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251B1 -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251B1
KR100629251B1 KR1020040089627A KR20040089627A KR100629251B1 KR 100629251 B1 KR100629251 B1 KR 100629251B1 KR 1020040089627 A KR1020040089627 A KR 1020040089627A KR 20040089627 A KR20040089627 A KR 20040089627A KR 100629251 B1 KR100629251 B1 KR 10062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ome
jaw plate
p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816A (ko
Inventor
준 제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to KR102004008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251B1/ko
Priority to PCT/KR2005/003654 priority patent/WO2006049418A1/en
Publication of KR2006004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6Mechanically by introducing opening fingers in the collapsed blanks
    • B31B50/787Rotating fingers; Two or more fingers moving relatively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6Mechanically by introducing opening fingers in the collaps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2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the underside of a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함기에서 박스를 육면체 형상으로 개함시키는 개함장치의 조우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 박스에 끼워지는 핀과, 그 끝단에 끼워진 골판지 박스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줄 수 있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는 받은 힘에 따라 연동하며, 가압하기에 개함장치의 작동 시에도 골판지 박스가 빠지는 현상이 없어 작업이 정확하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압력을 받을 시 돔유니트가 그 탄성력을 유지하며, 조우플레이트의 내부로 슬라이딩되기에 핀이 휘어지는 현상이 없어 내구성이 훌륭하다.
제함기, 매거진, 박스, 피로도, 돔유니트

