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399B1 -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399B1
KR100635399B1 KR1020047019407A KR20047019407A KR100635399B1 KR 100635399 B1 KR100635399 B1 KR 100635399B1 KR 1020047019407 A KR1020047019407 A KR 1020047019407A KR 20047019407 A KR20047019407 A KR 20047019407A KR 100635399 B1 KR100635399 B1 KR 10063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rray sensor
capacitiv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266A (ko
Inventor
아론 디트리히
마이클 차일리어
토마스 기칭거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0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및 어레이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어레이 센서(130)에 결합된 제어기(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어레이 센서(130) 양단에서의 필드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필드 변화 감지 모듈(610) 및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본 장치의 동작 파리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2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레이 센서,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필드 변화 감지 모듈,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

Description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본 발명은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개의 하우징 및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개선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는 개인 관리자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억세스 어플리케이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불운하게도, 그 개선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가능한 입력들을 초과하는 입력들을 요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숫자 키패드는 알파 문자 엔트리를 쉽게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제한된 표면 영역은 그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추가될 수 있는 입력의 수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완전한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는 휴대성의 제한없이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추가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개선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적당한 입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몇몇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메인 하우징에 결합된 커버 하우징을 이용하며, 커버 하우징은 키패드의 일부 또는 메인 하우징의 다른 부분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커버 하우징은 메인 하우징에 회전식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불운하게도, 사용자는 커버 하우징이 메인 하우징을 덮어 닫혀진 위치로 있는 경우,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많은 기능들을 억세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적당한 사용자 입력 특징들을 제공하지 못한다.
Gerpheide 등에게 1996년 10월 15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565,658호, Gerpheide에게 1999년 1월 19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861,875호, 및 Gerpheide 등에게 2001년 4월 24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6,222,528B1호에 용량성 기반의 터치 패드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랩탑 및 데스크탑 컴퓨터 양자 모두에서 마우스 대체용으로서 개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터치 패드는 완전형 키보드(full keyboard) 및 모니터 또는 큰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컴퓨터들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대체용으로 특히 유용한 것이라고 공개되어 있다. 불운하게도, 그러한 컴퓨터들은 그들의 제한된 휴대성 때문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서 유용하지 못하다. 특히, 완전형 키보드, 모니터 및 심지어 랩탑 컴퓨터조차 인간이 편하게 운반하기에는 성가신 것들이다.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외에 터치 패드가 표면 영역의 비교적 많은 양을 차지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터치 패드는 터치 패드가 완전형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와 함께 구비되는 경우에 터치 패드가 부착된 디바이스를 운반하는 불편을 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개선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편리한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장치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어레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어레이 센서에 결합된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필드(field)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필드 변화 감지 모듈 및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본 장치의 동작 파리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2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레이 센서는 숫자 키패드의 밑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의 편리한 데이터 엔트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정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 도면.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 도면.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 도면.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 블록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용량성 어레이 센서의 예시적 도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예시적 블록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예시적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일례를 열린 위치로 도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전면(115)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터치 패드 또는 어레이 센서(130), 키패드(135), 음향 입력 디바이스(140), 음향 출력 디바이스(150), 및 시각 출력 디바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은 어레이 센서(130), 키패드(135), 음향 입력 디바이스(140), 음향 출력 디바이스(150) 및 시각 출력 디바이스(16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135)는 숫자 키패드가 될 수 있고 어레이 센서(130)는 그 키패드(135) 밑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반드시 다수의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들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단지 입력용 어레이 센서(130) 및 출력용 디스플레이(160)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회전식 결합, 슬라이딩식 결합, 착탈식 결합, 또는 제1 하우징을 제2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의 전면(115)에 대해 회전하거나 전면(115)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하우징(110)의 에지를 따라 피봇할 수 있다. 