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02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021B1
KR100624021B1 KR1020050027599A KR20050027599A KR100624021B1 KR 100624021 B1 KR100624021 B1 KR 100624021B1 KR 1020050027599 A KR1020050027599 A KR 1020050027599A KR 20050027599 A KR20050027599 A KR 20050027599A KR 100624021 B1 KR100624021 B1 KR 10062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oor
washing machine
hous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8Accessories for angling for removing fish-hooks from th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세탁기 외부로 이탈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의 손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홈, 돌기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데, 그 예로서 2개의 도어 돌기와 1개의 하우징 돌기를 사용하는 경우나 1개의 도어 돌기와 1개의 하우징 홈을 사용하는 경우 등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와 하우징 전면에 세탁물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세탁물의 일부가 이탈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탈 세탁물로 인한 누수 및 도어 패킹,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이탈 세탁물, 이탈세탁물 감지수단, 돌기, 홈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수조
12 : 회전조 13 : 도어
13a : 도어판넬 13b : 도어글라스
20 : 구동모터 30 : 도어패킹
40 : 도어 돌기 50 : 하우징 돌기
51 : 하우징 홈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세탁기 외부로 이탈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의 손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본체의 내부에 회전조를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축 세탁기와 회전조를 수평으로 설치한 드럼 세탁기로 구분되는데, 수직축 세탁기는 회전조의 내부에 배치된 펄세이터가 정역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축 세탁기의 본체의 상면은 개방되어 형성되며, 이 개방된 상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조에 투입하거나 회전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드럼 세탁기는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조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수와 함께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진 후에 낙하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는 하우징(1)과,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2)와,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조(3)와, 하우징(1)의 개방된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를 구비한다. 도어(5)에는 닫힌 상태에서도 회전조(3)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글라스(5a)가 하우징의 내 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개구부(1a)와 수조의 개구부(2a) 사이에는 신축성 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도어패킹(6)이 마련되는데, 도어가 닫힐 때 도어패킹(6)에 도어글라스(5a)의 외주면이 밀착됨으로써 누수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에는 소매가 있는 옷이나 바지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세탁물의 일부가 하우징(1) 전면의 개구부(1a)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어 있어도 도어패킹(6)의 신축성으로 인해 도어(5)가 그대로 닫힐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의 이탈상태를 알지 못하여 그대로 세탁기를 작동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 세탁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어패킹(6)이 파손되거나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으며, 도어패킹(6)과 도어(5) 사이에 틈이 생겨 누수가 발생될 있어 사용자에게 물적 피해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의 일부가 세탁기 외부로 이탈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 세탁기를 작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의 손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하우 징 사이에 마련되는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세탁물이 이탈된 경우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하우징(또는 도어 배면, 또는 다른 이탈세탁물 감지수단) 사이에 이탈된 세탁물이 끼이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상기 도어 배면의 외곽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이용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겨지는 수조(11)와,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세탁되는 회전조(12)와, 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어 개방된 하우징(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는 수조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관(14)과 세제 공급장치(15)가 설치되고,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수조(11)에 담겨진 세탁수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16)와 배수관(17)이 설치된다.
수조(11)의 외측에는 회전조(12)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가 설치되고, 회전조(12)와 구동모터(20)의 사이에는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을 회전조(12)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21)이 설치된다. 수조(11)의 후면부에는 회전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베어링 하우징(22)이 설치되고, 베어링 하우징(10)과 회전축(21)의 외면 사이에는 베어링(23)이 설치된다.
도어(13)는 하우징(10)의 전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도어판넬(13a)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회전조(12)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유리로 성형되어 도어판넬(13a)에 장착되는 도어글라스(13b)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개구부와 수조의 개구부 사이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도어패킹(30)이 마련되는데, 도어가 닫힐 때 도어패킹(30)에 도어글라스(13b)의 외주면이 밀착됨으로써 누수가 방지된다.
