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37B1 -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 Google Patents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37B1
KR100623437B1 KR1020050023564A KR20050023564A KR100623437B1 KR 100623437 B1 KR100623437 B1 KR 100623437B1 KR 1020050023564 A KR1020050023564 A KR 1020050023564A KR 20050023564 A KR20050023564 A KR 20050023564A KR 100623437 B1 KR100623437 B1 KR 10062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th
air
vehicle
exhaust pip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장식
Original Assignee
노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장식 filed Critical 노장식
Priority to KR102005002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air being heated from the plant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룸에 구비되어 흡입한 외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면서 차량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배기관의 열에 의해 온기를 생성하는 공기가열기와, 상기 공기가열기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온기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온기를 필요로 하는 차량의 소정 지점으로 연장 배치되며 상기 지점에 온기를 안내하여 공급하는 온기분배부, 및 상기 온기분배부의 온기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rmth of a vehicle using heat of an exhaust pipe, and more particularly, an air compressor for compressing outside air suck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n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vehicle exhaust pi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And an air heater that generates warmth by heat of an exhaust pipe, a mai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heater to receive the generated warmth, and extend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vehicle branching from the main supply pipe and requiring warmth And a warmth distribution unit for guiding and supplying warmth to the point, and a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armth supply of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는 대기 중으로 버려지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하여 온기를 생성한 후 이를 차량의 윈도, 사이드미러의 김서림, 습기, 성애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시트를 난방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배기관의 열을 효율적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rmth supply device of a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warmth by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discard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n removes the window of the vehicle, the mist of the side mirror, moisture, sexuality or the like By using it for heat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energy source.

자동차, 배기관, 열, 온기, 사이드미러, 윈도, 시트 Car, exhaust pipe, heat, warmth, side mirror, windows, seat

Description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Warmth supply device of vehicle using heat of exhaust pipe.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장치의 개략적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rmth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장치의 전체구성도.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rmth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도3a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분해사시도.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Figure 3a.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도4a에 따른 공기가열기의 분해사시도.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heater according to Figure 4a.

도4c는 도4a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4A.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열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관이 도어윈도에 설치된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warmth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window.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관이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warmth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ide mirror.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관이 시트에 설치된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warmth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eet.

*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jor parts of drawing *

1: 엔진룸 2: 배기관1: engine room 2: exhaust pipe

10: 공기압축기 12: 전기모터10: air compressor 12: electric motor

13: 회전축 14: 공기흡입팬13: rotating shaft 14: air suction fan

15: 공기압축팬 20: 공기가열기15: air compressor fan 20: air heater

21a/b: 몸체부 22: 공기채널21a / b: body 22: air channel

23: 가열판 28: 공기이송관23: heating plate 28: air transfer pipe

30: 메인공급관 40: 온기분배부30: main supply pipe 40: warmth distribution

41: 제1 온기공급관 42: 제2 온기공급관41: first warmth supply pipe 42: second warmth supply pipe

45: 제3 온기공급관 47: 제4 온기공급관45: third warmth supply pipe 47: fourth warmth supply pipe

50: 장치제어부50: device control unit

본 발명은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상기 압축공기를 배기관의 열에 의해 가열하여 온기를 생성한 후 이를 차량에 구비된 좌우측과 전후방윈도, 사이드미러, 시트에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윈도, 사이드미러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성에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시트를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rmth of a vehicle using heat of an exhaust pipe, and more particularly, by sucking and compressing outside air and heating the compressed air by the heat of an exhaust pipe to generate warmth, which is then provided to the vehicle. The warmth of the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that allows the driver to remove moisture or frost from the windows, side mirrors, etc. more conveniently by supplying all or selectively to the windows, side mirrors and seats. It relates to a supply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의 실린더 내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연소에 의해 폭발하고 그 폭발력을 이용해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동력을 얻게 되며, 연소 후의 잔존하는 가스는 엔진과 연결된 배기관을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In general, a car is powered by a combustion mixture of fuel and air in the cylinder of the engine by combustion and the piston reciprocates using the explosive force, and the remaining gas after combustion is atmospheric through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engine. Is released into the air.