음향 입력 디바이스(140)는 마이크로폰이 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디바이스(150)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또는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유용한 임의의 다른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쉽게 보기 위한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센서(130)는 제1 하우징의 전면(115)에 위치 한 키패드(135) 등의 밑에 위치할 수 있다. 어레이 센서(130)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 유도성 어레이 센서, 또는 어레이 센서(130)에 가까이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기에 유용한 임의의 다른 센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센서(130)는 플라스틱 기판에 인쇄된 x-축 및 y-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들은 충전되어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변화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다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 기지국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음향 입력 디바이스(140)는 송신용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디바이스(150)는 수신된 통신 신호를 음향의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다이얼링된 전화 번호, 신호 세기 표시기, 전화 번호부 엔트리, 문자 메시지, 아이콘, 또는 임의의 다른 유용한 시각 정보와 같은 시각 정보를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의 전면(115)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로의 억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열릴 수 있고, 또는 제1 하우징의 전면(115)을 커버하기 위해 닫힐 수 있다. 어레이 센서(130)는 예를 들어, 전극 용량성의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과 같은 도전성 신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동조될 수 있다. 신체가 검출되기에 충분한 전극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감도 또는 범위는 0.1mm에서 12mm 이상까지 동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이 열린 위치로 있는 경우, 어레이 센서(130)는 초기에 하우징 전면(115)의 외부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를 활성화시킬 범위로 동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어레이 센서(130)는 활성을 위해 용량을 변화시키는 다른 범위가 되도록 손가락을 스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디 바이스(10)에 대해 부가적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예시적 도면이다. 이 도면은 제2 하우징(120)이 닫힌 위치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제1 하우징(110)에 제2 하우징(120)을 회전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피봇(230)을 구비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0)이 닫힌 위치인 경우, 어레이 센서(130)는 제1 하우징의 전면(115)에 대응하는 제1 감도(210)로부터 제2 하우징(120)의 외부에 대응하는 제2 감도(220)로 그 감도를 증가시키거나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2 하우징(120)이 닫힌 위치에서 키패드(135)가 커버된 경우에도, 부가적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은 입력 기능을 위한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제2 하우징(120)의 외부에 핸드라이팅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어레이 센서(130)는 제2 하우징 내에 위치한 도전성 소자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120)이 열린 위치인지 닫힌 위치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소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10)와 같은 소정의 패턴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전성 소자는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된 임의의 다른 소정의 패턴이 될 수도 있다. 더욱이, 스위치 또는 제2 하우징(120)이 열린 위치인지 닫힌 위치인지를 검출하기에 유용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인지 닫힌 위치인지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가 검출된 경우,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안테나 정합 회로를 재동조(retune)하고, 카운터포이즈 (counterpoise)를 재동조하고, 동작을 또 다른 안테나(320)로 스위칭하고, 또는 안 테나 위치에 기초하여 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는 제어기(410), 입/출력(I/O) 회로(420), 송신기 회로(430), 수신기 회로(440) 및 버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버스(450)는 각종 회로 및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해준다. I/O 회로는 어레이 센서(130), 키패드(135), 음향 입력 디바이스(140), 디스플레이(160) 및 음향 출력 디바이스(150)와 같은 I/O 디바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신기 회로(430)는 다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 기지국 등으로의 통신 신호 송신을 제공한다. 수신기 회로(440)는 다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 기지국 등으로부터의 통신 신호 수신을 제공한다. 제어기(410)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어기(410)는 제2 하우징(12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조정한다. 