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61B1 -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61B1
KR100635461B1 KR1020050053368A KR20050053368A KR100635461B1 KR 100635461 B1 KR100635461 B1 KR 100635461B1 KR 1020050053368 A KR1020050053368 A KR 1020050053368A KR 20050053368 A KR20050053368 A KR 20050053368A KR 100635461 B1 KR100635461 B1 KR 10063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pipe
he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열
이재민
정유찬
Original Assignee
박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열 filed Critical 박중열
Priority to KR102005005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예열하고, 임계온도 가열된청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원수를 다시 가열함으로써,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더불어 전열 면적 및 시간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에 내설되고, 원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원수를 예열시키는 예열관; 상기 예열관과 연통하고 예열된 원수가 잔류하며 2차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증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원수 잔류관; 상기 원수 잔류관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가 외기와 결합되도록 하고, 액화된 증류수를 이송시키는 증류수 변환관; 상기 연소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변환관에서 유입된 증류가 초임계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관; 상기 연소통의 외측으로 감싸지며 가열관과 연결되어 이온수를 이동시키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해 유입된 이온수가 저류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그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원수 잔류관에 초임계 온도로 가열된 이온수의 온도를 전달하여 원수가 2차 가열되도록 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임계 온도, 청정수, 가열관, 열교환부

Description

정수 장치 및 그 방법{water purify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수장치 100 : 케이싱
102 : 원수 공급관 104 : 예열관
106 : 원수 유입구 108 : 원수 저수부
110 : 수증기 배출부 120 : 증류수 이동관
130 : 가열관 132 : 증류수 입수구
140 : 청청수 안내관 150 : 열교환부
160 : 이송관 200 : 연소통
210 : 배기통
본 발명은 수도물, 지하수 등의 원수를 초임계온도에서 습식산화 처리하여 입자 큰 물 클러스터는 파괴하고 유기 물질은 제거하여 청정수를 얻는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예열하고, 임계온도 가열된청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원수를 다시 가열함으로써,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더불어 전열 면적 및 시간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 오염과 더불어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상수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면서 점차 약수, 지하수, 심층수 혹은 지하천연수 등과 같은 깨끗한 물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물은 '생명'이라는 '웰빙' 물결을 타고 깨끗하면서도 건강에도 유익한 물을 선호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여러 종류의 물과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근래 개발된 이온수기의 경우 멤브레인 막 여과, 전기분해, 활성탄 흡착여과, UV-살균 등 각종 공정을 통해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용도에 따라 그 강도를 조절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웰빙 제품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수 장치는 기기 구입비는 물론, 유지 관리에 따른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많은 량을 일시에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광고 선 전을 통해 알려진 내용에 비하여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실 예로 최근에 개발된 초임계온도 습식산화법과 저임계온도 습식산화법에 촉매를 사용하여 물속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로 국내 특허 제353137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11662호를 들 수 있는 있는데, 이중 상기의 실용신안권은 원수의 열교환율을 높이고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초임계온도에서 처리되는 원수의 정화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수증기로 변화되기 위한 원수의 예열 과정이 없어 이를 위해 과도한 에너지가 소모되고, 전열관이 장치의 하부측에 편중 설치되어 최초 원소로부터 이온수에 이르는 변환 과정에서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원수-수증기-처리수로의 변환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 없이 그에 알맞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나 전열부가 편중되어 원수 등이 급격한 온도 변화를 거치게 됨으로써, 정수 효율이 낮고, 에너지 소모가 과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전열 면적이 적어 에너지의 이용효율이 낮고, 특정 폐수 처리에는 이용이 가능하나 청정수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폐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예열하고, 다시 초임계 온도로 가열 정수된 청정수를 이용하여 원수를 2차 가열하여 증류수로의 변환 효율 및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 면적을 증가시켜 정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열된 물을 활용하여 초임계 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한 연료의 소모량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다중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회수비율을 높이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를 초임계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 물질을 처리하는 정수장치로써,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에 내설되어 공급된 원수를 예열시키는 예열관; 상기 예열관과 연통하고 예열된 원수가 잔류하며 2차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증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원수 잔류관; 상기 원수 잔류관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가 외기와 결합되도록 하고, 액화된 증류수를 이송시키는 증류수 변환관; 상기 연소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변환관에서 유입된 증류가 초임계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관; 상기 연소통의 외측으로 감싸지며 가열관과 연결되어 이온수를 이동시키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해 유입된 이온수가 저류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그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원수 잔류관에 초임계 온도로 가열된 이온수의 온도를 전달하여 원수가 2차 가열되도록 하는 열교환부;가 갖추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정수 장치에 유입되는 원수에는 오염, 불순 물질을 중심으로 물분자가 응집된 입자 큰 클러스터(water cluster)가 존재한다.
