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51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517B1
KR100637517B1 KR1020050020391A KR20050020391A KR100637517B1 KR 100637517 B1 KR100637517 B1 KR 100637517B1 KR 1020050020391 A KR1020050020391 A KR 1020050020391A KR 20050020391 A KR20050020391 A KR 20050020391A KR 100637517 B1 KR100637517 B1 KR 10063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plasma display
board assembly
circuit board
pd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237A (ko
Inventor
하승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5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 FET의 떨림에 의한 히트 싱크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 복수개의 방열핀을 갖고 스위칭 소자의 일측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 및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샤시 베이스, 히트 싱크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방전으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 PDP를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샤시 베이스의 PDP 반대측에 장착되어 유연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및 커넥터를 통하여 PDP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회로보드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PDP는 2장의 글라스 기판을 면 대향 봉착하고 그 내부에 방전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기계적 강성이 약하다.
이러한 PDP를 지지하기 위하여 샤시 베이스는 기계적 강성이 큰 금속제로 형성된다.
샤시 베이스는 PDP의 강성을 유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회로보드 어셈블리의 장착 지지 기능과 PDP의 히트 싱크(Heat Sink) 기능 및 전자파(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이하 'EMI'라 한다) 그라운드 기능을 담당한다.
샤시 베이스는 그 전면에 양면 테이프를 개재하여 PDP를 부착하고, 그 배면에 회로보드 어셈블리들을 장착한다.
회로보드 어셈블리들은 샤시 베이스의 배면에 다수로 형성된 보스에 세트 스크류로 장착된다.
회로보드 어셈블리에는 유지전극을 제어하는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 주사전극을 제어하는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 어드레스전극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버퍼보드 어셈블리,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전극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어드레스 버퍼보드 어셈블리와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영상처리/제어보드 어셈블리, 및 상기한 보드 어셈블리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 어셈블리가 있다.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각각 유지펄스를 공급하는 고전압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는 유지전극 또는 주사전극에 유지펄스를 공급함에 따라 높은 열을 발생시킨다.
스위칭 소자를 열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여 구동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칭 소자는 그 일측에 히트 싱크를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FET'라 한다)가 있다.
FET는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나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일렬로 나란히 장착된다.
따라서, 히트 싱크는 그 일측면으로 다수의 FET에 부착된다.
히트 싱크는 해당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 FET의 측면에 단순히 그 측면으로 부착되어 FET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방열시킨다.
따라서, 히트 싱크의 양단은 회로보드 어셈블리와 분리되어 플로팅(floating)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회로보드 어셈블리로부터 방사되는 EMI 노이즈는 히트 싱크로 전달된다.
히트 싱크는 전달되는 EMI 노이즈의 안테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히트 싱크의 일단은 그라운드시키고 다른 일단은 플로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히트 싱크는 그라운드 된 부분에서 플로팅 된 부분까지 다이폴 (dipole) 안테나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히트 싱크의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PDP에서 방사되는 EMI 노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 FET의 떨림에 의한 히트 싱크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 복수개의 방열핀을 갖고 스위칭 소자의 일측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 및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PDP(11), PDP(11)의 배면에 구비되어 기체 방전으로 인하여 PDP(11)에서 발생되는 열을 평면 방향으로 전도 확산시키는 열전도 시트(13), PDP(11)를 구동시키도록 PDP(11)에 전기적으로 연결(미도시)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PBA ;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15), 및 PDP(11)를 전면에 부착하여 지지하고 회로보드 어셈블리(15)를 배면에 장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17)를 포함한다.
PDP(11)은 밀봉재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는 프런트 패널(Rear Panel)과 리어 패널(Front Panel)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 방전 셀 들을 구비하여 플라즈마 생성을 통한 가시광 방출로 임의의 칼라 영상을 구현한다.
PDP(11)는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PDP(11)와 다른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에 관한 것이므로 PDP(11)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11)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의 PDP가 적용될 수 있다.
열전도 시트(13)는 PDP(11)가 기체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발생되는 열을 PDP(11)의 평면 방향으로 전도하여 발산시키는 것으로써, PDP(11)의 배면에 구비된다.
열전도 시트(13)는 PDP(11)의 방열 균형을 위하여 1장으로 구비되어 PDP(11) 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PDP(11)와 샤시 베이스(17)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열전도 시트(13)와 PDP(11)가 긴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예를 들어, 3장)로 구성할 수 있다.
열전도 시트(13)가 복수로 분할 구성되어 PDP(11)에 부착되면, 분할된 열전도 시트(13)의 사이사이에 양면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게 되고, 양면 테이프는 PDP(11)와 샤시 베이스(17)를 상호 부착시켜 양자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PDP(11)의 배면에 열전도 시트(13)의 부착 면적이 저감되어 방열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게 되므로, 열전도 시트(13)는 PDP(11)의 방열 불균형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개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전도 시트(13)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전도 시트(13)의 소재는 아크릴계 열전도 시트, 그래파이트(Graphite)계 열전도 시트, 금속계 열전도 시트, 또는 탄소 나노 튜브계 열전도 시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샤시 베이스(17)는 열전도 시트(13)를 개재하여 PDP(11)의 배면을 부착 지지하고, 다른 일측으로 회로보드 어셈블리(15)를 장착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보드 어셈블리(15)는 설계도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부품들을 실장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DP(11)는 열(列)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어드레스전 극(A1∼Am), 행(行) 방향으로 서로 쌍을 이루면서 뻗어 있는 복수의 표시전극, 즉 유지전극(X1∼Xn) 및 주사전극(Y1∼Yn)을 포함한다.
