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83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83B1
KR100628183B1 KR1019990056500A KR19990056500A KR100628183B1 KR 100628183 B1 KR100628183 B1 KR 100628183B1 KR 1019990056500 A KR1019990056500 A KR 1019990056500A KR 19990056500 A KR19990056500 A KR 19990056500A KR 100628183 B1 KR100628183 B1 KR 10062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ir
reflux
por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313A (ko
Inventor
이근형
윤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가 형성하는 흡입영역 내에서의 공기 분사로 인한 흡입압력의 저하를 방지함과 함께 지면으로의 집중적인 공기 분사로 인하여 각종 이물질이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21)가 형성된 흡입구체(20)와, 상기 흡입구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청소기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유로(30)와,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써 본체 내부를 유동한 공기의 유동을 다시 흡입구가 위치된 흡입구체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환류유로(40)와, 상기 환류유로에 연장 형성됨과 함께 공기의 유출측은 흡입구의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영역과는 구획된 상태로 분사영역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분사유로(41)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가 제공된다.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분사유로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 은 일반적인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b 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4a 는 배기 환류방식이 적용된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b 는 배기 환류방식이 적용된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5 는 종래 배기 환류방식이 적용된 캐니스터형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종래 배기 환류방식이 적용된 또 다른 형태의 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흡입구체 21. 흡입구
22. 흡입유로가이드 23. 회전브러시
30. 흡입유로 40. 환류유로
41. 분사유로 42. 분사유로가이드
43. 절곡막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 내에 집진이 이루어져 배출되는 공기를 재사용함으로써 실내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라 함은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도시한 도 1과 같이 청소기 본체(110)와 흡입구체(suction nozzle)(120)가 각각 분리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canister type vacuum cleaner)와 도시한 도 2와 같이 청소기 본체(210)와 흡입구체(220)가 일체로 이루어진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도시한 도 3a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일반적으로 본체(310) 내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팬(311) 및 모터(312)가 구비되어 있음과 함께 흡입된 각종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봉투(3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체(320)에는 도시한 도 3b와 같이 지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3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체 내부에는 카페트 등과 같은 장소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브러시(3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구체(320)는 흡입유로(330)를 통해 본체(310)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310)내 모터(312)의 구동에 의해 팬(311)이 회전하면서 흡입력이 발생됨과 함께 이렇게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유로(330)를 통해 흡입구체(320)로 전달됨으로써 흡입구체(320)에 형성된 흡입구(321)를 통해 지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된다.
이 때에는, 흡입구체(320) 내부에 구비된 회전브러시(322)가 회전을 행하면서 카페트의 표면 등과 마찰함에 따라 상기 카페트의 표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부유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부유된 각종 이물질은 흡입구체(320)의 흡입구(321)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를 통과하여 청소기 본체(310) 내로 흡입된 후 집진봉투(313)에 집진됨과 함께 공기만이 상기 집진봉투를 통과하여 본체(310)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각 진공 청소기는 청소에 사용된 공기가 집진봉투(313)를 통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집진봉투내에 집진된 각종 이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및 각종 세균 역시 공기와 함께 집진봉투(313)를 통과함으로써 결국, 실내로 재 배출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염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위생상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어 결국,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 저하가 유발되었다.
도시한 도 4a, 4b는 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기 환류방식을 채택한 상태의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체(410) 내부를 그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집진봉투(413)를 통과한 후 본체(4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곧장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 내부를 유동하면서 모터(412)를 통과하는 공기는 다시 흡입구체(420) 측으로 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환류유로(440)를 형성한 것이다.
