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456B1 - 피복박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복박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456B1
KR100625456B1 KR1020060028316A KR20060028316A KR100625456B1 KR 100625456 B1 KR100625456 B1 KR 100625456B1 KR 1020060028316 A KR1020060028316 A KR 1020060028316A KR 20060028316 A KR20060028316 A KR 20060028316A KR 100625456 B1 KR100625456 B1 KR 10062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s
coating
release agent
compounds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은
이승열
박현일
남정숙
Original Assignee
박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은 filed Critical 박상은
Priority to KR102006002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이나 지그 등의 치공구 즉, 작업 중 오염될 수밖에 없는 소재나 기구 등에 사전도포하여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후 치공구에 부착되는 도료 또는 본드 등의 오염원을 쉽고 빠르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그, 그레이팅, 피복, 박리, 바인더 수지, 재사용, 피복박리제

Description

피복박리제 조성물{Composition of Coating-Removing Agents}
본 발명은 그레이팅이나 지그 등의 치공구 즉, 작업 중 오염될 수밖에 없는 소재나 기구 등에 사전도포하여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후 치공구에 부착되는 도료 또는 본드 등의 오염원을 쉽고 빠르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부스에서 페인트(Paint)가 과잉분사(over spray)되면서 주변 지그나 그레이팅 등의 치공구들이 오염되며, 일정 작업기간이 지나 폐도료가 누적?부착되어 끈적이고, 도막이 두꺼워져 부스 내 배기공조가 불균형을 이루어 불량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된 치공구의 교환 및 청소가 필요하다.
예를들면, 일반적으로 도장공장의 지그(Jig)나 그레이팅(Grating)에 부착되는 도료(미경화도료) 또는 본드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유기용제 사용법, 초고압세척기 사용법 및 소둔 처리방법이 있다.
상기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오염원인 도료를 제거하는 방법은 메틸렌디클로라이드(MC), 삼염화에틸렌(TCE: trichloroethylene), 111-삼염화에틸렌(111-TCE), 퍼클로로에틸렌(PCE: Perchloroetylene) 및 기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도료를 용해시 켜 제거하거나 박리시키는 방법으로, 장시간(30분~5시간) 침적 방치하거나 액상이 강산성 또는 강알카리 및 유기용제이므로 유기용제에 의한 작업장의 악취 및 인체의 유해물질로 인한 각종 냄새와 폐기물의 처리곤란, 비용상승등 효율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초고압세척기를 사용하여 800기압의 강력한 압력으로 도료를 제거하는 방법은 고압세척기를 사람이 직접 걸어 매고 작업하는데 장비의 무게나 수압이 위험수위를 넘어 안전치 못하고 기계소음이 작업시간 동안 발생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를 발생시키고, 난청을 유발하는 등 작업장 환경이 극심히 열악하다. 또한 초고압세척기의 가격은 매우 고가이다.
또한 소둔(일종의 태우거나 열분해방법)처리 방법의 경우 설비비와 유지보수비가 많이 들고 처리효율이 떨어지며 온도조절에 의한 변형이나 열에 의한 부식진행이 빠르며, 대량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공해문제가 있으며, 전기비 또는 가스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레이팅이나 지그 등의 치공구에 사전도포하여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후 치공구에 부착되는 도료 또는 본드 등의 오염원을 쉽고 빠르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이용한 오염된 치공구 의 오염원을 박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이나 지그 등의 치공구에 사전도포하여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후 치공구에 부착되는 도료 또는 본드 등의 오염원을 쉽고 빠르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셀롤로오스 수지에서 선택되는 2성분 이상의 바인더 수지 15~90 중량%; 발포제 0.1~40 중량%;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성분 0.1~20 중량%; 및 물, 알콜류, 글리콜류, 폴리올류 또는 에테르류에서 선택되는 용제 1~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고분자 성분의 점착제로 수성 매질 속에 분산 또는 용해될 수 있고 또한 결합하여 피복되는 재료에 피복 조성물이 건조될 때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고분자나 고분자 복합 혼합물이다. 무기도료에 사용되는 특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들 수지는 유기물이며, 고온에서 가열하면 대개는 연화(軟化)→유동→고화(固化)를 거쳐 타던가 탄화하여 버리는 것이다. 바인더 수지는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기본적인 골격이며, 피복박리제 조성물 중에 점하는 수지의 성분이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특징 및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디논(polyvinylpyrrolidi none) 및 셀롤로오스(cellulose) 수지에서 선택되는 2성분 이상의 바인더 수지 15~90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 범위에서는 오염원의 박리 시 박리성을 향상시켰으나, 15중량% 미만 사용하는 경우 부착성 및 박리성이 저하되고, 90중량% 초과 사용하는 경우 부착성이 너무 강해 오염원의 박리가 저하되고, 도막형성이나 건조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치공구의 표면에 접착되어 하드한 피막을 형성하여, 그 피막 상부에 오염물이 부착되게 한 후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 가열된 물, 증기 또는 오븐의 열에 의해 용이하게 스웰링되어 치공구로부터 이탈되어 세정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의 바인더 수지 4 가지 성분 중에서 2성분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공구에 코팅된 상태에서 바인더 수지의 탈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오염물질이 부착된 바인더 수지가 가열된 물, 증기 또는 오븐의 열에 의해 용이하게 스웰링되어 박리된다. 1성분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 중 피막이 벗겨지거나, 또는 땀 등에 의해 벗겨져 오염의 속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2성분 이상의 바인더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대하여 15~90 중량%가 사용되고, 4 가지 성분의 바인더 수지 각각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좋게는 각각의 바인더 수지를 전체 바인더 수지에 대하여 0.001~5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피복 시 접착성, 오염성 및 청소 시 박리의 효율이 좋다.
