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577B1 -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577B1
KR100630577B1 KR1020050019319A KR20050019319A KR100630577B1 KR 100630577 B1 KR100630577 B1 KR 100630577B1 KR 1020050019319 A KR1020050019319 A KR 1020050019319A KR 20050019319 A KR20050019319 A KR 20050019319A KR 100630577 B1 KR100630577 B1 KR 10063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bulance
switch
control panel
centralized controll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090A (ko
Inventor
이병집
Original Assignee
(주)무선스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선스포트 filed Critical (주)무선스포트
Priority to KR102005001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5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구급차 콘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급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치들을 통합 구성하여 하나의 콘트롤 박스에서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토록 한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구급차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 및 콘트롤 장비들은 각기 별개의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도 각각 별개로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구급차량 제작 시 그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이 증대되며, 고장 발생이 심하고, 고장시 복잡한 배선구성으로 A/S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자기진단 장치를 구성할 수 없어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급활동에 필요한 여러 장치들을 하나의 제어회로로 통합 구성하고 상기 장치들을 구급차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구급차 콘트롤러 장치.

Description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Controller used in an ambul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입력감지부 2 : 고장감지부
3 : A/D변환부 4 :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
5 :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 6 : 메인 배전반 중앙처리장치
7 : 제1출력부 8 : 제2출력부
9 : 제3출력부 10 : RF무선수신부
11 : RF무선리모콘 12 : 옵션스위치부
본 발명은 구급차 콘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급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치들을 통합 구성하여 하나의 콘트롤 박스에서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토록 한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급차에는 구급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장착되고, 또한 구급차에는 상기 각 장치들을 조작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트롤 장비들이 장착되게 되는데, 예를 들면 흡인기 AC 인버터, AC/DC 볼트메타, 환풍기, 이동조명등(회전조명등), 실내등, 에어콘, 히터, 선풍기, 후방감시카메라/환자실카메라, 인터컴, 각종 조명장치, 시각경고장치, 음향경고장치, 고장표시램프 등이 부착됨으로써 구급차량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급차 운전석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 및 콘트롤 장비들은 각기 별개의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도 각각 별개로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구급차량 제작 시 그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이 증대되며, 고장 발생이 심하고, 고장 시 복잡한 배선구성으로 A/S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자기진단 장치를 구성할 수 없어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콘트롤 장비들이 차량 운전석 내부 곳곳에 분산되어 장착됨으로써 차량과 미관상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하고 조작시간이 지연되면서 구급활동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급활동에 필요한 여러 장치들을 하나의 제어회로로 통합 구성하고 상기 장치들을 구급차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 장치는 구급차에 장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입력감지부(1)와, 구급차의 각종 고장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고장감지부(2)와, 상기 센서입력감지부(1) 및 고장감지부(2)로부터 입력받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배전반의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는 A/D변환부(3)와, 상기 A/D변환부(3)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6)와, 다수 개의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각종 입/출력 값을 