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143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143B1
KR100628143B1 KR1020040114907A KR20040114907A KR100628143B1 KR 100628143 B1 KR100628143 B1 KR 100628143B1 KR 1020040114907 A KR1020040114907 A KR 1020040114907A KR 20040114907 A KR20040114907 A KR 20040114907A KR 100628143 B1 KR100628143 B1 KR 10062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unit
outdoor
fa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484A (ko
Inventor
신수연
임경석
박병일
고영환
조민철
김범석
김영훈
류성록
한동주
최환종
천만호
정경문
정용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1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흡토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측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된 실외 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는 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측면토출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로코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X-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 가이드가 구비된 실외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실외기 101,201 : 캐비닛
101a,201a,201b : 흡입구 101b,201c : 측면토출구
104 : 시로코팬 210 : 양흡입 시로코팬
104a,210a,210b : 개방부 104b,210c : 배출구
105,205,206 : 실외 열교환기 106,212 : 쉬라우드
140,145 : 유로 가이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 간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냉매의 상태는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역학적 사이클에 따라서 변화되고, 특히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한 열전달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과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주로 창문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가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반면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는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실외공간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의 내부에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실외공기를 송풍하는 팬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의 일측에는 압축기(12) 등이 장착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의 전방에는 공기 토출구(11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지나서 토출구(11a)를 통하여 토출되고,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는 실외공기와 열교환된다. 이후, 상기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냉매관을 통하여 실내기에 구비된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10)는 후면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전면을 통하여 토출하여야 하므로, 상기 실외기의 전면과 후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위치되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기(10)의 후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실외측 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실외기(10)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실외기를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구와 아파트 벽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변의 공기유동의 관점에서, 실외공기의 기류는 아파트의 전방에 위치한 베란다를 향하여 불어오는데, 이는 실외기 전면을 향하여 바람이 불어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류의 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실외기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공기를 아파트의 전방을 향하여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공기의 흡입 및 토출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전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측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된 실외 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는 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팬유닛은 시로코팬 또는 X-팬 어셈블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측면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가이드의 전방측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분리하는 격막이 구비된다.
상기 팬유닛은 상하부에 병렬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측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각 흡입구의 내측에 장착된 실외 열교환기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들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는 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팬유닛은 양흡입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1)의 전면에는 흡입구(101a)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측면토출구(101b)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1)에서 상기 측면토출구(101b)가 형성된 면의 타측에는 기계실(1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이 상기 캐비닛(10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101a) 및 토출구(101b)에는 흡입그릴 및 토출그릴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계실(102)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103) 및 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103) 및 모터가 실내기(미도시)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외기 캐비닛(101)의 타측에 기계실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캐비닛(101)의 전면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구의 반대측 타측면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도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면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일측면을 통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01a)의 내측에는 실외 열교환기(105)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 기 열교환기(105)의 내부에 구비된 튜브를 흐르는 냉매와 실외공기는 상호 열교환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는 상기 흡입구(101a)만을 커버하도록 정방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측이 밴딩되고 상기 밴딩된 일측이 상기 기계실(102)과 마주보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의 후방에는 팬유닛이 구비되는데, 상기 팬유닛은 상기 캐비닛(101)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101a)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측면토출구(101b)를 통하여 토출한다.