이러한 자동차의 배기관은 연소 후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서 대략 300 ∼ 600℃의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배기관의 버려지는 열을 또 다른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필요성이 대두하는데, 종래 자동차의 배기장치와 관련해서는 주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제거해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을 뿐, 상기 배기관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그에 따라 충분히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배기관의 열을 그냥 소모시킴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exhaust pipe of the vehicle is a passage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exhaust gas is discharged after combustion, and thus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300 to 600 ° 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waste heat of the exhaust pipe as another energy source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exhaust system of a conventional vehicl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air pollution mainly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of exhaust gas, an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using heat of the exhaust pipe as an energy source.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s energy by simply consuming heat from an exhaust pipe that can be used as a sufficient energy source.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방에 프론트윈도, 후방에 리어윈도, 양 측면에 도어윈도가 각각 설치되며, 양측 후방의 교통상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수석 도어의 외측 전면부에 각각 사이드미러가 장착되어 있다. In addition, in general, a front window is installed in the front, a rear window at the rear, and door windows at both sides, respectively, and side mirrors are mounted at the outside front sides of the driver's and passenger's doors to monitor traffic conditions at both sides. It is.

이와 같은 자동차의 윈도와 사이드미러는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외부환경에 따라, 즉 비가 오거나 또는 추운 겨울 등의 외부환경에 따라서 윈도 글라스와 사이드미러의 미러에 습기, 김서림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성애, 물의 결빙현상 등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시계확보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좌우측 도어윈도와 사이드미러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측후방 시야 확보가 곤란하므로 차선변경 등에 있어 뒤따르는 차량을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워 안전운행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The window and the side mirror of such a vehicle generally generate moisture, mist, etc. on the window glass and the mirror of the side mirror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rain or cold winter. The back light i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driver's watch. In particular, when such a phenomenon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and side mirror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river's side and rear view, and thu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cognize the following vehicle in lane change, thereby causing serious problems in safe driving.

종래, 사이드미러의 이와 같은 김서림,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이드미러의 배면에 히터를 장착하고 운전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 급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해 사이드미러를 히팅하는 것이므로 그 전력의 낭비가 크며 또한 히팅수단이 복잡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고 그 비용이 상승하여 주로 고급차에만 국한되어 설치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move such fog and moisture in the side mirror, a technology is provided in which a heater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mirror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by a switch operation of a driver. Since the side mirrors are heated, the waste of power is large, and the heating means employ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the cost is increa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is mainly limited to luxury cars.

그리고 종래 프론트윈도와 도어윈도의 김서림, 성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주로 엔진 냉각수의 열에 의해 데워진 온풍을 디프로스터를 통해 프론트윈도와 도어윈도 하단에서 토출시킴으로써 달성하게 되는데, 그러나 추운 겨울, 특히 눈이나 물방울이 상기 윈도들에 결빙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냉각수가 일정온도까지 상승해야만 온풍이 공급되므로 운전자가 운전을 하기위해서는 시동을 걸고나서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온풍이 공급될 때까지 장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emoving the front window and the door window, such as steaming, frost and ice is mainly achieved by discharging the warm air warmed by the heat of the engine coolant through the defroster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window and the door window, but cold winter, especially snow If water droplets are frozen in the windows, the warm air is supplied only when the coolant of the engine rises to a certain temperature to remove the water.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coolant increases after the engine starts to operate. There is a problem to wait a long time until.

