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379B1 - 노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노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379B1
KR100630379B1 KR1020050006210A KR20050006210A KR100630379B1 KR 100630379 B1 KR100630379 B1 KR 100630379B1 KR 1020050006210 A KR1020050006210 A KR 1020050006210A KR 20050006210 A KR20050006210 A KR 20050006210A KR 100630379 B1 KR100630379 B1 KR 10063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protrusion
guide
type writing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375A (ko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5000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부품(노크부, 손잡이부)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조립 및 작동에 의해 분실 우려가 적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비도 저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한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누름부를 눌러 본체로부터 펜심을 돌출 및 퇴몰시키되, 일측에는 펜심과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펜심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삽입된 펜심이 출몰되도록 펜심출몰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일측에 펜심이 삽입되도록 펜심삽통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상기 손잡이부의 펜심삽입구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맞물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노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노크, 펜심, 출몰

Description

노크식 필기구{WRITING TOOLS OF KNOCK TYPE}
도 1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손잡이부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부의 사시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결합상태에서의 측면도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 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왼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오른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본체 2 : 스프링
3 : 펜심 10 : 제1가이드부
11 : 제1가이드홈 12 : 제1경사
13 : 제1걸림모서리 14 : 제2경사
15 : 제2가이드홈 16 : 안착부
17 : 제3가이드홈 20 : 제2가이드부
21 : 병목부 22 : 제3경사
23 : 하측부 24 : 단턱
25 : 제4경사 26 : 제5경사
30 : 제1돌출부 31 : 돌출모서리
32 : 제6경사 33 : 제7경사
34 : 하측부 40 : 제2돌출부
41 : 상단면 42 : 제8경사
43 : 제2걸림모서리 44 : 제2돌출부받침대
100 : 손잡이부 110 : 펜심출몰구
120 : 스프링지지턱 130 : 펜심삽입구
200 : 노크부 210 : 클립부
220 : 몸체 230 : 펜심걸림턱
240 : 누름부 250 : 펜심삽통구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볼펜이나 샤아프펜슬과 같은 필기구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버튼을 눌러 펜심을 본체로부터 돌출 및 퇴몰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펜심과 스프링, 펜심케이스, 조작버튼 및 상하부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버튼을 갖는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조작버튼을 눌러 펜심을 돌출시키고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한번 조작버튼을 눌러서 펜심을 퇴몰시켜 휴대한다.
이러한 조작버튼은 대게 노크와 기어를 동작하여 펜심을 돌출 및 퇴몰시키도록 한다.
서로 맞물린 노크와 기어가 상부케이스 내부의 걸림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에 힘을 가해 누르면, 노크와 기어가 걸림홈으로부터 탈착되어 조작버튼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그리고 조작버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노크와 기어가 회전하면서 상부케이스의 걸림턱에 기어의 돌출부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펜심이 노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부로 밀려서 하부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한다.
사용을 완료한 반대의 경우는 사용자가 조작버튼에 힘을 가해 누르면, 노크와 기어가 걸림턱으로부터 탈착되어 조작버튼이 눌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그리고 조작버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노크와 기어가 회전하면서 상부케이 스의 걸림홈에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탄성부가 탄성력을 잃게 되므로 펜심이 하부케이스의 내부로 퇴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노크식 필기구는 대부분 펜심 케이스, 조작버튼 및 상 하부 케이스 등의 3피스 혹은 4피스의 구성멤버들로 구성되어 있어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에 품이 많이 들고 제조비용도 비싸며 조립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해당하는 부품수가 2개로 구성되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해당하는 부품수를 2개로 하여 조립 및 작동되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누름부를 눌러 본체로부터 펜심을 돌출 및 퇴몰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펜심과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펜심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단에는 삽입된 펜심이 출몰되도록 펜심출몰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일측단에 펜심이 삽입되도록 펜심삽통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상기 손잡이부의 펜심삽입구로 일부 삽입되 어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맞물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노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크부의 돌출부는 상기 노크부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돌출부와; 상기 노크부의 클립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의 가이드부는 다수개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노크부의 제1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아래에 뚫려져 있는 다각형 형상의 공간과 접하는 부분이며, 노크부의 제2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1돌출부의 경사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경사와; 상기 제1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제1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모서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돌출부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단턱과; 상기 제2돌출부의 경사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경사와; 상기 제2돌출부와 맞물려 상기 제2돌출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병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손잡이부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부의 사시도이고,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결합상태에서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f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f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왼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f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오른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본체(1)는 손잡이부(100)와 노크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노크 작동에 의해 본체(1)의 일부가 휘더라도 부러지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플라스틱이나 아크릴과 같은 탄성계수율 및 휨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있다.
