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402B1 -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 Google Patents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02B1
KR100629402B1 KR20057001942A KR20057001942A KR100629402B1 KR 100629402 B1 KR100629402 B1 KR 100629402B1 KR 20057001942 A KR20057001942 A KR 20057001942A KR 20057001942 A KR20057001942 A KR 20057001942A KR 100629402 B1 KR100629402 B1 KR 10062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ipe
kitchen furniture
transport
trans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0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109A (ko
Inventor
준 첸
Original Assignee
준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 첸 filed Critical 준 첸
Publication of KR2005003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3/00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F13/001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13/005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fluent solid material comprising a screw convey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Screw Conveyor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에 관한 것이다.
아랫부분이 깔때기 모양인 쌀 저장용기(4), 전동기(15) 및 제어회로와 전기연결하는 제어판(2)를 포함한다. 그 특징은 윗부분에 입미구(10)이 있는 쌀 저장용기(4)를 주방가구 받침대(3) 아래에 고정한다. 수송관(1)과 관내의 틈사이에 조립한 나선수송레버(5)로 구성된 수송기구가 있다. 수송관(1)아래 끝의 입료구(124)는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 밑부분과 연통한다. 수송관(1)의 꼭대기는 주방가구 받침대(3)보다 높으며 상기 수송관(1)과 통하는 출미관(8)을 경사지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수송기구와 제어기구는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할수 있으며 또 구조가 간단하다. 출미구, 입미구, 제어판은 주방가구 받침대의 윗부분에 설치하여 평상시 쌀을 꺼내거나 부어 넣는 조작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할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AN ELECTRIC DIGITAL METRIC RICE-BARREL DISCHARGING RICE ON TOP}
본 발명은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랫 부분이 깔때기 모양인 쌀 저장용기(4), 전동기(15)및 제어회로와 전기연결하는 제어판(2)을 포함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으로 주방가구받침대(3)아래에 고정되며 윗부분에 입미구(10)가 있는 쌀 저장용기(4), 수송관(1)과 관내의 틈사이에 조립한 나선수송레버(5)로 구성된 수송기구, 상기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과 연통하는 상기 수송관(1)의 아래 끝에 형성되는 입료구(124), 상기 수송관(1)의 꼭대기에 형성되며 주방가구 받침대(3)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수송관(1)과 통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미관(8)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수송기구와 제어기구는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할수 있으며 또 구조가 간단하다. 출미구, 입미구, 제어판은 주방가구 받침대의 윗부분에 설치하여 평상시 쌀을 꺼내거나 부어 넣는 조작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용기와 관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인민들의 생활수준이 부단히 제고하고 가정인테리어 붐이 일어나면서 주방은 이미 단지 원래 의미에서 사람들의 하루 세끼를 해결하는 곳이 아니라 가정의 따뜻함과 시대적 풍모 그리고 생활의 정취를 체현하는 곳으로 되었다. 주방을 인테리어할 때 어떻게 각종 주방용품을 더욱 멋있고 광범하게 주방가구와 결합하여 주방을 더욱 아름답고 시대적 풍모를 띠며 사용상 더욱 편리하게 하는가 하는 과제는 사람들이 추구하는 목표로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공고넘버가 CN2300614Y인 중국의 특허에서 다공능전자저미기 를 공개하였다. 이는 외각, 정량 콘트롤 회로판, 오존살균기, 깔때기, 전동출미기구, 전지통, 활동식 쌀담는 박스, 자동출미착오방지설비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 장점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고, 위생적이며, 소음이 작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축미기는 아래와 같은 부족점이 있다.
1)쌀 담는 박스를 축미기의 아래에 설치하여 쌀을 꺼낼때 허리를 굽히고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2)출미기구는 웜 기어, 웜 그리고 여러개의 연접봉 등 부속품을 사용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3)전반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주방가구와 한 세트로 만들거나 그중에 숨길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기술상의 부족을 극복하고 일종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출미량이 정확하고 현대의 전반 주방가구와 더욱 잘 결합하여 사 용공간이 더욱 합리한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기술방안은 일종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이다.