한편, 자동차의 시트를 난방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시트를 뜨겁게 만드는 전열시트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열원으로서 전기적인 열선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해로운 전자기장이 발생하여 운전자 등의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method for heating the seat of the car is used a heat transfer sheet that heats the sheet using electricity, which is an electromagnetic field harmful to the human body by using an electric heating wire as a heat source to the health of the driver and the like There is a harmful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된 외기를 압축하고 배기관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온기를 생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배기관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온기를 차량의 좌우측 도어윈도와 사이드미러에 공급하여 토출시킴으로써 김서림, 습기, 성애 등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제 거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at the exhaust pipe is discarded by generating the warm air by compressing the suctioned outside air and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to heat the compressed air Can be used efficiently as an energy source, and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warmth to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and side mirrors of the vehicle to remove the steaming, moisture, sexuality, etc. more quickly and easily It is to provide a warmth supply device for a vehicle using hea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성된 온기를 좌우측 도어윈도 뿐만 아니라 전후방윈도에도 공급하여 엔진 냉각수의 온도상승을 기다릴 필요없이 더욱 빠른 시간에 성애나 결빙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자기장을 전혀 생성하지 않는 온기를 이용하여 시트를 난방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한 난방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도어윈도, 전후방윈도, 시트로의 온기공급을 필요환경에 따라서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generated warmth to the front and rear windows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to remove the frost or ice in a faster time without having to wait for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ngine coolant, and generates no electromagnetic field at all. By heating the seat using non-hea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heating means to the human body and to provide heat to the door windows, the front and rear windows, and the seat so that the driv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required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warmth supply device of the vehicle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는, 차량의 엔진룸에 구비되어 흡입한 외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면서 차량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배기관의 열에 의해 온기를 생성하는 공기가열기와, 상기 공기가열기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온기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좌우측 도어윈도의 테두리부로 각각 연장 배치되며 상기 윈도를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1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에서 각각 분기되어 차량의 좌우측 사이드미러 하우징 내부로 연장 배치되며 미러의 배면을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2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온기분배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좌측 및 우측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진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온기분배부는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전후방 윈도의 테두리부로 각각 연장 배치되며 상기 윈도를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3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3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전방 및 후방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전방 및 후방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rmth supply device for a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ir compressor for compressing outside air sucked i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hicle exhaust pi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An air heater mounted on the air heater to generate warmth by heat of the exhaust pipe, a mai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heater to receive the generated warm air, and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to extend to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of the vehicle A first warmth supply pipe disposed at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configured to discharge warmth toward the window, and branched from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to extend into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 housings of the vehicle, and to discharge the warmth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The second warmth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are respectively provided for the flow of warmth. Is distributed on mood, and ea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ontrol valves consisting of the left and right control valves belonging to 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device consisting of the left and right control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Here,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is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and extending to the edge of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the third warmth supply pi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warmth toward the window and the third warmer supply pipe, respectively It further includes a front and rear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rmth, the device control unit may be made by further comprising a front and rear control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control valve respectively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온기분배부는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 실내의 각 시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배치되고 끝단에 온기배출구가 형성되어 공급된 온기로 시트를 난방하는 제4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4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다수의 시트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시트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의 시트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is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extending in a zigzag form in each sea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warmth outle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th warmth supply pipe for heating the sheet with the supplied warmth, and the fourth And a plurality of seat control valve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warmth supply pipes to regulate the flow of warmth, and the apparatus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 control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at control valve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It can be done by.

그리고 상기 공기압축기는 전후단에 각각 제1흡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 기 제1흡입부의 직후단 외주면에 복수의 흡입공이 천공된 제2흡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흡입부 후단부터 후방으로 테이퍼 형태를 이룬 중공의 케이스와, 상기 제1흡입부 전방에 구비된 전기모터에 연결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상기 제1/제2흡입부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팬, 및 상기 공기흡입팬 후방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며 스쿠류길이가 후방으로 갈수록 점감하는 테이퍼 형태의 공기압축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 first suction part and a discharge part at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d a second suction part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perfor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mmediately after the first suction part, and tapered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ction part. It is coupled to the hollow case and the rotating shaft extending into the cas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suction portion an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shaft to suck the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 second suc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suction fan, and a tapered air compression fan coupled to the rotary shaft behind the air suction fan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ry shaft and the squeegee length decreases toward the rear.

여기서, 상기 공기압축기는 상기 공기흡입팬과 공기압축팬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된 외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compressor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air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air suction fan and the air compression fan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sucked outside air.

또한, 상기 공기가열기는 전후면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채널, 및 배기관 외주면과 대향하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열접촉면을 넓힌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heater has a pair of body part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by mutual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inlet and the outle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respectively, and the Compressed to move along the air channel by forming a plurality of air channel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to guide the compressed air flow to the upper and lower zigzag, and the unevenness widened the thermal contact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ating plate for heating the air.

