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606B1 -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 Google Patents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606B1
KR100631606B1 KR20040087633A KR20040087633A KR100631606B1 KR 100631606 B1 KR100631606 B1 KR 100631606B1 KR 20040087633 A KR20040087633 A KR 20040087633A KR 20040087633 A KR20040087633 A KR 20040087633A KR 100631606 B1 KR100631606 B1 KR 10063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tting
voice
message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544A (ko
Inventor
임국찬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8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6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6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PTT 서비스를 실시할 때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 서버가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모든 단말기에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현재 사실을 알린 후, 그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고 그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모든 단말기에 전달하는 제1과정과; 다른 단말기에서 발언권 예약을 요청하면 발언권 예약을 허용하고 모든 단말기에 상기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예약 사실을 알린 후, 상기 단말기의 발언권이 해지될 때 대기 모드로 천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발언권을 예약한 단말기에 발언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발언권을 부여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METHOD FOR RESERVING THE RIGHT TO SPEAK IN PT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PTT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통 아이콘의 표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A,21B : 단말기 22 : PoC 서버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피티티(PTT:Push-To-Talk) 서비스를 실시할 때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음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예약 상황을 공통 아이콘을 통해 통화중인 모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PTT란 일종의 무전기 서비스와 같은 즉석 메신저 서비스로서, 그대로 스위치를 누르고 말하면서 즉시 간단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므로 일반 휴대폰의 대기시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매우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을 대상 으로 하는 무전서비스의 경우 즉, 한 사람이 휴대폰으로 말하는 것을 여러 사람이 각자의 휴대폰을 사용해 들을 수 있으며, 전화가 갖고 있는 1대1 통신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소규모의 그룹을 지정할 수 도 있고 1대1에 의한 무전통화도 물론 가능하다. 최근 들어, 인터넷메신저의 기능과 결합하여 무전기능이 없는 일반 휴대폰에서도 PTT 기능을 도입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PTT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TT 서비스를 제어하는 중앙서버인 PoC(PoC: PTT over Cellular)서버(12)가 대기(idle) 상태에 있을 때(S1),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1A) 상에서 PTT 키를 누르면(S2), 그 단말기(11A)는 PoC 서버(12)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Floor Request)를 전송한다(S3).
이에 따라, 상기 PoC 서버(12)는 발언권 대기 모드(Floor idle)에서 발언권 모드(Floor Taken)로 천이하고(S4), 상기 단말기(11A)에 발언권을 부여하기 위한 발언권 부여 메시지(Floor Grant)를 전송한다(S5).
이에 의해 상기 단말기(11A)는 발언권을 획득하게 되고,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S6) 상기 PoC 서버(12)측으로 전송하면(S7), 그 PoC 서버(12)는 상기 단말기(11A)로부터 전송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11B)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단말기(11A)에서 PTT 키가 해지(release)되면(S8), 그 단말기(11A)가 상기 PoC 서버(12)에 발언권 해지 메시지(Floor Release)를 전송하게 되고 (S9),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발언권을 갖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PoC 서버(12)는 발언권 모드(Floor Taken)에서 다시 다른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할당할 수 있는 발언권 대기 모드(Floor idle)로 천이하게 된다(S10).
이때, 상기 단말기(11B)의 사용자가 PTT 키를 누르면(S11), 그 단말기(11B)에서 PoC 서버(12)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Floor Request)를 전송한다(S12).
이에 따라, 상기 PoC 서버(12)는 발언권 대기 모드(Floor idle)에서 발언권 모드(Floor Taken)로 천이하고(S13), 상기 단말기(11B)에 발언권을 부여하기 위한 발언권 부여 메시지(Floor Grant)를 전송한다(S14).
이에 의해 상기 단말기(11B)는 발언권을 획득하게 되고, 그 단말기(11B)에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S15) 상기 PoC 서버(12)측으로 전송하면(S16), 이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11A)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상기 단말기(11A)의 사용자가 PTT 키를 눌러(S17) 이로부터 상기 PoC 서버(12)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Floor Request)가 전송되면(S18), 그 PoC 서버(12)에서는 현재 단말기(11B)에 발언권이 부여된 상태이므로 발언권을 줄 수 없다는 발언권 에러 메시지(Floor Denial)를 그 단말기(11A)에 전송한다(S19).
