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223B1 -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223B1
KR100636223B1 KR1020050011447A KR20050011447A KR100636223B1 KR 100636223 B1 KR100636223 B1 KR 100636223B1 KR 1020050011447 A KR1020050011447 A KR 1020050011447A KR 20050011447 A KR20050011447 A KR 20050011447A KR 100636223 B1 KR100636223 B1 KR 100636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ey
random number
rfid
cont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511A (ko
Inventor
남수현
한성휴
이선남
문지영
김봉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2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6Hardware arrangements for back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콘텐츠 백업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 및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콘텐츠 키 생성부;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난수 및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하게 콘텐츠를 백업하면서도 업그레이드 또는 애프터서비스등을 위한 기기 교체가 용이하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oing backup of contents using RFID}
도 1 은 종래의 콘텐츠 백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도 1 의 백업 장치에 의해 백업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백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3 의 저장부가 저장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및 난수를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3의 백업 장치에 의해 저장된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콘텐츠 복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백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장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는 자신의 콘텐츠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였던 콘텐츠를 자신의 재생 기기내에 저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콘텐츠가 아무런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자의 재생 기기내에 저장된다면, 다른 사용자에 의한 복사등에 노출되고, 이는 불법적인 사용자로의 복사를 가능하게 한다.
콘텐츠는 전자 파일로 복사되면 무한정 배포가 가능하므로, 콘텐츠 제작자등의 권리자에게 엄청난 손실을 입히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권한없는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백업을 구현하게 하는 백업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절실하다.
도 1 은 종래의 콘텐츠 백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백업 장치(100)는 디바이스 키 추출부(110), 키 생성부(120), 암호화부(130) 및 저장부(14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키 추출부(110)에 의해 추출된 디바이스 키(112)는 키 생성부(120)로 입력되고, 키 생성부(120)는 디바이스 키(112)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콘텐츠 키(122)를 생성한다. 디바이스 키(112)는 콘텐츠 백업 장치(100) 혹은 콘텐츠 백업 장치(100)가 포함된 콘텐츠 재생 기기마다 유일하게 할당된 키를 말한다. 디바이스 키(112)는 콘텐츠 백업 장치(100)내의 안전한(secure)한 저장 장치 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암호화부(130)는 소스 기기로부터 콘텐츠(132)를 수신하고, 콘텐츠 키(122)를 이용하여 콘텐츠(132)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134)를 생성한다.
저장부(140)는 콘텐츠 키(122) 및 암호화된 콘텐츠(134)를 저장한다. 이 때 저장부(140)는 안전한 영역이어야 한다.
도 2 는 도 1 의 백업 장치에 의해 백업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원 장치9200)는 복호화부(21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한다.
저장부(220)는 콘텐츠 키(222) 및 암호화된 콘텐츠(224)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220)는 도 1 의 저장부(140)과 동일하다. 암호화된 콘텐츠(224)는 콘텐츠 키(222)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으며, 콘텐츠 키(222)는 디바이스 키(112)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복호화부(210)는 저장부(220)로부터 콘텐츠 키(222) 및 암호화된 콘텐츠(224)를 추출하고, 콘텐츠 키(222)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224)를 추출함으로써 콘텐츠(212)를 복원하고, 콘텐츠(212)를 재생 기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백업 장치 및 복원 장치에 따르면, 첫째, 기기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둘째, 해킹에 의한 콘텐츠 키 노출의 위험이 존재한다.