한편, 상기 공기가열기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후면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출구와 결합 되는 공기이송관, 및 배기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열접촉면을 넓힌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이송관 내부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heater is a pair of bodies which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by mutual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lower and the lower body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rear surfaces as another embodiment And an air transfer pipe which is fixed in a zigzag shape inside the body part,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l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let, and an uneven surface of which a thermal contact surface is widen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It may include a heating plate for heating the compressed air moving into the air transfer pip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warmth supply devic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rmth of a vehicle using heat of an exhaust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1) 내부에 구비된 공기압축기(10)와, 상기 공기압축기(10)와 연결되어 차량 배기관(2)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공기가열기(20)와, 상기 공기가열기(20)와 연결된 메인공급관(30)과,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소정 지점으로 연장 배치되는 온기분배부(40)와, 상기 온기분배부(40)를 제어하는 장치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mpressor 10 provided in an engine room 1 of a vehicle, and an air heater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0 an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exhaust pipe 2. 20, a main supply pipe 30 connected to the air heater 20, a warmth distribution unit 40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and extend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vehicle, and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 And a device controller 50 for controlling 40.

그리고 도2는 상기 온기분배부(4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기분배부(40)는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각각 분기되는 제1 온기공급관(41), 제3 온기공급관(45), 제4 온기공급관(47)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에서 분기되는 제2 온기공급관(42), 및 상기 제1/제3/제4 온기공급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어밸브들(44, 46, 49)로 이루어진다.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in more detai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is a first warmer which is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respectively. A second warmth supply pipe 42 branched from a supply pipe 41, a third warmth supply pipe 45, a fourth warmth supply pipe 47 and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 and the first / third / fourth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trol valves (44, 46, 49) provided in the warm water supply pip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 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온기의 흐름에 따른 순서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detail,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order according to the flow of warmth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상기 공기압축기(10)는 엔진룸(1) 내부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윈도, 시트 등 차량의 소정 지점에 공급될 수 있는 압력을 갖도록 상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게 된다.The air compressor 1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engine room 1,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and the sucked air has a pressure that can be suppli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vehicle such as a side window and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d air is compressed to produce compressed air.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압축기(10)의 구성 사시도이며 도3b는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와, 전기모터(12), 회전축(13), 공기흡입팬(14), 공기압축팬(15)으로 이루어진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case 11, the electric motor 12, the rotary shaft 13 ), An air suction fan 14, and an air compression fan 15.

상기 케이스(11)는 전후방이 개방된 형태로서 전방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부(16a)가 되고 후방은 흡입된 공기가 압축되어 송출되는 배출부(17)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부로부터 소정 지점까지의 외주면에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부(16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흡입부(16b)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다수의 흡입공(16c)이 천공되어 있다.The case 11 has a form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ed, and the front portion is a first suction portion 16a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the rear portion is a discharge portion 17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compressed and discharged. In addition, a second suction part 16b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first suction part to a predetermined poin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6b ha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be sucked ( 16c) is perforated.

상기 케이스(11)는 내부가 빈 중공형이고, 상기 제2흡입부(16b)가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출부(17)까지는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를 띠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흡입부(16a)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부(17)의 단면적보다 현저하게 커지게 된다.The case 11 has a hollow inside, and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suction part 16b is formed to the discharge part 17, and thus the first suction part ( The cross sectional area of 16a) become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rt 17.

상기 전기모터(12)는 본 공기압축기(10)의 동력원으로서 상기 케이스(11)의 제1흡입부(16a)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모터(12)에 연결 설치된 회전축(13)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electric motor 1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suction part 16a of the case 11 as a power source of the air compressor 10, and rotates the rotary shaft 13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12. do.

상기 전기모터(12)는 후술할 장치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즉 운전자가 온기공급을 원해서 장치제어부(50)에 구비된 다수의 제어스위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눌러 온(On)을 시키게 되면 그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모터(12)는 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운전자가 전혀 온기공급을 원하지 않아 모든 제어스위치를 오프(Off)시킨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 motor 12 is prefer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to control its operation, that is,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provided in the device control unit 50 for the driver to supply warmth. When any one of them is turned on, the electric motor 12 starts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operation stops when all the control switches are turned off because the driver does not want to supply warmth at all. Preferably.

