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105B1 -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105B1
KR100633105B1 KR1020000087352A KR20000087352A KR100633105B1 KR 100633105 B1 KR100633105 B1 KR 100633105B1 KR 1020000087352 A KR1020000087352 A KR 1020000087352A KR 20000087352 A KR20000087352 A KR 20000087352A KR 100633105 B1 KR100633105 B1 KR 10063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cartridge
gasket
door
housing
d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089A (ko
Inventor
배병영
홍순교
권해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1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 G11B33/146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sealing gask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한 기록장치의 방진구조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 카트리지의 착탈시 개폐되는 개폐도어와 기록장치의 하우징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도어 브래킷을 설치하는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착시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디스크 카트리지에 개스킷을 설치함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 브래킷에 의해서,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개스킷에 의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록장치의 오작동 및 디스크 카트리지에 기록된 정보의 손상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PCMCIA, 기록/재생장치, 디스크 카트리지, 개폐도어, 이물질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Dust proof structure of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록/재생장치에서 상부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a 및 4b는 도 3의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a 및 5b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3의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도 3의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 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12 : 개구부
113 : 개폐도어 114 : 도어 브래킷
115 : 삽입구 116 : 돌기
117 : 구멍 118 : 탄성부재
120 : 디스크 카트리지 123 : 방진패널
130, 130a, : 개스킷 131b : 접촉부
132b : 변형부 133c : 커버
134f : 연결부
본 발명은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한 PCMCIA 카드형의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防塵)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록/재생장치는 컴퓨터 등의 기억장치에 이용되는 광 또는 자기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거나 이 디스크형상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를 비롯해서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 등 크기가 매우 작은 휴대용 장치들에 있어서,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는 당연하게 요구되는 것이며, 그 기록/재생한 정보를 다른 주변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을 것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부피가 작고 휴대가 가능한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 타입 기록/재생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록/재생장치 내에 일체로 조립되어 사용되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카트리지화 하여, 이 디스크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도록 한 PCMCIA 카드 타입의 기록/재생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록/재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다른 기기로 이동 장착시킴으로서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용량이 사실상 무한대로 증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PCMCIA 카드 타입 기록/재생장치는, 컴퓨터 등의 제품에 형성된 PCMCIA 포트에 접속되는 커넥터(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광 또는 자기디스크(21)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즉 커넥터(11)의 반대쪽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13)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3)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13)를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디스크 카트리지(20) 내의 디스크(21)에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 또는 자기 헤드(15) 및 이 헤드(15)를 지지하는 헤드암(16)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상기 개구부(12)를 통하여 하우징(10) 내에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삽입되면, 도어(13)는 디스크 카트리지(20)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0) 내측으로 선회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같이, 도어(13)는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장착된 동안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며, 하우징(10)으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20)가 빠져나오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3)는 자동으로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기록/재생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와 개구부(12)의 내주면 사이에는 도어(13)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미세한 틈새(A 및 B)가 존재하게 된다. 이들 틈새(A, B)의 존재로 인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0) 내로 유입됨으로써 하우징 내에 설치된 광 또는 자기 헤드(15)를 비롯하여 각종 부품들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하우징(10) 내에 유입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은, 기록/재생장치를 구동하여 디스크(21)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중에 디스크(21)의 고속회 전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20) 내부로 유입된다. 디스크 카트리지(2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헤드(15)와 디스크(21) 사이를 지나며 디스크(21)와 마찰됨으로써 디스크(21) 표면에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개구부(12)의 내주면과 디스크 카트리지(20)의 좌우측면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C)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재생장치의 구동 중에도 상기 틈새(C)를 통하여 이물질이 하우징(10) 및 디스크 카트리지(20)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디스크(21)에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데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및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마련된 방진수단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수단은,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테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카트리지 삽입구가 형성된 도어 브래킷과, 상기 카트리지의 착탈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브래킷과 대면된 상태로 밀착되어 상기 삽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단 후단부에 구비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개스킷의 후단부에는 상기 도어 