기기의 업그레이드 혹은 애프터서비스로 인하여 백업 장치 혹은 백업 장치를 포함하는 재생 기기가 교체되어햐 하는 경우에,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저장부에 저장되어야 하는데, 기기 교체로 인해 디바이스 키가 변경이 되기 때문에, 저장부의 교체만으로는 사용자는 콘텐츠를 복원할 수 없다. 또한 디바이스 키를 새로운 백업 장치 혹은 재생 기기에 저장하고자 한다면, 안전한 영역에 저장된 디바이스 키를 추출한 후 이를 다시 새로운 백업 장치 혹은 재생 기기에 저장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도 1 및 2 의 장치에서 콘텐츠 키는 저장부에 저장되므로, 저장부는 안전한 영역으로 구현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는 설계상에 많은 제약 및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기 교체등에도 사용자가 콘텐츠를 별 어려움없이 재생가능하게하고 또한 보다 안전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텐츠 백업 장치에 있어서,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 및 상기 장치에서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콘텐츠 키 생성부;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난수 및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복원 장치에 있어서, 암호화된 콘텐츠, 및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난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난수, 및 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콘텐츠 키 생성부;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을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백업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 에 포함된 RFID, 및 상기 장치에서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수 및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복원 방법에 있어서, 암호화된 콘텐츠, 및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난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난수, 및 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을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백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 백업 장치(300)는 RFID 추출부(310), 콘텐츠 키 생성부(320), 암호화부(330), 저장부(340) 및 난수 생성부(350)을 포함한다.
RFID 추출부(310)는 사용자의 RF 장치(305)로부터 RF 신호(307)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307)로부터 RFID(312)를 추출한다. RFID (312)는 사용자마다 유일하게 부여된 사용자 식별자 번호이며, RF 장치(305)에서 발생되는 RF 신호(307)에 포함된다. RF 장치(305)는 RFID 가 포함된 RF 신호를 송신하며, 백업 장치의 사용자의 ID 카드, 신용 카드 등에 구현가능하다. RF 장치에 관해서는 당업자에 널리 알려져 있다.
콘텐츠 키 생성부(320)는 난수 생성부(350)로부터의 난수(352) 및 RFID 추출부(310)로부터의 RFID(312)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322)을 생성한다. 콘텐츠 키(322)를 생성하는 방법은 임의의 함수를 이용하여 가능하며, 이 함수는 동일한 입력 즉 난수(352) 및 RFID(312)에 대해 동일한 출력 즉 콘텐츠 키(322)를 생성하는 한 어떠한 함수도 선택가능하다.
암호화부(330)는 소스 기기(302)로부터 콘텐츠(332)를 수신하고, 콘텐츠 키 생성부(320)로부터의 콘텐츠 키(322)를 이용하여 콘텐츠(332)을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334)를 생성한다.
저장부(340)는 암호화부(330)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334)를, 그리고 난수 생성부(350)로부터의 난수(352)를 저장한다. 저장부(340)는 반드시 안전한9secure)저장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해 침입자에 의한 콘텐츠 키 획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3 의 백업 장치에 따르면, 저장부(340)에는 암호화된 콘텐츠(334) 및 난수(350)만이 저장되고, RFID(307)는 저장되지 않을 뿐아니라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등을 침입자가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장부(340)가 침입자에 의해 해킹되더라도 콘텐츠 키(322)를 획득할 수 없고 그 결과 콘텐츠(332)를 획득할 수 없다.
또한 업그레이드 또는 애프터서비스등으로 인해 백업 장치(300) 또는 백업 장치(300)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기기(미도시)의 교체가 발생하더라도, 동일한 업체에서 생산된 백업 장치라면 백업 장치가 콘텐츠 키를 획득하기 위해 반드시 필 요한 정보인 RFID는 백업 장치의 외부로부터 획득가능하므로, 동일한 콘텐츠 키 생성 함수를 사용하는 새로운 백업 장치라면 여전히 동일한 콘텐츠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백업 장치의 교체의 경우에도 콘텐츠의 새로운 복호화 및 암호화없이 백업 장치의 교체가 가능하다.
도 4 는 도 3 의 저장부가 저장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및 난수를 저장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저장부(340)는 암호화된 콘텐츠(334) 및 난수(352)를 저장한다. 이 때 암호화된 콘텐츠(334) 및 난수(352)는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장부(340)는, 각각의 암호화된 콘텐츠의 이름 EC1,EC2,... 와 각 콘텐츠의 콘텐츠 키의 생성에 사용된 난수 RN1,RN2,...을 서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테이블(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400)은 콘텐츠를 복원하는 때에도 이용된다.