유지전극(X1∼Xn)은 각 주사전극(Y1∼Yn)에 대응한다.
PDP(11)는 유지전극(X1∼Xn) 및 주사전극(Y1∼Yn)이 배열된 유리기판(미도시)과 어드레스전극(A1∼Am)이 배열된 유리기판(미도시)을 근간으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두 유리기판은 주사전극(Y1∼Yn)과 어드레스전극(A1∼Am) 그리고 유지전극(X1∼Xn)과 어드레스전극(A1∼Am)이 각각 직교하도록 방전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때, 어드레스전극(A1∼Am)과 유지 및 주사전극(X1∼Xn, Y1∼Yn)의 교차부에 있는 공간이 방전셀(C)을 형성한다.
회로보드 어셈블리(15)는 어드레스전극(A1∼Am)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버퍼보드 어셈블리(15a), 유지전극(X1∼Xn)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주사전극(Y1∼Yn)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전극(A1∼Am)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유지전극(X1∼Xn) 및 주사전극(Y1∼Yn)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어드레스 버퍼보드 어셈블리(15a)와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에 공급하는 영상처리/제어보드 어셈블리(15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 어셈블리(15e)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된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로 연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알 수 있는 도면이고, 도 6은 연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히트 싱크(23)의 방열핀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어 너트(34) 결합되는 볼트(30)를 포함하며, 히트 싱크(23)의 방열핀들을 상호 연결한다.
볼트(30)는 히트 싱크(23)의 방열핀들이 형성하는 간격의 길이 합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여기서, 히트 싱크(23)의 방열핀들이 형성하는 간격의 길이 합이라 함은 방열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방열핀들 간의 간격 방향의 길이 합을 말한다.
볼트(30)의 길이를 방열핀들이 형성하는 간격의 길이 합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한 개의 볼트(30)로 복수개의 방열핀들의 재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너트(34)는 볼트(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방열핀 양측에 각각 접하도록 체결한다.
이러한 경우 너트(34)의 장착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핀의 개수가 4개인 경우 너트(34)는 7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너트(34)와 방열핀의 사이에는 재진제(32)가 장착된다.
재진제(32)의 구성으로 볼트(30)와 너트(34)의 체결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방열핀과의 접촉을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진제(32)는 와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도면 가운데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회로보드 어셈블리(15)는 샤시 베이스(17)에 구비된 보스(18)에 세트 스크류(19)로 장착된다.
도 3 및 도 4는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를 예시한다.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는 유지전극(X1∼Xn) 및 주사전극(Y1∼Yn) 각각에 유지펄스를 교호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회로와 고전압 스위칭 소자(21)를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21)는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또는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에 다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편의상 하나의 히트 싱크(23)에 2개의 스위칭 소자(21)가 대응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PDP(11) 구동시, 스캔 구간에서 스위칭 소자(21)가 주사전극(Y1∼Yn)에 스캔 펄스를 공급하면 스캔 펄스는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되는 어드레스 펄스와 함께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켜 방전셀(C)을 선택한다.
이어지는 유지 구간에서 선택된 유지전극(X1∼Xn)과 주사전극(Y1∼Yn)에 유지펄스를 교호적으로 공급하면 유지펄스는 선택된 방전셀(C)을 유지 방전시켜 화상 을 표시한다.
이때, 스위칭 소자(21)는 열을 발생시키며 열은 그 일측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23)로 전달된다.
히트 싱크(23)는 스위칭 소자(21)에 부착되고 또한 그 양단이 유지 회로보드 어셈블리(15b) 및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15c)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의 체결방식으로 장착하여 재진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연결부재의 결합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멍에 볼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너트의 장착 위치 및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탄성체로 장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히트 싱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방열핀 사이에 탄성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방열핀의 진동 흡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 스프링의 장착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고전압 스위칭 소자의 일측에 히트 싱크를 부착하고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트 싱크 주위에 대응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 부분을 샤시 베이스에 연결함으로서, 히트 싱크 주변 회로에서 방사되는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상기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회로보드 어셈블리;
    상기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
    복수개의 방열핀을 갖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일측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히트 싱크의 방열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히트 싱크의 방열핀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방열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복수개의 방열핀간의 사이 간격 합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볼트에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방열핀의 양측에 각각 접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와 방열핀의 사이에 개재되는 재진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진제는 와셔로 구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20391A 2005-03-11 2005-03-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391A KR100637517B1 (ko) 2005-03-11 2005-03-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391A KR100637517B1 (ko) 2005-03-11 2005-03-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237A KR20060098237A (ko) 2006-09-18
KR100637517B1 true KR100637517B1 (ko) 2006-10-23

Family

ID=3762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391A KR100637517B1 (ko) 2005-03-11 2005-03-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5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237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640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820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51791A (ja) シャーシベース組立体及びこれを適用した平板表示装置
KR1007177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5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5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6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77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87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0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79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41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8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7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3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5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92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7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90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61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77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69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