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276B1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276B1
KR100624276B1 KR1020040107364A KR20040107364A KR100624276B1 KR 100624276 B1 KR100624276 B1 KR 100624276B1 KR 1020040107364 A KR1020040107364 A KR 1020040107364A KR 20040107364 A KR20040107364 A KR 20040107364A KR 100624276 B1 KR100624276 B1 KR 10062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age medium
recording
overwritten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631A (ko
Inventor
나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2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저장 매체의 내용을 리뷰 시 재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작용은 다수의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제1과정과,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제2과정과,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매체의 고정영역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입력수단에 의해 기록 화면 재생 신호가 입력될 경우, 고정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파악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신호가 기록 종료 지점의 도달 여부와 오버라이트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판단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리셋 후 기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체크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가 리셋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한 경우, 저장매체의 리드 주소를 증가시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을 재생하는 제6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추후 저장매체 교체 시에도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지점을 원활하게 찾아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 재생, 즉 오버라이트된 부분까지만 출력수단을 통해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METHOD FOR PLAYING AND OVERWRITING IN DIGITAL VIDEO RECOR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을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을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n : 디코더 20 : 멀티플렉스 칩
30 : 비디오 코덱 40 : 저장매체
50 : 재생여부 판단부
S1,...,Sn : 촬상소자 SS1 : 입력수단
SS2 : 출력수단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일 관리 시스템이 없 는 보안 제품에 있어서,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저장 매체의 내용을 리뷰 시 재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DVR은 감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 다음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또는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기록한 영상을 시간별·날짜별은 물론 카메라별·이벤트별로 쉽게 검색 또는 재생할 수 있고, 백업 및 편집이 용이하며,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1대의 모니터 화면에서 분할하여 감시할 수 있는 멀티플렉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록된 영상을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영상 저장장치로, 현재 대형 할인점, 주차장, 금융기관, 공항 등에 설치되어 보안상태를 점검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에는 교통사고, 인명사고 등의 사건 발생 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버스, 지하철, 순찰차 등의 차량에 많이 장착되어 사용되고, 또한 사회의 발전속도와 더불어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가정에서도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보안장비로 DVR의 설치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DVR이 차량 또는 가정 등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개인용 컴퓨터 등 기존 장비에 설치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확장성, 장착 공간의 제약에 따른 DVR의 크기, 진동 또는 충격 등의 환경적 요인, 설치 또는 사용 또는 유지보수 등의 편의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를 반영하기 위해 현재 다음과 같은 장치가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DVR에 있어서, 촬상수단, 즉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비디오 신호를 저장매체(예로, HDD)에 기록하는데, 기록되는 비디오 신호의 시작과 종료 정보, 및 기록 종료 위치 정보, 그리고 관련 이벤트 상황 정보 등을 마이컴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그 용량이 대용량이어서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저장된 각각의 정보를 읽어오면서 저장매체로의 기록을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DVR 시스템은 마이컴이 탑재된 컴퓨터를 연동시켜 각종 정보를 기록 후, 재생 시 오버라이트 여부에 따라 재생 지점을 찾아 재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컴이 탑재된 컴퓨터를 연동시킬 수 없는, 즉 파일 관리 시스템이 없는 DVR에서 저장 매체를 교체 시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지점을 찾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저장 매체의 내용을 리뷰 시 재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DVR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DVR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은 다수의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제1과정과,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제2과정과,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 사용자 사 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매체의 고정영역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입력수단에 의해 기록 화면 재생 신호가 입력될 경우, 고정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파악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신호가 기록 종료 지점의 도달 여부와 오버라이트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판단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리셋 후 기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체크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가 리셋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한 경우, 저장매체의 리드 주소를 증가시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을 재생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를 살펴보면, 디코더(10-1,...,10-n)는 다수의 촬상소자(S1,...,Sn)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멀티플렉스 칩(20)에 제공한다. 그러면, 멀티플렉스 칩(20)은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비디오 코덱(30)에 전송한다. 비디오 코덱(30)은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매체(40)의 고정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재생여부 판단부(50)는 입력수단(SS1)에 의해 기록 화면 재생 신호가 입력될 경우, 고정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파악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신호가 기록 종료 지점의 도달 여부와 오버라이트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리셋 후 기록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가 리셋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한 경우, 저장매체의 리드 주소를 증가시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을 재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VR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다수의 촬상소자(S1,...,Sn)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디코더(10-1,...,10-n)와, 다수의 디코더(10-1,...,10-n)에 의해 개별적으로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multiplexing)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비디오 코덱(30)으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스 칩(20)과, 멀티플렉스 칩(2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된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40)에 기록할 때, 만약 저장매체(40)의 종료 지점에 도달할 경우, 재생여부 판단부(50)의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40)의 고정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출력 제어에 따라 압축 해제된 촬상정보 신호를 출력수단(SS2)을 통해 출력하는 비디오 코덱(30)과, 비디오 코덱(30)에 의해 압축 해제되어 제공되는 촬상정보 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고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매체(40)와, 저장매체(40)의 고정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도록 비디오 코덱(30)을 제어하며, 입력수단(SS1)에 의해 입력된 기록 화면 재생 요청에 따라 기록 종료 지점 도달 여부 및 오버라이트 여부, 사용자가 리셋 후의 기록 여부 등을 통해 화면 재생 여부를 판단하는 재생여부 판단부(50)를 포함한다.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DVR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촬상소자(S1,...,Sn)는 실시간으로 임의의 위치를 촬상한 촬상정보를 디코더(10-1,...,10-n)에 제공한다(단계 201).
다수의 디코더(10-1,...,10-n)는 다수의 촬상소자(S1,...,Sn)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멀티플렉스 칩(20)에 제공한다(단계 202). 그러면, 멀티플렉스 칩(20)은 다수의 디코더(10-1,...,10-n)에 의해 개별적으로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비디오 코덱(30)으로 전송한다(단계 203).