감지된 위치는 닫힌 위치가 될 수 있고 어레이 센서(130)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가 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제2 하우징(120)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120)의 외부 영역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제2 하우징(120)에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금속의 효과를 판명하기 위해 어레이 센서(130)를 재검정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또한 제2 하우징(120)의 열린 위치를 감지하고, 그 제2 하우징(120)의 열린 위치에 기초하여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410)는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제2 하 우징(120)의 열린 위치에 기초하여 제1 하우징의 전면(115)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기(410)는 어레이 센서(130)를 이용함으로써 제2 하우징(1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410)는 인에이블되고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데이터 엔트리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의 주머니 속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를 넣어두고 있는 경우 또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데이터 엔트리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레이 센서(130)는, 감지를 원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엔트리 목적을 위해 우발적인 도전성 물체는 검출하지 않을 것이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20)에 위치된 전용 버튼을 누름으로써 데이터 엔트리 기능이 인에이블되고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더욱이, 안테나 성능은 큰 도전성 물체들의 근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410)는 데이터 엔트리 기능이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 도전성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410)는 도전성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 가청 경보음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160) 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10)가 들어오는 호출을 수신하기에 열악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10)가 사용자의 신체에 붙어서 위치된 플립 내의 안테나로서 주머니 속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알람이 발생될 수 있고, 어떻게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로부터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알람을 트리거할 수 있는 다른 물체 들은 지갑, 서류가방, 테이블 또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기(410)는 도전성 물체가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160) 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백라이트를 활성화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디바이스(10)를 집어든 경우 디스플레이 조명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레이 센서(130)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이다. 제어기(410)는 제2 하우징(120) 내에 위치된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동작 파라미터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동작 감도가 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은 제2 하우징(120)에 통합된 안테나(310)가 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제2 하우징(120)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120)의 외부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기(410)는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송신기 회로(430) 및 수신기 회로(440) 내에 위치된 안테나 정합 회로를 재동조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의 안테나(310)로부터 또 다른 안테나(320)로 동작을 스위칭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서 어레이 센서(130)의 일례를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로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는 전극(515)을 포 함하는 제1 전극 어레이(510), 전극(525)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어레이(520), 터치 패드 표면(540) 및 감지 전극(5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극 어레이(510)는 교차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제2 어레이 전극(525)에 수직인 제1 어레이 전극(515)으로서 제2 전극 어레이(520)와 교차할 수 있다. 유전체, 절연체, 공극 등과 같은 간격이 전극 어레이(510, 5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제1 전극 어레이(510)는 제2 전극 어레이(520)에 관련하여 전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계는 또한 감지 전극(530)에 대해 판정될 수 있다. 감지 전극(530)은 전극 어레이(510, 520)의 동작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감지 전극(530)을 이용하지 않고도 전극 어레이들(510, 520) 간에 전계 또는 캐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전극 어레이들(510, 520) 간에 그리고 각 전극 어레이(510, 520)와 감지 전극(530) 간에 캐패시턴스가 존재하도록 전계를 전개하기 위해 제1 전극 어레이(510) 및 제2 전극 어레이(520)에 전기적 전하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410)는 캐패시턴스 상에 도전성 물체의 효과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 표면(540)에 가까이 근접한 도전성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에 가까이 근접한 손가락과 같은 도전성 물체가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410)는 용량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도전성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410)는 관련 전극(515, 525)에 관한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도전성 물체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41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제어기(410)는 용량성 필드 변화 감지 모듈(610),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620), 밸런스 측정 모듈(630), 전하 공급 모듈(640) 및 도전성 물체 존재 검출 모듈(6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모듈들은 제어기(410) 내에 위치된 회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등이 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용량성 필드 변화 감지 모듈(610)은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620)은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디바이스(10)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620)은 제2 하우징(120)의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는 제1 전극 어레이(510) 및 상기 제1 전극 어레이(510)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전극 어레이(520)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 어레이들에 대응하는 전자계를 설정할 수 있다. 밸런스 측정 모듈(630)은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제1 전극 어레이(510)와 제2 전극 어레이(520) 간의 측정된 밸런스에 기초하여 도전성 물체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전하 공급 모듈(640)은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어레이들 간의 상호 캐패시턴스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전극 어레이(510)와 제2 전극 어레이(520)에 전하를 공급할 수 있다.
