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18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18B1
KR100634418B1 KR1020050083696A KR20050083696A KR100634418B1 KR 100634418 B1 KR100634418 B1 KR 100634418B1 KR 1020050083696 A KR1020050083696 A KR 1020050083696A KR 20050083696 A KR20050083696 A KR 20050083696A KR 100634418 B1 KR100634418 B1 KR 10063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rive
bracket
side wall
contac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옥
부성운
조진우
배광진
김기택
김기범
배은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320,971 priority Critical patent/US74865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93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shielding; grounding of static char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진동에 따라 변위(變位, displacement)하는 변위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이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버퍼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이도 완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하기 적합할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브래킷 상에 위치한 회로부품의 상호 간 간섭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브래킷, 완충장치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BRACKET FOR DISK DRIVE}
도 1은 종래의 HDD에 장착된 완충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디스크 및 브래킷을 모델링한 도면이다.
도 7은 감쇠비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 비에 대한 전달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시간에 대한 충격 가속도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스크 드라이브 100: 기저부
150: 격벽 200: 측벽부
300: 변위부 400: 결합부
410:: 결합구멍 500: PCB
510: 회로부품 600: 하우징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완충 성능이 우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래킷 하부에 위치한 회로부품의 상호 간 간섭까지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브래킷에 탑재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이하HDD)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헤드를 가진 엑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진동은 이러한 HDD에 내장된 스핀들 모터나 엑츄에이터 등에 의 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진동 차단 마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스핀들 힘에 기인한 회전 요동 성분은 미국특허 제 5,400,1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할 수 있었으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진동에 영향을 받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내부 진동보다 더 큰 문제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인데, 특히 HDD가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면서 이를 휴대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면서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문제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부상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충격은 HDD에 손상을 초래하며, 그 예로 디스크 회전 중심의 어긋남이나 자기 디스크의 손상, 또는 스핀들 모터의 장애 또는 심지어 디스크의 기록정보의 읽기를 시작함에 있어서 장애를 일으키거나 기록 정보의 자기적인 파괴 등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초소형 HDD는 일반 플래시메모리보다 용량 대비 가격이 낮고 소비전력이 1W 미만으로 휴대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최적의 저장매체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초소형 HDD를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1인치 이하까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1인치 제품은 MP3플레이어, PMP 제품에 사용되고 있지만 1인치 미만의 경우 휴대전화를 비롯해 무선AP, PDA, 네비게이션 등 활용범위가 광범위하게 늘어나 시장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초소형 HDD는 그 활용 범위를 더욱 넓혀가고 있는 실정임에 반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으로부터 HDD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은 그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도 1은 종래의 HDD에 장착된 완충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3/35281호에 기재된 발명으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충격 완충부재(131, 132, 133, 134)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가 장착되는 브래킷(12) 하단에 장착되어 있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은 충격완화모듈, 311은 상측케이스, 312는 하측케이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완충부재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초소형 HDD의 경우에는 완충 부재를 장착할 설치공간이 충분치 않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의 크기로 인하여 전체적인 모듈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와 같이 최대 압축률이 30% 내외인 재질을 완충부재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50% 이상의 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HDD의 변위가 큰 경우에는 2차 충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HDD를 장착하였을 경우 그 외부 충격가속도가 5000G 이상 된다. HDD를 휴대 단말기에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그 흔들림 및 충격은 개인용 컴퓨터에 장착하였을 때보다 더욱 빈번하고 크게 나타나게 되나,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HDD 전체의 크기 및 중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충분한 진동방지를 위한 마운트 또는 완충부재를 충분히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HDD 뿐만 아니라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 내부에 모터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내부 진동은 물론이고,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 시킬 수 있는 완충기기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별도의 완충부재나 진동 방지 마운트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HDD 등의 디스크 드라이브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 성능이 있으면서도 크기 및 중량이 작아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장착시 추가적인 부피나 무게의 증가가 없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강성을 구현하여 브래킷의 고유진동수를 낮춤으로서 완충 성능이 우수한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성능뿐만 아니라 브래킷 상에 위치한 회로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변위가 클 경우에 발생하는 2차 충격에도 디스크 드라이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은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되어 전달되는 진동에 따라 변위(變位, displacement)하는 변위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저부의 모서리로부터 "L" 자 형태로 돌출되거나, 상기 기저부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부는 상기 기저부의 내측 방향으로 "S"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되거나, 상기 기저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체 상기 측벽부의 양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부는 상기 변위부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된 연장부분, 상기 연장부분에서 상기 기저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분, 및 상기 절곡부분에서 연장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와 면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플라스틱 수지를 재질로 이용하며,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은 디스크 드라이브를 일면에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일면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일면과 이격된 체 연장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과 접촉하여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변위하는 변위부, 및 상기 일면의 대향되는 대향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일면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측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L"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이 형성된 브래킷의 면은 금속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10)의 브래킷은 기저부(100), 측벽부(200) 및 변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100)는 디스크 드라이브(1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하며, 그 크기는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10)가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에는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기저부(10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모양의 장착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그 크기는 후술할 변위부(300)와의 진동폭을 기저부(100) 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약간 큰 크기로 형성한 다. 디스크 드라이브(10)의 형상이 변하면 이에 따라 기저부(100)의 모양도 변할 수 있다.
