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61B1 - 도어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61B1
KR100634461B1 KR1020050077086A KR20050077086A KR100634461B1 KR 100634461 B1 KR100634461 B1 KR 100634461B1 KR 1020050077086 A KR1020050077086 A KR 1020050077086A KR 20050077086 A KR20050077086 A KR 20050077086A KR 100634461 B1 KR100634461 B1 KR 10063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r
frame
sliding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원
Original Assignee
강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원 filed Critical 강기원
Priority to KR102005007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도어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는 도어체크수단과 연동하는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체크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저지 및 허용하는 탄성스톱퍼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해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된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밀폐력이 향상된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폐쇄장치{DOOR CLO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폐쇄장치 설치영역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도어폐쇄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도어폐쇄장치의 주요부분 배면도,
도 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폐쇄장치의 개폐작동도,
도 21은 도 20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프레임 2 : 걸림부
3 : 도어 11 : 도어체크본체
12 : 제1링크부재 13 : 제2링크부재
20 : 본체프레임 21 : 안내레일
22 : 슬라이더 23 : 가이드프레임
24 : 연결부재 25 : 탄성스톱퍼
26 : 제2이동롤러 27 : 제1이동롤러
28 : 걸림롤러 29 : 걸림턱
40 : 지지롤러 41 : 하부지지대
본 발명은,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와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 사이에는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개방된 도어를 폐쇄상태로 이동시키는 도어체크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83-4114호에는 도어에 마련된 도어첵과, 도어첵에 결합된 주레버와, 일측은 주레버에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레버를 포함하는 도어체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개방된 도어가 도어체크장치에 의해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체크장치에 있어서, 도어체크장치에 의해 개방위치의 도어가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견고히 밀착시킬 수 있는 보조수단이 마련된다면, 도어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밀폐력이 향상된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도어를 개 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는 도어체크수단과 연동하는 도어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체크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저지 및 허용하는 탄성스톱퍼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해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롤러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에는 각각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면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체크수단은 도어(3)에 마련된 도어체크본체(11)와, 일측이 도어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12)와, 일측은 제1링크부재(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체크본체(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13)를 가진다. 도어체크수단은 도어(3)와 도어프레임(1)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3)를 도어프레임(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개방위치(도 6 내지 도 15 및 도 17, 도 18)의 도어(3)를 폐쇄위치(도 1, 도 5, 도 20참조)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폐쇄장치는 도어(3)에 마련된 본체프레임(20)과, 본체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22)와, 본체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슬라이더(22)와 결합된 가이드프레임(23)과, 일측은 가이드프레임(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링크부재(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3)의 회동 시 가이드프레임(23)을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재(24)와, 본체프레임(20)에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저지 및 허용하는 탄성스톱퍼(25)와, 도어프레임(1)에 마련되어, 도어(3)의 폐쇄회동 시 탄성스톱퍼(25)를 가압하고 도어(3)의 개방회동 시 탄성스톱퍼(25)를 가압해제하는 걸림부(2)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20)은 상부 및 전후방개구와 슬라이더(22)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도어(3)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측벽에는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2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본체프레임(20)의 전방측 상부영 역에는 슬라이더(22)의 상부영역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0)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긴 바아 형상을 가지며, 전방측에는 걸림롤러(28)와 가압롤러(128)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측에는 본체프레임(20)의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롤러(2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2)에는 슬라이더(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3)가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프레임(23)은 하향개구를 갖는 박스형상을 가지고, 본체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23)의 양측벽에는 본체프레임(20)의 안내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롤러(26)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프레임(23)의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1)으로 슬라이더(22)가 삽입되며, 이에 가이드프레임(23)을 슬라이더(22)의 일부 영역을 수용하게 된다.
가이드프레임(23)의 하부영역에는 삽입홈(31)에 삽입된 슬라이더(2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더(22)의 하부영역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인 하부지지대(41)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지지대(41)는 슬라이더(22)의 상측영역을 지지하는 지지롤러(40)와 함께 슬라이더(22)의 하부영역을 지지하게 된다.
가이드프레임(23)의 내부에는 슬라이더(22)에 결합된 스프링부재(33)가 수용되며, 스프링부재(33)의 일측은 슬라이더(22)의 스프링지지돌기(32)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프레임(23)의 후방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스프링부재(33)는 스프링지지돌기(32)와 가이드프레임(23)의 후방측면 사이에서 신장 및 수축되면서 슬라이더(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결부재(24)는 일측이 가이드프레임(23)에 마련된 회동축(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링크부재(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연결부재(24)는 도어체크수단에 의해 도어(3)가 개방 및 폐쇄회동되면 이 동작이 연결부재(24)를 통해 가이드프레임(23)에 전달됨에 따라, 가이드프레임(23)과 슬라이더(22)가 본체프레임(20)에 대해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탄성스톱퍼(25)는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힌지축(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본체프레임(20)에 마련되며,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허용위치 간을 회동할 수 있다. 탄성스톱퍼(25)에는 슬라이더(22)의 걸림롤러(28)를 위한 걸림턱(29)이 마련되어 있고,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부(2)와의 이격거리를 보정하는 돌출부(129)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스톱퍼(25)와 본체프레임(20) 사이에는 탄성스톱퍼(2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34)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돌출부(129)가 후술할 걸림부(2)에 걸리면 탄성스톱퍼(25)는 허용위치로 이동하며 이때 판스프링(34)은 탄성적으로 억지로 도어(3)의 판면을 향해 가압되고, 돌출부(129)가 후술할 걸림부(2)에 걸림해제되면 판스프링(34)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해 탄성스톱퍼(25)는 저지위치로 회동된다.
