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763B1 -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763B1
KR100633763B1 KR1020040103364A KR20040103364A KR100633763B1 KR 100633763 B1 KR100633763 B1 KR 100633763B1 KR 1020040103364 A KR1020040103364 A KR 1020040103364A KR 20040103364 A KR20040103364 A KR 20040103364A KR 100633763 B1 KR100633763 B1 KR 10063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tactor
terminal
surge
absorption unit
surge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736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7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보조장치로서, 전자개폐기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써어지 흡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은 써어지 흡수용 전자회로소자가 내장된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와;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도전재로 된 두개의 긴 발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접촉기내로 삽입되어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접촉기, 써어지 흡수 유닛, 내장형, 스냅-핏, 터미널

Description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A SURGE ABSORBER FOR A MAGNETIC CONTACTOR}
도 1은 일반적 전자접촉기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전자접촉기와 써어지 흡수 유닛의 결합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을 부설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 상부커버와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을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자접촉기 상부프레임 2: 전자접촉기 하부프레임
3: 고정접촉자 4: 보빈코일
5: 고정코어 6: 가동코일
7: 복귀스프링 8: 크로스바
9: 가동접촉자 10: 써어지 흡수 유닛
11,12 : 단자 14: 전자접촉기
21: 써어지 흡수 유닛의 본체
23: 동작상태 표시등 24: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5: 터미널 단부 26: 돌출부
27:턱부 28: 접속부재
29:코일터미널 31: 드라이버 삽입구
32: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 33: 접속부재 삽입구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개폐기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장치인 써어지 흡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행하는 기기로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일명 써멀릴레이 : Thermal-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고 있다.
전자접촉기는 크게 전자석부, 접점부,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및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석의 코일을 여자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폐로하고, 소자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여 전원과 부하간 회로를 개폐를 행하게 되 는데, 교류 전자접촉기의 용량범위는 100~600(V)에서 수암페어(A)로부터 수백 암페어(A)까지 이나, 통상적으로는 600(A)이하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정격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접촉기를 개로하여 모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은 상기한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하부 프레임(1)(2)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1)에는 전기회로의 전원측과 부하측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촉자(3)가 구획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조작신호(일명 제어신호)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4)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4)의 하부에는 코일(4)의 자속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5)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고정코어(5)의 자화 또는 소자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가동코어(6)가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4)의 보빈과 가동코어(6)의 사이에는 고정코어(5)가 소자됐을 때 가동코어(6)에 고정코어(5)로부터 이격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6)의 상부에는 가동코어(6)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운동하는 크로스 바(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접촉기는 코일(4)에 도 3의 코일단자(12)를 통해 ON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코일(4)이 여자됨에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된 고정코어(5)가 자 화된다.
이와 함께 자화된 고정코어(5)의 자력에 의해 고정코어(5)의 상부에 설치된 가동코어(6)는 고정코어를 향해 흡인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코어(6)와 결합된 크로스 바(8)도 복귀 스프링(7)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8)에 설치된 다수개의 가동코어(6)가 상부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고정코어(5)와 접촉하므로써 회로는 폐로된 상태가 되며, 반대로 상기 코일(4)의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의 반대로 동작하여 가동코어(6)가 고정코어(5)로부터 이격되어 개로된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이 회로의 폐/개로는 정격상 시간당 약 1200 ~ 1800회 정도까지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써어지 흡수 유닛은 코일단자부에 접속하여 코일에 제어전원이 공급 즉 ON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써어지를 흡수함으로써 과전압에 의한 절연파괴 및 코일 소손을 방지하는데, 써어지 흡수 유닛의 내부회로 소자로는 바리스터(VARISTOR)만으로 구성하는 것과 바리스터와 저항을 직렬로 접속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처럼, 써어지 흡수 유닛(10)에서 나온 단자(11)를 각각 전자 접촉기(14)의 하부 프레임에 나와 있는 코일 단자(12)의 와셔에 삽입한 후에 스크류로 단자를 조임으로서 써어지 흡수 유닛을 코일 단자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 후에는 써어지 흡수 유닛의 하단부에 있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자 접촉기의 부착하기 편리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써어지 흡수 유닛의 부착방법은 먼저 코일단자를 풀고 써어지 흡수 유닛의 단자를 연결한 뒤 다시 두 단자들을 스크류로 조임으로서 접속되고, 모터와 같은 부하의 제어를 위해 현장설치시 코일단자에 접점조작부(접점제어부)로부터 오는 제어신호선도 함께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배선의 과정이 다단계이고 번거롭고 오설치에 따라 동작불능 및 오동작의 위험성 조차 있게된다.
