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482B1 -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82B1
KR100629482B1 KR1020047014858A KR20047014858A KR100629482B1 KR 100629482 B1 KR100629482 B1 KR 100629482B1 KR 1020047014858 A KR1020047014858 A KR 1020047014858A KR 20047014858 A KR20047014858 A KR 20047014858A KR 100629482 B1 KR100629482 B1 KR 10062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phytosterol
emulsifier
mixed powder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018A (ko
Inventor
윤원태
김갑식
김태진
홍형표
Original Assignee
(주)유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유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04701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흡수저하를 위한 식물스테롤이 식품에서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분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스테롤, 유화제, 분말, 콜레스테롤, 식품

Description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MIXING POWDER OF PLANT STEROL AND EMULSIFI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롤 흡수저하를 위한 식물스테롤이 식품에서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분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등 동물세포의 주요 성분으로서 뇌, 신경조직, 장기(臟器) 및 혈액 등에 들어있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한 가지인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생체내에서 비타민 D, 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등), 부신피질 호르몬, 쓸개즙산(빌산) 등의 출발물질이 된다. 그러나,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아지면 고지혈증, 동맥경화, 부정맥,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병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식품을 자주 섭취하게 되면서 콜레스테롤 과량 섭취에 의한 질병이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외인성 및 내인성으로부터 유도되는 콜레스테롤은 소장내로 이동하여 대략 50% 정도가 흡수된다(Bosner, M.S., Ostlund, R.E., Jr., Osofisan, O., Grosklos, J., Fritschle, C., Lange. L.G. 1993). 이런 이유로 인하여 콜레스테롤이 장내로 흡수되지 못하도록 콜레스테롤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은 콜레스테롤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콩, 옥수수, 나무(wood), 톨유(tall oil) 등의 식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독성이 없는 천연물질로서 콜레스테롤과 구조적으로 아주 유사한, 시토스테롤(sitosterol), 캠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등으로 구성되는 식물스테롤(plant sterol 또는 phytosterol)과, 시토스탄올(sitostanol), 캠페스탄올(campestanol) 등으로 구성되는 식물스탄올(plant stanol 또는 phytostanol)을 통칭하여 이하 "식물스테롤"이라 한다.
상기 식물스테롤은 일상적인 섭취량으로는 혈중 콜레스롤의 수준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식물스테롤이 구조적으로 콜레스테롤과 유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장내 콜레스테롤 및 담즙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미국 특허 제5,578,334호). 또한, 식물스테롤의 콜레스테롤 흡수 저하작용을 이용하여 심장혈관질환, 심장관상동맥 및 고지혈증(hyperlipidemia)의 치료를 위한 약물로서 임상실험 등이 행하여지고 있고, 많은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Atherosclerosis 28: 325-338).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식물스테롤은 물과 기름 어디에도 잘 녹지 않는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식품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을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미국특허 제3,881,005호에는 시토스테롤, 녹말가수분해물(starch hydrolysate),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lene sorbitan monostearate)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화(homogenizing), 공기제거(deaeration), 살균(pasteuring) 및 증발(evaporation) 단계를 통해 경구투여 제약용 분산 분말(powder)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5,932,562호에는 식물스테롤, 레시틴(lecithin) 및 라이소레시틴(Lysolecithin)을 일정비율로 조합하고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녹인 후 수분산시키고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미세한 수용성 분말(water soluble powder)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054,144호 및 미국특허 제6,110,502호에는 오리자놀 (oryzanol) 또는 식물스테롤을 단관능성 계면활성제(monofunctional surfactant), 다관능성 계면활성제(polyfunctional surfactant) 및 물을 이용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건조(drying)하여 수분산성(water dispersible) 식물스테롤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균질화(homogenization) 및 공기제거의 공정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단관능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폴리옥실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monopalmitate)를 사용하고, 다관능성 계면활성제로는 주로 솔비탄 모노올레이트(monooleate)를 사용하였다.