브래킷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방진패널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와,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부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접촉부 및 변형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개스킷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와,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개재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벨로우즈 형상의 각각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는, 일측에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12)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개폐하는 도어(113)와, 상기 도어(113)와 상기 개구부(112) 사이의 틈새를 막는 방진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방진수단은, 상기 개구부(112)가 상기 도어(113)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도어(113)와 밀착되도록 상기 개구부(112)에 설치되는 도어 브래킷(114)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될 때 상기 도어 브래킷(114)과 밀착되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20)에 설치되는 개스킷(Gasket; 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 브래킷(114)은 하우징(110)의 개구부(112)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혹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됨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브래킷(114)의 후방, 즉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어(113)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어 브래킷(114)의 중앙에 형성된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구(115)를 완전히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점선으로 도시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13)는, 후술하는 스프링(118)에 의해 도어 브래킷(114) 쪽으로 가압 유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20)를 삽입시키면 도어(113)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120)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선회되면서 개방된다. 도어(113)는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장착된 동안에는 개방상태로 유지 되며, 기록/재생장치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120)를 제거하면 후술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13)는 자동으로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13)는 폐쇄시 도어 브래킷(114)의 내측벽에 맞닿아 밀착되므로, 삽입구(115)를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3)의 하단 양쪽에는 한 쌍의 돌기(116)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에는 상기 돌기(116)가 삽입되는 삽입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13)의 선회 운동을 가능케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13)에 구멍(117)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벽면에 돌기(116)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반대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어(113)의 중앙부 하단에는 도어(113)를 도어 브래킷(114)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118)이 설치된다.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3)는 폐쇄 위치에서 도어 브래킷(114)의 내측벽에 맞닿아 밀착하여 삽입구(115)를 완전히 막게된다.
도 5a는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3)는 디스크 카트리지(12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된 상태이며, 스프링(118)은 도어(113)의 선회됨으로써 압축된 상태에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제거되면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즉시 도어(113)는 폐쇄된다. 한편, 디스크 카트리지(120)의 일측(도 5a 및 5b에서 보아 좌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폭과 높이가 보다 두껍게 형성된 방진패널(123)이 구비된다.
상기 개스킷(130)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20)의 방진패널(123)의 내측 둘레에 부착되며,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 내로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도어 브래킷(114)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편의상 도 5a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120)의 상면에 위치된 개스킷(130)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마찬가지로 도 5b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120)의 측면에 위치된 개스킷(130)의 일부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제로는 개스킷(130)이 디스크 카트리지(120)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스킷(130)의 재료로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재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개스킷(130)은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에 완전히 장착될 경우, 도어 브래킷(114)의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구(115) 주위를 에워쌈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도 6은 도 5b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단면도로서,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캐스킷(130a)은 전체가 단일의 신축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패널(123)에 부착된 개스킷(130a)은 하우징(110)의 도어 브래킷(114)에 맞닿아 있으며, 이 때 개스킷(130a)은 방진패널(123)과 도어 브래킷(114) 사이에서 미소한 압 축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개스킷(130a)은 도어 브래킷(114)에 밀착되어 하우징(110) 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b)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패널(123) 및 도어 브래킷(114)에 직접 접촉되는 양쪽의 접촉부(131b)와, 상기 양쪽의 접촉부(131b)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가압력이 주어질 때 압축될 수 있는 변형부(132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접촉부(131b)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접촉성 및 마모성 등이 양호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부(132b)는 마찬가지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연질고무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이 압력이 가해지면 체적이 변형되지만 압력이 해제되면 곧 처음의 체적으로 원상복귀 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 내로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스킷(130b)은 방진패널(123)과 도어 브래킷(114) 사이에서 미소한 압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130b)은 도어 브래킷(114)에 완전히 밀착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개스킷(130a)에서는 전체적으로 미소한 변형이 발생되지만,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b)에서는 접촉부(131b)는 거의 변형되지 않고 변형부(132b)만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 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c)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패널(123) 및 도어 브래킷(114)에 직접 접촉되는 양쪽의 접촉부(131c)와, 상기 양쪽의 접촉부(131c)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력이 주어질 때 압축될 수 있는 변형부(132c)와, 