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401B1 -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401B1
KR100624401B1 KR1020040115532A KR20040115532A KR100624401B1 KR 100624401 B1 KR100624401 B1 KR 100624401B1 KR 1020040115532 A KR1020040115532 A KR 1020040115532A KR 20040115532 A KR20040115532 A KR 20040115532A KR 100624401 B1 KR100624401 B1 KR 10062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filler
super medium
medium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908A (ko
Inventor
권달성
Original Assignee
권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달성 filed Critical 권달성
Priority to KR102004011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4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과 탈취성능이 뛰어난 제오라이트와 토르말린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가 혼합된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는, 초배지의 전체 중량을 100w%로 할 때, 물에 해리된 80~90w%의 펄프를 교반시키는 교반단계(S10)와; 상기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찢거나 절단하여 피브릴화 하는 고해단계(S20)와; 상기 고해된 펄프에 2~6w%의 로진과, 5~8w%의 액반을 혼합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사이징단계(S30)와; 상기 사이징된 펄프에 제오라이트와 토르말린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 3~6w%를 첨가하는 충전제 첨가단계(S40)와; 충전제가 첨가된 펄프를 초지기를 거쳐 습지상태로 만들고, 습지상태의 펄프를 7~8Kg 압력의 롤에 통과시켜 압축 탈수시키며, 50~60℃의 온도로 건조하여 초배지를 완성하는 초지단계(S50)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항균 탈취 등의 작용으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항균, 탈취, 초배지, 종이, 제오라이트, 토르말린

Description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 A paper for anti-fungus deodoriz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
본 발명은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과 탈취성능이 뛰어난 제오라이트와 토르말린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가 혼합된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배지는 벽지를 바르기 전에 미리 바르는 종이로 벽 표면과 벽지 사이에 이 종이를 바름으로써 벽지의 표면이 매끈해지며, 또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거자와 생활용품들이 직접적으로 콘크리트 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한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각종 건축자제 및 재료에도 이러한 열풍이 불고 있다. 이러한 건강 기능성 바람이 불면서 벽지를 바르는 기초 작업인 초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데 초배에 사용되는 초배지에 모데나이트를 내장하거나(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94187), 활성탄이 내첨된 초배지(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45954, 2003-0080823) 또는 탄산칼슘이 함유된 초배지(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8718)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초배지가 제조되어지며, 현재에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배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초배지에 첨가되는 항균 또는 탈취물질이 한가지 또는 두가지 물질이 첨가되어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능동적으로 작용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초배지에 첨가물을 코팅 또는 함침 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접착제가 사용되어지며, 이러한 접착제는 대부분 화학물질로서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초배지의 본래 목적에 역행하여 2차 오염원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과 탈취성능이 뛰어난 제오라이트와 토르말린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가 혼합된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배지의 전체 중량을 100w%로 할 때, 물에 해리된 80~90w%의 펄프를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찢거나 절단하여 피브릴화(Fibrillation) 하는 고해단계와; 상기 고해된 펄프에 2~6w%의 로진과, 5~8w%의 액반(液礬)을 혼합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사이징단계와; 상기 사이징된 펄프에 제오라이트(Zeolight)와 토르말린(Tourmaline)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 3~6w%를 첨가하는 충전제 첨가단계와; 충전제가 첨가된 펄프를 초지기를 거쳐 습지상태로 만들고, 습지상태의 펄프를 7~8Kg 압력의 롤에 통과시켜 압축 탈수시키며, 50~60℃의 온도로 건조하여 초배지를 완성하는 초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징단계의 상기 로진과 액반(液礬)은 상기 충전제가 펄프에 함침되기 위한 점성을 제공한다.
상기 첨가단계에는 초배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안료가 더 첨가된다.
상기 천연안료는 겨자와 황토이다.