또한 오염원의 박리를 용이하게 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발포제는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탄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폴리설폰로부터 선택되는 탄성껍질 내에 가열을 통해 가스화됨으로써 쉽게 팽창하는 물질인 이소부탄, 프로판 또는 펜탄이 포함되어 있는 열팽창성 미소구, 무기계 발포제 및 유기계 발포제등이 있으며, 상기 열팽창성 미소구, 무기계 발포제 및 유기계 발포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무기계 발포제로는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중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 암모늄, 수산화붕소나트륨 또는 아자이드 화합물이 있으며, 유기계 발포제로는 물;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르메탄 및 다이클로로 모노플루오로메탄의 클로로플루오루알케인화합물; 아조비스아이소부틸니트릴,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및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아조화합물;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 및 알릴비스(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의 하이드로자이드화합물;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이드 및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세미카바이드)의 세미카바이드화합물; 5-모포릴-1,2,3,4-티아트라이아이졸의 트리이아졸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및 N,N-디니트로소텔레프탈아마이드의 N-니트로소화합물; 변성 아조디카본아마이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p-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N,N'- 디니트로소펜탐에틸렌테트라아민, p-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 5-페닐테트라아졸이 있다.
상기 발포제는 0.1~40 중량% 사용되며, 0.1 중량% 미만 사용되는 경우 발포효과가 거의 없거나 저하되고, 40 중량% 초과 사용되는 경우 발포효과는 좋으나 원가상승 및 점도가 높아져 도포 작업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저하되며, 오염원의 박리 후 찌꺼기가 다량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 성분으로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0.1~20 중량%사용한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기본 중합체로 하며, 합성고무로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SB)고무, 스티렌-이소프렌(SI)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트렌 블록 공중합체(SBS)고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고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고무, 재생고무, 부틸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이들의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본 중합체로 하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단량체의 주성분으로써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C1-20 알킬에스터가 이용된다. 필요에 따라 공중합성 단량체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들은 피복제 코팅 처리시 지그 또는 그레이팅 등의 치공구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복박리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조화로운 용해와 기능 증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ampholytic)계면활성제가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 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 지방산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터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터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의 알칸올 아마이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올레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모노팔미트산 에스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터, 소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터,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 또는 라우르산 다이에탄올아마이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등의 에테 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인산 에스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 에스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카르복실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민염계 또는 제4급 암모늄염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고, 양성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시베타인계 또는 글리신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증점제는 상기 피복박리제 조성물 도포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메틸셀루로우스(methyl cellulose),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우스(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메틸에틸하이드록시에틸 셀루로우스(methylethyl hydroxyethyl cellulose)등과 같은 셀루로우스류; 구아검류; 벤토나이트인 무기 증점제류; 카보폴, 변성우레아 또는 우레아 변성폴리우레탄에서 선택되는 유기 증점제류;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는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글리콜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칠에테르 또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칠에테르 등의 에테르류;에서 선택되어지며 1~20 중량%로 사용된다. 