상기 회전축(13)은 상기 전기모터(12)로부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 중앙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11)의 전후단에서 축지지베어링(18a,18b)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The rotating shaft 13 extends from the electric motor 12 to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11 and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shaft support bearings 18a and 18b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se 11.

그리고 상기 회전축(13)에는 공기흡입팬(14)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흡입부(16a)와 제2흡입부(16b)를 통해 외부 공기를 케이스(11)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In addition, an air suction fan 14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3,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3 to receive external air through the first suction part 16a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6b. 11) It is sucked into the inside.

상기 공기흡입팬(14)은 회전에 의해 전방에 있는 공기를 후방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제1흡입부(16a)와 제2흡입부(16b) 모두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하도록 상기 공기흡입팬(14)은 상기 제2흡입부(16b)의 끝단 부분의 회전축(13)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The air suction fan 14 blows the air in front of the rear by rotation, and the air is sucked more easily through both the first suction part 16a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6b. The suction fan 14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3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ction portion 16b.

상기 공기압축팬(15)은 상기 공기흡입팬(14)이 결합된 지점의 후단 회전축(13)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압축팬(14)과 같이 회전하면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고 이를 배출부(17)를 통해 송출시킨다.The air compression fan 15 is coupled to the rear end rotation shaft 13 of the point where the air suction fan 14 is coupled to compress the sucked air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air compression fan 14 and discharge the same 17. Through).

상기 공기압축팬(15)은 다수의 회전날개가 일렬로 연결된 형태의 스쿠류 형상이며 단면적이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의 케이스(11)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날개는 배출부(17)에 가까울수록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ir compression fan 15 has a skew shape of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connected in a row, and compresses the ai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case 11 whose cross section decreases toward the rear. Rotating blade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tapered form that is closer to the discharge portion 17, the length thereof is gradually shortened.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팬(14)과 공기압축팬(15)사이에 외부공기를 흡입할 때 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를 걸러줄 수 있는 에어필터(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filter 19 is provided to filter foreign matters when there is foreign matter between the air suction fan 14 and the air compression fan 15.

상기 공기가열기(20)는 상기한 공기압축기(10)의 배출부(17)와 배관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0)의 압축공기를 공급받으며, 배기관(2)에 장착되어 배기관(2)의 열에 의해 상기 공급된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온기를 생성하게 된다.The air heater 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17 of the air compressor 10 to receive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compressor 10, is mounted on the exhaust pipe (2) of the exhaust pipe (2) The supplied compressed air is heated by heat to generate warmth.

도4a는 상기 공기가열기(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사시도이고, 도4b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4c는 도4a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공기가열기(20)는 한 쌍의 몸체부(21a,21b)와, 다수의 공기채널(22), 및 가열판(23)으로 구성된다.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ir heater 20, 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4a, the air heater 20 is a It consists of a pair of body portions 21a, 21b, a plurality of air channels 22, and a heating plate 23.

상기 몸체부(21a,21b)는 각각 전면에 상기 공기압축기(10)의 배출부(17)와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4)가 구비되고 각각 후면에는 생성된 온기가 배출되는 유출구(25)가 구비되며, 내부는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이다.The body parts 21a and 2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let part 17 of the air compressor 10 at the front side thereof, and are provided with an inlet port 24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25) is provided, the inside is a hollow cylindrical shape formed with a space to move the compressed air flows.

이러한 형상의 상기 몸체부(21a,21b)는 각각 하부가 연결부재(26)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 상부에 체결부재(27a,27b)가 구비되어 배기관(2)의 외주면에 끼워진 후 상기 체결부재 (27a,27b)를 상호 볼트 체결함으로써 배기관(2)에 장착되게 된다. The body portion (21a, 21b) of such a sha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2)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27a, 27b) in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26, respectively, the fastening member ( The bolts 27a and 27b are mutually bolted to be mounted on the exhaust pipe 2.

