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810B1 -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810B1
KR100632810B1 KR1020050053972A KR20050053972A KR100632810B1 KR 100632810 B1 KR100632810 B1 KR 100632810B1 KR 1020050053972 A KR1020050053972 A KR 1020050053972A KR 20050053972 A KR20050053972 A KR 20050053972A KR 100632810 B1 KR100632810 B1 KR 10063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ulse
mode
row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남
Original Assignee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76Time-division multiplex with pulse-position, pulse-interval, or pulse-width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펄스폭 변조방식 구동장치에서 감마보정 또는 중간계조의 표시를 클럭 주파수 변조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클럭 주파수의 변조에 따라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이브 IC를 통해 출력되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IC를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표시 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표시하기 위해 각 프레임 별로 표시 계조가 다른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펄스폭 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ELD), 펄스폭 변조(PWM), 시분할 구동, 드라이브회로(IC)

Description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장치{Time division driving method and devic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f PWM driving typ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PWM 방식 구동장치에서 실시되는 감마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특성곡선도
도 3는 종래 PWM 방식 구동장치의 감마보정에 따른 휘도 증감 곡선도
도 4는 종래 PWM 방식 구동장치에서 사용하는 기본 클럭의 파형도(a)와 감마보정을 위해 변조된 클럭의 파형도(b)
도 5는 종래 PWM 방식 구동장치에서 한 단위화소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PWM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 2드라이브 회로의 내부 구성 블럭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WM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에서 한 단위화소에 인가되는 전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 : 컬럼 출력회로부 40 : 제어회로부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으로 구동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에서 드라이브 IC의 클럭(clock) 주파수 변조없이 감마보정(gamma correction)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드라이브 IC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클럭 주파수를 변조하기 않고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이 열(column)과 행(row)의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각 열(column)과 행(row)의 교차점에 유기물질이 증착되고 열에서 행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유기물질에서 발광이 일어나는 장치로서,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의 경우, 음극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드라이브회로와, 양극에 계조에 따른 펄스폭을 갖는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PWM 방식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에서는 입력신호 대비 출력 휘도의 특성곡선을 각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보정하여 주는 감마보정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계조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마보정기술은 드라이브 IC 내부의 클럭주파수를 변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구현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PWM 방식 구동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마보정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디스플레이 특성곡선도로서 직선 모양의 감마(gamma)곡선 '가'를 감마곡선 '나'로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3은 감마보정에 따른 휘도 증감곡선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입력 계조신호 i1, i2, i3 에 해당하는 원래의 휘도는 A,B,C 였으나, 감마보정에 의한 변경 후의 휘도는 a, b, c 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계조에서 휘도 증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6, 3/16, 3/16 만큼의 휘도 보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계조별로 휘도변화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계조별로 전류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전류변화를 위해서 종래에는 도 4의 (a)와 같이 주기가 일정한 클럭신호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기를 갖는 클럭 신호로 변경하여 각 계조별로 전류 변화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4는 종래 PWM 방식에서 사용하는 기본 클럭의 파형도(a)와 감마보정을 위해 변조된 클럭 파형도(b)로서, 도 4의 (a)와 같이 주기가 일정한 클럭으로는 상기 도 2의 감마곡선 '나'에서의 i1, i3, i4, i5, i7 지점에 대해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이 계조들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1/16, 3/16, 5/16, 7/16, 13/16 만큼의 클럭 유지시간이 필요하지만 상기 (a)파형의 기본 클럭으로는 0/16, 2/16, 4/16, 6/16, ..., 16/16 의 표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본 클럭의 주파수를 변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 4의 (b)와 같이 계조 i1~i8에 대해서 클럭을 다르게 발생시키면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보정된 원하는 감마곡선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에서 원하는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은 한 개의 단위화소를 이루는 각 프레임에 원하는 계조 만큼의 구동전류를 동일하게 흘려 보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에서 한 개의 단위화소에 인가되는 전류파형을 예시한 것으로서, 원하는 계조만큼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각 