께 12mm의 암면판에 대하여,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0O5 내지 0.4g/l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암면판 단독으로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두께 12mm의 석고판에 대하여, 석고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1 내지 1.5g/l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석고판 단독으로의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 3의 전파 흡수체(C)에 대한 비교로서, 두께 12mm의 암면판에 대하여, 암면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0.00 5 내지 0.4g/l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암면판 단독으로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두께 12mm의 암면판에 도포량 625g/㎡로 도포하여 구성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 대하여, 폴리비닐아세트산 100g 내의 탄소 섬유(CF)의 양을 O.5 내지 30g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전파 흡수 성능을 측정하였다.
이상,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있어서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5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파 흡수체 A에서는 석고판 단독으로 반사 손실보다 높은 반사 손실이 얻어지고 있으며,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되어 있다. 특히, 암면판(RW)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0.005 내지 0.3g/l이며, 또한 석고판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O.1 내지 1.0g/l인 경우는, -8dB 정도가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암면판(RW)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O.05 내지 O.1g/l이고, 또한 석고판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O.2 내지 1.0g/l인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고, 예를 들면 TV 고스트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에 필요한 -14dB 정도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진다.
또, 표 1에 나타내는 탄소 섬유량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투과 손실)×2≥(반사 손실)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고, 실제의 현장에서의 시공에 적합한 것이 확인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있어서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6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파 흡수체 B에서도 석고판 단독으로 반사 손실보다 높은 반사 손실이 얻어지고,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되어 있다. 특히, 암면판(RW)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0.005 내지 0.3g/l이고, 또한 석고판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0.1 내지 1.0g/l인 경우는, -8dB 정도의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암면판(RW)안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0.05 내지 0.1g/l이고, 또한 석고판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O.1 내지 O.5g/l인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며, 예를 들면 TV 고스트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에 필요한 -14dB 정도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진다.
또, 표 2에 나타내는 탄소 섬유량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투과 손실)×2≥(반사 손실)의 조건을 만족하며, 실제 현장에서의 시공에 적합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예 및 비교예 3에 있어서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0021621747-pat00007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파 흡수체 C에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단독으로 반사 손실보다 높은 반사 손실이 얻어지고 있으며, 전파 흡수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특히, 암면판(RW)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O.2 내지 0.5g/l이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0g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량이 10 내지 25g의 경우는 -8dB 정도의 높은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암면판(RW)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가 0.25 내지 O.35g/l이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00g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CF)량이 18 내지 23g인 경우는,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되며, 예를 들면 TV 고스트 방지나 선박 전파 고스트 방지에 필요한 -14dB 정도 이상의 전파 흡수 성능이 얻어진다.
또, 표 3에 있어서 CF 농도가 적은 영역에서 높은 반사 손실이 얻어지고 있지만, 상기 영역은 CF 농도가 극단적으로 낮기 때문에 전파가 반사하지 않고서 투과하였기 때문이고, 이러한 CF 농도의 전파 흡수체에서는, 투과성이 지나치게 크고 상기한 (투과 손실)×2≥(반사 손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의 시공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전파 흡수체에 의하면, 각각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적어도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사한 전파는 제 1 층내 및 제 2 층내를 진행함으로써 감쇠될 뿐만 아니라, 각 층으로부터의 반사파 끼리가 간섭함으로써도 감쇠된다. 따라서, 전파의 반사량이 저감되어 전파 흡수체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석고 보드에 대하여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는 암면 보드를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해 시공된 내장재에 입사한 전파는 암면 보드내 및 석고 보드내를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감쇠될 뿐만 아니라, 암면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와 석고 보드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파가 서로 간섭함으로써도 감쇠된다. 따라서, 전파의 반사량이 저감되어 내장재의 전파 흡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석고 보드를 기초로서 시공하여, 그 위에 암면 보드를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 공간의 의장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2)

  1. 각각 도전성 섬유로서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가지는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암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층은 석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05∼0.1g/l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2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1∼1.0g/l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체.
  2. 각각 도전성 섬유로서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갖는 전파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암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에 도전성 섬유로서 탄소섬유를 함유하는 아세트산비닐계 도료를 도포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0.25∼0.35g/l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2 층에는 상기 도전성 섬유가 상기 제 2 층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하여 18∼23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흡수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00060646A 2000-05-16 2000-10-16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 KR100638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3792A JP3482942B2 (ja) 2000-05-16 2000-05-16 電波吸収体
JP2000-143792 2000-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74A KR20010106074A (ko) 2001-11-29
KR100638066B1 true KR100638066B1 (ko) 2006-10-25

Family

ID=1865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46A KR100638066B1 (ko) 2000-05-16 2000-10-16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82942B2 (ko)
KR (1) KR100638066B1 (ko)
CN (1) CN11926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780A1 (fr) * 2002-01-31 2003-08-07 Nitto Boseki Co., Ltd. Absorbeur d'ondes electromagnetiques
JP4122364B2 (ja) 2006-08-23 2008-07-2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波吸収体とその製造方法
CN102173703B (zh) * 2011-01-12 2013-03-27 北京工业大学 炭黑-石膏基吸波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281043B (zh) * 2015-11-18 2018-07-27 上海理工大学 一种超宽频太赫兹波减反构件及超宽频太赫兹波吸收器
JP6121603B1 (ja) * 2016-07-21 2017-04-26 株式会社レジナ 屋内用塗装材
CN111848084A (zh) * 2020-07-21 2020-10-30 兰州理工大学 一种减弱电磁辐射与对有害气体光催化的高强石膏基墙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3158A (zh) 2001-11-21
CN1192698C (zh) 2005-03-09
KR20010106074A (ko) 2001-11-29
JP3482942B2 (ja) 2004-01-06
JP2001322194A (ja)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vasirvatham A comparison of time delay spread and signal level measurements within two dissimilar office buildings
CA1280487C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CN107579352B (zh) 一种适用于天线罩的超宽带频率选择表面
US7852256B2 (en) Through the-wall motion detector with improved antenna
US5121122A (en) Facade construction for high structures
KR100638066B1 (ko) 전파 흡수체 및 내장재의 시공 방법
US5323160A (en) Laminated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JP2004270143A (ja) 電波吸収体、電波吸収パネル、電波吸収衝立、電波吸収壁、電波吸収天井および電波吸収床
KR101134202B1 (ko) 페라이트 공진기를 구비한 전파무향실
CN204212507U (zh) 微放电屏蔽暗室
CN114597653A (zh) 交叉眼收发同时干扰的隔离度收发天线设计方法
CN114976634B (zh) 一种用于连续波雷达的天线系统及其加工方法
EP1195848A1 (en) Microwave absorber wall
WO2004079862A1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nt panel
CN112436288B (zh) 基于相位相消和阻抗吸波的超宽带rcs缩减方法及结构
KR102663391B1 (ko) 전자파 흡수 구조체
JP2603670B2 (ja) 電磁波シールド地下室
WO2022155901A1 (zh) 一种方舱大板
Tang et al. Microwave propagation in multi-room buildings for PCS
CA3227788A1 (en) Engineered wood panel with connectivity layer
JP2004363159A (ja) 電磁波吸収パネル
JP2004363161A (ja) 電磁波吸収パネルの製作方法及び電磁波吸収パネル
JP4544523B2 (ja) 電磁波吸収パネル
FI12868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retransmitting electromagnetic signals
JP2001348975A (ja) 電磁遮蔽吸収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