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808B1 -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808B1
KR100626808B1 KR1020040064050A KR20040064050A KR100626808B1 KR 100626808 B1 KR100626808 B1 KR 100626808B1 KR 1020040064050 A KR1020040064050 A KR 1020040064050A KR 20040064050 A KR20040064050 A KR 20040064050A KR 100626808 B1 KR100626808 B1 KR 10062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asing
elastic member
bucket elevato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199A (ko
Inventor
정성기
Original Assignee
비봉단위농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봉단위농협 filed Critical 비봉단위농협
Priority to KR102004006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8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되는 곡물에서 해충이 생겨나는 것을 방지하는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곡물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곡물을 이송하는 곡물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100)로서, 복수개의 버킷(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킷(10a,10b,10c)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을 청소할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10) 내의 모서리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배치되어, 허브향이 발산되는 허브향발산장치(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킷엘리베이터, 버킷, 케이싱, 탄성부재, 허브향발산장치, 허브에션셜오일

Description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bucket elevator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vermin}
도 1은 종래의 버킷엘리베이터를 도시한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버킷과, 허브향발산장치가 마련된 버킷엘리베이터의 입면도.
도 3은 도 2의 버킷엘리베이터의 부분상세도.
도 4a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제1버킷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b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제2버킷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c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제3버킷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d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제1버킷 내지 제3버킷이 연속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허브향발산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곡물 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에 탄성부재를 구비한 버킷과, 허브향을 발산하는 허브 향발산장치 등의 해충방지장치를 마련하여, 상기 버킷엘리베이터의 내부 및 버킷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이송되는 곡물에서 생겨나는 해충을 방지하는,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곡물은 대략 쌀, 보리, 밀, 호밀, 귀리, 조, 옥수수, 기장, 피, 메밀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 곡물은 한국인의 주식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밀가루, 맥주, 각종 식품 등의 식품산업 전반에 걸쳐 주재료 또는 첨가재료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곡물들을 이용하여 쌀 내지 각종 식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곡물들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시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소비자에게 쌀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단위농협에서 운영하는 미곡종합처리장 및 밀가루, 맥주 등을 만드는 시설 등이 그것이다.
상기 가공시설에는 곡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각종 컨베이어와 버킷엘리베이터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곡물을 이송하는 버킷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버킷엘리베이터(100)는,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0)와,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0)와, 상기 케이싱(110) 내에 마련된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40,140')과, 기 구동 및 종동 스프로킷(140,140')에 의해 케이싱(110) 내에서 무한 순환하는 벨트(160)와, 상기 벨트(160)에 구비되어 곡물을 수용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버킷(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버킷엘리베이터(100)는, 내부가 밀폐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일단 설치가 된 후에는 내부 청소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케이싱(110) 내의 내벽에 곡물들에서 발생된 분진 내지 곡물가루(미강) 등이 퇴적되게 되어, 바구미 등의 해충이 발생되기 쉬운 환경이 제공된다.