프레임에서 동일하게 표시하여 주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L3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현하는 경우 L3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만큼의 전류가 해당 단위화소의 각 프레임에 동일하게 흘러 들어가게 되며, 물론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바뀌면 그에 해당하는 만큼 전류량이 변화되어 드라이브 IC에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드라이브 IC 내부의 클럭 주파수를 변조시키는 방식에 의하면, 클럭 주파수가 각 계조별로 조절될 수 있는 가변 클럭 회로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클럭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내부 오실레이터의 주파수 변화 및 카운터 역할을 하는 레지스터 수의 변화 등이 뒤따르게 되므로 드라이브 IC의 면적이 커지고 칩의 크기를 증가시켜 원가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른 계조의 전류를 인가하는 구동펄스를 프레임 별로 다르게 출력하여 중간 계조를 표시하거나 감마보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브 IC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계조 사이의 중간계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클럭 주파수의 변조 없이 표시가능하도록 하여, 중간 계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현하거나 또 는 감마보정시 클럭 주파수의 변조에 따른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라이브 IC를 통해 출력되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IC를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표시 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표시하기 위해, 각 프레임 별로 표시 계조를 다르게 하여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특징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표시를 원하는 중간 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를 갖도록 펄스폭 변조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 계조의 전류를 갖도록 펄스폭 변조된 하위모드 구동펄스로 각각 분할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구동방법은,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상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하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변화시켜 인가하는 구동방법으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동일한 행(row)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행(row)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동일한 열(column)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열(cloumn)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인접한 열(column)과 행(row)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적(R), 녹(G), 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인가하는 방법, 적(R), 녹(G), 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인가하는 방법으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드라이브회로는, 화소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컬럼 출력회로부와,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가 중간 계조인 경우 표시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 또는 표시계조보다 하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로 상기 컬럼 출력회로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a,b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주된 개념은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기타 디스플레이소자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 2드라이브 회로(column driver)의 내부 구성예를 보인 블럭도로서, 제 2드라이브 회로는 표시 소자의 양극에 표시 계조에 따른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드라이브 회로이며, 화소a(23) 및 화소b(33)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컬럼 출력회로부(20,30)와,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가 중간 계조인 경우 표시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O_mode; 이하는 상위모드 구동펄스라 칭함) 또는 표시계조보다 하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E_mode : 이하는 하위모드 구동펄스라 칭함)로 상기 두 컬럼 출력회로부(20,3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a,b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물론,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 2드라이브 회로는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가 하드웨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계조인 경우 표시를 원하는 계조에 따른 전류값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일반모드 구동부(도면에는 미도시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드라이브 회로의 구성은 단지 일 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개념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두 컬럼 출력회로부(20)(30)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른 구동전류를 유기 패널의 단자핀에 출력하는 출력단 전류미러 (22)(32)와, 상기 제어회로부(4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출력단 전류미러에 흘려보내 상기 출력단 전류미러(22)(32)를 각각 구동하는 D/A 변환기(21)(3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 2드라이브회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동방법은, 각 프레임 별로 표시계조를 다르게 하여 그 사이의 중간 계조를 얻는 감마보정방법, 또는 각 계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세분화하여 프레임별로 각 계조를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다계조 표시방법으로 각각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서, 화소a(23)를 구동하는 컬럼 출력회로부(20)를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중간 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값으로 상위모드화된 구동펄스(O_mode; 이하에서는 "O"로 표시함)를 출력하고, 화소b(33)를 구동하는 컬럼 출력회로부(30)를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중간 계조보다 하위 계조의 전류값으로 하위모드화된 구동펄스(E_mode : 이하에서는 "E"로 