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520B1 -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 Google Patents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520B1
KR100625520B1 KR1020050066233A KR20050066233A KR100625520B1 KR 100625520 B1 KR100625520 B1 KR 100625520B1 KR 1020050066233 A KR1020050066233 A KR 1020050066233A KR 20050066233 A KR20050066233 A KR 20050066233A KR 100625520 B1 KR100625520 B1 KR 10062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information
shopping mall
langua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모
Original Assignee
(주)인베스트클럽
이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베스트클럽, 이성모 filed Critical (주)인베스트클럽
Priority to KR102005006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520B1/ko
Priority to US11/162,205 priority patent/US200700220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 국가의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하여 동일한 상품을 전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상품설명이 해당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제3 국가의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자국 언어로 확인하여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 또는 판매자에 의해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1 과정;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로부터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2 과정; 및 제3 국가 연계서버로부터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과정에는 제3 국가 연계서버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제1 단계,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제2 단계, 정보 원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SALE GOODS REGISTRATION METHOD FOR ONLINE SHOPPING CENTER HAVING TRADE TRANSACTIONS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 11,12,13 :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
20 : 제3 국가 연계서버 21,22,23 : 제3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
30 : 사용자 단말기 4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3 국가의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하여 동일한 상품을 전시하고, 해당 국가의 언어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제3 국가의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여 국제무역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단지 내수거래가 전자상거래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온라인 쇼핑몰은 고객의 확보가 어려워 판매량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 국가에서도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운영되거나 보편화 되어있는 온라인 쇼핑몰 솔루션에 무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솔루션을 장착하여 내수 및 무역이 가능한 온라인 국제무역 쇼핑몰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자무역과 관련한 다수의 발명을 출원한 바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소규모의 사업자나 일반 판매자가 무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에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 11,12,13은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제1 국가에 위치하고 통상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와 함께 무역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자료를 구비하며, 해당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운영체계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11,12,13)는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에 의해 운영되는 사이트에 몰인몰(mall in mall) 개념으로 연계되는 사이트를 운영한다.
또한, 참조번호 20은 제3 국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3 국가 연계서버를 나타내고, 21,22,23은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에 의해 운영되는 사이트에 몰인몰(mall in mall) 개념으로 연계되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제3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될 수 있는 일반적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각 서버(10,11,12,13,20,21,22,23)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품의 구매신호 또는 판매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고, 40은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 및 제3 국가 연계서버(20)에 연결되어 상품정보 및 회원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40)는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 및 제3 국가 연계서버(20)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유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과정을 첨부도면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관리자에 의해 판매를 위한 상품을 등록하거나(S10 단계 참조), 일반 판매자에 의해 판매를 위한 상품이 등록되거나(S20 단계 참조),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11,12,13) 및 제3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21,22,23)에 등록된 상품을 자동으로 등록한다.(S30, S40 단계 참조)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판매를 위한 상품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에 반응하여 판매지역을 확인하고 제3 국가에 판매하고자 하면 그에 따라 판매와 관련하여 해당 국가와의 무역에 필요한 자료를 판매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50 단계 참조)
그후, 제1 국가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접속된 구매자에 의해 상품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그러나, 제3 국가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접속된 구매자에 의해 상품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구매자의 상품구매 신호에 반응하여 배송주소의 입력을 요구하고 배송가격을 산출하게 된다.(S60 단계 참조)
그후, 구매자에게 배송가격과 상품가격을 합하여 결제를 요구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전자결제를 수행하게 된다.(S70 단계 참조) 상기 전자결제는 통상의 신용카드 결제, 무통장입금 결제, 자동이체 결제, 휴대폰을 이 용한 결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후, 판매자에게 배송요구 신호를 전송하고(S80 단계 참조), 배송주소가 제3 국가인 경우에 배송과 관련하여 무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상품의 배송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S90 단계 참조)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상품의 등록에 있어서, 제1 국가와 제3 국가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 구매자들은 판매상품의 기능을 잘못 이해하여 구매 후 불만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간혹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3 국가의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하여 동일한 상품을 전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상품설명이 해당 국가의 언어로 변환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 국가에 위치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동시에 무역을 위한 각종 자료를 구비하는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와, 제3 국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별도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제3 국가 연계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또는 제1 국가의 일반 판매자에 의해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1 과정;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로부터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2 과정; 및 제3 국가 연계서버로부터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과정에는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제1 단계,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제2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 과정에는 제3 국가 연계서버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제1 단계,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제2 단계, 정보 원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관리자에 의해 판매를 위한 상품을 등록하거나(S10 단계 참조), 일반 판매자에 의해 판매를 위한 상품이 등록되거나(S20 단계 참조),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11,12,13) 및 제3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21,22,23)에 등록된 상품을 자동으로 등록한다.(S30, S40 단계 참조)
상기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면, 판매상품이 등록되는 경우에 판매상품 정보는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기능설명 정보 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입력되는 판매상품의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게 되는데, 구매자에게 제공될 때는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기능설명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페이지로 표시된다.