상기 용제를 1 중량%미만 사용하면 점도가 높아 취급 및 작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20 중량% 초과 사용하면 점도가 너무 낮아 흘러내리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의 피복이 어렵고 요구하는 성능 발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레이팅, 지그 등의 치공구를 깨끗이 청소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붓, 스프레이 또는 침적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치공구에 사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하다가 도료나 본드 등으로 오염된 치공구를 40~95℃의 물에 1분~2분의 짧은 시간동안 침적시킴으로서 치공구에 도포된 피복박리제 조성물이 가온된 물에 의하여 도막이 팽윤되면서 부피가 팽창되어 부착된 도료나 본드 등의 오염원과 함께 박리되면서 물위로 부상하게 된다. 상기에서 오염원이 제거된 치공구를 물에 헹군 다음 재 도포한 후 건조하여 재사용한다. 상기의 가온된 물 이외에 증기 또는 오븐의 열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박리효과 면에서는 바람직하게 물이 가장 우수하고, 열풍의 경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온된 물은 공장 내 발생하는 폐열이나 공장 내 타 라인의 스팀 등을 활용하여 수조내의 물온도만 40℃~95℃로 유지시켜주면 수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으므로 원가관리에 있어 유리하고 폐수도 발생되질 않는다. 다만, 수세공정이 요구되며 이때 발생되는 수세의 폐수는 재활용이 가능한 맑은 물이므로 폐수로 볼 수 없고 도장 순환수로 재활용되므로 악취와 소음 및 운영비와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종래의 작업환경과 비교 시 청소시간의 단축뿐 아니라 대량 제거가 가능하며 화재에 노출되거나 혹은 인체에 해로운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초고압세척기에 의한 오랜 청소 시간 및 고막이 찢어질 듯한 소음공해의 불편을 극복하여 청소의 용이성 및 인체 유해성 해결 등의 기능까지 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공구의 사용수명의 변형이나 부식이 없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하기 표 1에 나타난 무게조성비율로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을 각각 프리믹스 탱크에서 균일해지도록 충분히 교반한 후 메인탱크로 옮겨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최종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고형분은 10~80 중량%였고, pH는 4~11이었다. 도포 작업성은 디핑시 도포되기 용이한 점도와 도포시킨 후 흘러내리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고, 도막상태는 도포된 도막이 건조된 후 긁힘 상태에 따라 상대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06022040110-pat00001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 10cm, 폭 2.5cm, 두께 0.7mm의 시편(철판)에 도료만 5회에 걸쳐 도포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도료가 도포된 시편을 침적하여 방치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길이 10cm, 폭 2.5cm, 두께 0.7mm의 시편(철판)에 디핑 작업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고 도료를 사용하여 재 디핑 및 건조를 5회 반복하였다. 상기 피복박리제 조성물이 도포된 시편을 80~95℃ 물에 침지시켜 각각의 피복박리제 조성물의 박리효과를 시험하고, 박리시간(빠를수록 우수), 박리상태(박리된 시편에 남아있는 도료의 상태 : 적을수록 우수), 찌꺼기량(적을수록 우수) 및 찌꺼기 분리상태(처리의 용이성)를 상태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22040110-pat00002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9의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사용한 도료의 제거는 기존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오염된 도료를 용해시켜 제거하는 비교예 1의 방식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장 적용 시 자동차 공장의 중도 및 상도 라인의 도료로 오염되는 그레이팅 등의 치공구를 본 발명의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설치하여 일주일 정도 작업한 다음 오염된 그레이팅 등의 치공구의 오염물질의 박리 작업은 가온된 물에 침 적시켜 1~2분이내의 단시간 안에 오염물질의 박리가 깨끗하게 처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그레이팅, 지그 등의 치공구에 사전에 도포하여 사용함으로서, 목적하는 공정에 적용된 후 그레이팅, 지그 등의 치공구에 부착되는 도료나 본드 등의 오염원을 박리시키기 위하여 가온된 물에 짧은 시간동안 침적시켜 오염원을 쉽게 박리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진동이나 소음없이 깨끗하게 오염원을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유기용제, 수용성 박리제 및 초고압세척기에 의한 유해한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도료나 본드 등의 슬러지가 물에 끈적임 없이 부상되면서 분리되어 처리가 용이하다. 게다가 사용된 물은 오염이 없어 도장순환수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환경오염이 없고 청정도가 높아 작업환경이 쾌적하다.
