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199B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199B1
KR100625199B1 KR1020040068434A KR20040068434A KR100625199B1 KR 100625199 B1 KR100625199 B1 KR 100625199B1 KR 1020040068434 A KR1020040068434 A KR 1020040068434A KR 20040068434 A KR20040068434 A KR 20040068434A KR 100625199 B1 KR100625199 B1 KR 10062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cold
diaphrag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781A (ko
Inventor
정석동
Original Assignee
정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동 filed Critical 정석동
Priority to KR102004006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1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93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없슴감지센서가 펌프와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배관의 물없슴을 감지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는, 생수가 저장되는 탱크(110,1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14)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14)의 수위 감지에 따라 작동하는 펌프(P)와, 상기 펌프(P)의 작동에 따라 박스형생수통(200)의 물없슴을 감지하는 물없슴감지센서(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는 상기 펌프(P)와 생수의 흡입을 본체(100)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16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는 생수가 흡입되는 흡입배관(168)과 결합되는 연결구(189)와; 상기 연결구(189)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측의 압력변화로 유동하는 다이아프램(185)과; 상기 다이아프램(185)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이크로스위치(184)와 접촉되는 핀(187)을 제어하는 푸셔(186)와; 상기 다이아프램(185)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85)의 유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박스형생수통의 생수가 고갈될 때 펌프가 계속해서 동작하지 않게 되어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온수기, 박스형생수통, 수위감지센서, 물없슴감지센서, 다이아프램, 푸셔

Description

냉온수기{A water dispenser}
도 1 은 생수의 흐름을 나타낸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생수통이 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생수통이 본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생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생수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물없슴감지센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냉수탱크
112. ..... 분리판 114. ..... 수위감지센서
116. ..... 냉수보온재 120. ..... 온수탱크
122. ..... 히터 124. ..... 취출부
124a. ..... 취출코크 124b. ..... 물받이통
130. ..... 생수통수납부 132. ..... 생수통안치대
132a. ..... 안치대손잡이 140. ..... 도어
142. ..... 장공 144. ..... 도어스위치
150. ..... 콤프레샤 160. ..... 흡입관
162. ..... 결합부재 162a,184a. ..... 씰링부재
164. ..... 흡입관위치센서 166. ..... 안내가이드
166a. ..... 고정홈 168. ..... 흡입배관
170. ..... 방열판 180. ..... 물없슴감지센서
181. ..... 케이싱 182. ..... 커버
183. ..... 브라켓 184. ..... 마이크로스위치
185. ..... 다이아프램 186. ..... 푸셔
187. ..... 핀 188. ..... 스프링
189. ..... 연결구 190. ..... 모터어셈블리
192. ..... 피니언 194. ..... 랙
200. ..... 박스형생수통 220. ..... 비닐백
222. ..... 밀폐캡 222'. ..... 가이드홈
222a. ..... 흡입구 240. ..... 박스
242. ..... 개구부 244. ..... 박스손잡이
300. ..... 제어장치 310. ..... 제어부
320. ..... 기억부 330. ..... 도어감지부
340. ..... 센서감지부 350. ..... 펌프구동부
360. ..... 수위감지부 370. ..... 부저구동부
382. ..... 부저 C. ..... 컨트롤기판
P. ..... 펌프 S1. ..... 물없슴감지스위치
S2. ..... 수위감지스위치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없슴감지센서가 펌프와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배관(생수통)의 물없슴을 감지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공장폐수 등에 의해 상수도원의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수돗물 대신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사용하는 곳이 증가되고 있으며, 공공장소 및 사무실과 일반가정에서도 생수를 급속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온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 있 는 실정이다.
도 1 에는 생수의 흐름을 나타낸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온수기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10)와 생수를 공급하는 생수통(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 상측에는 냉온수기의 물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취출코크(12)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받이통 및 물받이통커버가 구비되는 취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부가 형성된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생수통(20)으로부터 생수가 흡입되는 흡입배관(15)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배관(15)의 일측에는 상기 생수통(20)의 생수가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도록 작동하는 펌프(18)가 구비되어 연결된다.
상기 펌프(18)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배관(15)으로 흡입되는 생수가 일시 저장되는 냉수탱크(14)가 설치된다. 상기 냉수탱크(14)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4')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탱크(14)의 하방에는 상기 냉수탱크(14)와 연결되어 온수를 일시 저장하는 온수탱크(16)가 설치된다.