이때, 이미지 정보 부분은 국가에 관계없이 동일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가격 정보와 기능설명 정보는 각 국가의 언어에 의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이미지 정보, 가격 정보, 기능설명 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10)는 판매상품을 등록하는 주체가 누구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관리자에 의해 등록되거나, 제1 국가의 일반 판매자에 의해 등록되는 경우에는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경우이기 때문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게 된다.(S110, S120 단계 참조)
한편, 상기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11,12,13)로부터 판매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되는 경우에도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경우이기 때문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게 된다.(S130 단계 참조) 이때, 상기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11,12,13)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단계(S131),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S132), 및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 또는 제3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21,22,23)에 등록된 상품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경우에는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경우이기 때문에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게 된다.(S140 단계 참조) 이 경우에도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상태 그대로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추후 구매자가 원문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3 국가 연계서버(20)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단계(S141),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 를 호출하는 단계(S142), 정보 원문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143),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는 단계(S144),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은 자동변환도 가능하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관리자에 의해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판매상품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의 접속신호에 따라 그 위치를 판단하여 해당 국가의 언어로 된 판매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판매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하게 되는데, 먼저 해당 제1 국가 언어로 변환된 상품 정보를 호출하여 표시하고, 만약 제1 국가 언어로 변환된 상품 정보가 없으면 영어로 된 상품 정보를 호출하여 표시하고, 만약 영어로 된 상품 정보도 없는 경우에는 원문 정보를 그대로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의하면 제3 국가의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하여 동일한 상품을 전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상품설명이 해당 국가의 언어로 변환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는 제3 국가의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자국 언어로 확인하여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1 국가에 위치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동시에 무역을 위한 각종 자료를 구비하는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와, 제3 국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국가 쇼핑몰 운영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별도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제3 국가 연계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또는 제1 국가의 일반 판매자에 의해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1 과정;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로부터 제1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2 과정; 및
    제3 국가 연계서버로부터 제3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판매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에는 제1 국가 보조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제1 단계,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제2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는 제3 국가 연계서버에 등록된 판매상품을 검색하는 제1 단계, 신규 등록된 판매상품의 정보를 호출하는 제2 단계, 정보 원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3 단계, 가격 정보 및 기능설명 정보를 제1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징으로 하는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KR1020050066233A 2005-07-21 2005-07-21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KR10062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33A KR100625520B1 (ko) 2005-07-21 2005-07-21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US11/162,205 US20070022014A1 (en) 2005-07-21 2005-08-31 Method of managing online shopping mall having trade transa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33A KR100625520B1 (ko) 2005-07-21 2005-07-21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520B1 true KR100625520B1 (ko) 2006-09-20

Family

ID=3763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233A KR100625520B1 (ko) 2005-07-21 2005-07-21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041B1 (ko) 2010-10-18 2012-07-09 김경희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KR20190132796A (ko) 2018-05-21 2019-11-29 김필립 소호 무역을 통한 수입물품의 판매 매장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041B1 (ko) 2010-10-18 2012-07-09 김경희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KR20190132796A (ko) 2018-05-21 2019-11-29 김필립 소호 무역을 통한 수입물품의 판매 매장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35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JP2002015221A (ja) 販売方法、及び販売システム
JP2002149946A (ja) 個人情報売買方法
KR20100101041A (ko) 구매자 중심의 인터넷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4922A (ko) 장바구니 정보를 활용한 국제 쇼핑몰 연계에 따른 국제 배송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25520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상품 등록방법
US20070022014A1 (en) Method of managing online shopping mall having trade transaction function
US8719107B2 (en) Machine-implemented method for assisting labeling of correct product selling prices
JP2009140242A (ja) ギフトお返し支援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5178859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ynamic customer/provider data pairing
JP5919449B1 (ja) 管理装置、管理方法、非一時的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7193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CN109117655B (zh) 信息的录入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JP4083095B2 (ja) カタログ商品注文方法、カタログ商品受注方法、及び、受注システム
KR100625518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배송가격 산출방법
KR20110076658A (ko) 전자상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방법
KR20010102865A (ko) 확인/고지된 부동산 매물정보를 이용한온라인부동산중개시스템
KR100625332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방법
JP200624432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010078839A (ko) 사용자의 자국어에 의한 전 세계 인터넷(Internet) 상품비교 검색 구매 시스템.
CN116485383A (zh) 具有一致服务体验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103495B1 (ko) 거래금액 입력창을 이용한 거래 결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013792A (ja) リース販売支援システム、リース販売支援装置及びリース販売方法
KR101160683B1 (ko) 전문판매자 태그를 이용한 결제 수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