상기 충전제는, 충전제의 전체 중량을 100w%로 할 때 7~12w%의 나노백금 수용액과, 27~32w%의 액티브카본과, 17~22w%의 제오라이트와, 17~22w%의 토르말린과, 7~12w%의 나노은과, 7~12w%의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항균 탈취 초배지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항균탈취성능을 발휘하여 보다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각 조성물의 배합비는 초배지 100w%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공정을 보인 블럭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는 교반단계(S10)와 고해단계(S20), 사이징단계(S30), 첨가단계(S40), 초지단계(S50)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교반단계(S10)는 종이의 원료가 되는 펄프를 물에 불려 완전하게 풀어지도록 해리시키기 위해서 물과 함께 교반기에 넣고 혼합하는 것으로, 대략 80~90w%의 펄프를 물과 혼합하여 대략 2~5%의 농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물과 혼합된 펄프가 잘 풀어지도록 교반기가 대략 20~100rpm으로 회전하여 혼합하게 된다. 종이의 원료로 사용되는 펄프는 목재펄프와, 기계펄프, 화학펄프, 반화학펄프 뿐만 아니라 재생하여 사용하는 재생펄프까지 대부분의 펄프가 사용될 수 있다.
교반단계(S10)를 거쳐 해리된 펄프는 고해단계(S20)에서 고해기(beater)에 의해 피브릴화(Fibrillation) 된다. 상기 고해단계(S20)는 상기 해리된 펄프를 종이로 만들기에 적합하도록 고해기를 사용하여 길이가 긴 섬유를 찢거나 절단 또는 눌러 으깨어 콜로이드화 하게 된다.
이렇게 콜로이드(Colloid)화된 펄프는 초지성(抄紙性)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고해방법에 따라서 섬유에 일어난 변화가 각기 다르게 되며, 어떤 변화가 주가 되었는지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종이의 품질과 성질이 결정된다.
고해단계(S20)에서 콜로이드화된 펄프는 사이징단계(S3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사이징단계(S30)는 펄프에 내수성이 있는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섬유의 표면이나 섬유사이의 틈을 메워 잉크가 침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2~6w%의 로진(송진)과 5~8w%의 액반(液礬, 액체상태의 반토)이 혼합된다.
따라서 초배지 표면의 세공을 막아주게 되어 수분의 침투 확산을 막을 뿐 아니라 표면강도를 강하게 하며 인쇄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사이징단계(S30)를 거친 펄프는 첨가단계(S40)를 거치면서 제오라이트와 토르말린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가 혼합된다. 상기 충전제는 대략 3~6w%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로진과 액반(液礬)에 혼합되어 상기 펄프에 부착되기 용이한 점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제는 상기 충전제의 전체중량을 100w%로 할 때, 7~12w%의 나노백금 수용액과, 27~32w%의 액티브카본과, 17~22w%의 제오라이트와, 17~22w%의 토르말린과, 7~12w%의 나노은과, 7~12w%의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혼합물 중에서 상기 액티브카본(Active carbon)은 일반적으로 활성탄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색소, 가스 등에 대해서 흡착성이 있는 검은색 탄소물질로서 무결정 내지 미소 결정상 탄소로 이루어지며 미세한 구멍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액티브카본(Active carbon)의 흡착성능은 상기와 같은 미세한 구멍과 그 내부의 표면에 산소, 수소, 질소, 황, 할로겐 등이 탄소와 결합한 착화합물의 형성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흡착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색소처럼 큰분자에는 큰 세공을, 가스처럼 작은 분자에는 작은 세공이 많은 활성탄을 사용하여 흡착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자가 다소 큰 벤젠계열의 악취인자의 흡착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오라이트(Zeolight)는 신생대 3기의 화산회가 열수에 의한 속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세공을 가진 광물로 물리적 흡착력과 양이온 치환작용이 상당히 뛰어나다.