그러나 도어패킹(30)은 신축성을 가져서 세탁물의 투입 시 이탈 세탁물이 있는 경우에도 이탈 세탁물이 도어글라스(13b)와 도어패킹(30)의 사이에 끼인 채로 도어(13)가 닫히게 되므로 본 발명은 이탈 세탁물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즉, 도어판넬(13a)의 배면과 도어(13)가 닫혔을 때 상기 도어판넬(13a)의 배면과 마주보는 하우징(10) 영역의 사이에는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가 닫히는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이 마련된다.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소매가 있는 세탁물이나 바지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세탁물이 하우징(10) 외부로 이탈된 경우에 각 실시예에 따라 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하우징(10) 사이 또는 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도어판넬(13a)의 배면 사이 또는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 사이에 이탈 세탁물이 끼이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세탁물의 이탈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도어판넬(13a)의 배면 또는 하우징(10) 중 어느 한 곳에 마련되어도 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판넬(13a)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하우징(10)에 마련되는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이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도어판넬(13a) 배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도어글라스(13b)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세탁물을 투입할 때 세탁물은 대부분 도어글라스(13b)의 아래쪽에서 이탈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반원 부분에만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함께 작용하여 이탈 세탁물 발생 시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0)에 원주방향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과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홈, 돌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그 한가지 형태로서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2개의 도어 돌기(40)를 사용하고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1개의 하우징 돌기(50)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도어판넬(13a)의 배면에 마련되는 2개의 도어 돌기(40)는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도어가 닫힐 때 하우징(10)의 전면에 마련되는 1개의 하우징 돌기(50)는 상기 2개의 도어 돌기(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 4a에서와 같이 세탁물의 이탈이 발생하면 도어 돌기(40)와 하우징 돌기(50) 사이에 이탈된 세탁물(C)이 끼이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의 이탈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a와 도 4b는 각각 이탈된 세탁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어 돌기(40) 및 1개의 하우징 돌기(50)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반대로 1개의 도어 돌기(40)를 사용하고 2개의 하우징 돌기(5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1개의 도어 돌기(40)와 1개의 하우징 돌기(50)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거나, 2개의 도어 돌기(40)와 2개의 하우징 돌기(50)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과 같은 응용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1개의 도어 돌기(40)를 사용하고 제2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1개의 하우징 홈(51)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돌기(40)가 하우징 홈(51) 내부로 일정 길이가 삽입되도록 도어 돌기(40)의 길이를 조 절하여야 이탈 세탁물의 발생하였을 때 도어(13)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돌기와 홈의 위치를 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돌기와 홈의 사용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부로 세탁물의 일부가 이탈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세탁물의 이탈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기 작동 중에 이탈 세탁물로 인한 누수 및 도어패킹의 파손을 방지하고 세탁물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세탁물이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은 상기 도어 배면의 외곽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세탁물 감지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50027599A 2005-04-01 2005-04-01 세탁기 KR10062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599A KR100624021B1 (ko) 2005-04-01 2005-04-0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599A KR100624021B1 (ko) 2005-04-01 2005-04-0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021B1 true KR100624021B1 (ko) 2006-09-19

Family

ID=3763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599A KR100624021B1 (ko) 2005-04-01 2005-04-0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0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179B1 (en) Washing machine
EP1751343B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537237B1 (ko) 세탁기
KR101353421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이의 제습방법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20100070707A (ko) 드럼세탁기
JP4998130B2 (ja) 洗濯機
CN110168159B (zh) 衣物处理装置
JP6980522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221459B1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JP2007307067A (ja) 洗濯乾燥機
CN105980621B (zh) 洗衣机
JP56909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624021B1 (ko) 세탁기
KR2018013608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JP6123075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6835620A (zh) 顶开式滚筒洗衣机
EP3656910B1 (en) Washing machine
JP430125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7148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326302B1 (ko) 드럼세탁기
JP2018117889A (ja) 衣類処理装置
KR20070002360A (ko) 드럼세탁기의 가스켓
KR20060117424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박스
TWI541406B (zh) Drum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