표출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6)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다수 개의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병렬 연계되어 중앙처리장치(6)로 환자실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과,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시각경고장치, 음향경고장치, 조명장치, 후방 및 실내감시카메라, TV, 네비게이션 선택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출력부(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흡인기, 환풍기, 실내등, AC인버터, 이동조명등, 선풍기, 에어콘, 히터, 소형냉장고, 자동분무소독기, 도어열림표시등, 방진베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출력부(8)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AC/DC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고장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출력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입력감지부(1)는 도어열림, 후진기어, 미등검출, 사이드브레이크, 기어중립(파킹), 차량움직임 감지, 주야간 감지 등의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 센서로부터 측정대상의 상태변화에 따른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후 A/D변환부(3)를 거쳐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고장감지부(2)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의 각종 회로단선유무 및 단말장치 고장전류, 전체소비전류, 시각경고장치의 점등유무 등을 상시 체크함으로써 고장 발생 시 고장감지신호를 A/D변환부(3)를 거쳐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 및 상기 조작반(4)과 병렬 연계되어 작동하는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은 각종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광등 작동 및 방향별 선택 스위치, 각종 조명장치 작동 및 방향별 선택 스위치, 후방 및 실내카메라, TV, 네비게이션, 선택 스위치, 흡인기, 환풍기, 실내 등, AC인버터, 이동조명등(회전조명등), 선풍기, 에어콘, 히터, 소형냉장고, 환자실을 소독하는 자동분무소독기, 도여열림표시등, 방진베드, 회로단선, 단말장비고장감지 표시장치, 시각경고램프 점등유무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각 조작반(4)(5)의 조작스위치는 먼지와 습기에 강하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멤브레인(Membrane) 키보드 및 멤브레인 텍 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반의 전체적인 크기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각 조작스위치별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모든 스위치는 백라이트(backlight) 기능이 있어서 차량의 미등 작동시 내부 조명이 점등되어 야간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음향경고장치 선택 버튼으로 경찰, 소방, 병원에서 주로 쓰는 3음색을 이중화로구성 같은 경찰, 소방, 병원 음색이라도 차이를 주어 2개 이상의 선택기능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경계음으로 쓰는 단음의 쑈트 싸이렌 음색 외에 '뚜우뚜우'소리의 강력 부저음향과, '빵~'소리의 뱃고동 음향선택 기능이 있으며, 이 외에 음성으로 '웽~ 웽~ 화재출동 웽~ 웽~ 긴급출동'소리와 싸이렌 음향 중간 또는 선택에 따라 음성이 송출되는 음성 경고 기능으로 음성저장 및 선택스위치가 있다.
이 때, 상기 음성 경고 기능 중에는 음성저장을 수시로 저장 및 변경할 수 있고 반복 재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긴급출동 시 1개의 버튼으로 음향경고와 시각경고를 동시 작동시키는 긴급스위치 기능이 있고, 상기 긴급스위치를 이용한 음향경고의 음향선택은 수시로 변경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각경고 스위치 기능으로는 전면 그릴비상등, 교차등, 장방향 경광등, 측후면 경광등을 모두 동시에 ON/OFF 작동시키거나 각기 개별로 ON/OFF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특히 야간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야간 경광등 스위치를 구비하였는데, 상기 야간 경광등 스위치 기능으로는 시각 경고등의 밝기와 발광스피드를 동시에 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음향경고장치의 일원인 모터 싸이렌 작동스위치는 1개의 버튼으로 자기유지동작 스위치 기능과 자기복귀형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겸용기능으로 스위치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하여 필요에 따라 모터 싸이렌을 짧게 사용할 때는 자기복귀형 기능으로 사용하고, 모터 싸이렌을 길게 사용할 때는 자기유지형으로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조명등 스위치와 차체 작업등 스위치는 1개의 버튼으로 한번 터치하면 측면 좌우측과 후미 작업등이 동시에 점등되고, 두 번 터치하면 측면 좌측 작업등만이, 또 한번 터치하면 측면 우측 작업등만이, 또 한번 터치하면 후면 작업등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방향별 작업등 선택 기능이 있으며 어느 모드에서나 0.3초 이상을 누르게 되면 소등되도록 하였다.
LED 경광등 스위치 기능은 한번 누르면 0.6초내로 빠르게 3회씩 연속 점멸 좌우 교번 되고, 두 번 누르면 0.6초내로 느리게 좌우 교번 되는 것이다.
전조등 하이빔 점멸 스위치 기능은 0.3초 이하로 짧게 누르면 전조등 좌우가 0.8초 내에 3회 연속 주기적으로 경고 점멸되며, 스위치를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조등 좌우가 0.8초 내에 교번하며 점멸하는 기능이다.