상기 제오라이트(Zeolight)는 미세한 분말형태로 사용되어지며, 악취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 중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작은 암모니아의 흡착능력이 탁월하게 되며, 광촉매 기능을 하는 이산화티탄(TiO2)이 함유되어 각종 유기물질과 유해물질을 산화분해하여 제거하는 데에도 탁월하여 악취인자들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토르말린(Tourmaline)은 우라늄 자철광과 함께 지구상에서 자체 에너지를 갖고 있는 3종 광물 중 하나로 전기석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자연상태에서 스스로 전자를 영구히 흐르게 하는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어 열이나 마찰을 통해서 전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토르말린(Tourmaline)은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토르말린이 발생시키는 히드록실(Hidroxyl) 이온이 실내에 떠도는 고약한 냄새 또는 콘크리트벽, 천장, 가구 등에서 나는 악취와 반응하여 탈취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음이온의 지속적인 방출로 실내의 공기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함은 물론 세포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등 거주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산화티탄(TiO2)은 공지된 바와 같이 뛰어난 산화력으로 각종 유기물질과 유해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이산화티탄(TiO2)은 자외선에 의해서 산화되면서 알데히드류의 악취발생가스를 제거하고, 이산화티탄(TiO2)에 의해 발생된 수산라디칼과 수퍼옥사이드 이온이 박테리아의 세포막에 달라붙어 산화, 분해 됨으로써 세포막을 파괴하여 살균 및 방취작용을 하며, 세균의 잔해까지도 완전하게 분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산화티탄(TiO2)에 의해 발생된 수퍼옥사이드 이온에 의해 납, 수은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중금속 물질가지도 산화 침전시켜 80~90%가량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은(銀)은 천연성분 자체에 항균 및 살균능력을 갖는 것으로 예로부터 항균 및 살균제로 많이 이용되어져 왔다. 은 이온은 세균의 세포안에 들어가 세포벽을 손상시키며, 세균의 단백질 변성을 일으켜 세포의 활성화를 막고 결국은 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은은 나노분말 상태에서 표면의 면적이 극대화되어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되며, 반영구적으로 항균 및 살균효과가 유지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에 사 용되어 진다.
그리고 백금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우수한 살균제로써 은 보다 우수한 살균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사용에 제한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은과 같이 나노분말 형태 또는 수용액의 형태로 많이 이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된 충전제는 상기 로진(송진)과 액반(液礬)이 혼합되어 상기 펄프에 고르게 혼합 점착(占着)될 수 있는 점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충전제의 혼합으로 초배지는 악취제거는 물론 우수한 항균 및 살균능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첨가단계(S40)에서는 전술한 충전제 이외에도 상기 초배지의 용도에 따른 색상의 조절을 위해 안료가 더 첨가 되기도 한다. 상기 안료는 겨자 또는 황토와 같은 천연재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특히 겨자는 자체가 가지는 살균능력으로 유해세균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기로 악취를 의화적으로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이징단계(S30)를 거친 펄프는 초지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초지단계(S50)는 펄프를 탈수 건조하여 초지하는 공정으로 습지제조과정과 압축/탈수과정 그리고 건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습지제조과정에서는 섬유의 크기가 고르게 선별된 펄프를 초지기에 보내 흡인/여과하여 축축한 상태의 습지를 만들게 되고, 상기 압축/탈수과정 에서는 상기 습지를 2~3쌍의 연속된 롤 사이를 지나가게 하여 압축/탈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롤의 압력은 7~8Kg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건조과정에서는 상기 압축/탈수된 상태의 펄프를 건조기에 넣고 대략 50~60℃의 온도로 건조시켜 초지단계(S50)를 완료하여 초배지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 초지단계(S50)를 마친 초배지는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거나 권취되어 보관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를 이용하여 악취의 주요인자들에 대한 탈취율을 가스검지관법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는 상기 초배지의 전체중량 100w%를 기준으로 할 때, 물에 해리된 80~90%의 펄프와, 5w%의 로진과, 5w%의 액반(液礬) 그리고 다수의 첨가물이 혼합된 5w%의 충전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제는 상기 충전제의 전체중량 100w%를 기준으로 할 때, 나노백금수용액 10w%, 액티브카본 30w%, 제오라이트 20w%, 토르말린 20w%, 나노은 10w%, 이산화티탄 10w%로 구성된다.
시험에 사용된 시편은 10×10㎠ 의 크기로 잘라서 사용하였으며, 시험가스로는 악취를 발생하는 대표적인 인자인 암모니아와 톨루엔 그리고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험가스의 주입량은 암모니아 4㎕, 톨루엔 2.5㎕, 포름알데히드 1㎕를 각각 주입하였으며, 시험을 실시한 밀폐용기의 크기는 2ℓ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상기 밀폐용기에 가스를 주입하고 시간 경과에 따 른 시편에서의 탈취율을 측정하였고, 이의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탈취율(%)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벤젠 *탈취율(%)
5분 15분 30분 60분 5분 15분 30분 60분 5분 15분 30분 60분
비교예 1 95.0 97.4 98.6 >98.6 78.3 80.4 82.5 84.4 70.0 77.8 82.5 85.7
주) > : 초과
* 탈취율계산법
Figure 112004062528180-pat00001
P = 탈취율
Cb : Blank,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상기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는 악취인자에 대한 우수한 탈취성능을 보이게 된다.