특히, 수조 용량을 늘리면 얼마든지 동시에 대량처리가 가능하며, 작업시간을 매우 짧은 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셀롤로오스 수지에서 선택되는 2성분 이상의 바인더 수지 45~80중량%; 발포제 1~30 중량%;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성분 9~15 중량%; 및 물, 알콜류, 글리콜류, 폴리올류 또는 에테르류에서 선택되는 용제 10~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박리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탄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폴리설폰 내에 이소부탄, 프로판 또는 펜탄이 포함되어 있는 열팽창성 미소구;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중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 암모늄, 수산화붕소나트륨 또는 아자이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계 발포제; 또는 물,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르메탄 및 다이클로로 모노플루오로메탄의 클로로플루오루알케인화합물, 아조비스아이소부틸니트릴,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및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아조화합물,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 및 알릴비스(설포닐하이드로자이드)의 하이드로자이드화합물,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이드 및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세미카바이드)의 세미카 바이드화합물, 5-모포릴-1,2,3,4-티아트라이아이졸의 트리이아졸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및 N,N-디니트로소텔레프탈아마이드의 N-니트로소화합물, 변성 아조디카본아마이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p-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N,N'-디니트로소펜탐에틸렌테트라아민, p-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 5-페닐테트라아졸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계 발포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박리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 지방산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터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터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알칸올 아마이드의 알칸올 아마이드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인산 에스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황산 에스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설폰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복실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민염계 계면활성제; 제4급 암모늄염계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또는 글리신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박리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메틸셀루로우스(methyl cellulose),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우스(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메틸에틸하이드록시에틸 셀루로우스(methylethyl hydroxyethyl cellulose)로부터 선택되는 셀루로우스류; 구아검류; 벤토나이트인 무기 증점제류; 카보폴, 변성우레아 또는 우레아 변성폴리우레탄에서 선택되는 유기 증점제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박리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 각각은 전체 바인더 수지에 대하여 0.001~ 50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박리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4항에 따른 피복박리제 조성물을 치공구에 사전도포하여 목적하는 공정에 사용한 후 오염된 치공구를 40~95℃의 물, 증기 또는 오븐의 열을 이용해 오염원을 박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방법.
KR1020060028316A 2006-03-29 2006-03-29 피복박리제 조성물 KR10062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16A KR100625456B1 (ko) 2006-03-29 2006-03-29 피복박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16A KR100625456B1 (ko) 2006-03-29 2006-03-29 피복박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456B1 true KR100625456B1 (ko) 2006-09-20

Family

ID=3763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316A KR100625456B1 (ko) 2006-03-29 2006-03-29 피복박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4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54B1 (ko) 2007-12-24 2009-10-27 (주)디피아이 홀딩스 박리 도막 형성용 도료 및 박리 도막 형성 방법
KR20160103606A (ko) * 2015-02-24 2016-09-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마지용 ms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4996B1 (ko) 2016-03-16 2017-03-08 박상은 오염 방지 피복 조성물
WO202005991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금양 수축률이 향상된 혼합발포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WO2020059916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금양 백색도가 향상된 복합발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54B1 (ko) 2007-12-24 2009-10-27 (주)디피아이 홀딩스 박리 도막 형성용 도료 및 박리 도막 형성 방법
KR20160103606A (ko) * 2015-02-24 2016-09-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마지용 ms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4462B1 (ko) 2015-02-24 2016-09-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마지용 ms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4996B1 (ko) 2016-03-16 2017-03-08 박상은 오염 방지 피복 조성물
WO202005991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금양 수축률이 향상된 혼합발포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WO2020059916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금양 백색도가 향상된 복합발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456B1 (ko) 피복박리제 조성물
JP5840347B2 (ja) ゲル状接着剤剥離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US5494702A (en) Protective solvent free liquid masking compounds and related method
JP3046918B2 (ja) 塗装面の洗浄方法
AU712989B2 (en) Paint and stain remover in an abrasive applicator for hard surfaces
JP5632777B2 (ja) Pcb汚染機器無害化施設の浄化方法
US2008014647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adhesive residue
JP3058978B2 (ja) 塗膜の除去方法
JPH10279850A (ja) 壁面等の塗膜剥離剤及びその剥離方法
JP3378384B2 (ja) 硬化前塗膜剥離用水性組成物
JP3602937B2 (ja) 建築構造物等の塗膜剥離剤工法
JPH06114842A (ja) 塗膜の除去方法
JP6153435B2 (ja) 塗料剥離用水性プライマー組成物および塗料剥離方法
JP2016131966A (ja) 塗膜剥離剤を用いた防水層の除去方法
US9446437B1 (en) Methods of cleaning and protecting surfaces and isolating volumes
JP4273639B2 (ja) 洗浄方法
JP2014190829A (ja) 構造物表面からの汚染物質除去方法
JP2009013363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08257488A (ja) 塗装ppバンパーの塗膜剥離方法
JPH10323614A (ja) 粉塵飛散防止方法
JPS63209771A (ja) 塗料剥離用組成物及び塗料剥離方法
JP4285855B2 (ja) 研磨剤組成物
JP2001329190A (ja) 塗料はく離剤及びはく離装置
CA2111924A1 (en) Cleaner for removing graffiti paint applications
JP2009102523A (ja) 2液型増粘塗料剥離剤、および該2液型増粘塗料剥離剤を用いた塗膜剥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