또한 써어지 흡수 유닛만 착탈하기 위해서도 스크류를 풀고 써어지 흡수 유닛의 단자를 코일터미널과 분리한 후에 다시 접점조작부(접점제어부)로부터 오는 제어신호선만 코일 단자에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크류 체결시 써어지 흡수 유닛의 단자를 항상 확인하여 코일단자 번호와 일치시킨 후에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써어지 흡수 유닛이 전자접촉기에 내장된 종래의 기술로서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 2002-18502호(출원일: 2002.6.18)가 있는데, 상기 실용실안등록출원 역시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스크류 체결방식 기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바, 단지 써어지 흡수 유닛과 전자접촉기를 하나의 하우징에 수용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의 스크류를 풀거나 조임이 없이 간편하게 삽입동작만으로 전자접촉기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써어지 흡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써지 흡수 유닛을 각각 아래로부터 본 것과 위로부터 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도 4a,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써지 흡수 유닛은 써어지 흡수용 전자회로소자(미도시)가 내장된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와;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도전재로 된 두개의 긴 발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접촉기내로 삽입되어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 도 5 참조)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상기 써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24)은 전자접촉기 내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말단 부분(25)이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과의 전기적 접점역할을 하는 돌출부(26)를 구비한다.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의 접점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미도시의 제어부(조작부)와 연결되고 이 제어부로부터 온(ON) 제어신호를 수신했을 때 자화됨으로써 가동코아를 흡인하여 접점을 폐로시키기 위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의 입력단자를 의미한다.
즉,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은 간단히 말해서 접점의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이며,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과 접속되는 전원측 단자 및 부하측 단자는 전원과 부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전원회로상의 입출력 단자로서 접점 구동제어신호의 입력용인 코일 터미널(29)과는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써어지 흡수유닛은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자접촉기와의 기계적 접속력 강화를 위해서 상기 전자접촉기내로 삽입되어 스냅-핏(snap-fit) 형태로 결합되는 두개의 추가적 접속부재(28)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재(28)는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의 케이스(case)와 일체로 전기적 절연재 수지물로 주조하여 제조하거나 별도로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에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의 상부에는 조립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한 턱부(27)가 또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21)내부의 상기 써어지 흡수용 전자회로소자와 접속되므로, 그 조립방향이 바뀌게 되면 동작이 안되거나 소손될 수 있어, 상기 써어지 흡수용 전자회로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었다.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은 그 자체가 판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전재 판을 절곡하여 형성한다.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의 그 자체가 판 스프링 역할을 하는 목적은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과 전자접촉기내의 코일터미널(29)가 전기적으로 양호히 접속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접속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다.
부연설명하면, 전자접촉기내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의 삽입공간은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의 부피보다 다소 적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다소 강제력에 의해 압입되어 전자접촉기내의 코일터미널(29)쪽으로 휘면서 접속되었던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을 분리하면 원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은 얇은 도전재 판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구성외에도 상기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과의 전기적 접속을 더욱확고히 하기 위해서 접점역할을 하는 돌출부(26)를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에 부가 설치하였다.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은 써어지 흡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에 동작상태 표시등(23)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의 회로구성은 상기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 2002-18502호의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항과 콘덴서등을 직렬접속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바리스터로 구성하는 것 또는 바리스터와 저항으로 구성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써어지 흡수 유닛의 회로에,예컨대 저항과 콘덴서 직렬 회로에 상기 동작표시등(23)을 직렬로 부가 접속함으로써 간단히 써어지 흡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회로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이 부가설치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일부 분해하여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이 부가설치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면상 상하로 분리된 상부는 상부커버이고, 하부는 전자접촉기의 본체로서 그 상부에 다수의 스크류 머리부분이 2열로 보이고 있는 바, 이들이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와 이들의 단자 스크류의 머리부분과 상기한 2개의 코일 터미널(29)과 그의 단자 스크류를 보인 것이다. 이들중 도면상 가장 우측의 단자 및 그의 단자 스크류가 코일 터미널(29) 및 그의 스크류(30)이다.
도 5의 상부 커버에는 도면상 열별로 5개의 원으로 구성되는 2열의 스크류 드라이버 삽입구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 바, 양열의 삽입구들중 가장 우측의 2개의 원이 코일 터미널(29)의 스크류(30)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하는 드라이버 삽입구(31)이며, 여타 삽입구들은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 스크류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접근을 허용하는 드라이버 삽입구들이다.