서치라이트 조작스위치는 상하 좌우, 광폭대소, 원격 조절 리모컨 선택, 라이트 켜짐 꺼짐 스위치가 있는데, 특히 상하 좌우 스위치는 상 또는 하 버튼과 좌 또는 우 버튼을 동시에 눌러도 작동되는 8방향식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 및 실내 감시카메라 동작스위치는 한 번 터치를 하게 되면 카메라와 모니터(TV)를 동시에 작동시켜 후방의 사물을 감시할 수 있게 되며, 두 번 터치 시 모니터(TV)만 작동시키고 후방감시카메라의 셔터는 작동시키지 않게 하여 모니터 시청 시 불필요하게 카메라 셔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였고,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세 번 터치 시 네비게이션이 작동되는 기능으로 구분되는 순번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고, 또한 어느 모드에서나 0.3초 이상 길게 누르면 기능이 해지된다.
고장감지 표시장치는 전기회로상의 과전류 또는 회로 단선 등의 고장이 발생했음을 점멸 표시하는 장치이다.
시각경고램프 점등 유무 표시장치는 다량의 시각경고램프로 구성되어 어느 부분의 시각경고램프가 작동을 멈추어도 표시가 잘 나지 않던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조작반 내에 발광되지 않는 램프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점멸 표시되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의 구급차는 구급활동에 필요한 각기 기능을 작동시킬 때마다 소비전력이 상승되어 지는데도 불구하고 엔진 RPM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장시간 사 용시 차량 밧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중앙집중식 구급차 콘트롤러에 구비된 구급차의 전력 자동 상승 및 하강장치는 구급차의 소비전력을 션트 및 CT 등으로 감지하거나 스위치 동작에 의해 소비전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중앙처리장치(6)에서 자동으로 차량 RPM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급격한 소비전력 상승에 따른 차량 밧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 기어 중립 상태와 사이드 브레이크 위치를 감지한 후 작동되는 것이다.
시각경고장치 자동 조절 기능은 차량 운행 중에 브레이크, 기어 중립 및 차량움직임 센서 등을 통해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신호가 감지되면 시각경고장치의 밝기 및 발광 속도가 가감됨으로써 타 차량의 시야 간섭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주야 감지센서 기능은 주야간 빛을 감지하여 시각경고등의 발광 스피드와 밝기를 감소시키는 기능으로 타 차량의 시야간섭을 야간에 줄여주는 것이다.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환풍기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한 번을 누르면 배기 모드가 되고, 두 번을 누르면 2초 이상의 지연 시간을 두고 흡기 모드가 되는데,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된다.
또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실내등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밝기가 HI모드 가 되고, 두 번을 누르면 LOW모드 가 되는데,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된다.
또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회전조명등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을 누르면 환자실 내 전후의 회전조명등이 모두 점등되고, 두 번을 누르면 전면의 조명등만 점등되고, 세 번을 누르면 후면의 조명등만 점등되고, 네 번 누르면 소등되는 것으로,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된다.
또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에어콘 및 히터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을 누르면 LOW모드, 두 번 누르면 MID모드, 세 번 누르면 HI모드로 동작되고, 네 번을 누르면 OFF 되는 것으로,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된다.
또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차체 작업등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을 누르면 측후면 작업등이 모두 점등되고, 두 번을 누르면 운적석 측명등이 점등되고, 세 번을 누르면 조수석 측면등이 점등되고, 네 번 누르면 후미등이 점등되고, 다섯 번 누르면 소등되는 것으로,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된다.
또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선풍기 스위치는 상호 연동 기능으로 운전석에서 켜고 환자실에서 끌 수 있는 상호 연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 및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조작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유ID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를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RF무선리모컨(11)과, 상기 RF무선리모컨(11)으로부터 무선전파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는 RF무선수신부(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RF무선리모컨(11)은 상기 중앙집중식 조작반 및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조작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각 조작반의 일부기능, 예를 들어 각종 조명장치, 음향경고장치, 시각경고장치, 음성홍보 및 경고장치 등 리모컨이 필요한 주요 기능을 원격으로 조작함으로써 구급활동을 더욱 용이하게 한 것이다.