또한 펜심이 출몰되는 머리부분은 앞부분이 되고 반대 끝단은 뒷부분이 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 측 끝단이 개구되어 있는 긴 원통형으로 제1가이드부(10), 제2가이드부(20), 펜심출몰구(110), 스프링지지턱(120), 펜심삽입구(130)를 일체로 사출성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는 다수개의 가이드홈과 경사가 형성된 요철이며 노크 부(200)의 제1돌출부(30)와 대우관계에 있어 상기 제1돌출부(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20)는 상기 제1가이드부(10)의 아래에 뚫려져 있는 다각형 형상의 공간과 접하는 부분이며 노크부(200)의 제2돌출부(40 : 도3에 도시)와 대우관계에 있어 상기 제2돌출부(40)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펜심출몰구(110)는 상기 손잡이부(100)에 내장된 펜심이 노크 작동에 의해 돌출 및 퇴몰되는 출입구이며, 상기 펜심삽입구(130)는 상기 손잡이부(100)에 펜심과 스프링을 삽입 및 배출하는 출입구이다.
또한 스프링지지턱(120)은 상기 손잡이부(100)의 내부로 스프링을 삽입했을 때 스프링 일측단이 상기 손잡이부(100) 내부에 고정되게 걸려있어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스프링이 자리를 이탈하거나 밀리지 않도록 손잡이부의 내벽에 성형되어 있는 단턱이다.
상기 노크부(200)는 상기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삽통되는 몸체(220), 손잡이부(200)의 외부에 나와있는 클립부(210), 누름부(240)로 구성되며 이들을 일체로 사출성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누름부(240)는 상기 노크부(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펜심을 출몰시키기 위해 누르는 곳이다.
상기 누름부(240)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클립부(210)는 제 1돌출부(30)를 형성하고 있으며, 필기구를 종이나 옷깃에 꽂기 위해 필기구에 부착되어 있는 통상적인 클립이다.
상기 제1돌출부(30)는 상기 클립부(210)의 안쪽면(상기 손잡이부와 마주보는 면)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부(100)의 제1가이드부(10)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몸체(220)는 펜심걸림턱(230 : 도 4에 도시), 펜심삽통구(250 : 도 3에 도시), 제2돌출부(40 : 제1가이드부에 의해 가려져 도시되지 않음 - 도 3 참조)를 일체로 사출성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2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이며 일측단은 상기 누름부(24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타측단은 펜심삽통구(250 : 도 4 참조)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펜심삽통구(250)로 펜심의 후단부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펜심걸림턱(230)이 몸체 내벽에 단턱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펜심이 상기 펜심삽통구(250)를 통해 삽입되다가 펜심걸림턱(230)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손잡이부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크식 필기구의 손잡이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10)는 제1가이드홈(11), 제1경사(12), 제1걸림모서리(13), 제2경사(14), 제2가이드홈(15), 안착부(16), 제3가이드홈(17)을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은 상기 노크부(200)의 제1돌출부(30)의 이동경로가 되므로 제1돌출부(30)의 크기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6)는 상기 제1가이드부(10)의 상단중앙에 위치한 돌출된 빗면이다.
상기 제1가이드홈(11)은 상기 안착부(16)의 우측하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수직되게 파여 있는 양측끝단이 개구된 긴 홈이며 상기 제1가이드부(10)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상기 손잡이부(100)의 외표면에서부터 높이 솟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12)는 상기 제1가이드홈(11)의 하단에서 시작하여 좌측으로 2°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빗면이며, 상기 제1경사(12)의 끝단에 형성된 모서리인 상기 제1걸림모서리(13)를 기점으로 40°정도의 하향경사인 상기 제2경사(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경사(12)와 제2경사(14)는 제1돌출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턱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100)의 제2돌출부받침대(44)가 긴장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가이드홈(15)은 상기 제2경사(14)의 좌측에서 시작하여 수직으로 파여있는 양측끝단이 개구된 긴 홈이다.