미국특허 제6,190,720호에는 식물스테롤, 유화제, 및 지방의 혼합물을 녹인 후 오일베이스 식품에 적용하는 방법이, 국제공개특허 WO00/33669호에는 유화제(지 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녹인 후에 식물스테롤을 녹이고 이것을 우유, 요쿠르트 등의 단백질이 함유된 식품에 첨가하고 균질화하여 분산 안정성이 유지되는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6,267,963호에서는 식물스테롤을 식품에 첨가할 때 일반적으로 식물스테롤을 녹여 식품에 넣는데 이 온도가 너무 높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유화제와 식물스테롤을 혼합하여 녹이면 혼합물질이 만들어지고 이것은 식물스테롤의 융점보다 30℃ 이상 융점이 낮아져 이용하는데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제조된 식품은 입자감이 적어 식품의 고유 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식물스테롤을 식품제조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은 균질화, 공기제거, 살균, 증발 등의 과정을 거치거나,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녹인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과정 등을 거치거나, 매우 많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을 채택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더라도, 수분산시켰을 대 안정성이 좋지 않고, 식품 베이스의 성질, 특히 안정한 수분산 상태를 요구하는 식품에는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수분산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개발하였으며, 제조된 혼합 분말은 식품에서 식물스테롤이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생이용율을 증가시켜 상용량을 줄일 뿐 아니라, 식품에서 입자감을 주지 않아 식품의 기호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하고 다양하게 식품에 적용할 수 있고, 수분산시켰을 때 식물스테롤이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생이용율이 증가하여 상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우수한 분산안정성으로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식물스테롤의 입자가 작아 식품에서 입자감을 주지 않아 식품의 기호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은,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용융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조건에서 급냉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된 혼합물을 분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은,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용융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냉각조건하에서 분사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로 이루 어진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은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가열 및 용융시켜 용융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 "식물스테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토스테롤, 캠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탄올, 캠페스탄올 등으로 구성되는 식물스테롤 및 식물스탄올의 통칭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는,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다.
상기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혼합함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식물스테롤 사이에 유화제가 고르게 분포되어 식물스테롤끼리 응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높이는데 있다. 종래에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용액을 만들고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유기용매는 잔존의 위험이 있어 식품에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매우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열을 이용하여 직접 용융혼합할 수 있다. 이때는 많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하면 쉽게 달성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은 식품에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되도록 적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너무 적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하면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고르게 섞는다 해도 식물스테롤끼리 뭉치는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어 식품에서 식물스테롤의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최소량의 유화제를 이용하여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분말 상태이든 액체 상태이든 상관없이 매우 고르게 섞이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최적의 혼합정도를 얻기 위해, 상기 식물스테롤은 30∼70중량%, 유화제는 30∼7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스테롤의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식품에 식물스테롤의 함량을 높이는데는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유화제의 양이 적어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고르게 분포되기 어려워 분산안정성이 나빠지게 되며,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유화제의 양이 많아져 분산안정성은 다소 개선되지만 유화제 자체의 맛이 나타나고 물성이 나빠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를 균일하게 섞는 방법으로서, 열에 의해 직접 용융시키는 방법을 채택한다. 본 발명에서의 가열 및 용융온도는 100∼200℃가 바람직하며, 온도가 100℃ 미만이면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으며, 200℃를 초과하면 유화제의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용융혼합물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해 혼합분말화될 수 있다.
첫째는 얻어진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조건에서 급냉하여 고형화시킨 후 이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키는 방법이고, 둘째는 10℃ 이하의 냉각조건하에서 노즐 등을 이용하여 분사하여 분말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용융혼합물을 냉각하는 방법에 따라 분산안정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발생한다. 즉,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용융혼합액을 서서히 냉각한 후 분쇄하여 제조한 혼합분말을 물에 분산시켰을 때보다, 급냉하여 제조한 혼합분말을 물에 분산시켰을 때 분산안정성이 더 우수하다.
냉각방법에 따라 분산안정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급냉을 통해 만든 혼합분말과 서서히 냉각하여 만든 혼합분말을 시차주사열계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으로 측정해 보면, 서서히 냉각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DSC 피크는 사용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융점 및 그 밖의 온도에서 1∼2개의 피크가 나타나는 반면, 급냉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에서는 단 1개의 피크만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물을 용융하여 서서히 냉각한 경우에는 DSC 피크에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융점 피크가 각각 나타나는데, 이것은 용융물에서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균일하게 섞여 있다가 서서히 냉각되는 과정에서 융점이 높은 물질이 먼저 석출되어 뭉치게 되고 이어서 융점이 낮은 물질이 석출되어 뭉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DSC 분석에서 각각의 융점에서 피크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DSC 분석에서 여러 피크가 나오는 혼합분말은 식물스 테롤과 유화제가 균일하게 섞이지 않아 식물스테롤끼리 뭉쳐진 큰 입자들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에 분산시키게 되면 분산안정성이 좋지 않게 된다.