이러한 물 클러스터는 물분자의 고유진동과 비슷한 파장에 노출되면 이 파장에 의하여 공진효과가 급속하게 성장하면서 물 분자간의 결합력이 파괴되고 그에 따라 미세한 물 클러스터와 순수한 물 분자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서 공진효과는 기계적 진동, 초음파, 원적외선 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원적외선의 경우에는 초임계온도인 600℃ 이상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고온과 증기압력 작용에 힘입어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에너지를 적절히 활용하여 이러한 초임계 온도는 물론 필요한 증기압력이 충분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원적외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유기물이 완전하게 파괴된 청정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그 정수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청정수로 변환되는 원수로는 수돗물, 지하수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호소나 하천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 장치는 원수 저장조와, 청정수 저류 탱크와, 청정수 산소공급 및 기체가스 탈기 설비와, 연료 저장탱크와, 연료 압축 및 분사 설비 그리고 연로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설비 등이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연소 후 배기되는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원수를 예 열하는 예열단계와, 상기 원수를 청정수로 2차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고 이 수증기와 외기를 결합시켜 용존 산소량이 높은 증류수를 얻는 증류수 변환단계와, 상기 증류수를 연소실에 설치된 가열관으로 이송시켜 이를 초임계 온도를 가열하여 입자 큰 클러스터는 파괴하고 유기물질은 산화시켜 청정수를 얻는 가열단계 및 상기 청정수를 저류시켜 상기 원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 원수가 가열되도록하는 열교환단계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정수 장치(10)는 케이싱(100)과, 이 케이싱(100)에 내설되어 각각의 물 즉 원수, 증류수, 청정 이온수의 잔류 및 이송을 안내하는 관체들과 연소통(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증류수가 초임계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관(130) 및 초임계 온도를 가열된 이온수의 열에너지를 원수에 전달하여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부(15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은 원수, 이온수 등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지하나, 필요에 따라 즉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혹은 사용 용도 및 설치 장소 등에 따라서는 사각 혹은 다각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소실(202)이 위치하는 연소통(200)은 일측은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열원을 공급하는 보일러 등과 같은 열원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연소실의 단부에는 배기 가스의 외부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기통(210)이 수직으로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연소통(200)의 외측으로는 이송 공간 즉 유로(141)를 사이에 두고 청정수 이송 안내관(140)이 설치되며, 다시 이 안내관(140)의 외측으로 열교환부(150)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열교환부(150)를 감싸는 원수 잔류관(160)이 순차적으로 갖추어진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을 관통하는 연소통(200)을 중심으로, 그 외측으로 청정수 이송 안내관(140)과, 열교환부(150), 원수 잔류관(16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소통(200)과 안내관(140) 사이에는 청정수의 이송 및 재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141)가 구비되고, 열교환부(150)와 잔류관(160)의 내측 사이에는 원수가 저수되는 저수부(108)이 구비되며, 다시 잔류관의 외측면과 케이싱의 내측에 청정수 배출로(161)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원수 탱크 혹은 원수 파이프 등과 직결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102)이 구비되며, 이 공급관은 상기 잔류관(160)의 일측에 구비된 원수 유입구(106)와 연통하여 원수가 급수되도록 하되, 이들 사이에 원수 예열관(10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수 예열관(104)은 공급관(102)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통(200)을 관통하여 배기통(210)측에 위치하며, 그 하단이 상기 유입구(106)와 연 