특히 초배지를 바르고 난 뒤 초배지가 어느 정도 마르게 되는 1시간 후의 탈취율을 살펴보면 암모니아에 대해서 98.6% 이상, 톨루엔에 대해서 84.4%, 그리고 포름알데히드에 대해서는 85.7%의 탈취율을 보여 악취인자 대부분을 탈취하는 탈취성능을 보이게 됨을 알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항균 탈취 초배지의 항균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항균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셰이크플라스크법(Shake flask법, 한국공업규격 KS M 0146)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시험시료는 상기 실시예 1과 동 일한 조성으로 구성되었다.
시험에서 시험시료의 무게는 0.4g 으로 하고, 접종균의 증가율은 각각 균주1은 48배, 균주2는 49배로 하였다. 그리고, 접종균의 농도는 각각 균주1은 1.6±0.1×105/㎖, 균주2는 1.4±0.1×105/㎖로 하였다.
공시균주는 각각 균주1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ys ATCC No.6538)를 사용하였고, 균주2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NO.25922)를 사용하였다.
한편, 대조시료는 중화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중화용액은 인산완충용액(pH 7.0±0.2)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0.05%의 Tween 80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은 한국공업규격(KS M 0146)의 기준에 따라 행하여 졌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준비된 배지에 멸균루프를 사용하여 보관중인 균주를 접종하고, 37±1℃에서 24시간 항온 진탕 배양한 배양액을 1.0㎖ 씩 채취하여 250㎖ 용량의 멸균 삼각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37±1℃에서 24시간 항온 진탕 배양하여 희석용액에 희석조제하여 시험용액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시험시료와 대조시료를 각각 준비하고, 상기 시험시료와 대조시료를 살균처리한 후에 각각의 시험용액에 시험시료와 대조시료를 넣고 배양액을 접종한 다음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크의 뚜껑을 닫고, 37±1℃에서 120rpm으로 24시간 동안 진탕한다.
24시간 진탕 후에 상기 시험용액으로부터 일정량을 채취하여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37±1℃에서 24시간 배양후 균수를 확인한다.
초기의 생균수와 24시간 후의 생균수를 토대로 세균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이의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Blank Sample(실시예 2)
균주1 초기균수 1.6×105 1.6×105
24시간 경과후 균수 7.7×106 5.4×106
세균감소율 - 29.3
균주2 초기균수 1.4×105 1.5×105
24시간 경과후 균수 6.9×106 5.6×106
세균감소율 - 18.5
주) 세균수 : 수/㎖, 세균감소율 : %,
* 세균감소율계산법
Figure 112004062528180-pat00002
P = 세균감소율
Mb : 24시간 배양후 대조시료의 균수.
Mc : 24시간 배양후 시험시료의 균수.