아래부분이 깔때기 모양인 쌀 저장용기, 전동기 그리고 제어회로와 전기연결하는 제어판을 포함한다. 윗부분에 입미구가 있는 쌀 저장용기를 주방가구의 받침대 아래에 고정한다. 수송관과 관내의 틈사이에 조립한 나선수송레버로 구성된 수송기구가 있다. 수송관 아래 끝의 입료구를 쌀 저장용기의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과 연통시킨다. 수송관의 꼭대기는 주방가구 받침대 보다 높으며 상기 수송관(1)과 통하는 출미관을 경사지게 설치한다.
위에서 서술한 수송관은 상수송관과 하수송관을 도킹하여 삽입 설치한다. 하수송관 상단은 쌀 저장용기 꼭대기의 수송관 스루 홀과 맞추어 용접한다. 상수송관의 하단에는 일륜의 그루브가 개설되여 있으며 또한 하수송관의 설정된 깊이의 관벽에는 두개의 용수철좌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에는 용수철과 스틸 볼이 들어 있다.
위에서 서술한 입미구는 쌀 저장용기 윗부분보다 높으며 또 주방가구 받침대를 뚫고 지난다. 받침대 위에 노출된 부분에는 바깥 나사산이 있다. 그 위의 나사산은 쌀통 덮개와 맞물린다.
위에서 서술한 제어판은 주방가구 받침대의 윗쪽에 조립한다.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기 바란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본 발명의 설명내용과 기타 목적, 특징, 장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분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쌀 저장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쌀 저장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어판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송관부분의 종단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국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전기회로 원리 표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전기회로 원리 표시도.
실시예1:
도1,2에서 표시한바와 같이 쌀 저장용기(4)는 한쪽 끝이 깔때기모양의 밑부분으로 된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다.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과 상대하는 꼭대기에는 하나의 윗 커버(40)가 있다. 윗 커버(40)위에는 수송관 스루 홀(41)과 입미구(10)이 있다. 수송관(1)은 수직으로 스루 홀(41)에 조립한다. 제어판(2)는 윗 커버(40)의 윗쪽에 있다. 입미구(10) 및 수송관(1)과 서로 맞물리는 큰 원공(22),작은 원공(21)이 개설되어 있다. 윗 커버(40)위의 입미구(10)의 구멍 변두리에는 바깥 나사산이 있다. 구멍 변두리에서 제어판(2)를 통과하는 큰 원공(22)와 내측 나사산이 있는 쌀통 덮개(9)는 꽉 조일수 있다. 수송관(1)은 위로 제어판(2)의 작은 원공(21)을 뚫고 지나며 그 상단에는 경사지게 서로 통하는 출미관(8)을 설치한다. 수송관(1)은 아래로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을 뚫고 지나며 또 이와 맞추어 용접한다. 그 밑부분 한쪽의 입료구(124)는 엘보파이프(43)을 통하여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 밑부분의 중심과 서로 연결하며 서로 통하여 쌀 저장용기(4)중의 쌀이 중력의 작용하에서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을 따라 엘보파이프(43)을 통하여 수송관(1)의 밑부분에 흘러든다. 나선수송레버(5)는 수송관(1)에 설치한다. 이는 수송관(1)의 관벽과 틈 배합하여 수송관(1)내에서 자유로 회전할수 있다. 나선수송레버(5) 하단의 중심축은 키(51) 및 커플링(6)을 통하여 전동기(15)의 동력수출축과 동심으로 강성으로 서로 연결한다. 그밖에 도3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조립을 고려하여 또 윗 커버(40)의 원주위에 각각 4개의 고정고리(42)를 설치한다.
도4에서 표시한바와 같이 제어판(2)에는 작은 원공(21),큰 원공(22)외에 또 LED디지털 디스플레이(24), 정량 이니셜라이즈 스위치(25), 출미시동스위치(23)이 설치되어 있다.