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원수 예열관은 도면과 같이 '∩'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스크류 형태가 감아지거나 혹은 다른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수 잔류관(160)의 일측에는 케이싱(100)을 관통하여 상향으로 돌출된 증류수 변환부(122)이 설치되는데, 이 변환부는 내측에 격벽을 두고 상기 저수부(108)와 연통하는 수증기 배출부(110)와 증류수 이동부(120)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환부(122)의 상면에는 외기를 유입시켜 수증기에 산소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고 대다수의 수증기가 증류수로 액화되도록 하는 통풍구(12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110)의 상단부에는 배출되는 수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미스트(110a)가 구비되고, 그 상부측 다시 말해, 변환부의 상부측에는 통풍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 2데미스트(108)가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 증류수를 초임계 온도로 가열하여 이물질 혹은 불순물질을 중심핵으로 하여 물 분자가 응집된 큰 입자의 물 클러스터를 파괴하여 순수한 작은 입자의 물 분자를 만들고, 유기 물질은 열적산화되어 청정수로 만드는 상기 가열관(130)은 연소통의 내측 연소실(202)에 설치되도록 하되, 일측 입수구(132)는 상기 증류수 이동부(120)와 연결되고, 타측 토출구(134)는 상기 유로(141)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관(130)은 가열 면적 및 시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스크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형식 이외에 다른 형태 즉,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150)는 내부에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열교환실(152)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이온수의 열에너지를 원수에 전달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 돌부(154)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의 열교환실 일측에는 배출로(161)와 연결되는 배출부(156)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로는 케이싱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관(170)과 연결된 구성이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상기 열교환부(150a)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열교환부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도면과 같이 안내관의 외측에 스크류 형태 감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감아져 전열 면적 및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 열교환부의 일단 즉 이온수 유입부(152a)는 상기 유로(141)와 연결되고, 배출부(154a)는 상기 배출로(161)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출로(161)는 특히 혹한기에 저수조의 내부 온도가 저하될 수 있는 상태를 방지하고, 나아가 원수를 가온하는데도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잔류관(160)의 하부측에는 과도한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거나 혹은 장치의 가동을 중지했을 때 원수를 빼내기 위하여 비상 배출관(162)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온도가 너무 낮아 증발 효율이 떨어질 때를 대비하여 상기 비상 배출관과 연결되어 원수를 다시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관(163)이 상기 예열관과 연결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원수를 예열하는 예열단계로 부터 시작된다. 즉 저수 탱크 혹은 원수 관체와 직결된 공급관(102)을 통해 원수를 유입시켜 예열관(104)을 통해 예열하고, 예열된 원수는 유입구(106)를 통해 잔류관(160)으로 공급되어 저수부(108)에 저류된다.
이때 가동 초기이거나 혹은 내부 온도가 너무 낮을 때에는 저수된 원수를 순환관을 통해 다시 예열관으로 유입시켜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저수부(108)에 저수된 원수는 열교환부(150)와 접촉하고 이 열교환부에 저류된 이온수 즉 초임계온도로 가열 정수된 청정수의 열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로 변환되는 증류수 변환단계를 거치게 되고, 이 수증기는 배출부(11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액화되는데, 이때 수증기는 제1 데미스트(110a)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수증기는 통풍구(126)를 통해 그리고 제 2데미스트(124)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와 결합되고, 액화된 증류수는 다시 이동관(120)을 통해 가열관(130)으로 유입된다.