이를 통하여,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상기 실외기(1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외기는 전면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원활히 흡입한 후에 측면을 통하여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와 아파트 벽면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상기 실외기를 아파트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아파트 베란다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는 아파트 주변에 형성된 기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흡입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흡입된다. 또한, 상기 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아파트의 주변에 형성된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유닛은 시로코팬(sirocco fan)(104)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로코팬(104)은 발생되는 소음이 작고, 상기 캐비닛(101) 내에 설치하기 요이하며, 정압을 상승시킴으로써 풍량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시로코팬(104)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 된 팬(107)과 상기 팬(107)의 외곽을 감싸는 쉬라우드(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팬(107)은 구동모터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쉬라우드(106)는 축방향의 전면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개방부(104a)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토출구(101b)와 연통되는 배출구(10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팬(10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방부(104a)를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배출구(104b)를 통하여 토출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의 후방에는 상기 팬(107)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시로코팬(104)은 높은 정압을 가지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의 튜브 외주면에 촘촘하게 구비된 다수개의 핀들 사이로 실외공기를 원활히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106)의 배출구(104b)의 방향을 상기 캐비닛(101) 일측면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공기를 상기 캐비닛 측면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토출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유닛은 상기 흡입구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105)의 면적이 증가됨에 대응하여 상기 팬유닛을 상기 캐비닛(101)의 상하부에 병렬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팬유닛이 상하방향으로 2개 이상 구비됨에 대응하여, 상기 실외기(100)를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모듈화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모듈화 된 실외기에는 하나의 팬유닛과 실외 열교환기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모듈화된 실외기를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요구되는 열교환량에 따라서 하나 이상 다수개의 실외기 모듈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유닛은 X-팬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X-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팬 어셈블리는 구동모터(미도시)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24)과, 이 회전축(124)의 단부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허브(121)와, 상기 허브(121)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지면서 형성된 블레이드들(122a)을 포함한다. 상기 X-팬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보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들은 'X' 자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허브(121)는 입구단과 출구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허브(121)의 중공부 내측에는 회전축(124)과의 결합 및 지지강도 확보를 위해 4개의 리브(125)가 90°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121)의 내측에 상기 리브(125)를 형성하는 대신에 나선형 보조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허브(121)의 내측을 통해서도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122a)들은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22a)들은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없도록 형성되어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팬을 사출성형시 허브(121)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블 레이드의 입구단에서 이웃한 다른 블레이드의 출구단을 연결하는 상,하부 금형에 의한 분할선(partition line)(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22a)는 그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허브측에 가까울수록 반경 방향 외측의 팁(tip)측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진동 특성에 좋은데, 이는 블레이드(122a)의 무게중심을 내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진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22a)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입구측의 곡률반경이 크고 출구측의 곡률반경이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할 경우 입구측에서 공기 유입이 원활해지고 출구측에서는 공기를 모아서 토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토출공기의 정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 내측의 좁은 공간을 고려하여 상기 X-팬 어셈블리의 허브(121)의 회전축 방향 길이를 짧게하는 대신에, 상기 허브(12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의 수를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허브(12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들이 구비된 멀티 블레이드 X-팬 어셈블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블레이드 X-팬 어셈블리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 캐비닛(101)의 전면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1a)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측면토출구(10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101a)의 내측에는 실외 열교환기가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후 방에는 멀티 블레이드 X-팬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X-팬 어셈블리는 X-팬(120)과 상기 X-팬(1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일측면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X-팬은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24)과, 상기 회전축(124)에 고정되게 결합된 기다란 원통형의 허브(121)와, 상기 허브(121)의 외주면에 허브(121)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지면서 형성된 다수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들(12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외기(100) 내측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121)의 회전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반면에 상기 허브(12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들(122b)의 수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들(122b)의 외주면에는 쉬라우드(123)가 구비되어 송풍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의 멀티 블레이드 X-팬(120)이 직렬로 연결되어 보다 강한 송풍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 블레이드 X-팬(120)은 블레이드의 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고풍량 및 고풍압의 공기 유동을 얻을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요구되는 풍압에 대응하여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나선형의 블레이드들을 연속적으로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팬유닛은 터보팬, 안내가이드를 갖는 축류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유로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1)의 일측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유로 가이드(140)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로 가이드(140)는 후방측면이 유선형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1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101b)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유로 가이드(14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상기 제1유로 가이드(140)는 상기 캐비닛(101)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101)의 전면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전면을 통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에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섞이게 되어 상기 실외기(100)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흡입구(101a)와 상기 유로 가이드(140)의 전방측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의 유동을 분리하는 격막(15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격막(150)은 흡입공기와 토출공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단순히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V'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막(150)과 상기 캐비닛(101)의 연결부분은 힌지를 사용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격막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1)의 일측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상측으로 안내하는 제2유로 가이드(145)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로 가이드(145)는 하부가 유성형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1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101b)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2유로 가이드(145)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실외기(100)의 상측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유로 가이드를 이용하면 아파트의 벽면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을 통하여 공기를 토출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200)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201)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흡입구(201a,201b)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201)이 일측면에는 측면토출구(201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의 흡입구들(201a,201b) 내측에는 각각 실외 열교환기(205,206)가 장착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들(205,206)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들(201a,201b)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팬유닛이 장착된다.