상기 온수탱크(16)의 하방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온수탱크(16)의 하방에는 온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가열하는 히터(Heater)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생수통(20)의 생수는 상기 펌프(P)의 작동에 따라 상기 흡입배관(15)으로 흡입되고, 상기 냉수탱크(14)에 먼저 생수가 저장된 다음 상기 온수탱크(16)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이렇게 상기 냉수탱크(14) 및 온수탱크(16)에 저장된 생수는 상기 취출코크(12)가 형성된 취출부를 통해 취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냉온수기에서는 물없슴감지센서가 구비되지 않아 상기 생수통(20)에 생수가 고갈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생수통(20)에 생수가 고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펌프(18)가 작동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해 상기 펌프(18)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없슴감지센서가 펌프와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배관(생수통)의 물없슴을 감지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는, 생수가 저장되는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 감지에 따라 작동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박스형생수통의 물없슴을 감지하는 물없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상기 펌프와 생수의 흡입을 본체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생수가 흡입되는 흡입배관과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측의 압력변화로 유동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 와 접촉되는 핀(Pin)을 제어하는 푸셔(Pusher)와;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유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상기 연결구에 수압이 인가되면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푸셔를 하방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푸셔에 연결된 핀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연결구에 수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방으로 유동됨으로써 상기 푸셔에 연결된 핀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떨어지도록 작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스프링(Spring)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형생수통의 생수가 고갈될 때 펌프가 계속해서 동작하지 않게 되어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본체와 생수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온수기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생수를 공급하는 박스형생수통(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 상측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의 생수를 취출하는 취출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부(124)에는 냉온수기의 물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취출코크(124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취출코크(124a)의 하방에는 물받이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통의 상측에는 물받이통커버(124b)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부(124)의 하부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이 수납되는 생수통수납부(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4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40)에는 도어스위치(도 3 의 144)가 설치되고, 상기 생수통수납부(130)에 수납되는 박스형생수통(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장공(142)이 형성되거나 전체가 투명재질로 성형되기도 하며, 상기 도어(140)의 선택적 개폐가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도어손잡이(1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생수통수납부(130)의 하부면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을 정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생수통안치대(132)가 슬라이딩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생수통안치대(132)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이 안치된 생수통안치대(132)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파지되는 안치대손잡이(132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생수통안치대(132)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이 구비되어 안치된다.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은 생수가 수용되는 비닐백(Vinyl bag, 220)과 상기 비닐백(220)이 내부에 수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Box, 240)로 구성된다.
상기 비닐백(220)의 상측에는 생수의 선택적 유출을 제어하는 밀폐캡(22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관(160)과 결합된다. 상기 밀폐캡(222)은 대략 원형으로 성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관(16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흡입구(222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가이드(166)에 고정되도록 가이드홈(222')이 더 성형된다.
상기 박스(240)는 상기 비닐백(220)을 수용하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성형되며 가벼운 종이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240)의 상면에는 생수가 배출되는 상기 밀폐캡(222)이 출입하도록 개구부(242)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파지할 수 있는 박스손잡이(244)가 형성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생수통이 안착된 냉온수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생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생수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 즉 상기 생수통수납부(130)의 상측에는 흡입관(160)이 구비되어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60)은 상기 본체(100)의 냉수탱크(110)와 온수탱크(120)로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의 생수를 흡입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냉수탱크(11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탱크(120)의 온수와 냉수가 섞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분리판(112)과 냉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14)가 구비되고, 외부에는 기화된 냉매로 냉수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도록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냉수보온재(116)가 설치된다.
상기 냉수탱크(110)의 측방에는 피씨비(PCB)회로가 구비된 컨트롤기판(C)이 설치되고, 하방에는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120)가 설치된다. 상기 온수탱크(120)의 하방에는 온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가열하는 히터(Heater, 122)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122)의 하부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의 생수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펌프(Pump, P)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60)의 일측에는 흡입관(160)의 위치를 감지하는 흡입관위치센서(164) 2개가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위치센서(164)의 하방에는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관(160)과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의 밀폐캡(222)이 결합하도록 고정하는 대략 사각통상의 고정가이드(16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66)의 전면부에는 상기 밀폐캡(222)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166a)이 성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홈(166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후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폐캡(222)이 전방의 넓은 공간으로 출입되고 후방에서 고정되도록 성형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의 외주면이 상기 밀폐캡(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으로 안내되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160)의 하단에는 상기 밀폐캡(222)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162)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재(162)는 사출물 또는 금속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흡입관(160)의 하단 내부에 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62)의 하단 외측에는 상기 밀폐캡(2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관(160)이 유동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상기 생수통(200)의 생수가 흡입될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씰링(Sealing)하는 씰링부재(162a)가 구비 된다.