이 때, 상기 환류유로의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분사구(441)는 흡입구체(420)를 구성하는 흡입구(421)의 전방측 전부분에 걸쳐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환류공기의 재 흡입이 100%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체(410) 내를 유동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을 행하게 되어 상기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 등의 외부 배출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5는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canister type vacuum cleaner)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이 역시 배기 환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체(510)내에는 모터(512)와 집진봉투(51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모터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흡입구체(52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521) 측으로 분사되도록 환류유로(54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의 저면 전방측에는 흡입구(521)의 전방측 전 부분 즉, 흡입영역이 형성되는 측을 향해 환류유로(54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분사구(541)를 형성함으로서 계속적인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체(510)내 집진봉투(513)를 통과한 공기 및 각종 냄새성분 혹은 세균등(이하, “환류공기”라 한다)이 청소기 외부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본체(510)내 모터(512)가 구비된 공간측으로 유동하여 모터(512)를 냉각시키 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한 공기는 환류유로(540)의 안내를 받아 유동하면서 흡입구체(520)에 형성된 분사구(541)를 통해 흡입구체(520) 저면 전방측 전부분으로 분사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흡입구체(520)의 저면 전부분으로 분사된 환류공기는 상기 흡입구체의 흡입구(521)를 통해 계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흡입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어 본체(510)내로 재 유입됨으로써 계속적인 공기의 환류가 이루어지게 되어 각종 오염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 및 세균등의 실내 배출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한 도 6은 미국특허 제5457848호에 기술된 발명으로써 이 역시 배기 환류방식을 채택한 구조로서, 이 때, 환류되는 공기의 20%는 새로운 공기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흡입효율을 향상시킨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본체(610) 내의 환류유로(640)상에 별도의 바이패스 밸브(614)를 구비하여 흡입 효율에 따라 그 개폐정도가 적절히 조절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환류유로와 연결된 분사구(641) 위치는 흡입구체(620)의 흡입구(621)를 통해 돌출되어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1
)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최초 청소기의 동작에 의해 공기 및 각종 먼지등의 유입이 이루어질 때에는 환류유로(640)상에 형성된 바이패스 밸브(614)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환류공기의 환류가 100%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에서 흡입구(621)측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되어 일부의 환류공기는 개방된 배기구(615)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공기의 양 만큼은 흡입구체(620)에 형성된 흡입구(621)를 통해 새로이 유입된다.
이로 인해 모터(612)의 방열 효과는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로 인한 실내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도 4, 도 5, 도 6의 각 형태는 환류되는 공기의 토출위치가 흡입구의 전 부분 즉, 흡입구의 흡입영역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환류공기의 재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환류공기의 분사력을 이용하여 지면에 있는 각종 먼지를 부유시킴으로써 보다 원활한 청소 효율을 얻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환류방식을 채택한 진공 청소기는 배기되는 환류공기의 강한 분사력에 의해 흡입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2
)내에 위치되어 있는 각종 먼지등의 이물질이 부유되어 비산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었다.
특히, 회전브러시가 회전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각종 먼지들은 상기 회전브러시와의 마찰로 인한 부유 이외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환류공기의 분사력을 동시에 전달받게 됨으로써 그 비산됨이 더욱 심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청소효율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된 원인이 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배기 환류방식을 채택한 진공 청소기는 분사구의 위치가 흡입구 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환류공기의 분사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3
)이 흡입유로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력의 흡입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4
) 내에 위치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분사압력이 고압의 상태를 이루고, 흡입압력은 저압의 상태를 이루고 있음을 감안 할 때 상호간에 발생하는 압력차가 서로 상쇄됨으로써 흡입효율 역시 급격히 저하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각 문제점은 청소기의 청소효율 저하를 유발시키게 된 결정적인 원인이 되어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족을 초래하게 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가 형성하는 흡입영역 내에서의 공기 분사로 인한 흡입압력의 저하를 방지함과 함께 지면으로의 집중적인 공기 분사로 인하여 각종 이물질이 비산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청소기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써 본체 내부를 유동한 공기의 유동을 다시 흡입구가 위치된 흡입구체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환류유로와, 상기 환류유로에 연장 형성됨과 함께 공기의 유출측은 흡입구의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영역과는 구획된 상태로 분사영역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분사유로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 류공기 유로구조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유로(40)와 연통된 분사유로(41)의 공기 유출측을 흡입구체(20)에 형성된 흡입구(21)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흡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형성된 흡입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5
)과는 구획된 상태를 이루면서 분사영역(
Figure 111999016797213-pat00006
)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상기 분사되는 분사 공기에 의해 형성된 분사영역이 흡입영역 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흡입유로(30)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흡입구체(20)의 전진에 따라 점차적인 청소가 수행됨을 감안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유로(41)를 통해 배기공기가 배출되는 측을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 전방측에 구획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체(20)의 이동시 분사유로(41)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일차적으로 지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등의 부유를 수행하게 되고, 계속적인 흡입구체(20)의 이동에 의해 각종 이물질등이 부유된 위치로 흡입구(21) 즉, 흡입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등의 작용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시한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로서, 환류유로(40)와 연통된 상태로써 연장 형 성된 분사유로(41)의 공기 유출측에 분사유로가이드(42)를 구비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분사유로가이드에 의해 다수의 흐름으로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분사유로(41)를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여 그 압력 저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지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흡입구체(20)의 외측 부위로 비산됨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분사유로가이드(42)는 곡률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하여 분사유로(41)를 통해 배출되는 환류공기의 유동 방향이 분사유로 내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각각 구획된 상태로써 양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분사유로가이드(42)에 의해 전, 후방측으로 양분된 각 분사유로(이하, “전방분사유로” 및 “후방분사유로”라 한다)(41a)(41b) 중 전방분사유로(41a)의 전면인 공기 유출측 저면 끝단에 후방분사유로(41b)의 공기 유출측이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막(43)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절곡막은 전방분사유로(41a)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절곡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방분사유로(41a)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절곡막(43)에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그 분사압력을 급격히 저감시킴과 동시에 환류공기와 지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면의 각종 이물질이 비산됨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방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흡입구체(20)의 내측 부분으로 안내함으로써 환류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먼지가 흡입구체(20)의 후방측에 형성된 흡입구(21) 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절곡막의 형상을 공기의 분사 방향에 대하여 정확히 직교되도록 형성한 것으로만 한정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그 절곡 정도를 달리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 가능하다.