도5에서 표시한바와 같이 수송관(1)은 상수송관(11)과 하수송관(12)을 도킹하여 삽입 설치한 것이다. 상수송관(11)의 외직경과 하수송관(12)의 내직경은 서로 알맞다. 하수송관(12) 상단의 관벽에는 축대칭되는 두개의 용수철좌(121)이 있다. 그 안에는 용수철(122)과 스틸 볼(123)이 있다. 상수송관(11)의 하단 관벽에는 일륜의 그루브(111)이 개설되어 있다. 이를 하수송관(12)에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한다. 스틸 볼(123)을 용수철(122)의 작용하에서 그루브(111)에 밀어 넣어 상수송관(11)이 상하 방향에서 위치를 고정하고 또 수평방향에서 자유로 회전할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은 주방가구 받침대(3)와 어울려 통일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도1,2에서 표시한바와 같이 조립할 때 쌀 저장용기(4)는 주방가구 받침대(3)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윗 커버(40)의 원주위의 4개 고정고리(42)를 통하여 나사로 주방가구 받침대(3)에 고정시킨다. 주방가구 받침대(3)에는 두개의 조립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한 구멍의 위치는 윗 커버(40)의 수송관 스루 홀(41)과 제어판(2)의 작은 원공(21)사이에 있다. 조립할 때 수송관(1)은 그속을 뚫고 지난다. 다른 한 구멍의 위치는 윗 커버(40)의 입미구(10)와 제어판(2)의 큰 원공(22) 사이에 있다. 조립할 때 입미구(10)의 구멍 변두리는 그속을 뚫고 지난다. 제어판(2)는 주방가구 받침대(3)의 윗쪽에 긴밀하게 붙어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한 전동 상출미 및 전자식계량의 전기회로 원리 도식은 도7과 같다. 제어기구의 핵심은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이다. 제어기구에는 또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와 전기연결하는 정량 이니셜라이즈 스위치(25), 출미시동스위치(23), LED디지털 디스플레이(24)가 포괄된다. 제어기구가 전동기(15)에 대한 스위치 제어는 계전기(18)을 통하여 완성한다. LED디지털 디스플레이(24)는 전자식 계량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전동기(15)의 전원은 220V의 교류전기이다. 제어단위의 전원은 변압정류기(17)의 처리를 거친후의 저압직류전기이다. 정량 이니셜라이즈 스위치(25), 출미시동스위치(23), LED디지털 디스플레이(24)는 제어판(2)에 설치한다.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 계전기(18), 변압정류기(17)는 전기회로제어함(19)에 설치한다.
사용할 때 우선 정량 이니셜라이즈 스위치(25)를 누르고 ,상하 버튼으로 출미양을 설정한다. 수자1은 1냥(50그람)을 대표한다. 한번 누를 때마다 1냥씩 증 가 또는 감소한다. LED디지털 디스플레이(24)로 수자를 디스플레이 한다. 출미양을 설정한 후 다시 출미시동스위치(23)을 눌러 전동기(15)를 구동하여 작업한다. 커플링(6)을 통하여 나선수송레버(5)를 이끌어 동축 회전한다. 쌀통내의 쌀은 중력의 작용하에 쌀 저장용기(4) 밑부분의 엘보파이프(43)을 통과하여 수송관(1) 아래 끝의 입료구(124)에 흘러든다. 나선수송레버(5)의 작용하에 수송관(1)을 따라 위로 수송한다. 윗 꼭대기에 도달한 후 중력의 작용하에 출미관 (8)을 통하여 출미한다.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은 전동기(15)가 시동할 때 시간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기록한 시간이 설정한 출미양의 대응한 수치에 이르렀을 때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은 계전기(18)을 제어하여 전동기(15)의 전원을 끊어 나선수송레버(5)는 회전을 멈추고 출미는 결속된다. 고정된 회전속도하에서 나선수송레버의 수송양은 회전시간과 정비례한다. 그러므로 전동기(15)의 회전시간만 제어하면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할수 있다.