상기 제3가이드홈(17)은 상기 안착부(16)의 우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가이드홈(11)의 우측을 따라 파여 있는 긴 홈이다.
상기 제2가이드부(20)는 병목부(21), 제3경사(22), 하측부(23), 단턱(24), 제4경사(25), 제5경사(26)를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20)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손잡이부(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성형되어 있는 상기 제1가이드부(10)와는 달리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되게 뚫려 생성된 공간과 접하고 있다.
상기 병목부(21)는 상기 제2가이드부(2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돌출부(40)가 상기 병목부(21)의 하단으로 삽입되어 맞물리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2돌출부(40)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경사(22)는 상기 병목부(21)의 우측 하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가이드홈(17) 하단의 우측벽까지 45°정도의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부(23)는 제2가이드부(20)의 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하측부(23)상의 좌측에는 단턱(24)이 'ㄱ'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24)의 좌측으로 제4경사(25)가 하향으로 경사져 상기 하측부(23)와 만나도록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제5경사(26)는 상기 병목부(21)의 좌측하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가이드홈의 좌측벽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부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또한 일부 확대도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노크부의 사시도에서 부분적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노크부를 반시계방향으로 45°정도 돌린 상태의 확대도이다.
상기 노크부(200)의 제1돌출부(30)는 돌출모서리(31), 제6경사(32), 제7경사(33), 하측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모서리(31)는 상기 제1돌출부(3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모서리(31)를 기점으로 우측에 제6경사(3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에 제7 경사(3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6경사(32)는 상기 제1경사(12)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이며 상기 제7경사(33)는 상기 제2경사(14)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부(34)는 상기 제1돌출부(30)의 하단에 위치한 평활한 형상의 밑면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노크부(200)의 제2돌출부(40)는 상단면(41), 제8경사(42), 제2걸림모서리(43), 제2돌출부받침대(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단면(41)은 평활한 평면이며 상기 상단면(41)의 양끝단에서 라운드되게 90°꺾여서 우측벽과 좌측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40)의 하단에는 경사로 형성된 제8경사(42), 90°로 형성된 제2걸림모서리(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는 '∩'형상의 일종의 기판이며 상단 중앙에 상기 제2돌출부(4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의 '∩'형상 테두리를 따라 2mm의 폭을 갖는 공간부가 뚫려 있어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가 독자적으로 쉽게 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결합상태에서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손잡이부(100)의 펜심삽입구(130)를 통해 내부로 스프링(2)과 펜심(3)을 삽입하게 되며, 삽입된 스프링(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지지턱(1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펜심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걸리 게 된다.
상기 펜심의 단턱은 삽입된 상기 스프링(2)의 타측 단부에 걸려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펜심출몰구(110)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스프링(2)과 상기 펜심(3)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노크부(200)의 펜심삽통구(250)를 상기 손잡이부(100)의 펜심삽입구(130)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노크부(200)의 펜심삽통구(250)로 상기 펜심(3)의 끝단이 삽입되며 상기 펜심삽통구(250)를 포함한 상기 노크부(200)의 일부는 상기 손잡이부(100)에 삽입되다가 상기 제2돌출부(40)가 상기 펜심삽입구(13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강제로 상기 노크부(200)를 상기 손잡이부(10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가 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제2돌출부(40)가 상기 노크부(200)의 내부로 밀리게 되어 삽입이 진행된다.
계속적으로 삽입되다가 상기 제2돌출부(40)는 상기 제2가이드부(20)의 병목부(21)로 돌출되게 튀어 나오면서 제2돌출부받침대(44)의 형태가 복원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스프링은 상기 펜심(3)과 일체로 움직이는 상기 노크부(200)를 밀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더 이상 상기 노크부(200)는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1돌출부(30)는 상기 안착부(16)에 걸려 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30)와 상기 제2돌출부(40)가 각각 안착부(16)와 병목부(21)에 걸려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삽입 혹은 이탈이 진행되지 않는 결 합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펜심(3)의 끝부분은 상기 노크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펜심걸림턱(230)에 걸려 있으며 상기 펜심(3)의 앞부분은 스프링(2)에 걸리게 되어 노크부(200)와 펜심(3)이 일체로 상하수직이동을 하게 된다.