상기 표 2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의 실시예 2는 균주1과 균주2 에서 24시간 경과 후에 29.3%와 18.5%에 가까운 세균감소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균 탈취 초배지가 도배작업에 사용된 후 모두 마르게 되는 대략 24시간 후에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살균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항균효과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탈취 초배지에서는 악취인자들을 제거하여 탈취하는 첨가제에 의해서 초배지가 발라진 실내의 악취를 제거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오염환경에 대응하는 제오라이트(Zeolight)와 토르말린(Tourmaline) 그리고 액티브카본(Active carbon)등 다양한 첨가물이 첨가되어 다양한 오염인자를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어 탈취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은과 백금수용액 그리고 이산화티탄(TiO2)에 의해 각종 오염과 악취의 원인이 되는 세균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탈취효과는 물론 사용자의 건강에 보다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첨가물들이 초배지의 제조단계에서 로진과 액반(液礬)과 함께 섞여서 상기 초배지의 펄트에 혼합 점착됨으로 해서 별도의 화학 접착제를 사 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초배지의 화학성분을 최소한으로 하여 화학접착제에 의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초배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안료로서 겨자 또는 황토와 같은 천연 안료를 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제조는 물론 살균과 탈취효과를 더욱 개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초배지의 전체 중량을 100w%로 할 때,
    물에 해리된 80~90w%의 펄프를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된 펄프를 고해기로 찢거나 절단하여 피브릴화(Fibrillation) 하는 고해단계와;
    상기 고해된 펄프에 2~6w%의 로진과, 5~8w%의 액반(液礬)을 혼합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사이징단계와;
    상기 사이징된 펄프에 제오라이트(Zeolight)와 토르말린(Tourmaline) 그리고 나노은을 포함하는 충전제 3~6w%를 첨가하는 충전제 첨가단계와;
    충전제가 첨가된 펄프를 초지기를 거쳐 습지상태로 만들고, 습지상태의 펄프를 7~8Kg 압력의 롤에 통과시켜 압축 탈수시키며, 50~60℃의 온도로 건조하여 초배지를 완성하는 초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징단계의 상기 로진과 액반(液礬)은 상기 충전제가 펄프에 함침되기 위한 점성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단계에는 초배지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천연 안료가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초배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안료는 겨자와 황토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충전제의 전체 중량을 100w%로 할 때;
    7~12w%의 나노백금 수용액과, 27~32w%의 액티브카본(Active carbon)과, 17~22w%의 제오라이트(Zeolight)와, 17~22w%의 토르말린(Tourmaline)과, 7~12w%의 나노은과, 7~12w%의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초배지의 제조방법.
  6. 상기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초배지.
KR1020040115532A 2004-12-29 2004-12-29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532A KR100624401B1 (ko) 2004-12-29 2004-12-29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532A KR100624401B1 (ko) 2004-12-29 2004-12-29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908A KR20060076908A (ko) 2006-07-05
KR100624401B1 true KR100624401B1 (ko) 2006-09-19

Family

ID=371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532A KR100624401B1 (ko) 2004-12-29 2004-12-29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37B1 (ko) * 2007-03-14 2008-06-10 (주) 크렌즈 신발장의 탈취수단
KR101534437B1 (ko) * 2014-03-21 2015-07-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은나노 입자-펄프 컴포지트를 함유하는 기능성 제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908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7669C2 (ru) Лигноцеллюлозные материалы и продукция,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них
US7090916B2 (en) Paper product for use in sterilizing an area
CN104263049B (zh) 一种室内板材接缝除异味腻子膏及其制作方法
CN1307343C (zh) 减少吸收制品的气味
JP4178656B2 (ja) 消臭剤組成物及び消臭性製品
KR100624401B1 (ko) 항균 탈취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JP7129812B2 (ja) ハイドロタルサイトと繊維の複合繊維
JP2002200148A (ja) 不飽和炭化水素系アルデヒドガス用消臭剤
KR100536259B1 (ko) 다공성 탈취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824594B2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消臭シート
JP7160390B2 (ja) 消臭抗菌薄葉紙の製造方法
KR100862991B1 (ko) 한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438843A (zh) 回用纸尿裤边角料纤维制备的抗菌防水壁纸及制备方法
KR100549443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벽지의 제조방법
JP2006316382A (ja) パルプの改質方法、および、改質パルプ、および、この改質パルプより加工された機能紙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機能性シートより加工された機能性フィルター
CN110396860A (zh) 一种回用纸尿裤边角料纤维再造抗菌纸及其制备方法
JP2000342978A (ja) 光触媒部材
KR100519951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혼합한 초배지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KR100804598B1 (ko) 원단의 코팅용 야자 활성탄 코팅된 원단의 제조방법
JPH10314284A (ja) セルロース系消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85284B1 (ko) 활성카본지의 제조방법
CN107056130A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凹凸棒粘土粉
KR100834694B1 (ko) 은 나노 콜로이드와 극미세황토가 함침된 항균 담배포장용접착 알루미늄 황토박엽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144407A (ja) 脱酸素剤、脱酸素剤中間体、脱酸素剤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7982A (ja) 消臭調湿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