가열관(130)에 유입된 증류수는 이 가열관을 통과하며 초임계 온도로 가열 처리 되는데 이때 가열관이 스크류 형식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가열 시간 및 많은 량의 증류수를 일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증류수는 가열관(130)을 통과하여 토출구(134)를 통해 배출되어 유로(141)를 따라 열교환부의 열교환실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즉 가열관을 통과하며 그리고 연소통의 외측으로 흐르면서 증류수는 입자 큰 클러스터는 파괴되고, 유기 물질은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열효관실 혹은 파이프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열교환실(152)에 저류된 청정수는 여기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냉각되는 즉 상기 잔류관(160)에 저수된 원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원수는 2차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 청정수는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청정수는 배출로(161)를 통과하며 다시 냉각이 이루어져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청정수가 잔류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도 하게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청정수는 저류탱크에서 순수산소나 공기산소 포기를 통하여 용존산소 농도를 높이고, 동시에 청정수 속에 잔류하는 이산화탄소, 질소 등의 가스를 탈기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pH를 조정하여 알카리수나 산성수로 그리고 미네랄을 첨가하여 용도에 따라서 적합 청정수로 생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200 ℃이상의 초임계 온도에서 습식산화 처리하여 거대한 물분자 구조의 "물 클러스터”가 파괴되도록 하고 유기 물질은 고열에 의하여 열적 산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체내 흡수가 매우 빠르고, 체내 신진대사 및 노폐물의 제거, 피부 관리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는 청정수를 얻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즉 폐열을 이용하여 원수를 예열하고, 초임계 온 도로 가열된 청정수의 열에너지를 원수에 전달함으로써 열에너지의 활용 비율을 높이고, 가열관을 연소실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적은 연료만으로도 초임계 온도로 승온이 가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관을 통과한 청정수가 연소통과 접촉된 상태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승온 효과를 갖도록 하며, 다수의 방열 돌부 혹은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감겨진 열교환부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이 청정수의 열에너지를 원수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인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비상 배출관을 구비함으로써, 가동 중지 혹은 과도하게 공급된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고, 순환관을 구비하여 혹한기 혹은 가동 초기 내부 온도가 낮아 증발량이 저하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도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원수를 초임계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 물질을 처리하는 정수장치로써,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에 내설되고, 원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원수를 예열시키는 예열관;
    상기 예열관과 연통하고 예열된 원수가 잔류하며 2차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증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원수 잔류관;
    상기 원수 잔류관을 통해 배출된 수증기가 외기와 결합되도록 하고, 액화된 증류수를 이송시키는 증류수 변환관;
    상기 연소통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변환관에서 유입된 증류가 초임계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관;
    상기 연소통의 외측으로 감싸지며 가열관과 연결되어 이온수를 이동시키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해 유입된 이온수가 저류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그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원수 잔류관에 초임계 온도로 가열된 이온수의 온도를 전달하여 원수가 2차 가열되도록 하는 열교환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관의 내측에 저수부가 구비되어 원수가 가열 증기로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변환부는 중앙의 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저수부와 연통하는 수증기 배출부와 액화된 증류수를 가열관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관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이동관과 배출부 각각의 상단에 데미스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스크류 형식으로 감아져 연소통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내측에 열교환실을 가지며, 외측벽이 등간격으로 외향 돌출된 방열 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파이프로 구성되며, 이 파이프가 스크류 형식으로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감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적어도 2단 이상으로 안내관의 외측에 감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관의 일측 저부에 원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비상 배출관을 구비하고, 이 비상 배출관의 중간부위에 상기 예열관과 연결되는 순 환관이 구비되어 원수의 저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8. 원수를 초임계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 물질을 처리하는 정수방법으로써,
    연소 후 배기되는 배기 가스를 통해 원수를 가열하여 예열하는 예열단계;
    예열 단계를 거친 원수를 이동시켜 저수실에 저수하고, 이 원수를 고온의 청정수로 가열하여 증발, 수증기로 변환시켜 증류수를 얻는 증류수 변환단계;
    상기 증류수를 연소실에 설치된 가열관으로 이송시켜 이를 초임계 온도를 가열하여 입자 큰 클러스터는 파괴하고 유기물질은 산화시켜 청정수를 얻는 가열단계;
    상기 청정수를 유입 저류시켜 상기 원수를 가열하되, 상기 가열단계를 거친고온의 청정수와 원수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수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를 거친 고온의 청정수를 연소실 주변으로 이송시켜 연소실의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이송단계와,
    열교환 후 배출되는 청정수를 저수실의 외측으로 유도 배출하여 저수실 내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정수 방법.