상기 씰링부재(162a)는 고무재질의 오링(O-ring)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재(162)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밀폐캡(222)의 내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관(160)과 밀폐캡(222)이 씰링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관(160)과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은 모터어셈블리(190)의 유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결합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9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192)과, 상기 피니언(192)과 톱니바퀴 형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192)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유동을 하는 랙(19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90)는 상기 흡입관(1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160)이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형생수통(20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흡입관(160)과 밀폐캡(222)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190)는 상기 도어(140)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스위치(144) 및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감지부(33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 일측의 제어부(310)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흡입관(160) 또는 박스형생수통(20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가이드(166)의 우측 상단에는 냉매가스를 순환시켜 주는 콤프레샤(15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는 상기 냉수탱크(110)의 열을 빼앗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170)이 구비되어 설치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물없슴감지센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P)와 상기 흡입관(160) 사이의 흡입배관(168)에는 물없슴감지센서(180)가 설치된다.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Casing, 181)과 커버(Cover, 182) 및 상기 본체(100) 일측에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를 고정하는 브라켓(Bracket, 183)과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 18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81)과 커버(182)의 내부에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변위로 변환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185)이 설치되고, 상기 다이아프램(185)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핀(187)을 제어하는 푸셔(Pusher, 186)가 유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푸셔(186)의 하단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4)와 접촉되는 핀(Pin, 187)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186)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아프램(185)의 유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인 스프링(Spring, 188)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88)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배관(168)과 관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189)가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는 상기 흡입배관(168)으로부터 상기 연결구(189)에 정상적인 압력 즉 수압이 인가되면 상기 다이아프램(185)이 상기 푸셔(186)를 하방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푸셔(186)의 하단에 연결된 핀(187)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흡입배관(168)의 진공도가 상기 스프링(188)의 힘보다 크면 즉 상기 연결구(189)에 수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다이아프램(185)이 상방으로 유동됨으로써 상기 푸셔(186)에 연결된 핀(187)이 상 기 마이크로스위치(184)와 떨어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장치(300)는 냉온수기의 전반적인 자동시스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10)와, 각부분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다수의 단위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장치(300)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114)가 상기 냉수탱크(110)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수위감지부(360), 상기 냉수탱크(110)의 수위에 따라 상기 펌프(P)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펌프구동부(350), 상기 펌프(P)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가 상기 흡입배관(168)의 물없슴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센서감지부(340), 상기 흡입배관(168)의 물없슴 감지시간이 저장되어 기억되는 기억부(320) 등의 단위제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스위치(144)가 온(ON)/오프(OFF)됨에 따라 도어(14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330) 및 부저(Buzzer, 372)를 울리기 위한 부저구동부(370) 등도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위한 냉온수기에서 물없슴감지 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수탱크(110)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114)에서 상기 냉수탱크 (110)의 수위를 체크하게 되면 수위감지부(36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310)에서는 상기 냉수탱크(100)의 수위가 저수위인지를 확인하여(S11단계) 냉수탱크(110)의 수위가 저수위가 아니면 즉 고수위이면 상기 펌프(P)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S12단계) 냉온수기의 물없슴감지 시스템이 완료되지만, 상기 냉수탱크(110)의 수위가 저수위이면 상기 펌프구동부(350)를 통해 상기 펌프(P)를 작동시키게 된다(S13단계).
상기 펌프(P)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가 온(ON)이 되어(S14단계) 상기 흡입배관(168)에 물이 흡입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기억부(320)에 저장된 물없슴 감지시간과 물없슴 감지시간 지연값(예컨대,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대략 5초에서 10초 정도의 간격을 두어 감지시간을 지연시키는 값)을 비교하여 상기 흡입배관(168)에 물이 없다고 판단되면(S16단계, S17단계) 상기 펌프(P)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부저음을 울리게 한다(S18단계).
이때 상기 물없슴감지센서(180)가 온(ON)이 되지 않으면 상기 기억부(320)의 물없슴 감지시간을 지우고 다시 상기 냉수탱크(110)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S11단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8단계에서 부저음이 울리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140)를 개방하여 점검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140)가 열렸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S19단계) 상기 부저음이 멈추게 되고 상기 도어(140)가 한번 개방되었다는 것을 입력하는 플래그(Flag)를 셋팅하게 되며 상기 펌프(P)의 동작도 멈추게 된다(S20단계).