옵션 스위치부(12)는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 내 시각경고 스위치와 음향경고 스위치의 일부 기능을 차량 기어체인지레버 손잡이 및 운전대에서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장착되어 차량 운행 시 경고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급차 중앙집중식 컨트롤러는 그 시스템 구성요소를 하나의 단일화된 구조로 표준화를 이루어 생산성을 높이고,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 및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에서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황이 표출 됨과 동시에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동작이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자가진단기능이 있어 고장부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구급차에 장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입력감지부(1)와, 구급차의 각종 고장감지신호를 입력받는 고장감지부(2)와, 상기 센서입력감지부(1) 및 고장감지부(2)로부터 입력받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배전반의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는 A/D변환부(3)와, 상기 A/D변환부(3)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6)와, 다수 개의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각종 입/출력 값을 표출하거나 상기 중앙처리장치(6)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다수 개의 조작스위치 및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병렬 연계되어 중앙처리장치(6)로 환자실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과,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시각경고장치, 음향경고장치, 조명장치, 후방 및 실내감시카메라, TV, 네비게이션 선택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출력부(7)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흡인기, 환풍기, 실내등, AC인버터, 이동조명등, 선풍기, 에어콘, 히터, 소형냉장고, 자동분무소독기, 도어열림표시등, 방진베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출력부(8)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에서 분석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시켜 AC/DC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고장을 표시하는 표시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출력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입력감지부(1)는 도어열림, 후진기어, 미등검출, 사이드브레이크, 기어중립, 차량움직임, 주야간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감지부(2)는 구급차 내의 각종 회로단선유무 및 단말장치 고장전류, 전체소비전류, 시각경고장치의 점등유무를 상시 체크하여 고장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의 조작스위치는 멤브레인 키보드 및 멤브레인 텍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조작스위치는 멤브레인 키보드 및 멤브레인 텍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6. 제 4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는 차량의 미등과 연동되어 내부 조명이 점등되는 백라이트 기능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한 개의 스위치로 누르는 시간에 따라 자기유지동작 스위치 기능과 자기복귀형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모터 싸이렌 작동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한번 누르면 0.6초 내에 빠르게 3회씩 연속 점멸 좌우 교번되고, 두 번 누르면 0.6초 내에 느리게 좌우 교번되는 기능이 있는 LED 경광등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스위치를 0.3초 이하로 짧게 누르면 전조등 좌우가 0.8초 내에 3회 연속 주기적으로 경고 점멸되고, 스위치를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조등 좌우가 0.8초 내에 교번하며 점멸하는 기능이 있는 전조등 하이빔 점멸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서치라이트의 상하 좌우 및 광폭 대소 조절, 원격 조절 리모컨 선택, 라이트 ON/OFF 기능이 있는 서치라이트 조작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서치라이트 조작스위치 중에 상하 좌우 스위치는 상 또는 하 버튼과 좌 또는 우 버튼을 동시에 눌러도 같이 작동될 수 있도록 8 방향식 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한 번 터치하면 카메라 및 모니터를 동시에 작동시키고, 두 번 터치하면 모니터만 작동시키며, 세 번 터치 시 네비게이션이 작동되고, 어느 모드에서나 0.3초 이상 길게 누르면 기능이 해지되면서 실내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후방 및 실내 감시카메라 동작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구급차의 전기회로상의 과전류, 회로단선 등의 고장 발생 상황을 램프로 점멸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고장감지 표시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에는 구급차에 장착된 다수 개의 시각경고램프 중 발광되지 않는 시각경고램프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점멸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시각경고램프 점등 유무 표시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에는 상호 연동되며, 한 개의 스위치로 한 번 누르면 측후면 작업등이 동시에 점등되고, 두 번 누르면 운전석 측면등이 점등되고, 세 번 누르면 조수석 측면등이 점등되고, 네 번 누르면 후미등이 점등되고, 다섯 번 누르면 소등이 되고, 어느 