상기 변형부(132c) 및 접촉부(131c)를 모두 감싸는 커버(133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접촉부(131c)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접촉성 및 마모성 등이 양호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부(132c)로서는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상기 접촉부(131c)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33c)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예를 들어 비닐, 천 또는 연질고무 등과 같이 압력이 가해지면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 내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스킷(130c)은 방진패널(123)과 도어 브래킷(114) 사이에서 미소한 압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130c)은 도어 브래킷(114)에 완전히 밀착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c)에 의하면 접촉부(131c)는 거의 변형되지 않고 내부의 변형부(132c)가 압축됨에 따라 커버(133c)의 형상이 변형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제거되면, 개스킷(130c)에 가해지던 압축력도 소멸되므로 변형부(132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버(133c)는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d)은 전체가 단일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벨로우즈(Bellows)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하우징(110)에 완전히 장착되면, 개스킷(130d)은 접철식으로 형상이 변화되면서 도어 브래킷(114)에 밀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e)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개스킷(130d)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패널(123) 및 도어 브래킷(114)에 직접 접촉되는 양쪽의 접촉부(131e)와, 상기 양쪽의 접촉부(131e)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가압력이 주어질 때 변형되는 변형부(132e)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31e)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접촉성 및 마모성 등이 양호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형부(132e)도 마찬가지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지만 압력이 해제되면 곧 원상복귀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스킷(130f)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개스킷(130d)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패널(123) 및 도어 브래킷(114)에 직접 접촉되는 양쪽의 접촉부(131f)와, 도 11에서 볼 때 각각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되며 가압력이 주어질 때 변형되는 다수의 변형부(132f)와, 이들 각각 의 변형부(132f)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134f)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에 디스크 카트리지(120)가 완전히 장착되면, 개스킷(130f)은 도어 브래킷(114)에 맞닿아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 때, 연결부(134f)에 연결된 변형부(132f)에서 변형이 일어남으로서 개스킷(130f)이 수축되고, 압축력이 해제되면 변형부(132f)가 원상복귀 됨으로써 개스킷(130f)이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지금까지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단 후단부에 방진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방진패널의 도어 브래킷과 대면되는 위치에 개스킷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해서, 상기 방진패널을 상기 개스킷의 변형부와 유사한 재료, 예컨대 연질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은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방진패널 자체가 개스킷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기록/재생장치의 오작동이 방지되며, 디스크 카트리지(120) 내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마련된 방진수단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진수단은,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테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구가 형성된 도어 브래킷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착탈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브래킷과 대면된 상태로 밀착되어 상기 삽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단 후단부에 구비되는 방진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방진패널에는 상기 도어 브래킷과 대면하는 위치에 개스킷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접촉부 및 변형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개재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및 도어 브래킷에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벨로우즈 형상의 각각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KR1020000087352A 2000-12-30 2000-12-30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KR10063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52A KR100633105B1 (ko) 2000-12-30 2000-12-30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52A KR100633105B1 (ko) 2000-12-30 2000-12-30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089A KR20020057089A (ko) 2002-07-11
KR100633105B1 true KR100633105B1 (ko) 2006-10-11

Family

ID=2769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352A KR100633105B1 (ko) 2000-12-30 2000-12-30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22A (ko) * 2002-09-03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089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0012A (en) Diskette door
US7242552B2 (en) Cushioning material and information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US5357386A (en) Disc drive with head/disc assembly having sealed connectors
US5760997A (en) Flexible cable structure for magnetic disk drives
US6507452B1 (en) Filtering apparatus for hard disk drive
KR960001674Y1 (ko) 디스크 카세트
US7428122B2 (en) Hermetically sealed disk drive with low height
US7113398B2 (en) Removable storage device unit
US5771143A (en) Disk cartridge system with removable modules
KR100633105B1 (ko) 기록/재생장치의 방진구조
US7143427B2 (en) Disk cartridge having a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disk
JPH09297982A (ja) 記録再生装置
US5668793A (en) Disk cartridge driving apparatus
US7123437B2 (en) Recording apparatus enabling replacement of disk cartridge
JP3994326B2 (ja) 情報記憶装置
US6538848B1 (en) Magnetic disk
JP3694930B2 (ja) 扉開閉機構および電子機器
US6643097B2 (en) Disc cartridge and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582114B2 (ja) 記録媒体挿入口用蓋装置
JPH0616275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3317433A (ja) 接触式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憶装置
JPH11110701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H0574121A (ja) 磁気デイスク装置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4145977A (ja) 電子機器の記録機器取出構造
JP2502500Y2 (ja) 光学ヘッド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