Description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The connect structure of jaw plate and dome unit}
도 1은 일반적인 제함기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제함기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제함기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제함기의 개함장치에서 박스의 상단이 조우플레이트의 핀에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일반적인 제함기의 개함장치에서 박스의 상단이 조우플레이트의 핀에 끼워져 개함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의 조우플레이트에 돔너트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종래 조우플레이트에 돔유니트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에 숄더핀과 돔너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의 핀에 박스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에 끼워진 돔너트가 깊게 라운드진 형태를 도시한 체결구조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설명된 돔너트와 조우플레이트핀 사이에 골판지 박스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체결구조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에 돔너트와 숄더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체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박스 10; 핀가이드공
11; 핀블록조립부 D; 조우플레이트
20; 숄더핀 22;핀가이드부
23; 스크류부 29; 돔너트
30; 돔유니트 40; 탄성수단
41; 파도와셔 A; 턱부
본 발명은 제함기에서 박스를 육면체 형상으로 개함시키는 개함장치의 조우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 박스에 끼워지는 핀과, 그 끝단에 끼워진 골 판지 박스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줄 수 있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함기라 함은 상품을 포장하여 박스에 채우기 위해 펼쳐진 평판의 박스를 육면체의 박스로 형태를 만드는 기계를 말한다.
즉, 박스란 물건이나 생산품을 수납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박스의 제작자는 박스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함하지 않은 형태의 박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박스의 내부에 물건을 담기 위해서는 박스의 사용자는 반드시 박스를 개함하여 육면체의 형상으로 그 날개를 접고, 밑면은 테이프를 접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 작업은 박스 포장의 속도를 늦추는 작업이 되며, 많은 물건을 짧은 시간에 포장하여야만 하는 업체에서는 꽤 번거러운 작업이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은 제함기가 있는 것이다.
그럼 종래 일반적인 제함기의 작업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매거진 유니트(200)가 장착된 박스 적재부(매거진; 300)에는 펼쳐진 형태의 박스(1)가 다수 개로 장착된다.
이 장착된 박스(1)는 매거진 유니트(200)의 작동에 의해 도 1과 2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의 밑날개 접이장치(400)와 개함장치(500)로 이동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접어진다.
또한 접혀진 박스(1)는 도시된 테이프접합장치(600)를 지나며 테이프가 접착 되어 물건을 담을 수 있는 하나의 박스(1)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함기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그중 상기 개함장치(500)의 일부 구성인 조우플레이트(D)와 대응되는 돔구조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나열한다.
즉, 도 1 내지 6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이나 종래의 일반적인 제함기의 개함장치(500)는 조우플레이트(D)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우플레이트(D)는 도 4에서 보이듯 판상으로 형성되며, 판형으로 제함기 적재부(매거진;300)의 매거진유니트(200)를 통해 이송된 골판지 박스(1)에 그 핀(101)을 꽃아 넣는다.
물론 그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의 조우플레이트(D)는 90도로 회전하여 판형의 골판지 박스(1)를 상하가 터진 육면체 형상으로 개함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박스(1)의 개함을 위한 조우플레이트(D)의 작동시 골판지 박스(1)가 핀(101)으로 부터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4와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돔너트(102)가 조우플레이트(D)에서 다소 돌출된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도 4 내지 7에서 도시된 것처럼, 골판지(1)가 조우플레이트(D)의 핀(101)에 끼워지고, 그 하단에서 돌출된 돔너트(102)는 골판지를 핀(101)을 향해 가압하여 조우플레이트(D)가 작동 중에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한 것이 아니다.
즉 첫째, 돔너트(102)가 너무 돌출 되어 있다면, 골판지 상부 골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101)의 두께가 고정되어 있어 박스의 두께에 따른 대응성이 취약하여 핀과 골판지의 골이 서로 밀착하지 못하여 박스가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둘째, 돌출된 돔너트(102)가 고정된 상태이기에 골판지(1)를 붙잡는 작용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적절한 가압력으로 지그시 눌러주는 힘이 없기에 쉽게 빠질 수 있다.
셋째, 상기의 이유에 따라 조우플레이트(D)에 고정되는 핀(101)의 수명이 오래 가지 못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골판지 박스에 끼워지는 핀과 일단 끼워진 골판지 박스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줄 수 있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판지 박스가 끼워지는 핀블록조립부의 하단에 2단으로 형성시킨 핀가이드공과 상기 핀가이드공에 끼워 돌출 시킨 돔유니트와 상기 돔유니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을 구성하여 골판지 박스가 끼워지면 탄성력으로 골판지(박스)를 잡아주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우플레이트 판상에서 다소 돌출된 돔유니트를 돌출(돔)부와 조우플레이트의 핀가이드공을 타고 연동하는 핀가이드부와 숄더핀과, 상기 숄더핀의 스크류부에 체결되어 돔너트로 형성하여 골판지를 필요한 압력으로 잡아 주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그 탄성수단으로 외주형상의 파형폭 만큼 탄성을 보유한 파도와셔, 탄성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함기에서 골판지 박스를 개함시키는 쌍의 조우플레이트와 돔너트의 체결구조란 점에서는 종래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구성요소(건)의 결합에 따른 양적, 질적 기술적 효과에 있어서 현저함이 있고, 구성요소(건)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구성의 곤란성을 가지고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것처럼, 골판지 박스(1)가 끼워지는 핀블록조립부(11)의 하단에서, 조우플레이트(D)의 판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2단으로 형성시킨 핀가이드공(10)이 형성된다.
1단의 가이드공(71)은 후술할 돔너트(29)가 안착되고 연동되는 구멍이고, 2단의 가이드공(72)은 핀가이드부(22)가 연동되는 구멍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가이드공(10)에 끼워져 다소 돌출된 돔유니트(30)가 비치되며, 상기 핀가이드공(10)과 돔유니트(30) 사이에 끼워져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수단(40)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의 결합구조이다.
즉, 이 구조를 통해 골판지 박스(1)가 끼워지면 핀가이드공(10) 내부로 들어가며 탄성력으로 골판지(박스;1)를 잡아주어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내구성도 증진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돔유니트(30)란 조우플레이트(D)에서 다소 돌출한 형태의 돔형 유니트를 총칭하며, 탄성수단(40) 역시 다양한 공지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 상기 조우플레이트(D) 판상에서 다소 돌출된 돔유니트는(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서 도시된 것처럼, 돔유니트(30)는 원통형상이며, 일측단에 다소 큰 지름으로 구성되는 돌출(돔)부(29)와, 조우플레이트(D)의 핀가이드공(10)의 내주면을 타고 연동하는 핀가이드부(22)와, 숄더핀(20)이 있다.
또한 상기 숄더핀(20)의 스크류부(23)에 체결되어 조우플레이트(D)의 외부로 돌출 되는 돔너트(29)가 형성되어 핀가이드공(10)을 타고 좌우 연동하는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골판지 박스(1)가 조우플레이트(D)의 핀(101)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수단(40)인 파도와셔(41)의 탄성력에 의해 돔너트(29)가 많이 돌출된 형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도 9에서 처럼, 만일 골판지 박스(1)가 끼워진다면 골판지의 두께에 의해 돔너트(29)는 가압될 것이고 조우플레이트(D)의 핀가이드공(10) 내부로 밀려들어갈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탄성수단(40)의 일 예인 파도와셔(41)의 탄성력에 의해 골판지는 조우플레이트(D)의 핀(101)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방지 된다.
그런데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그 탄성수단(40)으로 파도와셔(41)만을 도시해 놓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작용을 하는 공지의 탄성수단(4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된 외주형상의 파형폭 만큼 탄성을 보유한 파도와셔(41)를 그 탄성수단(40)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무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탄성스프링과 판스프링을 통해서도 실시 가능하다.
더불어 도시된 도 8, 9, 12에서는 상기 돔형상의 돔너트(29)가 최상단만이 약간 라운드진 형상이기에 판상의 조우플레이트(D)의 외부로 턱부(A)를 가진 형태이다.
이는 골판지가 끼워질 때 약간의 부하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에 도시된 도 10과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턱부(A)가 외부로 돌출 되지 않은 형태의 돔너트(29)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다.
즉, 깊은 폭으로 라운드를 형성하여 끼워지는 골판지와 곡면으로 부딪치게 한 형태의 돔너트(29)도 본 발명의 청구대상이 된다.
그럼 여기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함기의 적재부(매거진;300)에서 박스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골판지 박스(1)의 상단이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D)의 핀(101)에 끼워지면, 돔너트(29)와 골판지 박스(1)의 면에서 발생된 휨 응력에 의해 돔유니트(30)는 조우플레이트(D)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즉, 돔유니트(30)의 핀가이드부(22)는 조우플레이트(D)의 핀가이드공(10)을 타고 들어가며, 돔너트(29)의 핀가이드공(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도 파도와셔(41)와 같은 탄성수단(40)에 의해 돔유니트(30)는 항상 골판지 박스(1)를 밀고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기에 조우플레이트(D)의 연동 시에도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골판지 박스(1)가 빠진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돔유니트(30)의 탄성수단(40)은 돔유니트(30)를 조우플레이트(D)의 전면으로 밀어내려고 하지만, 숄더핀(20)의 머리부(21)가 핀가이드공(10)인 2단의 가이드공(72) 지름보다 넓기에 빠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는 받은 힘에 따라 연동하며, 가압하기에 개함장치의 작동 시에도 골판지 박스가 빠지는 현상이 없어 작업이 정확하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압력을 받을 시 돔유니트가 그 탄성력을 유지하며, 조우플레이트의 내부로 슬라이딩되기에 핀이 휘어지는 현상이 없어 내구성이 훌륭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돔유니트 결합구조에 의해 조우플레이트는 작업시 그 피로도가 절감된다.