상기 양측의 흡입구들(201a,201b)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들(205,206)을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205,206)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 후에 상기 캐비닛(2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201c)를 통하여 토출된다.
상기 캐비닛(201)의 전면 및 후면 양측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팬유닛은 양흡입 시로코팬(21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흡입 시로코팬(210)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팬(211)과 상기 팬(211)의 외곽을 감싸는 쉬라우드(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쉬라우드(212)는 축방향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개방부(210a,210b)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토출구(201c)와 연통되는 배출구(210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팬(211)은 구동모터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한다.
따라서, 상기 팬(21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양측면의 개방부들(210a,210b)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배출구(210c)를 통하여 토출된다. 상기 시로코팬은 높은 정압을 가지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튜브 외주면에 촘촘하게 구비된 다수의 핀들 사이로 실외공기를 원활히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양흡입 시로코팬의 설치개수 및 측면토출구에 구비되는 유로 가이드의 추가적인 설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전면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상부에 흡입구가 하측을 향하고 토출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시로코 팬을 설치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지나서 상부에 구비된 상기 시로코 팬으로 흡입된 후 다시 상부측 전면을 통하여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서 전술된 격막을 상기 전면측 흡입구와 전면 상부측 토출구의 사이에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상부측에 형성된 토출구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단면이 'ㄷ' 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전면 및 양측면과 마주보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캐비닛의 전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에도 흡입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실외기의 일측면에 측면 토출구가 형성되므로,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면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 토출구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실외기를 아파트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 베란다와 같은 협소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상기 실외기의 일측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유로 가이드를 사용하여 전방측 또는 상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실외기의 일측면에 유동의 방해물이 위치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를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상기 실외기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아파트의 전방을 향하여 불어오는 기류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실외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Claims (9)

  1. 전면과 측면에 각각 흡입구와 측면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이 캐비닛에 구비된 실외 열교환기와, 이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측으로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의 전방측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분리하는 격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114907A 2004-12-29 2004-12-2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28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907A KR100628143B1 (ko) 2004-12-29 2004-12-2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907A KR100628143B1 (ko) 2004-12-29 2004-12-2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484A KR20060076484A (ko) 2006-07-04
KR100628143B1 true KR100628143B1 (ko) 2006-09-26

Family

ID=3716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907A KR100628143B1 (ko) 2004-12-29 2004-12-29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593A1 (en) 2009-08-06 2011-02-10 Hatton David L Inlet air flow guide for acdx fan coil
KR102391709B1 (ko) * 2019-09-23 2022-04-29 김문배 산소발생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CN114909721A (zh) * 2022-05-11 2022-08-16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换热器相对设置的空调外换热器模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713A (ja) 1998-11-27 2000-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4340437A (ja) 2003-05-14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713A (ja) 1998-11-27 2000-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4340437A (ja) 2003-05-14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62355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484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016B2 (ja) ターボ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1884718A2 (en) Air Conditioner
JP5079063B2 (ja) プロペラおよび送風機並びにヒートポンプ装置
KR10061710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CN101871678B (zh) 窗式空调
US20070051121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062814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41467A (ko) 송풍팬
KR100806576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0617104B1 (ko) 환기겸용 열교환 유닛
KR100617102B1 (ko) 환기겸용 열교환 유닛
KR20140014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7930897B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0643690B1 (ko) 공기조화기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217876450U (zh) 一种空气能热水器的外机
KR102521853B1 (ko) 공기조화기
JPWO201912374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0047700A (ko) 공기조화기
CN108386905B (zh) 空调
CN210463255U (zh) 风管机及空调
KR10141994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339389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부
KR101225970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