도 5 는 도 3의 백업 장치에 의해 저장된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콘텐츠 복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콘텐츠 복원 장치(500)는 RFID 추출부(510), 콘텐츠 키 생성부(520), 복호화부(530) 및 저장부(540)를 포함한다.
RFID 추출부(510)는 사용자의 RF 장치(505)로부터 RF 신호(507)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507)로부터 RFID(512)를 추출한다. RFID (512)는 사용자마다 유일하게 부여된 사용자 식별자 번호이며, RF 장치(505)에서 발생되는 RF 신호(507)에 포함된다.
콘텐츠 키 생성부(520)는 저장부(540)로부터의 난수(544) 및 RFID 추출부(510)로부터의 RFID(512)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522)을 생성한다. 콘텐츠 키(522)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3 의 백업 장치(300)가 사용한 함수와 동일한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가능하다.
도 5의 콘텐츠 복원 장치(500)는 도 3의 콘텐츠 백업 장치(300)와 동일한 장치내에 구현가능하다. 동일한 업체에서 생산된 백업 장치(300) 및 복원 장치(500)는 콘텐츠 백업시와 콘텐츠 복원시에 동일한 함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한다. 콘텐츠 복원 장치(500)와 콘텐츠 백업 장치(300)가 동일한 하드웨어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키 생성부(320)과 콘텐츠 키 생성부(520)은 동일한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가능하다.
복호화부(530)는 저장부(540)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542)를 수신하고, 콘텐츠 키 생성부(520)로부터의 콘텐츠 키(522)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542)을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532)를 생성한다. 콘텐츠(532)는 재생 기기(502)로 제공된다.
저장부(540)는 도 3의 백업 장치(300)의 저장부(340)와 동일하다. 즉 저장부(540)는 암호화된 콘텐츠(542) 및 암호화된 콘텐츠(542)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콘텐츠 키(도 3의 322)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난수(도 3의 352)를 저장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백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610에서, RFID 추출부(310)는 사용자의 RF 장치(305)로부터 RF 신호(307)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307)로부터 RFID(312)를 추출한다. RFID (312)는 사용자마다 유일하게 부여된 사용자 식별자 번호이며, RF 장치(305)에서 발생되 는 RF 신호(307)에 포함된다. RF 장치(305)는 백업 장치의 사용자의 ID 카드, 신용 카드 등에 구현가능하다.
단계 620에서, 난수 생성부(350)는 난수(352)를 생성한다.
단계 630에서, 콘텐츠 키 생성부(320)는 난수 생성부(350)로부터의 난수(352) 및 RFID 추출부(310)로부터의 RFID(312)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322)을 생성한다. 콘텐츠 키(322)를 생성하는 방법은 임의의 함수를 이용하여 가능하며, 이 함수는 동일한 입력 즉 난수(352) 및 RFID(312)에 대해 동일한 출력 즉 콘텐츠 키(322)를 생성하는 한 어떠한 함수도 선택가능하다.
단계 640에서, 암호화부(330)는 소스 기기(302)로부터 콘텐츠(332)를 수신하고, 콘텐츠 키 생성부(320)로부터의 콘텐츠 키(322)를 이용하여 콘텐츠(332)을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334)를 생성한다.
단계 650에서, 저장부(340)는 암호화된 콘텐츠(334) 및 난수(352)를 저장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의 콘텐츠 복원 방법은 도 5 의 콘텐츠 복원 장치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의 복원 방법은 도 6의 백업 방법에 의해 저장된 암호화된 콘텐츠 및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복원한다. 즉 저장부(540)는 암호화된 콘텐츠(542) 및 암호화된 콘텐츠(542)를 암호화하는데 이용된 콘텐츠 키(도 3의 322)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난수(도 3의 352)를 저장한다.
단계 710에서, RFID 추출부(510)는 사용자의 RF 장치(505)로부터 RF 신호 (507)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507)로부터 RFID(512)를 추출한다.
단계 720에서, 콘텐츠 키 생성부(520)는 저장부(540)로부터의 난수(544)를 추출한다.