표시함)를 내보내는 방법, 또는 상기 두 컬럼 출력회로부(20,30)의 동작 모드를 바꾸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제어회로부(40)를 통해 상위모드 제어신호와 하위모드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각 구동펄스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분할 구동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 있어서는 상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하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변화시키는 방법, 동일한 행(row)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행(row)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동일한 열(column)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열(cloumn)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 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인접한 열(column)과 행(row)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적(R), 녹(G), 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인가하는 방법, 적(R), 녹(G), 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인가하는 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중에서 중간 계조의 표시를 위해 계조가 다른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펄스를 인가하여 감마보정을 이룰 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도 7a는 원래 계조단위 하나를 두개의 계조로 분할 표시하는 예로서, 계조 2(L2)와 계조 3(L3) 사이에 계조 2.5(L2.5)를 표시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즉, 2.5 계조의 표시를 위해 홀수번째 프레임(frame1,3,5,7)에는 상위모드 구동펄스인 3계조의 구동전류를 인가하고 짝수번째 프레임(frame2,4,6,8)에는 하위모드 구동펄스인 2계조의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으로서 계조2와 계조3의 중간 계조인 계조 2.5의 표시를 위해 계조3의 구동전류와 계조2의 구동전류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인가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전류 파형도와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표시계조의 전류 파형도이다. 이와 같은 구동방법을 이용하면, 클럭 주파수의 변경 없이도 원하는 계조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이룰 수도 있다. 즉, 도 2의 i3 계조의 경우 4/16 휘도레벨과 2/16 휘도레벨을 각각 동일 프레임 시간동안 사용한다면 3/16 레벨(b지점)의 휘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b는 원래 계조단위 하나를 4개의 계조로 분할 표시하는 예로서, 계 조 1(L1)와 계조 2(L2) 사이에 계조 1.25(L1.25)를 표시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즉,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구동펄스를 조합하는 방식에 따라 계조 1(L1)와 계조 2(L2) 사이에 계조 1.25(L1.25), 1.5(L1.5), 1.75(L1.75)를 추가로 더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계조 1.25(L1.25)의 표시를 위해 첫번째와 다섯번째 프레임(frame1,5)에는 계조2(L2)의 구동전류를 인가하고 나머지의 다른 프레임들(frame2,3,4,6,7,8)에는 계조1(L1)의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는 전류 파형도와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표시계조의 전류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각 표시 계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세분화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음의 표 1은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값을 예시하고 있다.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2.5 2 3 1.5 ... 1 1.5
row 2 1 2 2.5 3 ... 2.5 1
row 3 0.5 1.5 2.5 3.5 ... 4.5 5.5
row 4 1.5 1.5 1.5 1.5 ... 1.5 1.5
... ... ... ... ... ... ... ...
row n-1 2.5 2 2.5 2 ... 2.5 2
row n 2 2.5 2 2.5 ... 2 2.5
상기 표 1에서 각 열(column 1~m)은 적(R), 녹(G), 청(B) 각 단위화소의 열을 의미하며, 정수로 표시된 화소는 원래의 드라이브회로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제공하는 계조이고, 소수 형태로 표시된 화소는 원래 드라이브회로에서 지원되는 계조 사이의 계조를 의미한다. 즉 계 조2.5는 계조 2와 계조 3 사이의 중간계조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은 같은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다음의 여러 가지 경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의 표 2a와 표 2b, 및 표 3a와 표 3b는 프레임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 구동펄스를 사용하여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실시예로서, 프레임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 구동펄스를 교변 사용하는 예이다.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3 2 3 2 ... 1 2
row 2 1 2 3 3 ... 3 1
row 3 1 2 3 4 ... 5 6
row 4 2 2 2 2 ... 2 2
... ... ... ... ... ... ... ...
row n-1 3 2 3 2 ... 3 2
row n 2 3 2 3 ... 2 3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O O O O ... O O
row 2 O O O O ... O O
row 3 O O O O ... O O
row 4 O O O O ... O O
... ... ... ... ... ... ... ...
row n-1 O O O O ... O O
row n O O O O ... O O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2 2 3 1 ... 1 1
row 2 1 2 2 3 ... 2 1
row 3 0 1 2 3 ... 4 5
row 4 1 1 1 1 ... 1 1
... ... ... ... ... ... ... ...
row n-1 2 2 2 2 ... 2 2
row n 2 2 2 2 ... 2 2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E E E E ... E E
row 2 E E E E ... E E
row 3 E E E E ... E E
row 4 E E E E ... E E
... ... ... ... ... ... ... ...
row n-1 E E E E ... E E
row n E E E E ... E E
상기 표 2a와 표 3a는 실제 표시데이터이고 표 2b와 표 3b는 화소별 구동모드로서, 한 프레임에서는 상기 표 2b와 같이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고, 다른 프레임에서는 상기 표 3b와 같이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한다. 이때 상위모드로 구동되는 프레임과 하위모드로 구동되는 프레임의 개수는 물론 표현하고자 하는 계조에 따라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계조가 아닌 정상 계조(정수로 나타내어져 있는)의 단위 화소에 대해서는 물론 상위모드나 하위모드에 관계없이 원래의 데이터가 표시된다.