또한, 후방분사유로(41b)의 공기 유출측에도 절곡막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전방분사유로에 형성되는 절곡막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어느 한군데에만 이를 형성한 것에 한정하지도 않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본체내 모터가 구동을 행하면서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유로(30)를 통해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로 전달되어 지면에 있는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고,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은 흡입유로(30)를 따라 본체내 집진봉투(도시는 생략함) 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만이 상기 집진봉투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환류유로(40)가 연통된 상태로써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환류유로의 안내를 받아 흡입구체(20)로 환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구체(20)로 환류된 공기는 환류유로(40)의 공기 유출측에 연장 형성된 분사유로(41)를 통해 계속해서 지면으로 분사되는데, 이 때, 상기 분사유로의 공기 유출측에는 분사유로가이드(42)가 구비되어 환류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분사유로를 기준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각각 양분하게 됨에 따라 결국,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 역시 저감된 상태로써 전방분사유로(41a) 및 후방분사유로(41b)를 통해 각각 지면으로 분사된다.
또한, 이 때에는 전방분사유로(41a)의 전면인 공기 유출측에 절곡막(43)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분사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지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분사됨을 방지하게 됨과 동시에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흡입구체(20)의 내측 부위로 안내하게 된다.
결국, 각 분사유로(41a)(41b)를 통과하여 지면으로 분사되는 환류공기로 인해 지면으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떨어져 부유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입구체(20)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 및 각 분사유로(41a)(41b)를 통해 지면으로 분사된 공기는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어 흡입구(21) 및 흡입유로(30)를 각각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의 재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각 분사유로(41a)(41b)를 통해 분사된 공기의 토출압력은 흡입구(21)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압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데, 이는 상기 각 분사유로의 공기 유출측 위치가 흡입영역 내에 위치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가지면서 그 분사영역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각 분사유로의 공기 유출측과 흡입구 간의 거리는 흡입영역 내부에 일부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흡입영역에서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거리에 각 분사유로(41a)(41b)의 공기 유출측을 위치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는 흡입력의 세기, 흡입구체의 크기 등 다양한 주변 환경에 의해 가변할 수 있음에 따라 특별한 수치상의 한정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분사유로(41a)(41b)는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회전브러시를 흡입구체(20)에 개재시킨 상태에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사유로가 몇 개의 열로 구성되어야 하는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분사영역이 흡입영역과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면 적당하다.
도시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기 전술한 제1실시예를 기본 구조로 한 상태에서 추가로 흡입구(21)의 공기 유입측에 흡입유로가이드(22)를 구비한 것이다.
이 때, 상기 흡입유로가이드는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흡입구내의 전방측 및 후방측(혹은, 전방측 및 직하방측)으로 각각 구획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 유입측의 전방측(이하, “전방흡입유로”라 한다)(21a)으로는 각 분사유로(41a)(41b)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 및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흡입구체(20)의 저부에서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의 흡입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유입측의 후방측(이하, “후방흡입유로”라 한다)(21b)으로는 흡입구(21)의 후방 혹은 직하방에 있는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흡입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각 분사유로(41a)(41b)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재흡입되면서 미약하나마 흡입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분사되는 공기는 흡입구(21)의 전방흡입유로(21a)를 통해서만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후방흡입유로(21b)로는 분사 공기에 의한 면압 없이 지면의 각종 이물질을 원활히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기본 구조로 하고, 추가로 후방분사유로(41b)(혹은, 분사유로(41))와 흡입유로(30) 사이에 상호간의 공간을 연통하는 별도의 연통유로(5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제시된 후방분사유로(41b)에는 절곡막(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분사되는 공기가 직접 지면에 부딪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지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됨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이 비산되는 각종 이물질을 곧장 흡입유로(30)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기본으로 한 것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형태에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으로 최초 제시하였던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적용하여도 상관은 없다.