걸림부(2)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거의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도어프레임(1)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어(3)의 폐쇄회동 시 탄성스톱퍼(25)를 도어(3)의 판면방향을 향해 가압하고 도어(3)의 개방회동 시 탄성스톱퍼(25)를 가압해 제 한다. 여기서 도어(3) 폐쇄회동 시 슬라이더(22)의 슬라이딩이 허용되어 슬라이딩될 때 가압롤러(128)가 걸림부(2)의 경사면을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3)가 밀폐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어폐쇄장치에 있어서, 도어(3)의 개폐동작에 따른 도어폐쇄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도어프레임(1)에 밀착되어 도어프레임(1)이 형성하는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의 가압롤러(128)는 걸림부(2)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어(3)의 폐쇄위치에서는 스프링부재(33)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이고, 탄성스톱퍼(25)는 걸림부(2)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며, 이때 판스프링(34)은 탄성변형되어 탄성적으로 억지로 도어(3)의 판면을 향해 가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도어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도어(3)를 개방회동시키게 되는데,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탄성스톱퍼(25)가 걸림부(2)로부터 가압해제되고, 제2링크부재(13)의 회동 시 제2링크부재(13)가 제1링크부재(12)에 대해 회동되는 각도에 대응하여 연결부재(24)가 당겨지게 됨에 따라 연결부재(24)와 연결된 슬라이더(22)와 가이드프레임(23)은 점차적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롤러(2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9)에 접촉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9)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도어프레임(1)에 대해 완전 개방된 개방위치에서는 탄성스톱퍼(25)는 걸림부(2)와 이격되어 가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판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저지위치로 이동된 상태이고, 슬라이더(22)와 가이드프레임(23)은 슬라이딩되어 탄성스톱퍼(25)의 후방측에 배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다시 도어(3)를 도어프레임(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폐쇄회동시키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와 가이드프레임(23)은 탄성스톱퍼(25)를 향해 함께 전진 슬라이딩하다가 슬라이더(22)의 걸림롤러(28)가 탄성스톱퍼(25)의 걸림턱(29)에 접촉되어 슬라이더(22)의 전진 슬라이딩이 탄성스톱퍼(25)에 의해 가로막히는 순간(도 13참조)부터는 가이드프레임(23)만 전진 슬라이딩 하게 된다(도 14 내지 도 15참조). 이때 스프링부재(33)는 탄성적으로 수축된 상태이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롤러(28)가 걸림턱(29)의 후방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33)의 압축이 일어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의 전진 슬라이딩을 가로 막고 있던 탄성스톱퍼(25)가 걸림부(2)에 의해 가압되어 허용위치로 회동되므로, 슬라이더(22)는 스프링부재(33)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해 전진 슬라이딩 하게 되고, 가압롤러(128)가 걸림부(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가압롤러(128)가 걸림부(2)의 경사면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롤러(128)가 걸림부(2)의 경사면을 타고 넘는 순간, 도어(3)가 도어프레임(1)에 밀착된다. 이때 스프링부재(33)는 도 16에 도시된 압축상태에서 벗어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복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폐쇄장치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3)가 도어프레임(1)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복귀하는 순간 도어(23)를 도어프레임(1)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도어체크수단에 의해 도어(3)가 폐쇄회동할 때, 도어(3)가 도어프레임(1)에 밀착되지 못해 사용자가 다시 도어(3)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된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밀폐력이 향상된 도어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도어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는 도어체크수단과 연동하는 도어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체크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탄성적으로 저지 및 허용하는 탄성스톱퍼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회동 시 상기 탄성스톱퍼를 가압해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롤러와 함께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에는 각각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폐쇄장치.
KR1020050077086A 2005-08-23 2005-08-23 도어폐쇄장치 KR10063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86A KR100634461B1 (ko) 2005-08-23 2005-08-23 도어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86A KR100634461B1 (ko) 2005-08-23 2005-08-23 도어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461B1 true KR100634461B1 (ko) 2006-10-16

Family

ID=3762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086A KR100634461B1 (ko) 2005-08-23 2005-08-23 도어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970B2 (en) Lid operating device and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1575498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 도어 개폐장치
US8474103B2 (en) Door hinge
US9611682B2 (en)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and piece of furniture
KR20160051361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MX2008015553A (es) Dispositivos de pista para juguetes.
JP2010501756A (ja) 家具ヒンジ
JP2022516396A (ja) 扉開閉装置
KR20150117164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WO2007074397A3 (en) Furniture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EP2749826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two doors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JP2012001916A (ja) 折り戸
KR100634461B1 (ko) 도어폐쇄장치
GB2430007A (en) Clamp for closing a flexible bag
JP2019515214A (ja) 温水用安全水栓
CN112943011A (zh) 全板玻璃设备及车辆
JP2016056626A (ja) スライドドアの保持装置
JP4881700B2 (ja) 内倒し窓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倒し窓
JP2008163715A (ja) 扉開閉機構
JP2003038406A (ja) 収納装置
KR20150097003A (ko) 미닫이식 도어용 개폐장치
JP3159129U (ja) スライドレール構成に用いる補助位置決め装置
JP4974146B2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