도 5a에서 도 7f까지 도시되어 있는 우측의 단면도는 노크부와 손잡이부의 결합관계를 보다 쉽게 파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노크부(200)의 전체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제1돌출부(30)와 제2돌출부(40)의 단면, 제2돌출부(40)와 부착되어 있는 제2돌출부받침대(44)만이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서 도 7f까지 도시되어 있는 작동단계 중 제2돌출부받침대(44)와 결합된 노크부(200)의 일부가 상기 손잡이부(100) 좌측으로 돌출되게 표시된 것은 손잡이부(100)로부터 노크부(200)가 좌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도 함께 회전하게 됨을 단면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이지 실제로 상기 노크부(200)가 손잡이부(100)의 좌측으로 튀어나오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f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 작동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 확대단면도를 동일한 도면에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노크 작동이라 함은 외부의 힘으로 상기 노크부(200)의 누름부(240)에 노크식 필기구의 앞방향으로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노크부(200)의 일부가 손잡이부(100)에 삽입되다가 상기 제2돌출부(40)의 하단부가 제2가이드부(20)의 하단부에 닿게 되어 삽입이 되지 않는 상태까지의 행위이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30)와 상기 제2돌출부(40)는 상기 안착부(16)와 상기 병목부(21)에 위치한 안정상태에 있다.
여기서의 안정상태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노크부(200)와 손잡이부(100)가 회전 및 상하운동 등의 이동 없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노크부(200)를 밀어내려는 힘에 의해 상기 제2돌출부(40)의 상단면이 병목부(21)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펜심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손잡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노크 작동을 하게 되면 노크부(200)의 수직하강이동에 의해 상기 제1돌출부(30)와 상기 제2돌출부(40)는 동시에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30)는 하단부가 빗면으로 형성된 상기 안착부(16)에서 미끄러져 상기 제1가이드홈(11)의 상부에 진입하게 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1)을 따라 수직하강이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홈(11)의 개구된 타단을 통해 홈을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40)도 제1돌출부(30)의 수직하강이동에 의해 동일한 이동경로로 내려오게 되며 제2돌출부(40)의 하단부가 상기 제2가이드부의 하측부(23)에 맞닿게 되면서 손잡이부(100)에 대한 노크부(200)의 삽입이 정지된다.
또한 이때 펜심출몰구(110)를 통해 펜심(3)이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노크 작동을 한 후 누름부(240)의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도 5c에서와 같이 앞부분의 수축상태에 있던 스프링의 복원력이 노크부(200)를 밀어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30)는 수직상승이동 하다가 상기 제1경사(12)와 맞닿은 상태에서 미끄러져 올라가 상기 제1걸림모서리(13)까지 경사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제1돌출부(30)가 경사이동 하는 동안 상기 제2돌출부(40)는 단턱(24)에 걸려 계속적인 수직상승이동만을 하게 되어 상기 제2돌출부(4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제2돌출부받침대(44)에 긴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상승이동거리만큼 퇴몰하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30)의 돌출모서리(31)가 제1걸림모서리(31)과 만남으로서 이동을 정지하게 되는 도 5d에서는 제1경사(12)가 제6경사(32)와 맞닿게 되고 제2경사(14)가 제7경사(33)와 맞닿아 맞물리게 되며, 제2돌출부(40)가 단턱(24)을 넘게되어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에 발생한 긴장이 복원되는 상태이다.
제1돌출부(30)의 상기 돌출모서리(31)가 제1걸림모서리(13)에 걸리게 되고 제2돌출부(40)의 하단부가 단턱(24)을 넘게되어 제4경사(25)면 상에 놓이는 안정상태가 되면 앞부분의 펜심(3)도 돌출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5e에서 다시 한번 노크 작동을 하게 되면 제2돌출부(40)는 수직하향이동을 하다가 상기 제2돌출부(40)의 상기 제8경사(42)가 상기 제2가이드부(20)의 상기 제4경사(25)와 만나게 되어 하향경사이동을 한 후 상기 제2돌출부(40)의 하단부가 제2가이드부(20)의 하측부(23)에 닿게 되어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30) 역시 상기 제1걸림모서리(13)에 걸려 있던 제1돌출부(30)의 돌출모서리(31)가 해방되면서 상기 제2돌출부(40)와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제2가이드홈(15)의 하단부에 착지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하강이동거리만큼 더 돌출하게 된다.