상기 기저부(100)의 모서리측에는 각각 기저부(100)에 연장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결합부(40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400)는 볼트 체결을 위하여 결합구멍(410)을 구비하고 있으나, 볼트 체결에만 국한된 것을 아니며 용접, 리벳, 테이프나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기저부(100)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저부(100)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저부(100)는 사출을 통해 후술할 측벽부(200) 및 변위부(300)를 한꺼번에 성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기저부(100)의 네 곳의 모서리로부터 일정 폭과 높이를 가지면서 기저부(100)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기저부(100)의 모서리로부터 "L"자 형태로 돌출된다. 기저부(100)가 디스크 드라이브(10)보다 크게 형성되었으므로, 그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벽부(200)는 기저부(100)에 탑재된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측벽부(200)의 위치는 기저부(100)의 모서리부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지 않아서 그 탑재를 방해하지 않는 기저부(100)의 단부에는 어디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실시예 2에서 후술한다.
상기 변위부(300)는 상기 측벽부(200)와 일측만이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정 도 변위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디스크 드라이브(10)와 접촉되기 위하여 기저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상기 변위부(300)는 상기 기저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S" 자 형태로 절곡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와 도 5를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부(300)는 상기 측벽부(200)로부터 나란히 연장된 연장부분(31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분(311)에서 상기 기저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분(312)되며, 상기 절곡부분(312)에서 연장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와 면접촉하는 접촉부분(313)이 형성된다.
상기 변위부(300)는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벽과 접촉하기 위하여 기저부(100)의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기저부(100)와는 소정의 이격거리(d1)를 유지한 채 분리되어 있다. 이격거리(d1)는 변위부(300)가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진동에 따라 변위할 수 있는 자유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그 크기는 작을수록 좋으나 변위부(300)의 변위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여야 한다.
또한 변위부(300)의 두께(d2)는 0.4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크 드라이브(10)와 측벽부(200) 사이의 간격(d2)은 변위부(300)가 최대로 변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1mm 이내가 되도록 한다. 만약, 변위부(300)가 d2보다 크게 변위하도록 하면 외부기기와의 충돌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계하면 0.6mm 정도의 변위를 일으키는 외부 충격 및 2차 충격에도 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위부는 판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브래킷이 낮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낮은 강성은 고유주파수를 낮추는 역할을 하여 진동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는 질량 m을 가진 질량체로, 브래킷(20)는 강성 k 및 감쇠 c를 가진 스프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브래킷(20) 및 디스크 드라이브(10)를 2차 시스템으로 모델링할 경우, 외부입력 F에 대한 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1
이 때, wn 은 시스템의 고유 주파수(natural frequency)로서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2
수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성은 고유주파수와 비례관계를 이룬다. 즉, 강성이 적어지면 고유주파수는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진동특성은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크기를 Ain, 주파수를 wd인 외부 입력을 인가하였을 경우에 외부 입력 F는 수학식 3과 같으며, 주파수 비 및 전달도는 수학식 4 및 5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3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4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5
이때, Aout 는 디스크 드라이브(2)가 움직이는 최대 진폭이다. 강성(또는 고유주파수)와 진동특성간의 관계를 보다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서 x축은 주파수 비이며, y축은 전달도를 로그 스케일(log scale)로 도시한 그림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비가 낮은 경우(3)에는 고유주파수와 동일한 외부입력을 부여하였을 경우(즉, x축이 1인 점)에 가장 심하게 오버 슈팅하며, 주파수 비가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6
인 곳에서 완충영역(6)으로 진입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감쇠비가 큰 경우(4)도 비슷한 모양을 보인다. 이때, 완충영역(6)이라 함은 전달도가 1 미만인 영역으로서 외부충격량 Ain 보다 전달되는 Aout 양이 적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이와 같이 감쇠값에 상관없이 대략 주파수 비가
Figure 112005050290656-pat00007
보다 크면 완충영역 (6)으로 진입하게 되며, 주파수비는 고유주파수와는 반비례하므로 작을수록 더욱 큰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유주파수와 강성은 비례하므로 브래킷을 설계할 경우에는 이러한 강성을 낮추기 위한 고려를 선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은 시간에 대한 충격 가속도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0.3msec 동안 5000G(중력가속도의 5000배) 정도의 하프사인(half sine) 모양의 외부 입력(A)을 주었을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에 전달되는 가속도(B)는 최대 크기가 1744G이며, 전달도가 34.8%로서 약 65% 정도의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디스크 드라이브의 질량(m)은 12.5g, 강성(k)은 54.8 kN/m, 감쇠비는 0.1, 시스템의 고유주파수(wn)는 333.3 Hz이다.