곡물은 해충에 오염되기 쉽게 노출되어 있다. 곡물은 수확될 때 부터 곡물 알곡 내에 유충형태로 오염되어 있을수도 있고, 곡물저장시설 등에 저장된 상태에서도 오염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00) 등의 곡물 이송용 및 가공용 시설에서도 해충이 생겨나 곡물에 침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 오염된 곡물에서 생겨난 해충이나,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00)에서 생겨난 해충에 의한 곡물의 피해가 실로 막대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 내에 마련된 버킷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로 하여금 케이싱의 내벽에 퇴적되어 달라붙어 있는 분진 및 미강 등을 청소하게 하여 해충이 생겨날 수 있는 환경요인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케이싱 내의 사방 모서리에 허브향을 발산하는 허브향발산장치를 마련하여 버킷엘리베이터 내에서 해충이 생겨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버킷엘리베이터를 통해서 이송되는 곡물에도 허브향이 유입되게 함으로써, 곡물에서 해충이 생겨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충방지장치 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물을 이송하는 곡물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로서, 복수개의 버킷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킷에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을 청소할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 내의 모서리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배치되어, 허브향이 발산되는 허브향발산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버킷에는 4개의 모서리 부근에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버킷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에 각각 1개의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제3버킷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과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2개의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허브향발산장치는, 외면에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되, 허브향을 발산하는 허브에션셜오일이 흡수되어 있는 심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지는 설명에서 종래기술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는, 종래의 버킷엘리베이터에 비하여,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00)의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버킷(10a,10b,10c)에 구비된 탄성부재(20)와, 상기 케이싱(110) 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허브향발산장치(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버킷엘리베이터(100)의 케이싱(110) 내에 마련되어 있는 벨트(160)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버킷(10) 중에서 일부의 버킷(10a,10b,10c)들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 탄성부재(20)의 말단이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과 접촉되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에 퇴적되어 달라붙어 있는 먼지, 미강 등을 긁어 냄으로써, 그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우레탄 등의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버킷(10a,10b,10c)들에 구비된 탄성부재(20)를 단면도인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킷(10a)에는 4개의 모서리 부근에 상기 탄성부재(20)가 구비되어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킷(10b)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에 각각 1개의 탄성부재(20)가 마련되어 있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버킷(10c)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과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2개의 탄성부재(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버킷(10a,10b,10c)들에 서로 위치가 다르게 구비된 탄성부재(2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엘리베이터(100)의 케이싱(110) 내벽면(110a)을 전체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상기 버킷(10a,10b,10c)들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버킷엘리베이터(100)의 벨트(160)가 순환함에 따라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을 전체적으로 긁어, 거기에 퇴적되어 달라붙어 있는 먼지, 미강 등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0)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버킷(10a,10b,10c)들을 상기 벨트(160)에 마련할 때,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00)의 크기, 높이 등을 고려하여 상기 벨트(160)가 무한 순환하는데 저항이 걸리지 않게 적당한 갯수의 버킷(10a,10b,10c)을 상기 벨트(160)에 마련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된 상기 탄성부재(20)는, 버킷엘리베이터(100)의 크기, 높이 등의 변경 요건에 의해 가변적으로 상기 버킷(10a,10b,10c)들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버킷에 버킷엘리베이터의 케이싱과 상응하는 크기의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탄성부재로 하여금 케이싱 내벽면을 청소할 수 있게 하는 구조는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허브향발산장치(30)는, 단면이 원형인 긴 파이프 형태의 본체(32)와, 허브향을 발산하는 허브에션셜오일(H)이 흡수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32)에 삽입되는 심지(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32)의 외면에는 작은 관통구멍(3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심지(34)는, 흡수가 잘되는 재질의 스폰지, 솜 및 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지(34)에 흡수되어 있는 허브에션셜오일(H)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허브에션셜오일(H)은, 다수의 방향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허브향을 낸다. 특히, 함유된 성분중에 테르펜은 살충, 살균 효과가 뛰어나 해충을 방지하는데 뛰어난 효능을 보인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허브향발산장치(30)는, 버킷엘리베이터(100)의 케이싱(110) 내의 각 모서리에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길게 배치되며, 상기 심지(34)에 흡수되어 있는 허브에션셜오일(H)에서 발산되는 허브향이 상기 본체(32)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33)을 통하여 버킷엘리베이터(100)의 케이싱(110) 내에 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허브향발산장치(30)에서 발산된 허브향은, 상기 벨트(160)가 무한 순환하면서 생기는 공기의 흐름이 의해 케이싱(110) 내에서 고르게 분포되고, 더불어 상기 버킷(10a,10b,10c)에 구비된 탄성부재(20)의 일부분이 상기 허브향발산장치(30)의 본체(32)와 접촉되면서 이송하므로, 상기 본체(32)에 형성된 관통구멍(33)을 통해 흘러나오는 일부의 허브에션셜오일(H)이 상기 탄성부재(20)에 묻혀지게 되어 버킷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곡물에 진한 허브향이 전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가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곡물이송 용 버킷엘리베이터의 내벽면을 청소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버킷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버킷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퇴적되어 달라붙어 있는 미강 등을 긁어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버킷엘리베이터 내에서 해충이 생겨날 수 있는 환경요인이 제거된다.