도 5f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힘을 제거하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노크부(200)를 수직상승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30)는 제2가이드홈(15)에 진입하여 수직상승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돌출부(40)는 제1돌출부(30)를 따라 수직상승이동을 하다가 제5경사(26)와 맞닿게 되면서 상향경사이동으로 제1돌출부(30)와 이동경로를 달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경로가 바뀌어 제1돌출부(30)가 제2가이드홈(15)의 상단까지 밀려올라갈수록 제2돌출부받침대(44)에는 점점 더 강한 긴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15)에 의해 구속되게 수직상승이동하던 제1돌출부(30)는 제2가이드홈(15)에서 해방되자마자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안착부(16)에 놓이게 되며, 제5경사(26)를 따라 비스듬히 올라가던 제2돌출부(40)는 제5경사(26)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병목부(21)까지 수직상승이동을 하여 병목부(21)와 맞물리게 되는 도 5a와 동일한 안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상승이동거리만큼 퇴몰하여 손잡이부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왼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6d까지는 도 5에서 설명된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작동시의 5a에서 5d까지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돌출부(30)가 제1걸림모서리(13)에 맞물리고 상기 제2돌출부(40)의 하단이 상기 단턱(24)을 넘은 도 6d의 상태에서, 클립부를 왼쪽으로 밀거나 누름부를 잡고 왼쪽으로 돌리는 등 손잡이부 밖으로 노출된 노크부(200)를 좌측으로 돌리게 되면 도 6e와 같이 제1돌출부(30)가 제1경사(12)와 제2경사(14)로부터의 구속에서 벗어나 제2경사(1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내려오게 되어 제2가이드홈(15)의 하단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40)도 왼쪽으로 힘을 받는 노크부(200)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15)의 좌측벽에 접하게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하강이동거리만큼 약간 더 돌출하게 된다.
도 6f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힘이 제거되면 제2가이드홈(15)의 하단에 착지되어 있는 제1돌출부(30), 제2가이드부(15)의 좌측벽에 착지되어 있는 제2돌출부(40)는 각각 도 5f와 동일하게 이동하여 도 6a와 같이 안착부(16)와 병목부(21)에 안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상승이동거리만큼 퇴몰하여 완전히 손잡이부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오른쪽 돌림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에서부터 7d까지는 도 5에서 설명된 노크식 필기구의 노크작동시의 5a에서 5d까지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돌출부(30)가 제1걸림모서리(13)에 맞물리고 상기 제2돌출부(40)의 하단이 상기 단턱(24)을 넘은 도 6d의 상태에서, 클립부를 오른쪽으로 밀거나 누름부를 잡고 오른쪽으로 돌리는 등 손잡이부 밖으로 노출된 노크부(200)를 오른쪽으로 돌리게 되면 도 7e와 같이 제1돌출부(30)가 제1경사(12)와 제2경사(14)로 인한 맞물림에서 벗어나 제1경사(12)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내려오게 되고 제3가이드홈(17)의 하단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40)도 오른쪽으로 힘을 받는 노크부(200)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20)의 우측벽에 접하게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하강이동거리만큼 약간 더 돌출하게 된다.
도 7f와 같이 물리적인 힘을 제거하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노크부를 수직상승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돌출부(30)는 제3가이드홈(17)에 진입하여 수직상승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돌출부(40)는 제1돌출부(30)를 따라 수직상승이동을 하다가 제3경사(22)와 맞닿게 되면서 상향경사이동으로 제1돌출부(30)와 이동경로를 달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경로가 바뀌어 제1돌출부(30)가 제3가이드홈(17)의 상단까지 밀려올라갈수록 제2돌출부받침대(44)에는 점점 더 강한 긴장이 발생하게 된다.