반면,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용융혼합물을 급냉시킬 경우에는 DSC 피크에서 식물스테롤이나 유화제의 각각의 융점과는 차이가 나는 피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미세한 입자로 매우 균일하게 섞여있다는 것으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용융혼합물을 급냉시켜 얻은 혼합분말은 물에 분산시키게 되면 분산안정성이 좋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급냉조건, 즉 냉각부스(cooling booth)의 온도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냉각온도가 10℃ 이상일 경우에는 충분한 급냉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고형화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은 혼합분말이나, 냉각조건하에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얻은 혼합분말의 최대입경은 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이며, 얻어지는 평균입경은 200∼500㎛이다. 상기 혼합분말의 최대입경이 5mm를 초과하면 유화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산된 식물스테롤의 입자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되어 입자감을 주어 식품의 기호성이 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혼합분말의 DSC 분석결과로부터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균일하게 섞여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로서 분산안정성 및 식품 적용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화제는 우수한 결과를 얻은 유화제이다. 특히, DSC 분석결과, 융점의 피크가 최소 100℃ 이상으로서, 1개의 피크가 나타나는 혼합분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물스테롤의 융점은 시토스테롤 약 140℃, 캠페스테롤 약 157℃, 스티그마스테롤 약 170℃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융점이 식물스테롤의 융점과 비슷해야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미세한 입자로 균일하게 섞일수 있으며, 물에 분산시켰을 때 분산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렇게 얻어진 혼합분말은 뜨거운 물에서 일반교반으로도 충분히 유화된다. 일반적으로 O/W 또는 W/O 형태의 유화를 위해서는 호모믹서를 이용한 고속교반을 통해서 유화가 완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반교반만으로도 유화가 완성되는바, 이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미세한 입자로 매우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난 효과이다.
또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제조시 사용되는 유화제의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의 값은, 적용되는 식품 베이스의 물성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케찹, 요쿠르트 등과 같이 친수성인 식품 베이스에는 HLB 8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다. 반면, 마요네즈, 마가린, 아이스크림 등과 같이 친유성인 식품 베이스에는 HLB 8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미만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은 편리하고 다양하게 식품에 적용할 수 있고, 수분산시켰을 때 식물스테롤이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생이용율이 증가하여 상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우수한 분산안정성으로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식물스테롤의 입자가 작아 식품에서 입자감을 주지 않아 식품의 기호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내지 7
100ml 용기에 식물스테롤(시토스테롤 75%, 캠페스테롤 10%, 스티그마스테롤 및 시토스탄올 15%)과 슈크로스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1) 및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2)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하고, 140℃에서 교반하면서 용융시켰다. 완전히 용융된 용융혼합액을 실온에서 10시간 방치하여 서서히 냉각시키고 이를 냉동실(-10℃)에 잠시 방치한 후 혼합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 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혼합 균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DSC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1
실시예 1 내지 5
100ml 용기에 식물스테롤(시토스테롤 75%, 캠페스테롤 10%, 스티그마스테롤 및 시토스탄올 15%)과 슈크로스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1, 융점 49∼55℃) 및 폴리 글리세린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2, 융점 45∼55℃)를 하기 표 2의 배합비로 혼합하고, 140℃에서 교반하면서 용융시킨다. 완전히 용융된 용융혼합액을 -10℃의 냉동실에 넣어 급냉시키고 얻어진 고형물을 분쇄하여 최대입경 5mm이하의 혼합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혼합 균일도를 가름하기 위하여 DSC로 분석하였고, 이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에서는 여러 온도에서 융점 피크를 보였지만, 표 2의 경우에는 모든 배합비에서 하나의 피크가 보였다. 이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가 미세한 입자로 균일하게 혼합되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6
100ml 용기에 식물스테롤(시토스테롤 75%, 캠페스테롤 10%, 스티그마스테롤 및 시토스탄올 15%) 5g, 슈크로스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1) 4.25g, 및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릴 에스테르(HLB 12) 1g을 넣고 140℃에서 교반하면서 용융시킨 후, 얻은 용융혼합물을 -10℃의 냉각조건하에서 통상의 용액상 분무건조용 노즐을 이용하여 분사시켜 평균입경 300㎛의 혼합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분말의 DSC 분석결과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8 내지 14
상기 비교예 1 내지 7에서 얻은 혼합분말을 90℃의 물에 넣고 10분간 800rpm에서 교반하였다. 분말과 물의 혼합비는 분말중의 식물스테롤 : 물이 1 : 100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의 수중분산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3