도전성 물체 존재 검출 모듈(650)은 용량성 필드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도전성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용량성 필드의 변화는 제1 전극 어레이(510)와 제2 전극 어레이(520) 간의 상호 캐패시턴스에서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620)은 또한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의 감도를 제2 하우징(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120)의 영역 외부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용량성 필드 변화 감지 모듈(610)은 또한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사용하여 제2 하우징(120)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용량성 어레이 센서(130)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된 처리기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제어기(410)의 동작은 또한 범용 또는 특수용 컴퓨터,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및 주변 집적 회로 소자, ASIC 또는 다른 집적 회로, 이산 소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전자 회로 또는 하드웨어 논리 회로, PLD, PLA, FPGA 또는 PAL 등과 같은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기(410)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유한 상태 머신을 구비한 임의의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처리기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특정 실시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많은 대안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여러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교환되고, 추가되고 또는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각종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0)

  1.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어레이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이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용량성 어레이 센서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열린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열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정 단계는 상기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9. 제1 하우징,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및 용량성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이며,
    상기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는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capacitive field)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 영역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는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 동작의 감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안테나 정합 회로의 동조이고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 정합 회로를 재동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안테나의 동작에서 제2 안테나의 동작으로의 스위칭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동작 방법.
  19.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용량성 어레이 센서; 및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에 결합된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용량성 필드 변화 감지 모듈,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을 구비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필드 변화 감지 모듈은 미리 정의된 도전성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용량성 필드 변화를 감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용량성 어레이 센서 동작의 감도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이동 통신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는:
    제1 전극 어레이; 및
    상기 제1 전극 어레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전극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2 전극 어레이는 전자계를 설정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2 전극 어레이 간의 측정된 밸런스에 기초하여 도전성 물체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밸런스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2 전극 어레이 간의 상호 캐패시턴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어레이 및 상기 제2 전극 어레이에 전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하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용량성 필드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도전성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물체 존재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체 존재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2 전극 어레이 간의 상호 캐패시턴스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용량성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은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의 감도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 영역까지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8. 삭제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안테나 정합 회로의 동조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통합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안테나의 동작에서 상기 제2 안테나의 동작으로의 스위칭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숫자 키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어레이 센서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숫자 키패드 밑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2.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어레이 센서; 및
    상기 어레이 센서에 결합된 제어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어레이 센서 양단에서의 필드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드 변화 감지 모듈, 및