제3가이드홈(17)에 의해 구속되게 수직상승이동하던 제1돌출부(30)는 제3가이드홈(17)에서 해방되자마자 상기 제2돌출부받침대(44)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안착부(16)에 놓이게 되며, 제3경사(22)를 따라 비스듬히 올라가던 제2돌 출부(40)는 제3경사(22)가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병목부(21)까지 수직상승이동을 하여 병목부(21)와 맞물리게 되는 도 7a와 동일한 안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펜심(3)은 상기 노크부(200)의 상승이동거리만큼 퇴몰하여 손잡이부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노크식 필기구는 본체에 해당하는 부품수가 2개로 구성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비도 저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노크식 필기구는 부품수를 2개로 하여 조립되므로 부품이 분실될 확률이 적으며, 이와 같이 부품의 분실우려가 없으므로 크고 작은 부품 중에서 하나라도 분실되어 조립 및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노크식 필기구는 부품수를 2개로 하여 작동되므로 고장이 적을 뿐만 아니라 조작하기도 간편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누름부를 눌러 본체로부터 펜심을 돌출 및 퇴몰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펜심(3)과 스프링(2)이 삽입되도록 펜심삽입구(130)를 형성하며 타측단에는 삽입된 펜심(3)이 출몰되도록 펜심출몰구(110)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00)와;
    일측단에 펜심(3)이 삽입되도록 펜심삽통구(250)를 형성하는 원통형이며 상기 손잡이부(100)의 펜심삽입구(130)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100)의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맞물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노크부(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크부(200)의 돌출부는 상기 노크부(200)의 몸체(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돌출부(30)와; 상기 노크부(200)의 클립부(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돌출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0)의 가이드부는
    다수개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노크부(200)의 제1돌출부(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부(10)와;
    상기 제1가이드부(10)의 아래에 뚫려져 있는 다각형 형상의 공간과 접하는 부분이며, 노크부(200)의 제2돌출부(4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가이드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0)는
    상기 제1돌출부(30)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1돌출부(30)의 경사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경사와;
    상기 제1돌출부(30)와 맞물려 상기 제1돌출부(3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1걸림모서리(1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제2가이드부(20)는
    상기 제2돌출부(40)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단턱(24)과;
    상기 제2돌출부(40)의 경사이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경사와;
    상기 제2돌출부(40)와 맞물려 상기 제2돌출부(4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병목부(2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구.
KR1020050006210A 2005-01-24 2005-01-24 노크식 필기구 KR10063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210A KR100630379B1 (ko) 2005-01-24 2005-01-24 노크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210A KR100630379B1 (ko) 2005-01-24 2005-01-24 노크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75A KR20060085375A (ko) 2006-07-27
KR100630379B1 true KR100630379B1 (ko) 2006-09-29

Family

ID=3717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210A KR100630379B1 (ko) 2005-01-24 2005-01-24 노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28B1 (ko) 2015-07-10 2016-02-02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75B1 (ko) * 2014-11-18 2015-07-22 천광주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28B1 (ko) 2015-07-10 2016-02-02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WO2017010639A1 (ko) * 2015-07-10 2017-01-19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75A (ko)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35024A1 (zh) 一种自扭转延伸卡扣笔
US6280110B2 (en) Pressing device for a pen
KR100755881B1 (ko) 슬라이드 펜
US6158616A (en) Cutter blade dispenser and disposer with slide biasing means and side located dispensing slot
KR200259213Y1 (ko) 발광장치를 구비한 볼펜
JP5979459B2 (ja) 出没式筆記具のプッシュロック装置{pushlocksystemforslidetypewritingtools}
JP2007536135A (ja) 引込み可能な先端を有する筆記用具
KR101591228B1 (ko) 노크식 필기구
US8087841B2 (en) Retractable pen with retraction-linking device for extending pen-body
US7753608B2 (en) Lipstick case with cam mechanism
KR100630379B1 (ko) 노크식 필기구
KR101907461B1 (ko) 다용도 케이스
JP2001315488A (ja) 安全ノック式筆記具
JP5320259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EP0630762A1 (en) A writing instrument with a push button, a clip and a spring in one piece
CN209851891U (zh) 揿动式笔
JP3119154U (ja) 清掃用ブラシ構造
CN109455019B (zh) 圆珠笔笔芯伸缩时游戏件动作的书写工具
KR20140091977A (ko)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KR101824368B1 (ko) 측면에 구비한 노크버튼으로 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KR102651356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삽
JP2001238726A (ja) 繰り出し容器
JP3041992U (ja) 消しゴムホルダ−
KR200193016Y1 (ko) 녹크식 중성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