이후, 상기 단말기(11B)에서 PTT 키가 해지(release)되면(S20), 그 단말기(11B)가 상기 PoC 서버(12)에 발언권 해지 메시지(Floor Release)를 전송하게 되고(S21), 이에 의해 그 PoC 서버(12)는 다시 다른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할당 수 있 는 발언권 대기 모드(Floor idle)로 천이하게 된다(S22).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피티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는 반이중 통신이라는 특성상 발언자와 청취자의 구분이 명확하고, 발언권을 얻어야만 발언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발언자는 자신이 발언권을 해지하기 전까지 발언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정보를 알 수 없고, 발언하고자 하는 상대방은 반드시 현재 발언자가 송신을 끝낸 후 발언권을 요구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통신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TT 통신 서비스를 실시할 때, 대기중인 사용자들이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언권 예약 상황을 PTT 통화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공통 아이콘(ICON)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음 발언권이 어떤 사용자에게 할당될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발언권 예약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발언권 예약 상황을 PTT 통화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기 상에 공통 아이콘(ICON)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그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PoC 서버가 대기 상태로 전환될 때 발언권을 예약한 사 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어, 그 사용자가 PTT 키를 눌러 발언권을 얻어서 음성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은, PoC 서버가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모든 단말기에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현재 사실을 알린 후, 그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고 그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모든 단말기에 전달하는 제1과정과; 다른 단말기에서 발언권 예약을 요청하면 발언권 예약을 허용하고 모든 단말기에 상기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그 예약 사실을 알린 후, 상기 단말기의 발언권이 해지되면 대기 모드로 천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발언권을 예약한 단말기에 발언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발언권대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으면 발언권을 부여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언권 예약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TT 서비스를 제어하는 중앙서버인 PoC 서버(22)가 대기(idle)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1B) 상에서 PTT 키를 누르면, 그 단말기(21B)는 PoC 서버(22)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Floor Request)를 전송한다.(ST1-ST3)
이때, 상기 PoC 서버(22)는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공통 아이콘(Common Icon)을 전송하게 되므로,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공통 아이콘을 통해 단말기(21B)에 의해 발언권이 요청된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ST4,ST5)
이후, 상기 PoC 서버(22)는 발언권 모드(Floor Taken)로 천이하고, 상기 단말기(21B)에 발언권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언권 부여 메시지(Floor Grant)를 전송한다.(ST6,ST7)
이때,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21B)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PoC 서버(22)를 통해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므로, 각 사용자들은 그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ST8,ST9)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상대방 사용자가 발언권을 예약하기 위해 자신의 단말기(21A) 상에서 PTT 키를 누르면, 그 단말기(21A)는 상기 PoC 서버(22)에 발언권예약 신청메시지(Floor Reserve)를 전송한다.(ST10,ST11)
따라서, 상기 PoC 서버(22)는 발언권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21A)로부터 발언권 예약 메시지(Floor Reserve)를 전송받은 후 발언권 예약을 허용하기 위한 발언권예약 허용메시지(Floor Reserve Grant)를 전송한다.(ST12,ST13)
이때, 상기 PoC 서버(22)는 현재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도 3과 같은 형태의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게 되므로, 단말기(21A)의 발언권 예약 사실을 모든 사용자들이 인식할 수 있게 된다.(ST14)
이후, 상기 사용자가 발언권을 해지하기 위해 자신의 단말기(21B)에서 PTT 키를 누르면, 그 단말기(21B)는 상기 PoC 서버(22)에 발언권 해지 메시지(Floor Release)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의해 그 PoC 서버(22)는 다시 다른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할당 수 있는 발언권 대기 모드(Floor idle)로 천이하게 된다(ST15-ST17).
이와 동시에, 상기 PoC 서버(22)는 발언권이 예약된 상기 단말기(21A)에 발 언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발언권대기 통지 메시지(Floor Idle Notice)를 전송하게 된다.(ST18)
이때,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1A)에서 PTT 키를 누르게 되고, 그 단말기(21A)는 PoC 서버(22)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Floor Request)를 전송한다.(ST19-ST20)
이에 따라, 상기 PoC 서버(22)는 다시 발언권 모드(Floor Taken)로 천이하고, 상기 단말기(21A)에 발언권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언권 부여 메시지(Floor Grant)를 전송한다.(ST21,S22)
한편, 상기 도 3은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21A-21E)에서의 상기 공통 아이콘 화면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단말기(21B)에서 발언권을 획득하여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동안, 상대방 단말기(21A)가 PoC 서버(22)에 발언권 예약을 신청하여 승인되면, 그 PoC 서버(22)가 예약 상황을 모드 단말기에 전송함과 아울러 도 3과 같은 아이콘 화면을 전송한다.