    상기 어레이 센서 동작의 감도를 상기 제2 하우징의 닫힌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 조정 모듈을 구비함 -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드식(slidably)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식(removably)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위치한 금속의 효과를 판명하기 위해 상기 어레이 센서를 재검정(recalibrate)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데이터 엔트리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 엔트리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경우에도 도전성 물체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도전성 물체가 검출된 경우 가청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9. 제3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도전성 물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40. 제3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도전성 물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백라이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KR1020047019407A 2002-05-30 2003-04-17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KR100635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58,379 US20040204000A1 (en) 2002-05-30 2002-05-30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US10/158,379 2002-05-30
PCT/US2003/011763 WO2003103157A2 (en) 2002-05-30 2003-04-17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266A KR20050004266A (ko) 2005-01-12
KR100635399B1 true KR100635399B1 (ko) 2006-10-19

Family

ID=2970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407A KR100635399B1 (ko) 2002-05-30 2003-04-17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204000A1 (ko)
EP (1) EP1508239B1 (ko)
JP (1) JP4162653B2 (ko)
KR (1) KR100635399B1 (ko)
CN (1) CN100539604C (ko)
AU (1) AU2003221971A1 (ko)
BR (1) BR0311237A (ko)
RU (1) RU2286016C2 (ko)
TW (1) TWI317497B (ko)
WO (1) WO20031031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777B2 (en) * 2002-07-31 2005-12-27 Nokia Corporation Smart pouch cover for mobile device
US10499465B2 (en) 2004-02-25 2019-12-03 Lynk Labs, Inc. High frequency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575376B2 (en) 2004-02-25 2020-02-25 Lynk Labs, Inc. AC light emitting diode and AC LED drive methods and apparatus
US7747226B2 (en) 2004-04-13 2010-06-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ulti-mode matching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482530B2 (en) *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KR101223479B1 (ko) 2006-11-17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격 방지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US20080165139A1 (en) * 2007-01-05 2008-07-10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 processing
US8107878B2 (en) * 2007-11-07 2012-01-3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selectable programmable housing skin sensors for user mode optimization and control
KR101498623B1 (ko) *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62728A1 (en) * 2008-09-05 2010-03-11 Motorola, Inc, Tuning an electrically small antenna
US9197738B2 (en) *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CN106020583B (zh) * 2009-08-21 2019-05-28 苹果公司 用于电容感测的方法和装置
US20120319959A1 (en) * 2011-06-14 2012-12-20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interaction through barrier
JP5915061B2 (ja) 2011-09-29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130106710A1 (en) * 2011-10-31 2013-05-02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djusting touchscreen sensitivity
US9354698B2 (en) * 2012-11-30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fferential proximity sensing and side dete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80202B2 (en) * 2013-06-05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ntenna windows on opposing housing surfaces
CN106209266B (zh) * 2016-06-29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010470B (zh) * 2019-12-10 2021-09-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调谐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151A (en) * 1989-10-02 1995-03-28 U.S. Philip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 touch screen and a digitizing tablet, both integrated in an input device
JP2794987B2 (ja) * 1991-05-31 1998-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
US5396351A (en) * 1991-12-20 1995-03-07 Apple Computer, Inc. Polarizing fiber-optic faceplate of stacked adhered glass element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EP0574213B1 (en) * 1992-06-08 1999-03-24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US5861875A (en) * 1992-07-13 1999-01-19 Cirqu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input
US5565658A (en) * 1992-07-13 1996-10-15 Cirque Corporation Capacitance-based proximity with interference re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H0863437A (ja) * 1994-08-23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情報端末機
JP2658935B2 (ja) * 1994-12-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構造を有する電子装置
US5742894A (en) * 1995-02-06 1998-04-21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eable housing element and keypad disposed therein
US5715524A (en) * 1995-02-06 1998-02-03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able housing element control
US5856822A (en) * 1995-10-27 1999-01-05 02 Micro, Inc. Touch-pad digital computer pointing-device
IL116423A0 (en) * 1995-12-15 1996-03-31 Geotek Communication Inc A portable radio terminal having diversity reception antennas
US6049620A (en) * 1995-12-15 2000-04-11 Veridicom, Inc. Capacitive fingerprint sensor with adjustable gain
US5956626A (en) * 1996-06-03 1999-09-21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proximity sensor
US5818924A (en) * 1996-08-02 1998-10-06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Combined keypad and protective cover
JP3217972B2 (ja) * 1996-08-02 2001-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携帯通信機器
US5918188A (en) * 1996-09-30 1999-06-29 Ericsson Inc. Flip on/off detector