비디오 코덱(30)은 멀티플렉스 칩(20)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된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40)에 기록할 때, 재생여부 판단부(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매체(40)의 고정영역에 저장하며(단계 204), 사용자의 출력 제어에 따라 압축 해제된 촬상정보 신 호를 출력수단(SS2)을 통해 출력한다(단계 205). 여기서, 재생여부 판단부(50)는 저장매체(40)의 고정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도록 비디오 코덱(30)을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는 입력수단(SS1)을 이용하여 기록 화면 재생을 위한 재생 신호를 입력한다(단계 206). 그러면, 입력수단(SS1)은 기록 화면 재생을 위한 재생 신호를 재생 여부 판단부(50)에 제공한다(단계 207).
재생 여부 판단부(50)는 입력수단(SS1)에 의해 입력된 기록 화면 재생을 위한 재생 신호에 따라 저장매체(40)내 고정영역내의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파악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신호가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했는지(단계 208), 그리고 저장매체(40)가 오버라이트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9).
상기 판단(208, 209)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저장매체(40)가 오버라이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저장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재생을 종료한다(단계 210).
반면에, 상기 판단(208, 209)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저장매체(40)가 오버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리셋(예컨대, 주소(Address)를 초기화) 후 기록했는지를 체크한다(단계 211).
상기 체크(211)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저장매체(40)가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가 리셋한 상태에서 기록한 경우, 저장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재생을 종료한다(단계 210).
반면에, 상기 체크(211)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저장매체(40)가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가 리셋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한 경우, 저장매체(40)의 리드(read) 주소를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을 재생, 즉 오버라이트된 부분까지만 재생하도록 비디오 코덱(30)을 제어한다(단계 212).
비디오 코덱(30)은 재생여부 판단부(50)의 재생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40)에 저장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 재생, 즉 오버라이트된 부분까지만 출력수단(SS2)을 통해 재생한다(단계 213).
따라서,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저장 매체의 내용을 리뷰 시 재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추후 저장매체 교체 시에도 재생하고자 하는 지점을 원활하게 찾아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 재생, 즉 오버라이트된 부분까지만 출력수단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 매체의 고정 영역에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저장 매체의 내용을 리뷰 시 재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추후 저장매체 교체 시에도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지점을 원활하게 찾아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 재생, 즉 오버라이트된 부분까지만 출력수단을 통해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 신호를 각각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제1과정과,
    상기 디코딩된 촬상정보 신호를 다중화 기술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촬상정보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상기 저장매체의 고정영역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입력수단에 의해 기록 화면 재생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고정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 부분 오버라이트 및 사용자 리셋 설정 여부를 파악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재생 신호가 기록 종료 지점의 도달 여부와 오버라이트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매체를 리셋 후 기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에 의해 리셋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의 리드 주소를 증가시켜 오버라이트 되기 전의 화면을 재생하는 제6과정
    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의 판단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저장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재생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의 체크결과, 기록 종료 지점에 도달하면서 오버라이트된 후, 사용자에 의해 리셋된 상태에서 기록된 경우, 저장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재생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KR1020040107364A 2004-12-16 2004-12-16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KR10062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64A KR100624276B1 (ko) 2004-12-16 2004-12-16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364A KR100624276B1 (ko) 2004-12-16 2004-12-16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631A KR20060068631A (ko) 2006-06-21
KR100624276B1 true KR100624276B1 (ko) 2006-09-19

Family

ID=3716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364A KR100624276B1 (ko) 2004-12-16 2004-12-16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2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276A (ko) * 1997-04-11 1998-11-25 이데이노부유끼 기록 매체 드라이버
KR20010051259A (ko) * 1999-10-26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재생 시스템
KR20030074708A (ko) * 2001-01-12 2003-09-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 장치
KR20040022024A (ko)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프로그램 부분 갱신방법
KR20050119326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메모리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276A (ko) * 1997-04-11 1998-11-25 이데이노부유끼 기록 매체 드라이버
KR20010051259A (ko) * 1999-10-26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재생 시스템
KR20030074708A (ko) * 2001-01-12 2003-09-1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기록 장치
KR20040022024A (ko)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프로그램 부분 갱신방법
KR20050119326A (ko) * 2004-06-16 2005-12-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메모리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631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5674B (zh) 记录装置和方法、再现装置、记录再现装置以及摄像装置
US8639087B2 (en) Moving image editing system and moving image editing method
JPH08140043A (ja) 画像信号記録方法および画像信号記録装置、画像信号再生方法および画像信号再生装置、ならびに画像信号記録ディスク媒体
KR100624276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오버라이트 및 재생 방법
JP4854601B2 (ja) 記録装置
JP2005328279A (ja) 記録装置
KR2006006863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쓰기 지점 관리방법
US8571382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m
KR100681640B1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데이터 녹화 방법
KR20000034578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KR100536730B1 (ko) Dvd-rw를 구비한 dvr 시스템에서 알람 영상백업방법
KR100616170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메모리 관리방법
KR20060068630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시간 검색방법
EP1120978A1 (en) Apparatus capable of encoding audio/video data with decreased buffer capacity
CN100586163C (zh) 视频记录/再现设备和视频记录/再现方法
KR100626938B1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데이터 백업 방법
JP2005348078A (ja) 録画装置
CN102246515A (zh) 摄像/再现设备
JP4006663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5101904A (ja) 監視画像の記録方法及び監視画像記録装置
KR100601281B1 (ko) 디브이알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인식 방법
JP2004173244A (ja) データ記録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952968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녹화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101253718B1 (ko) 동화상 기록장치
JP4907267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