<실시예 2>
다음의 표 4a와 표 4b, 및 표 5a와 표 5b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행(row)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의 구동펄스를 구별하여 교번 사용하면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바꿔서 교번 사용하여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3 2 3 2 ... 1 2
row 2 1 2 2 3 ... 2 1
row 3 1 2 3 4 ... 5 6
row 4 1 1 1 1 ... 1 1
... ... ... ... ... ... ... ...
row n-1 3 2 3 2 ... 3 2
row n 2 2 2 2 ... 2 2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O O O O ... O O
row 2 E E E E ... E E
row 3 O O O O ... O O
row 4 E E E E ... E E
... ... ... ... ... ... ... ...
row n-1 O O O O ... O O
row n E E E E ... E E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2 2 3 1 ... 1 1
row 2 1 2 3 3 ... 3 1
row 3 0 1 2 3 ... 4 5
row 4 2 2 2 2 ... 2 2
... ... ... ... ... ... ... ...
row n-1 2 2 2 2 ... 2 2
row n 2 3 2 3 ... 2 3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E E E E ... E E
row 2 O O O O ... O O
row 3 E E E E ... E E
row 4 O O O O ... O O
... ... ... ... ... ... ... ...
row n-1 E E E E ... E E
row n O O O O ... O O
상기 표 4a와 표 5a는 실제 표시데이터이고 표 4b와 표 5b는 화소별 구동모드로서, 먼저 상기 표 4b와 같이 한 프레임에서는 첫째 행(row 1)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고 다음 행(row 2)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O→E 구동)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행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다른 프레임에서는 모든 행에 대해 구동 순서를 E→O로 바꿔 사용한다. 즉 상기 표 5b와 같이 첫째 행(row 1)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고 다음 행(row 2)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E→O)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행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후 프레임에 대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모두 하위모드-상위모드가 혼재된 프레임이 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다음의 표 6a와 표 6b, 및 표 7a와 표 7b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열(column)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의 구동펄스를 구별하여 교번 사용하면서 프레임 단위로 상기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바꿔서 교번 사용하여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3 2 3 1 ... 1 1
row 2 1 2 3 3 ... 3 1
row 3 1 1 3 3 ... 5 5
row 4 2 1 2 1 ... 2 1
... ... ... ... ... ... ... ...
row n-1 3 2 3 2 ... 3 2
row n 2 2 2 2 ... 2 2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O E O E ... O E
row 2 O E O E ... O E
row 3 O E O E ... O E
row 4 O E O E ... O E
... ... ... ... ... ... ... ...
row n-1 O E O E ... O E
row n O E O E ... O E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2 2 3 2 ... 1 2
row 2 1 2 2 3 ... 2 1
row 3 0 2 2 4 ... 4 6
row 4 1 2 1 2 ... 1 2
... ... ... ... ... ... ... ...
row n-1 2 2 2 2 ... 2 2
row n 2 3 2 3 ... 2 3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E O E O ... E O
row 2 E O E O ... E O
row 3 E O E O ... E O
row 4 E O E O ... E O
... ... ... ... ... ... ... ...
row n-1 E O E O ... E O
row n E O E O ... E O
상기 표 6a와 표 7a는 실제 표시데이터이고 표 6b와 표 7b는 화소별 구동모드로서, 먼저 상기 표 6b와 같이 한 프레임에서는 첫째 열(col 1)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고 다음 열(col 2)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O→E 구동)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열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다른 프레임에서는 모든 열에 대해 구동 순서를 E→O로 바꿔 사용한다. 즉 상기 표 7b와 같이 첫째 열(col 1)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고 다음 열(col 2)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E→O)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열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도 그 이후 프레임에 대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모두 하위모드-상위모드가 혼재된 프레임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다음의 표 8a와 표 8b, 및 표 9a와 표 9b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화소(pixel)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의 구동펄스를 구별하여 교번 사용하면서 프레임 단위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모드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바꿔서 교번 사용하여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3 2 3 1 ... 1 1
row 2 1 2 2 3 ... 2 1
row 3 1 1 3 3 ... 5 5
row 4 1 2 1 2 ... 1 2
... ... ... ... ... ... ... ...
row n-1 3 2 3 2 ... 3 2
row n 2 3 2 3 ... 2 3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O E O E ... O E
row 2 E O E O ... E O
row 3 O E O E ... O E
row 4 E O E O ... E O
... ... ... ... ... ... ... ...
row n-1 O E O E ... O E
row n E O E O ... E O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2 2 3 2 ... 1 2
row 2 1 2 3 3 ... 3 1
row 3 0 2 2 4 ... 4 6
row 4 2 1 2 1 ... 2 1
... ... ... ... ... ... ... ...
row n-1 2 2 2 2 ... 2 2
row n 2 2 2 2 ... 2 2
col 1 col 2 col 3 col 4 ... col m-1 col m
row 1 E O E O ... E O
row 2 O E O E ... O E
row 3 E O E O ... E O
row 4 O E O E ... O E
... ... ... ... ... ... ... ...