실시예 7 내지 12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은 혼합분말을 90℃의 물에 넣고 10분간 800rpm에서 교반하였다. 분말과 물의 혼합비는 분말중의 식물스테롤 : 물이 1 : 100이 되 도록 하였으며, 이들의 수중분산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4
※ 수중분산도의 측정방법:
1% 식물스테롤 분산용액을 만들어 사용하고, 이 분산용액 100㎖를 메스실린더에 채우고 3일간 25℃에 방치하였다. 이 때 침전된 용량으로 하기와 같이 판정하였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5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은 혼합분말의 입자크기를 분석하여 이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고, 하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분 말은 상당히 미세한 입경을 가짐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4042704331-pct00006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은 산업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수분산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식품의 베이스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은 식품에 식물스테롤이 미세입자로 분산되어 생이용율을 증가시켜 상용량을 줄일 뿐 아니라, 식품에서 입자감을 주지 않아 식품의 기호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Claims (10)

  1.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용융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조건에서 급냉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된 혼합물을 분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입경이 5mm 이하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2.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용융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냉각조건하에서 분사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입경이 5mm 이하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시차주사열계량법(DSC)으로 측정한 융점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의 피크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의 제조방법.
  6.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얻은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조건에서 급냉하고 고형화시킨 후 분쇄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입경이 5mm 이하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7.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실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되는 유화제 30∼70중량% 및 식물스테롤 30∼70중량%를 혼합하여 100∼200℃에서 가열 및 용융시켜 얻은 용융혼합물을 10℃ 이하의 냉각조건하에서 분사하여 분말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입경이 5mm 이하인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을 시차주사열계량법(DSC)으로 측정한 융점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의 피크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KR1020047014858A 2004-09-20 2002-03-20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2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4858A KR100629482B1 (ko) 2004-09-20 2002-03-20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4858A KR100629482B1 (ko) 2004-09-20 2002-03-20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18A KR20040098018A (ko) 2004-11-18
KR100629482B1 true KR100629482B1 (ko) 2006-09-28

Family

ID=3737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858A KR100629482B1 (ko) 2004-09-20 2002-03-20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4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18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5147B2 (ja) 飲料向けに植物ステロールを分散する方法および分散飲料中での粒径がナノメートル程度である植物ステロール分散飲料
US6623780B1 (en) Aqueous dispersible sterol product
AU2001292421A1 (en) Method for dispersing plant sterol for beverage and a plant sterol-dispersed beverage, of which particle size is nanometer-scale in dispersed beverage
WO1999059421A1 (en) Esterified and subsequently hydrogenated phytostero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foods, beverages, pharmaceuticals, nutraceuticals and the like
AU2002241368B2 (en) Plant sterol-containing foo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3512850A (ja) 食用油または脂肪と、その中に実質的に溶解したフィトステロールおよび/またはフィロスタノールと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心血管疾患およびその根底にある状態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ことにおけるその使用
AU2002241369B2 (en) Mixing powder of plant sterol and emulsifi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571374B1 (en) Edible fat continuous spreads
KR100629482B1 (ko) 식물스테롤과 유화제의 혼합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204630A1 (en) Compositions of sugar-containing sterol solids dispersions
KR100629481B1 (ko) 식물스테롤 함유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69941A (ja) 植物ステロール組成物
JP5294881B2 (ja) ステロール含有粉末
US20110097474A1 (en) Water-dispersable Sterol Containing Disper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