그런 다음, 상기 도어(140)를 닫게 되면(S21단계) 상기 도어(140)가 한번 열리고 닫혔다는 것을 입력하는 플래그가 셋팅되며(S22단계), 이러한 플래그 셋팅을 리셋(Reset)시키는 단계(S23단계)를 거쳐 상기 냉수탱크(110)의 수위감지센서(114)가 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S11단계로 되돌아가게 되어 상기한 단계(S11단계에서 S23단계)들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없슴감지센서(180)의 마이크로스위치(184)에서 오프(OFF)신호를 상기 센서감지부(340)를 통해 상기 제어부(310)에 신호를 줄 수도 있으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없슴감지스위치(S1)와 수위감지스위치(S2)를 동시에 구비하여 직접 상기 펌프(P)의 파워(Power)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물없슴감지스위치(S1)와 수위감지스위치(S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신호가 차단되게 되면 상기 펌프(P)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자식 뿐만 아니라 기계식으로도 상기 펌프(P)가 자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에서는, 물없슴감지센서가 펌프와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배관의 물없슴을 감지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박스형생수통에 생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펌프가 계속 작동되어 과부하로 인한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종래 용량이 커서 무게가 많이 나가고 그 구조상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하기 힘든 생수통을, 가벼우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박스형생수통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이용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박스형생수통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탈거하여 교체하고 재결합시킴으로써 박스형생수통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편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생수가 저장되는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수위 감지에 따라 작동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박스형생수통의 물없슴을 감지하는 물없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생수가 흡입되는 흡입배관과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측의 압력변화로 유동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와 접촉되는 핀(Pin)을 제어하는 푸셔(Pusher)와;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유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상기 펌프와 생수의 흡입을 본체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없슴감지센서는,
    상기 연결구에 수압이 인가되면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푸셔를 하방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푸셔에 연결된 핀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연결구에 수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방으로 유동됨으로써 상기 푸셔에 연결된 핀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떨어지도록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스프링(Spring)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KR1020040068434A 2004-08-30 2004-08-30 냉온수기 KR10062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34A KR100625199B1 (ko) 2004-08-30 2004-08-30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34A KR100625199B1 (ko) 2004-08-30 2004-08-30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81A KR20060019781A (ko) 2006-03-06
KR100625199B1 true KR100625199B1 (ko) 2006-09-20

Family

ID=3712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34A KR100625199B1 (ko) 2004-08-30 2004-08-30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78B1 (ko) * 2018-08-10 2020-07-09 (주)원봉 냉온수기용 물통 자동 주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928A (ko) * 1995-02-23 1996-09-17 구자홍 냉온수기
KR19980014648A (ko) 1996-08-14 1998-05-25 박노준 전기식 냉 온수기
JP2003072896A (ja) 2001-08-29 2003-03-12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冷水器
KR20030039925A (ko) * 2001-11-16 2003-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KR200365863Y1 (ko) 2004-05-31 2004-10-27 (주)원봉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928A (ko) * 1995-02-23 1996-09-17 구자홍 냉온수기
KR19980014648A (ko) 1996-08-14 1998-05-25 박노준 전기식 냉 온수기
JP2003072896A (ja) 2001-08-29 2003-03-12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冷水器
KR20030039925A (ko) * 2001-11-16 2003-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KR200365863Y1 (ko) 2004-05-31 2004-10-27 (주)원봉 냉.온수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14648
200339925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81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640B1 (ko) 냉장고의 급수 제어 방법
EP3054242B1 (en) Refrigerator
US7000367B2 (en) Vacuum packaging machin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331762B (zh) 洗碗机
RU253037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JP2006056598A (ja) 冷温水器
KR20100075509A (ko) 식기 세정기
KR100625199B1 (ko) 냉온수기
WO2006105017A3 (en) Condensate pump
KR100550853B1 (ko) 식기세척기용 다기능 세척수 공급 패널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CN107898417B (zh) 水箱组件及洗涤电器
KR20210061128A (ko)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1519198B1 (ko) 냉장고
KR20210156195A (ko) 냉장고
KR101573615B1 (ko) 정수기
KR102497700B1 (ko) 냉장고
CN212489816U (zh) 一种具有进水水位保护装置的洗碗机
KR100625197B1 (ko) 냉온수기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CN217039783U (zh) 一种蒸汽烤箱
KR102224062B1 (ko)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CN212755557U (zh) 一种揭盖式洗碗机
KR100625195B1 (ko) 냉온수기
JP2007040594A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