도 3에서, 단말기(21B)는 현재 발언권을 가지고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으며, 단말기(21A)는 발언권을 예약하여 상기 단말기(21B)의 발언권이 해지되면, 다음에 발언권을 할당받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아이콘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T 통신 서비스를 실시할 때, 대기중인 사용자들이 발언권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언권 예약 상황을 PTT 통화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 공통 아이콘(ICON)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다음 발언권이 어떤 사용자에게 할당될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언권 할당을 위한 지연시간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하여 PTT 통신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앙 서버가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모든 단말기에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현재 사실을 알린 후, 그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고 그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모든 단말기에 전달하는 제1과정과;
    다른 단말기에서 발언권 예약을 요청하면 발언권 예약을 허용하고 모든 단말기에 상기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예약 사실을 알린 후, 상기 단말기의 발언권이 해지될 때 대기 모드로 천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발언권을 예약한 단말기에 발언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발언권을 부여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통 아이콘은 PTT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를 표시하고, 현재 어떤 단말기가 발언권을 부여받았고, 어떤 단말기가 발언권을 예약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PTT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서버가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현재 발언권이 요청된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서버가 발언권 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단말기에 발언권 부여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를 모든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상기 다른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PTT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에 발언권예약 신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발언권 예약을 허용하기 위한 발언권예약 허용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PTT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상기 공통 아이콘을 전송하여 예약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발언권 해지 메시지를 전송받아 발언권 대기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상기 중앙 서버가 발언권이 예약된 상기 단말기에 발언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PTT 키신호가 입력받아 상기 중앙 서버에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언권 부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5. 삭제
KR20040087633A 2004-10-30 2004-10-30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KR10063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7633A KR100631606B1 (ko) 2004-10-30 2004-10-30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7633A KR100631606B1 (ko) 2004-10-30 2004-10-30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544A KR20060038544A (ko) 2006-05-04
KR100631606B1 true KR100631606B1 (ko) 2006-10-09

Family

ID=3714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7633A KR100631606B1 (ko) 2004-10-30 2004-10-30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67B1 (ko) * 2006-05-19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Sip기반의 통신 서비스에서의 세션초대 예약장치 및방법
KR100948799B1 (ko) 2006-08-07 201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방향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JP6634804B2 (ja) * 2015-12-09 2020-01-2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サーバ装置、端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064A1 (en) * 2001-10-22 2003-04-24 Chan Victor H. System and method for queuing talk requests in wireless dispatch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064A1 (en) * 2001-10-22 2003-04-24 Chan Victor H. System and method for queuing talk requests in wireless dispatc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544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2541B1 (en) Half-duplex to full-duplex transitioning in network based instant connect communication
EP1911303B1 (en) Controlling user's floor
US7747268B2 (en) Handling talk burst denials in group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TT service
CN101027880B (zh) 基于蜂窝上的即按即说用户的应答模式的呼叫处理系统和方法
CA2550110C (en) Poc server, poc terminal, floor control method, and poc terminal control method
EP1747691B1 (en) Push-to-talk reverse channel establishment
WO2007109984A1 (fr) Procédé pour traiter la file d'attente de flux multimédia grâce à un pilotag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KR20080004572A (ko) 애드 혹 위치 기반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1147408A (zh) 按键通话移动通信业务中的应答模式
EP1622406B1 (en) Providing talk burst authority in group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tt service
KR20060067053A (ko)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사용자 발언 시간 사용 방법 및그 시스템
JP5186922B2 (ja) Push−to−Talk端末、サーバ装置及び発言権取得端末の通知方法
WO2006049209A1 (ja) 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
CN100370849C (zh) 对PoC发言请求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KR2008007388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7012265A1 (fr) Procédé et système pour réaliser une conversation en temps réel
KR100631606B1 (ko) 피티티의 발언권 예약 방법
EP1994775B1 (en)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floor control for group calls between a dispatch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cellular telephone communications network
JP4413201B2 (ja) サーバー及び無線通信端末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672336B1 (ko)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KR2006001688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200800640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