row n-1 E O E O ... E O
row n O E O E ... O E
상기 표 8a와 표 9a는 실제 표시데이터이고 표 8b와 표 9b는 화소별 구동모드로서, 먼저 상기 표 8b와 같이 한 프레임에서는 홀수행(row 2n-1)의 홀수열(col 2m-1), 즉 (2n-1, 2m-1)에 위치하는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고 짝수행(row 2n)의 짝수열(col 2m), 즉 (2n,2m)의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O→E 구동)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행과 열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다른 프레임에서는 모든 행과 열에 대해 구동 순서를 E→O로 바꿔 사용한다. 즉 상기 표 9b와 같이 홀수행(row 2n-1)의 홀수열(col 2m-1)에 위치하는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하위 계조(E_mode)처럼 표시하고 짝수행(row 2n)의 짝수열(col 2m)에 위치하는 모든 중간 계조의 화소를 그 상위 계조(O_mode)처럼 표시하며, 이와 같은 동작(E→O)을 해당 프레임의 모든 행과 열에 대해 교번하여 반복 사용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도 그 이후 프레임에 대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모두 하위모드-상위모드가 혼재된 프레임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에 의하면, 중간 계조의 표시를 위해 각 프레임 별로 표시계조가 다른 구동펄스를 인가하거나 또는 각 표시 계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세분화하여 구동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드라이브 IC의 클럭 주파수 변조없이도 감마보정을 이룰 수 있고, 드라이브 IC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 IC의 클럭 주파수 변조없이도 중간 계조에 대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감마보정을 위해 계조별로 주파수 조정이 가능한 가변 클럭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클럭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드라이브 IC의 설계 면적상승 및 칩의 원가 상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드라이브 IC를 통해 출력되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프레임별로 표시계조가 다르게 폭(width)이 변조된 구동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드라이브 IC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는 한 계조와 다른 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펄스는,
    표시를 원하는 중간 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를 갖도록 펄스폭 변조된 상위모드 구동펄스와 하위 계조의 전류를 갖도록 펄스폭 변조된 하위모드 구동펄스로 각각 분할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상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하위모드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 모드를 변화시켜 교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 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동일한 행(row)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행(row)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동일한 열(column)에 대해서는 같은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열(cloumn)의 변화에 따라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인접한 열(column) 및 행(row)에 대하여 다른 모드의 구동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적(R), 녹(G), 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적(R), 녹(G), 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9. 제 1항부터 제 8항까지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드라이브회로는,
    화소a 및 화소b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컬럼 출력회로부와;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가 중간 계조인 경우 표시계조보다 상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 또는 표시계조보다 하위 계조의 전류값을 갖는 구동펄스로 상기 컬럼 출력회로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a,b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장치.
KR1020050053972A 2005-06-22 2005-06-22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KR10063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72A KR100632810B1 (ko) 2005-06-22 2005-06-22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72A KR100632810B1 (ko) 2005-06-22 2005-06-22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810B1 true KR100632810B1 (ko) 2006-10-11

Family

ID=3763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972A KR100632810B1 (ko) 2005-06-22 2005-06-22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8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768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7063228A1 (zh) * 2015-10-15 2017-04-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驱动方法
US10692429B2 (en) 2017-10-18 2020-06-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768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79278B1 (ko) 2014-12-30 2021-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7063228A1 (zh) * 2015-10-15 2017-04-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驱动方法
US10692429B2 (en) 2017-10-18 2020-06-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02251B2 (en) 2017-10-18 2022-04-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694621B2 (en) 2017-10-18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66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1768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44060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회로
US8077189B2 (en) Drive circuit
US110043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nable signal used in the same
US10339851B2 (en) Display apparatus,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lighting display apparatus
CN106910449A (zh) 一种基于融合扫描策略的硅基显示器
US20220208066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32810B1 (ko) 펄스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US10152909B2 (en) Display apparatus
US6980193B2 (en) Gray scale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76700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632811B1 (ko) 펄스진폭변조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시분할 구동방법 및장치
US2006006652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30085861A1 (en) Gray scale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414204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63280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
US10283041B2 (en) Display device
KR102591274B1 (ko) 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433415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EP1995712A1 (en) Method for applying dithering to video data and display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JP2016045393A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950005948B1 (ko) 확대 계조 표현 구동 회로
JP2001166742A (ja) 液晶表示装置
JP201901210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画像処理方法、及びそれらを実装した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