모드에서나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소등이 되는 기능이 있는 차체 작업등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에는 상호 연동되며, 한 번을 누르면 배기 모드가 되고, 두 번을 누르면 2초 이상의 지연 시간을 두고 흡기 모드가 되는데,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되는 기능이 있는 환풍기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에는 상호 연동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밝기가 HI모드 가 되고, 두 번을 누르면 LOW모드 가 되는데,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되는 기능이 있는 실내등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과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에는 상호 연동되며, 스위치 버튼을 한 번을 누르면 환자실 내 전후의 회전조명등이 모두 점등되고, 두 번을 누르면 전면의 조명등만 점등되고, 세 번을 누르면 후면의 조명등만 점등되고, 네 번 누르면 소등되는 것으로, 이 때 어느 모드에서나 스위치를 0.5초 이상 누르게 되면 정지가 되는 기능이 있는 회전조명등 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제 1항에 있어서,
    구급차의 소비전력을 션트 및 CT 등으로 감지하거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소 비전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중앙처리장치(6)에서 자동으로 차량 RPM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전력 자동 상승 및 하강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운행중에 브레이크, 기어 중립 및 차량움직임 센서로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신호가 감지되면 시각경고장치의 밝기와 발광속도를 자동으로 가감시키는 조절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 내의 시각경고 스위치와 음향경고 스위치의 일부 기능을 차량 기어체인지레버 손잡이 및 운전대에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장착된 옵션 스위치부(12)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중앙집중식 조작반(4) 및 환자실 중앙집중식 조작반(5)의 조작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유ID신호 및 각종 제어신호를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RF무선리모컨(11)과, 상기 RF무선리모컨(11)으로부터 무선전파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6)로 전달하는 RF무선수신부(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KR1020050019319A 2005-03-08 2005-03-08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KR10063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19A KR100630577B1 (ko) 2005-03-08 2005-03-08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19A KR100630577B1 (ko) 2005-03-08 2005-03-08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0A KR20060098090A (ko) 2006-09-18
KR100630577B1 true KR100630577B1 (ko) 2006-10-02

Family

ID=3762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319A KR100630577B1 (ko) 2005-03-08 2005-03-08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61B1 (ko) * 2011-04-21 2013-03-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실내 카메라와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411196B1 (ko) * 2020-12-10 2022-06-22 신양화 자가진단이 가능한 구급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0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7941A (en) Traffic control system and kit
US988979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warning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warning signals
CN205302544U (zh) 结合照明装置多功能的居家监控系统
TW201724039A (zh) 結合照明裝置多功能的居家監控系統
KR10066757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소방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KR100630577B1 (ko) 구급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US6667686B2 (en) Child safety device for buses
JP200802782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2231465A (ja) 照明システム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0621835B1 (ko) 소방차 중앙집중식 콘트롤러 장치.
US20160183352A9 (en) Multi-zone control system
CN213420875U (zh) 一种监测和报警一体化的智慧路灯
WO2017101747A1 (zh) 结合照明装置多功能的居家监控系统
WO2013045189A1 (en) A sensing unit,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sensing unit and an illuminating system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TWM444572U (zh) 智慧型緊急指示照明燈及系統
CN211531396U (zh) 轮椅灯光控制器及轮椅
CN207266345U (zh) 双色三档室内灯控制电路
JPH0574575A (ja) 戸外照明自動制御システム
CN212696242U (zh) 智能室外灯控制器组合电路
JP3073478U (ja) 電子サイレンアンプ
JP3148262U (ja) 警報器
CN200990514Y (zh) 具有防盗求救功能的停电照明设备
JP4477812B2 (ja) 施解錠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