따라서, 작은 강성을 구현하여 브래킷의 고유진동수를 낮춤으로서 완충성능이 개선되어 별도의 완충부재나 진동 방지 마운트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장치가 없으므로 장착공간이 작아도 되며, 중량도 문제되지 않는다. 만약, 장착공간의 여유가 있다면 본 발명에 의한 브래킷과 완충부재를 같이 사용하면 더욱 큰 완충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20)는 상기 일면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부(220)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변위부(320)는 상기 측벽부(220)로부터 나란히 연장된 연장부분(32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분(321)에서 상기 기저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분(322)되며, 상기 절곡부분(322)에서 연장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와 면접촉하는 접촉부분(323)이 형성된다.
실시예2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는 휴대 단말기 등 전자기기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예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10)가 장착되는 기저부(100)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로부품(510)을 격리시켜서 회로부품(510)간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는 격벽(150)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부품(510)은 인쇄회로기판(500,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 브래킷 및 PCB(500)는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600)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로부품(510)이 구동하게 되면 그 주위에 전자파가 발생하여 다른 회로부품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데, 격벽(150)로 인하여 차단됨으로써 이러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저부(100)의 대향면에는 금속 코팅을 형성해서 회로부품간 간섭 방지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0)은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는 회로부품 사이에 형성되어 이를 격리시키는 것이 좋다.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는 회로부품이란 일반적으로 고주파로 작동하는 부품을 말한다.
즉, 기저부(100)의 면 중에서 디스크 드라이브(10)가 탑재되는 면은 변위부(300)를 이용하여 디스크 드라이브를 고정하는데 이용한다. 또한, 기저부(100)의 면 중에서 디스크 드라이브(10)가 탑재되지 않는 그 대향되는 면에 격벽(150)를 형성하여 PCB(500)에 장착된 회로부품(510)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디스크 드라이브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래킷 상에 위치한 회로부품의 간섭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만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한다.
실시예3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와 브래킷의 결 합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의 기저부(10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결합돌기(700)가 디스크 드라이브(10)의 결합구멍(710)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구멍(710)은 디스크 드라이브(10)의 네 코너에 각각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은 원기둥 형상이거나 결합돌기(700)와의 억지 끼움을 위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700)는 상기 결합구멍(710)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되는 곳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701)와, 상기 돌출부(701)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710)과 결합되는 접촉부(7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702)의 형상은 구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구멍(710)의 내측 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서 상기 접촉부(702)와 억지 끼움 맞춤이 일정한 위치에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700)는 디스크 드라이브(10)와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는 측면이나 바닥면이 브래킷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결합돌기(700)는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써, 해석학적으로 그 끝단의 변위는 다음과 같다.