상기 2개의 드라이버 삽입구(31)사이에는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 (24)이 삽입될 수 있는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가 한 쌍 마련되며, 이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는 일방향으로만 상기 턱부(27)에 대응해서 연장구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턱부(27)를 연장구를 가지는 방향에 일치하게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에 삽입할 때만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24)가 터미널 삽입구(32)로 삽입가능하여 써어지 흡수 유닛을 전자접촉기에 결합 설치할 수 있게된다. 2개의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사이의 상부커버에는 상기 접속부재(28)가 삽입될 수 있게 허용되는 접속부재 삽입구(33)가 한쌍 마련된다.
도6은 상부 커버가 조립된 전자접촉기(도면상 좌측 부분)와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도면상 우측 부분)을 결합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 이다.
도 7은 전자접촉기와 본 발명의 써어지 흡수 유닛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써어지 흡수 유닛과 전자접촉기를 결합 설치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턱부(27)를 연장구를 가지는 방향에 일치하게 맞추어, 상기 턱부(27)가 전자접촉기의 상부커버의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써어지 흡수 유닛 터미널 삽입구(32)에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24)을 삽입한다.
이때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과 하부로 갈수록 융기하는 하부 프레임의 턱(34)에 의해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공간이 좁아지면서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24)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써어지 흡수 유닛의 터미널(24)에 구비된 돌출부(26)는 일정한 접촉압력을 받으며 코일 터미널(29)과 접촉하여, 써어지 흡수 유닛의 내부 회로소자와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29)간의 전기적 접점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코일 터미널(29)을 통해 코일에 제어전원(ON 제어신호)이 공급되는 폐로의 순간에 발생하는 높은 써어지 전압을 본 발명에 따라 간편히 장착된 써어지 흡수 유닛의 내부 전자회로소자(바리스터 or 바리스터 + 저항 or 콘덴서 + 저항)에서 흡수함으로써, 코일에는 써어지 전압의 영향이 없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은 코일 터미널 스크류에 대한 풀고 조이는 동작이 필요 없이 간단히 본 발명의 써어지 흡수 유닛을 전자접촉 기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결합 장착될 수 있어, 전자접촉기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써어지 흡수 유닛의 상부에 동작상태 표시등을 부가구비함으로써 써어지 흡수 유닛의 동작여부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기기의 동작상태를 가시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편리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자접촉기용 써지 흡수 유닛에 있어서,
    써어지 흡수용 전자회로소자가 내장된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와;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도전재로 된 두개의 긴 발(25)과, 말단 부분이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점역할을 하는 돌출부(26), 및 조립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한 턱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접촉기의 코일 터미널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24)과;
    상기 써어지 흡수 유닛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자접촉기와의 기계적 접속력 강화를 위해서 상기 전자접촉기내로 삽입되어 스냅-핏(snap-fit) 형태로 결합되는 두개의 접속부재(28)와; 및
    써어지 흡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동작상태 표시등(23)을 포함하는 데, 상기 터미널(24)은 그 자체가 판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전재 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써지 흡수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0103364A 2004-12-09 2004-12-09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KR10063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364A KR100633763B1 (ko) 2004-12-09 2004-12-09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364A KR100633763B1 (ko) 2004-12-09 2004-12-09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736A KR20060064736A (ko) 2006-06-14
KR100633763B1 true KR100633763B1 (ko) 2006-10-16

Family

ID=3716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364A KR100633763B1 (ko) 2004-12-09 2004-12-09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7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736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125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JP2587097B2 (ja) 配線用遮断器の多重アクセサリユニット
US7271987B1 (en) Grounding fault circuit interrupter
KR10127946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EP2180487A2 (en) Micro switch
US8294540B2 (en)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US20140118096A1 (en) Pry plate tripping circuit breaker
KR100633763B1 (ko) 전자접촉기용 써어지 흡수 유닛
US20050231861A1 (en) Compac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module
CN201117581Y (zh) 电磁继电器
KR200415257Y1 (ko) 전자 접촉기
JPH06208823A (ja) 電磁接触器
KR20041735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KR101160792B1 (ko) 열폭 방지 장치를 구비한 서지모듈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CN216312676U (zh) 电涌保护器、电涌保护装置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JP7370072B2 (ja) 分離器内蔵型spd、および分離器内蔵型spdユニット
CN214378257U (zh) 磁灭弧继电器
KR100272501B1 (ko) 전자접촉기용 단자나사의 가이딩구조
KR200494733Y1 (ko)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KR200280183Y1 (ko) 전자접촉기 단자의 러그 유동방지구조
KR100475070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200224231Y1 (ko) 전자접촉기용보조접점유니트의고정구조
CA2458785C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