도시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흡입구(21) 내에 회전브러시(2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흡입구(21)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지면의 각종 먼지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브러시의 회전에 따른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지면에 있는 각종 이물질을 부유시켜 보다 원활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회전브러시를 환류되는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유로(41)의 공기 유출측에 설치하지 않고 흡입구(21)에만 설치한 이유는 회전브러시(23)의 회전에 따른 각종 이물질의 부유가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상기 이물질이 부유되는 영역으로 공기가 분사되면 이물질의 비산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회전브러시(23)에 따른 이물질의 부유와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력에 의한 이물질의 부유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이물질은 흡입구체(20)의 외부로 비산됨이 심화되어 결국, 원활한 청소의 수행이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흡입이 이루어지는 위치 즉, 흡입구(21)의 공기 유입측에 회전브러시(23)를 설치함으로써 흡입구(21)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 및 회전브러시(23)에 의한 각종 이물질의 부유력이 합쳐지게 되어 더욱 원활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하지만, 굳이 이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흡입구(21)에 회전브러시(23)를 적용한 형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예일뿐 반드시 회전브러시를 흡입구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각 실시예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적용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본체 내부를 환류한 공기가 흡입구체의 저면으로 분사된다 하더라도 그 분사력에 따른 압력이 흡입유로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청소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더라도 원활한 공기의 환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환류공기에 의한 분사력에 의해 지면에 있는 각종 먼지등의 이물질이 비산됨을 최소화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의 비산됨에 따른 청소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있다.
결국, 이는 소비자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6)

  1. 모터에 의한 구동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공기 또는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구체;
    상기 흡입력을 상기 흡입구로 전달하는 흡입유로;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다시 상기 흡입구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환류유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소정 거리 구획되어 구비되며, 상기 환류유로를 통한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유로; 그리고
    상기 분사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된 공기를 흡입구로 안내하는 절곡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로는 상기 환류유로를 통한 공기를 다수의 흐름으로 분리시키는 분사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로는 상기 각종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회전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구획하는 흡입유로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상기 분사유로와 상기 흡입유로 사이를 관통하는 연통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각종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회전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19990056500A 1999-12-10 1999-12-10 진공 청소기 KR10062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500A KR100628183B1 (ko) 1999-12-10 1999-12-10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500A KR100628183B1 (ko) 1999-12-10 1999-12-10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313A KR20010055313A (ko) 2001-07-04
KR100628183B1 true KR100628183B1 (ko) 2006-09-27

Family

ID=1962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500A KR100628183B1 (ko) 1999-12-10 1999-12-10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24B1 (ko) 2007-01-04 2008-01-02 연규철 다기능 가정용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196B1 (ko) * 2017-02-17 2017-08-16 (주)엔코아네트웍스 스위퍼와 에어나이프가 설치된 후드를 가진 청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465U (ja) * 1991-09-25 1993-12-03 精一 井筒屋 だに殺し用掃除機
JPH06189881A (ja) * 1992-10-26 1994-07-12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還流式掃除機及び吸引式掃除機
KR950024731A (ko) * 1994-02-16 1995-09-15 모리시타 요이찌 업라이트형 청소기
KR0152798B1 (ko) * 1995-12-07 1998-10-15 구자홍 배기환류 청소기의 흡입파이프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465U (ja) * 1991-09-25 1993-12-03 精一 井筒屋 だに殺し用掃除機
JPH06189881A (ja) * 1992-10-26 1994-07-12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還流式掃除機及び吸引式掃除機
KR950024731A (ko) * 1994-02-16 1995-09-15 모리시타 요이찌 업라이트형 청소기
KR0152798B1 (ko) * 1995-12-07 1998-10-15 구자홍 배기환류 청소기의 흡입파이프 구동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527980000 *
10199500247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24B1 (ko) 2007-01-04 2008-01-02 연규철 다기능 가정용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313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876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진공 청소기
US7581287B2 (en) Vacuum cleaner with spiral air guide
JP2004160102A (ja) 電気掃除機
US2008022953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KR20090050792A (ko) 진공청소기
TWI615121B (zh) 用於吸收粗顆粒和細粉塵的吸嘴
CN215502760U (zh) 一种具有基站的清洁机系统
KR100628183B1 (ko) 진공 청소기
JP354226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0869822B1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JPH11187988A (ja) 気流循環式掃除機
KR100672398B1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US20050022340A1 (en) Nozzle assembly with high efficiency agitator cavity
JPH11206628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込み口体
KR100617225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10055314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환류공기 유로구조
KR20010026686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
JP3877481B2 (ja) 吸込み口体及び循環式電気掃除機
KR20090018287A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CN114760898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清洁头
KR20010059857A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KR10101470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KR100628199B1 (ko) 배기 환류식 진공 청소기
JP3421582B2 (ja) 電気掃除機
KR10055681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