KR1020050053368A 2005-06-21 2005-06-21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368A KR100635461B1 (ko) 2005-06-21 2005-06-21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368A KR100635461B1 (ko) 2005-06-21 2005-06-21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461B1 true KR100635461B1 (ko) 2006-10-18

Family

ID=3762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368A KR100635461B1 (ko) 2005-06-21 2005-06-21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843A (ja) 1998-03-05 1999-09-14 Hitachi Zosen Corp 蒸気圧縮式純水製造装置
KR19990075323A (ko) 1998-03-19 1999-10-15 이종학 초임계수 산화와 촉매산화를 이용한 유기물 함유 폐액의 산화분해 공정
KR20010047572A (ko) 1999-11-22 2001-06-15 문승수 태고수 발생장치
KR20040097441A (ko) 2003-05-12 2004-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부식성이 강화된 초임계수 산화반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843A (ja) 1998-03-05 1999-09-14 Hitachi Zosen Corp 蒸気圧縮式純水製造装置
KR19990075323A (ko) 1998-03-19 1999-10-15 이종학 초임계수 산화와 촉매산화를 이용한 유기물 함유 폐액의 산화분해 공정
KR20010047572A (ko) 1999-11-22 2001-06-15 문승수 태고수 발생장치
KR20040097441A (ko) 2003-05-12 2004-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부식성이 강화된 초임계수 산화반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1774A (ja) 水製造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036337B (zh) 室内浓缩燃烧器
KR102019954B1 (ko) 복합 가스 제거 및 탈취를 위한 처리시스템
KR100635461B1 (ko) 정수 장치 및 그 방법
CN106000098A (zh) 智能自体再生VOCs气体处理系统
CN209635926U (zh) 降膜蒸发耦合吸收式制冷高盐污水处理设备
KR20030074098A (ko) 폐수증발처리장치
CN109534587A (zh) 印染行业高盐难降解废水的综合处理系统
CN111228958A (zh) 一种活性炭吸附脱附方法及装置
CN105858766A (zh) 一种饮用水制备装置及饮用水制备方法
CN111365727B (zh) 小型户用生物质锅炉烟气余热回收及净化装置
KR100756497B1 (ko) 순정수제조장치
CN209602298U (zh) 印染行业高盐难降解废水的综合处理系统
KR100505099B1 (ko) 수정제조장치
JPH09315804A (ja) オゾン処理設備の廃熱利用方式
CN113069878A (zh) 侧向流动的VOCs吸附再生单元、装置及系统
CN105833676B (zh) 一种光辐射氯原子和羟基脱除废气中VOCs的方法及装置
KR200179894Y1 (ko) 태고수 발생장치
CN111681799A (zh) 一种放射性废树脂芬顿氧化废液干燥减容处理装置及方法
CN109205732A (zh) 一种双层式uvled水处理设备
KR200211662Y1 (ko) 초임계 온도 처리 정수장치
CN213895258U (zh) 一种脱硫废水二次浓缩装置
CN117643783B (zh) 一种可处理低浓度高湿度有机废气的吸收净化设备
TW480326B (en) Low temperature vacuum distillation water dispenser that makes use of heat exchange performed by compressor
CN217351072U (zh) 一种焦化蒸氨废水无膜零排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