변위 = PL3/3EI
여기서, P는 단위면적당 힘, L은 결합돌기의 돌출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2차 관성모멘트이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10)가 외부 충격이나 자체적인 진동으로 인하여 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외팔보 형식의 상기 결합돌기(700)가 변위되면서 자유 진동을 하여 하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결합돌기(700)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처럼 브래킷의 측벽부가 연장 형성되어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과 접촉한다면 완충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10)와 접촉하는 측벽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완충된 후, 2차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진동을 결합돌기(700)에서 자유 진동의 형태로 흡수하므로 더욱 큰 진동 완충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결합돌기(700)는 추가적으로 제2 실시예에 도시된 바처럼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격벽이 브래킷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멍(710)이 형성된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주위로 상하측에 각각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8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완충부재(80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그 위치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상하뿐 아니라,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과 브래킷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완충부재(800)의 완충 효과와 결합돌기(700)의 완충 효과를 이중적으로 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를 보호할 수 있는 브래킷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브래킷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래킷이 작은 강성을 가져서 고유진동수를 낮춤으로서 완충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방지 마운트나 별도의 완충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완충 효과가 뛰어나므로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외부 충격에 빈번히 노출되면서도 브래킷을 장착할 설치 공간이 좁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큰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변위가 클 경우에 발생하는 2차 충격에도 디스크 드라이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팔보 형태의 결합돌기를 이용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성능뿐만 아니라 브래킷 상에 위치한 회로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되어 전달되는 진동에 따라 변위하는 변위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저부의 모서리로부터 "L"자 형태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저부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기저부의 내측 방향으로 "S"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된 연장부분;
    상기 연장부분에서 상기 기저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분; 및
    상기 절곡부분에서 연장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와 면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기저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체 상기 측벽부의 양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된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되는 기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9. 제 7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서, 상기 브래킷과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상기 대향 면에는 금속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2. 디스크 드라이브를 일면에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일면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일면과 이격된 체 연장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과 접촉하여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변위하는 변위부; 및
    상기 일면의 대향되는 대향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격벽;
    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일면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측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L"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의 상기 대향 면은 금속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 구비된 결합구멍에 삽입 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되는 기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8. 제 17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서, 상기 브래킷과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19.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과 이격된 체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측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의 모서리로부터 "L"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과 이격된 체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2. 결합구멍이 형성된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되는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를 기저부로부터 부양시킨 채로 결합시키는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되는 기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은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대 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돌기와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은 내측 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서 상기 접촉부와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6. 제 23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서, 상기 브래킷과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7. 결합구멍이 관통 형성된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를 부양시킨 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돌기; 및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이 배치되는 위치에 상응되는 곳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은 금속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30. 제 27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서, 상기 브래킷과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31.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를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부양 시킨 채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측벽으로부터 그 일부가 연장 형성되어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과 변위 가능하도록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대향 면의 하부에 장착된 회로부품을 격리시켜 전자파로 인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면의 측면 단부에서 그 측면 단부와 평행한 "I" 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측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일면의 모서리로부터 "L"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측벽의 양 옆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브래킷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와 접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KR1020050083696A 2005-07-18 2005-09-08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KR10063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20,971 US7486509B2 (en) 2005-07-18 2005-12-30 Bracket for disk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726 2005-07-18
KR20050064726 2005-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418B1 true KR100634418B1 (ko) 2006-10-16

Family

ID=3762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696A KR100634418B1 (ko) 2005-07-18 2005-09-08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77B1 (ko) 1999-11-01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개스켓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어셈블리
KR100528344B1 (ko) 2003-08-25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디스크 드라이브의 취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77B1 (ko) 1999-11-01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개스켓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어셈블리
KR100528344B1 (ko) 2003-08-25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디스크 드라이브의 취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509B2 (en) Bracket for disk drive
US7471509B1 (en) Shock protection for disk drive embedded in an enclosure
US6498722B1 (en) Disk drive isolation mount
KR10077269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완충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크 드라이브어셈블리
JP4915117B2 (ja) 振動衝撃吸収機構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EP2356656B1 (en) Hard disc drive counter-vibration system
JP4189398B2 (ja) マウンティングブラケットを有し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組立体、および該組立体を搭載した携帯電話
US916560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CN109210130B (zh) 一种阻尼液体减震装置
US8702073B2 (en) Shock absorber capable of damping vibration
US6417985B1 (en) Magnetic disk drive
JP4193463B2 (ja) 情報記憶装置
KR10063441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브래킷
US6164614A (en) Mounting frame using an operating vibration damper at a recessed side surface of a disc drive housing
TW201409465A (zh) 金屬避震元件、金屬避震元件與媒體記錄單元的組合及媒體記錄裝置
US8035960B2 (en) Hard disk drive frame
JPH02137181A (ja) 拡張メモリ装置
JPH081743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4376567B2 (ja) 外部記憶装置用緩衝部材
EP1758124A1 (en) Disk drive unit
JPS63138588A (ja) デ−タ記憶装置
JP2538036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筐体及びその防振方法
JP4900182B2 (ja) 衝撃緩衝装置およびこの衝撃緩衝装置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4169148B2 (ja) 緩衝部材の取付構造
JP2915881B2 (ja) 電子機器内部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