단계 730에서, 콘텐츠 키 생성부(520)는 난수(544) 및 RFID(512)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522)을 생성한다. 콘텐츠 키(522)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6 의 단계 630에서 사용된 함수와 동일한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가능하다.
단계 740에서, 복호화부(530)는 저장부(540)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542)를 수신하고, 콘텐츠 키 생성부(520)로부터의 콘텐츠 키(522)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542)을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532)를 생성한다. 콘텐츠(532)는 재생 기기(502)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백업 방법 및 복원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콘텐츠 백업 방법 및 복원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백업 및 복원 방법에 따르면, 안전하게 콘텐츠를 백업하면서도 업그레이드 또는 애프터서비스등을 위한 기기 교체가 용이하다.

Claims (5)

  1. 콘텐츠 백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 및 상기 장치에서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콘텐츠 키 생성부;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난수 및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RF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치.
  3. 콘텐츠 복원 장치에 있어서,
    암호화된 콘텐츠, 및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난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난수, 및 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콘텐츠 키 생성부;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을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소지된 RF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콘텐츠 백업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며 RF 신호내에 포함된 RFID, 및 상기 장치에서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수 및 암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1447A 2005-02-07 2005-02-07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KR10063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447A KR100636223B1 (ko) 2005-02-07 2005-02-07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447A KR100636223B1 (ko) 2005-02-07 2005-02-07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11A KR20060090511A (ko) 2006-08-11
KR100636223B1 true KR100636223B1 (ko) 2006-10-19

Family

ID=3757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447A KR100636223B1 (ko) 2005-02-07 2005-02-07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885A (ja) 1998-09-17 2000-04-07 Sony Corp 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憶システム
JP2001027963A (ja) 1999-07-15 2001-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ァイル暗号化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システム装置
JP2001224817A (ja) 2000-02-16 2001-08-21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制御データ記憶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制御装置
JP2003271460A (ja)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Corp ハードディスク装置、コンピュ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885A (ja) 1998-09-17 2000-04-07 Sony Corp 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憶システム
JP2001027963A (ja) 1999-07-15 2001-0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ァイル暗号化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システム装置
JP2001224817A (ja) 2000-02-16 2001-08-21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制御データ記憶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制御装置
JP2003271460A (ja)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Corp ハードディスク装置、コンピュ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11A (ko) 200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063B1 (en) Digital video recorder employing a file system encrypted using a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ed from a unique ID
US77702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forgetting secrets
JP3819160B2 (ja) 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10592641B2 (en) Encryption method for digital data memory card and assembly for performing the same
JPH05257816A (ja) 電子化データ保護方式
EP2264639B1 (en) Securing executable code integrity using auto-derivative key
WO2002029566A1 (en) Digital video recorder for encrypting/decrypting video programs
JPWO2004109972A1 (ja) ライセンス受信用ユーザ端末
KR20050035140A (ko) 컨텐츠 처리 장치 및 컨텐츠 보호 프로그램
JP2008009631A (ja) 記憶装置及び記憶方法
KR20080084470A (ko) 컨텐트의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용 메모리 장치 및 그휴대용 메모리 장치 생성 방법
KR20010071254A (ko) 저장매체 상에 복제 방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이와 같은 시스템에 사용되는 저장매체
JP2008234544A (ja) ファイル暗号化・復号化システム、ファイル暗号化・復号化方法、及びファイル暗号化・復号化プログラム
JP2004310240A (ja) サーバ装置
KR20010083940A (ko) 기록된 공개 자료로부터 마스터 키의 복구
JP200327228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受信記録再生装置、情報送受信システム
KR101239301B1 (ko) 라이센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95665B1 (ko) 엔티티 잠금 보안 레지스트리를 사용하여 자료에 액세스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6023046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copying and playback of digital data
KR100636223B1 (ko) Rfid를 이용한 콘텐츠 백업 장치 및 방법
KR100694061B1 (ko)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177712A1 (en) Digital data Recording device
JP4688558B2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8011219A (ja) 電子透かし埋込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49952B2 (ja) スマートカード、再生・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