쌀 저장용기(4)에 쌀을 넣을 필요가 있을 때 주방가구 받침대위의 쌀통 덮개(9)를 열고 입미구(10)으로부터 부어 넣으면 된다. 정전할 때 입미구(10)을 통하여 직접 수공으로 쌀을 꺼낼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기타 부분은 실시예1과 같다. 그러나 출미양을 제어하는데 사용한 기계 및 전기방식에는 구별이 있다. 도6과 도8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나선수송레버(5)의 하단 중심축에 동축 회전하는 카운트 기어(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카운트 기어(14)의 한쪽에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과 전기연결하는 접근스위치(7)을 설치한 다. 카운트 기어(14)는 비전도성 재료로 제작한다. 그 원주위에 볼트(20)가 박혀 있는데 접근스위치(7)의 측정 포인트로 삼는다. 작업할 때 나선수송레버(5)는 카운트 기어(14)와 동축 회전한다. 카운트 기어(14)가 매 한바퀴 회전할 때마다 접근스위치(7)은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을 향하여 펄스 신호를 하나씩 발사한다. 펄스 신호의 누적계수와 설정출미양이 대응하는 수치에 도달했을 때, 미크로컴퓨터 프로세서(16)는 계전기(18)을 제어하여 전동기(15)의 전원을 절단하며 나선수송레버(5)는 회전을 멈추고 출미는 결속된다. 나선수송레버(5)의 수송양과 회전 바퀴수는 정비례한다. 그러므로 회전수를 제어하기만 하면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할수 있다.
앞에서는 비교적 좋은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영역내의 임의의 기술인원이 본 발명을 사용하거나 이용할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각종 수정은 본 영역내의 기술인원으로서는 명백히 알수 있다. 여기에서 서술한 총적 원리를 기타 실시예에 응용하면서 창조성을 사용하지 않을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여기에서 제시한 원리와 새로운 특징에 부합되는 제일 넓은 범위에 의거해야 할것이다.
수송기구와 제어기구로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하며 또 구조가 간단하다. 출미구, 입미구, 제어판은 주방가구 받침대의 위(동시에 출미구는 수평방향에서 자유로 회전할수 있다)에 설치한다.
평소에 쌀을 꺼내거나 부어 넣는 조작이 더욱 쉽고 간편하다.
쌀 저장용기를 주방가구 받침대의 아래에 설계하여 주방공간의 이용이 더욱 합 리적이다.
특히 물건을 저장하는 사각 (예컨데 L형 주방가구의 아래 궤짝의 코너)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수송기구와 제어기구는 정확하게 출미양을 제어할수 있으며 또 구조가 간단하다. 출미구, 입미구, 제어판은 주방가구 받침대의 윗부분에 설치하여 평상시 쌀을 꺼내거나 부어 넣는 조작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할수 있다.

Claims (5)

  1. 아랫 부분이 깔때기 모양인 쌀 저장용기(4);
    전동기(15)및 제어회로와 전기연결하는 제어판(2)을 포함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으로,
    주방가구받침대(3)아래에 고정되며 윗부분에 입미구(10)가 있는 쌀 저장용기(4);
    수송관(1)과 관내의 틈사이에 조립한 나선수송레버(5)로 구성된 수송기구;
    상기 쌀 저장용기(4)의 깔때기 모양의 밑부분과 연통하는 상기 수송관(1)의 아래 끝에 형성되는 입료구(124);
    상기 수송관(1)의 꼭대기에 형성되며 주방가구 받침대(3)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수송관(1)과 통하며 경사지게 설치되는 출미관(8);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관(1)은
    상기 쌀 저장용기(4)의 꼭대기의 수송관 스루 홀(41)과 맞추어 용접되는 부재의 상단이 형성되며, 부재의 설정된 깊이의 관벽에는 두 개의 용수철좌(12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에는 용수철(122)과 스틸 볼(123)이 들어 있는 하수송관(12);
    일륜의 그루브(111)가 개설되어 있는 하단이 형성되는 상수송관(11);
    을 포함하며 상기 상수송관(11)과 하수송관(12)을 도킹하여 삽입 설치되는 수 송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미구(10)는
    상기 쌀 저장용기(4)의 꼭대기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며 주방가구 받침대(3)를 뚫고 지나가고 상기 주방가구 받침대(3)위에 노출된 부분에는 바깥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은 쌀통 덮개(9)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입미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2)은
    주방가구 받침대(3)의 윗쪽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2)은