또한, 버킷엘리베이터의 케이싱 내에 마련된 허브향발산장치에서 허브향을 발산하여 케이싱 내에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써, 버킷엘리베이터 내에서 해충이 생겨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버킷에 담겨 이송되는 곡물에도 허브향이 전달되어 상기 곡물에서 해충이 생겨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곡물을 이송하는 곡물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100)로서,
    복수개의 버킷(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킷(10a,10b,10c)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에 접촉되어 이동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면(110a)을 청소할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10) 내의 모서리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배치되어, 허브향이 발산되는 허브향발산장치(30)가 마련되며,
    상기 허브향발산장치(30)는, 외면에 다수개의 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32)와, 상기 본체(32) 내에 마련되되, 허브향을 발산하는 허브에션셜오일(H)이 흡수되어 있는 심지(3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킷(10a)에는 4개의 모서리 부근에 상기 탄성부재(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버킷(10b)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에 각각 1개의 탄성부재(20)가 마련되어 있고, 제3버킷(10c)에는 그 3면의 중앙부분과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2개의 탄성부재(2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3. 삭제
KR1020040064050A 2004-08-13 2004-08-13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KR10062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50A KR100626808B1 (ko) 2004-08-13 2004-08-13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50A KR100626808B1 (ko) 2004-08-13 2004-08-13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227U Division KR200373700Y1 (ko) 2004-08-13 2004-08-13 해충방지수단이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199A KR20060015199A (ko) 2006-02-16
KR100626808B1 true KR100626808B1 (ko) 2006-09-20

Family

ID=3712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050A KR100626808B1 (ko) 2004-08-13 2004-08-13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25B1 (ko) * 2010-10-12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25B1 (ko) * 2010-10-12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199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00567A1 (en) Crawling arthropod intercepting device and method
US5282334A (en) Insect exterminator
Moerman et al. Cleaning and disinfection in dry food processing facilities
Arthur et al. Distribution and efficacy of pyrethrin aerosol to control Tribolium confusum (Coleoptera: Tenebrionidae) in food storage facilities
KR100626808B1 (ko) 해충방지장치가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KR200373700Y1 (ko) 해충방지수단이 구비된 버킷엘리베이터
Hammond Heat treatment for insect control: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AU2012209474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ability of insects to adhere to surfaces
US3173223A (en) Insect killing device
US20050204937A1 (en) Apparatus for peeling and scrubbing produce
US20210076661A1 (en) Ga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EP0983730A3 (en) A food washing apparatus
JPH0679532B2 (ja) ゴキブリ誘引毒餌及びゴキブリ誘引殺虫器
Mueller et al. Mold mites Tyrophagus putrescentiae (Shrank) in stored products
KR200332644Y1 (ko) 식품 자동세척장치
Sserunjogi Physical disturbance as a non-chemical approach to control weevils in stored maize
CN106000979A (zh) 一种家用清洗蔬菜农药残留装置
US20030101524A1 (en) Produce handling material
US20050109687A1 (en) Treat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
CN206895784U (zh) 水果清洗设备
JPS6026690Y2 (ja) カ−ペット装置
CN215454844U (zh) 一种带吸盘的荧光灯灭蟑螂盒
US20240094177A1 (en) Gas monitoring device
JP3909698B2 (ja) モップ用塵芥除去具
US20060251747A1 (en) Method of making and using mustard as an insect or rodent repellent or preserva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