US6067019A (en) * 1996-11-25 2000-05-23 Hill-Rom, Inc. Bed exit detection apparatus
EE03541B1 (et) * 1996-12-23 2001-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raldi ootereziimi antenniga raadiotelefon
US6222528B1 (en) * 1997-03-07 2001-04-24 Cirqu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input
US6081259A (en) * 1997-11-25 2000-06-27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an electrostatic digitizer
FI104928B (fi) *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US6131047A (en) * 1997-12-30 2000-10-10 Ericsson Inc. Radiotelephones having contact-sensitive user interfa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GB2334301A (en) * 1998-02-17 1999-08-18 Ericsson Telefon Ab L M Slidable and rotatable hinge assembly for a mobile radiotelephone
FI112759B (fi) * 1998-03-18 2003-12-31 Nokia Corp Teleskooppipuhelin
US6226501B1 (en) * 1998-05-29 2001-05-01 Ericsson Inc.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FI109731B (fi) * 1998-06-02 2002-09-30 Nokia Corp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FI109732B (fi) * 1998-06-02 2002-09-30 Nokia Corp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US6243595B1 (en) * 1998-06-16 2001-06-05 Nortel Networks Limite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ection
US6262717B1 (en) * 1998-07-02 2001-07-17 Cirque Corporation Kiosk touch pad
US6243080B1 (en) 1998-07-14 2001-06-05 Ericsson Inc. Touch-sensitive panel with selector
US6246862B1 (en) * 1999-02-03 2001-06-12 Motorola, Inc. Sensor controlled user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25245B1 (ko) * 1999-05-06 2008-04-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56189C (zh) * 1999-06-30 2004-06-30 Lg情报通信株式会社 具有扬声器电话功能的移动电话站
KR100358444B1 (ko) * 1999-07-27 2002-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 매칭 장치
GB2353141B (en) * 1999-08-11 2002-12-24 Nokia Mobile Phones Ltd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WO2001028189A1 (de) * 1999-10-12 2001-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it einem tastenfeld versehenes elektronisches handgerät
JP3428532B2 (ja) * 1999-10-22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開閉角度検出装置及び折り畳み式機器
KR100342510B1 (ko) * 2000-01-17 2002-06-28 윤종용 지피에스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장착된 플립형단말기
US6771283B2 (en) * 2000-04-26 2004-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teractive multimedia information or services by touching highlighted items on physical documents
JP3642261B2 (ja) * 2000-05-16 2005-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
JP2001331419A (ja) * 2000-05-19 2001-11-30 Nec Corp 電子メール着信機能付き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6864882B2 (en) * 2000-05-24 2005-03-08 Next Holdings Limited Protected touch panel display system
DE60142101D1 (de) * 2000-08-11 2010-06-24 Alps Electric Co Ltd Eingabevorrichtung mit Tasteneingabebetrieb und Koordinateneingabebetrieb
KR100362560B1 (ko) * 2000-08-19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GB2367530B (en) * 2000-10-03 2003-07-23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device
US6630925B1 (en) * 2000-10-31 2003-10-07 Nokia Corporation Double-sided keyboard having two keymats and one activation mat
US6636203B1 (en) * 2001-05-17 2003-10-21 Palm, Inc. Keyboard equivalent pad overlay encasement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769353B2 (en) * 2002-05-30 2010-08-03 Motorola,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extended array sensor
US7010333B2 (en) * 2003-02-19 2006-03-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103157A3 (en) 2004-02-19
EP1508239A4 (en) 2005-12-21
EP1508239B1 (en) 2013-09-04
RU2286016C2 (ru) 2006-10-20
BR0311237A (pt) 2005-03-15
TW200404246A (en) 2004-03-16
RU2004138806A (ru) 2005-06-10
AU2003221971A1 (en) 2003-12-19
US20040204000A1 (en) 2004-10-14
WO2003103157A2 (en) 2003-12-11
AU2003221971A8 (en) 2003-12-19
JP4162653B2 (ja) 2008-10-08
EP1508239A2 (en) 2005-02-23
CN100539604C (zh) 2009-09-09
TWI317497B (en) 2009-11-21
KR20050004266A (ko) 2005-01-12
JP2005528841A (ja) 2005-09-22
CN1656780A (zh)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399B1 (ko)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KR100692332B1 (ko) 대체가능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KR100651102B1 (ko) 연장된 어레이 센서를 포함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
US20050219228A1 (en)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KR101369655B1 (ko) 입력 수신 장치, 입력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90262078A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ensor functions
CA2371097C (en) 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JP5065486B2 (ja) 触覚タッチガラスを有するキーパッド
GB2450583A (en) Cellular phone with automatic function activation depending upon sensor detections
KR2022011734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20040711A1 (en) Mobile telephone enabling a user to answer a call without pressing a button
US9933910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TWI241115B (en) Method of changing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identity of a detachable cover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JP2001237941A (ja) 携帯電話装置
WO2002063447A1 (en)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JP2005026818A (ja) 携帯電子機器
CN117288234A (zh) 邻近度传感器和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