Claims (4)

  1. 제함기에서 골판지 박스를 개함시키는 쌍의 조우플레이트와 돔너트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골판지 박스(1)가 끼워지는 핀블럭조립부(11)의 하단에서, 조우플레이트(D)의 판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2단으로 형성시킨 핀가이드공(10)과;
    상기 핀가이드공(10)에 끼워져 다소 돌출된 돔유니트(30)와;
    상기 핀가이드공(10)과 돔유니트(30) 사이에 끼워져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수단(40)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골판지 박스(1)가 끼워지면 핀가이드공(10) 내부로 들어가며 탄성력으로 골판지(박스;1)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우플레이트(D) 판상에서 다소 돌출된 돔유니트(30)는,
    원통형상이며, 조우플레이트(D)의 핀가이드공(10)의 내주면을 타고 연동 하는 핀가이드부(22)가 구성된 숄더핀(20)과;
    상기 숄더핀(20)의 스크류부(23)에 체결되어 조우플레이트(D)의 외부로 돌출 되는 돔너트(29)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필요한 압력으로 골판지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수단(40)은,
    외주형상의 파형폭 만큼 탄성을 보유한 파도와셔(41), 고무, 탄성스프링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돔너트(29)를 조우플레이트(D) 외부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상의 돔너트(29)는,
    깊은 폭으로 라운드를 형성하여 끼워지는 골판지와 곡면으로 부딪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KR1020040089627A 2004-11-05 2004-11-05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KR10062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27A KR100629251B1 (ko) 2004-11-05 2004-11-05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PCT/KR2005/003654 WO2006049418A1 (en) 2004-11-05 2005-11-02 The connect structure of jaw plate and dom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27A KR100629251B1 (ko) 2004-11-05 2004-11-05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816A KR20060040816A (ko) 2006-05-11
KR100629251B1 true KR100629251B1 (ko) 2006-09-29

Family

ID=3631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627A KR100629251B1 (ko) 2004-11-05 2004-11-05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9251B1 (ko)
WO (1) WO2006049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5919B2 (ja) * 2016-01-06 2019-10-23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製函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475A (en) * 1974-12-20 1976-08-10 Hoague-Sprague Corporation Box forming machine
JPH0825237B2 (ja) * 1991-10-07 1996-03-13 株式会社フジキカイ 製函機における折畳みシートの開函装置
JPH07102636B2 (ja) * 1991-10-09 1995-11-08 株式会社フジキカイ 製函機
KR200158654Y1 (ko) * 1997-03-21 1999-10-15 원영대 아암타입 제함기
JP4683801B2 (ja) * 2001-09-28 2011-05-18 東罐興業株式会社 製函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9418A1 (en) 2006-05-11
KR20060040816A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69A (en) Tool display rack
WO2006062894A3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dunnage erection biaser
US4406371A (en) Self-contained pad of plastic bags
KR100629251B1 (ko) 조우플레이트와 돔유니트 결합구조
US6502719B2 (en) Washer supply device for power nailers
EP2181977A3 (en) Film sticking apparatus and film sticking method
KR200438755Y1 (ko) 김밥 포장용 종이박스
CN209009092U (zh) 一种弹出式盒子
CN220743667U (zh) 一种环保免胶带纸箱
CN209364506U (zh) 一种积木组件钳拔器
CN106410084B (zh) 电池包释放结构
CN219440670U (zh) 盒式玩具
MX2012012258A (es) Envase de carton para comercializacion.
CN208544527U (zh) 一种免胶带易开启锁盖包装纸箱
CN216103224U (zh) 一种便于回收的瓦楞纸箱
CN218369238U (zh) 一种防撞抗压型纸箱
JP4866224B2 (ja) 緩衝機能付包装用箱
US10246214B1 (en) Package box and foldable sheet material
CN201950644U (zh) 新型起钉器
CN201351650Y (zh) 简易箍紧装置
CN207932157U (zh) 食物盒用支架
CN210126709U (zh) 一种纸盒用内衬结构
TWI667177B (zh) C-shaped buckle collection container
CN209126347U (zh) 一种压痕钳式无钉订书机
JP3206514U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