    주방가구 받침대(3)의 윗쪽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KR20057001942A 2002-08-21 2003-07-28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KR10062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2136597.0 2002-08-21
CN 02136597 CN1183869C (zh) 2002-08-21 2002-08-21 电动上出米型数字式计量米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09A KR20050032109A (ko) 2005-04-06
KR100629402B1 true KR100629402B1 (ko) 2006-09-27

Family

ID=3172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1942A KR100629402B1 (ko) 2002-08-21 2003-07-28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535416A (ko)
KR (1) KR100629402B1 (ko)
CN (1) CN1183869C (ko)
AU (1) AU2003255086A1 (ko)
WO (1) WO20040183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15B1 (ko) 2019-03-08 2020-08-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계량 기능을 갖춘 소량 쌀 패키지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62729Y (zh) * 2004-11-08 2006-03-08 陈军 伸缩式电动上出米米桶
CN102129821B (zh) * 2010-01-14 2014-04-30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102283519A (zh) * 2011-06-15 2011-12-21 冯启良 厨房上柜吊挂电动米箱
CN102358471B (zh) * 2011-06-24 2014-01-15 中山市金方圆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计量式数码储米器
CN108639579A (zh) * 2018-05-15 2018-10-12 清远初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电子传感计量系统的温湿度控制智能储米器
CN110419968B (zh) * 2019-09-04 2020-09-11 浙江师范大学 一种智能储米桶的定量下米装置
CN111115003A (zh) * 2020-03-12 2020-05-08 东莞市美高制罐有限公司 粉剂密封包装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062A (ko) * 1991-02-01 1992-09-24 조창걸 쌀통장치
CN2115310U (zh) * 1991-12-09 1992-09-09 张政 家用电子全自动储米箱
CN2194877Y (zh) * 1994-06-28 1995-04-19 刘丽萌 家用小型输粉盒
CN2300614Y (zh) * 1997-05-23 1998-12-16 梁诗波 多功能电子储米器
AU2002223357A1 (en) * 2000-12-07 2002-06-18 Freddy Huguenin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15B1 (ko) 2019-03-08 2020-08-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계량 기능을 갖춘 소량 쌀 패키지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35416A (ja) 2005-11-24
CN1476808A (zh) 2004-02-25
AU2003255086A1 (en) 2004-03-11
KR20050032109A (ko) 2005-04-06
CN1183869C (zh) 2005-01-12
WO2004018324A1 (fr)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402B1 (ko) 전동 상출미형 전자식 계량 쌀통
US5894611A (en) Waterproof bath water level audio alarm
CN106419478A (zh) 一种多功能自动化电磁炒菜机
US20200146497A1 (en) Slow cooker capable of frying food
CN206504771U (zh) 一种智能定量仪
CN108813957A (zh) 一种具有可调节功能的智能茶几
CN112155423A (zh) 一种基于涡流原理的自动检测水满饮水机装置
WO2017113887A1 (zh) 一种上置式搅拌炒菜机
CN209733463U (zh) 一种电子自动控制遥控煲汤机
CN209922455U (zh) 一种佐料定量自动供给装置
CN209686533U (zh) 智能马桶盖以及配备该智能马桶盖的智能马桶
CN107303124B (zh) 一种上置式搅拌烹饪器具
US2753472A (en) Motor control for electric food mixer
CN213882931U (zh) 一种全自动多功能家用电炸锅
CN211176914U (zh) 一种加水柱可升降的电磁炉
CN112890606A (zh) 一种居家生活用智能型养生壶
CN217218874U (zh) 一种全自动子母坐圈坐便器
CN210520681U (zh) 一种防止液体洒出的多功能杯
CN205358790U (zh) 一种电动感应转筒式家用鞋柜
CN214157029U (zh) 具有计量控制功能的冲泡装置
CN210727081U (zh) 多功能自动旋转式餐台
CN207152419U (zh) 一种智能定量仪
CN214738523U (zh) 一种蹲坐便器无线冲水感应组件
JP3457883B2 (ja) 貯湯タンクの蓋固定構造
JP2017002590A (ja) 跳ね防止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