여기서, 상기 몸체부(21a,21b)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26)는 상기 몸체부(21a,21b)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부(21a,21b)를 배기관(2)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때 상기 몸체부(21a,21b)가 내외측으로 소정 간격 벌려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26 for connecting the body portion (21a, 21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a, 21b), and also the body portion (21a, 21b) exhaust pipe (2) The body portion 21a, 21b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portion (21a, 21b) is widened or narrowed in and ou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mounted on or removed from.

상기 한 쌍의 몸체부(21a,21b)의 내부에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흐름을 가로막아 상하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공기채널(22)이 구비되는데, 이는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이동함으로써 몸체부(21a,21b) 내에서 보다 오랜 시간동안 열전달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고온의 온기를 생성하기 위함이다.Inside the pair of body portions 21a and 21b, a plurality of air channels 22 are provided to block the flow of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therein and move upward and downward zigzag, which is performed by moving the compressed air into the upper and lower zigzag. This is to generate heat of higher temperature by allowing heat transfer for a longer time in the parts 21a and 21b.

그리고 상기 몸체부(21a,21b)의 내측면, 즉 상기 배기관(2)과 서로 접촉하는 측면에 가열판(23)이 형성되어 배기관(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상기 공기채널(22)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게 되는데, 압축공기와의 접촉면적, 즉 열전달 표면적을 보다 넓혀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nd a heating plate 2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a, 21b), that is,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exhaust pipe (2) is zigzag along the air channel (22) with heat transferred from the exhaust pipe (2) The moving compressed air is heated,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compressed air, that is, the heat transfer surface area is wider, so that the concave-convex shape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이와 같은 상기 공기가열기(20)는 차량의 언더바디에 있는 배기관(2)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차량이 도로환경이 좋지 못한 곳으로 운행될 때 물리적인 충격을 받거나 또는 겨울철 도로에 뿌려진 염화칼슘 등에 노출되어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보호케이스를 마련하여 함께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air heater 20 is mounted on the exhaust pipe 2 in the underbody of the vehicle, the vehicle is exposed to calcium chloride sprayed on the road or subjected to physical shock when the vehicle is driven to a place where the road environment is not good. Sinc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hemical corrosion or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on the outside is preferably mounted together.

도5는 상기 공기가열기(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다른 구성은 도4a 내지 도4c에서 설명한 공기가열기(20)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상기 몸체부(21a,21b) 내부에 공기채널(22) 대신 공기이송관(28)을 형성함에 차이가 있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heater 20,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heater 20 described in Figures 4a to 4c, the body portion ( There is a difference in forming the air transfer pipe 28 instead of the air channel 22 inside the 21a, 21b.

상기 공기이송관(28)은 일단이 상기 유입구(24)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출구(25)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가열판(23)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이송관(28)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가열되게 되는 것이다.The air transfer pipe 28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let 24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let 25. And it is fixed to the heating plate 23 in the upper and lower zigzag form and the air introduced thereby is moved along the inside of the air transfer pipe 28 is to be heated.

상기 양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열기(20)에 있어서, 열효율 측면에서는 공기가 직접 가열판(23)과 접촉하는 도4a에 도시된 공기가열기(20)가 효과적이지만, 몸체부 외부로의 공기누출 위험 측면에서는 공기가 배관 내부로 이동하는 도5에 도시된 공기가열기(20)가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만 어느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은 당연하다.In the air heater 2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n terms of thermal efficiency, the air heater 20 shown in FIG. 4A in which ai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plate 23 is effective, but air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body is effective. In terms of danger, the air heater 20 shown in FIG. 5 in which air moves inside the pipe is more effective. However, according to any embodiment, there is no problem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가열기(20)의 유출구(25)에는 메인공급관(30)이 연결되어 생성된 온기를 공급받게 되며, 상기 메인공급관(30)에는 온기분배부(40)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공급관(30)으로 공급된 온기를 차량의 소정 지점으로 안내하게 된다.The outlet 25 of the air heater 20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warmth generated by the main supply pipe 30 is connected,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is connected to the main The warmth supplied to the supply pipe 30 is guid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vehicle.

상기 온기분배부(40)는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각각 분기되는 제1 온기공급관(41)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에서 분기되는 제2 온기공급관(42), 그리고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밸브들로 이루어진다.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includes a first warmth supply pipe 41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a second warmth supply pipe 42 branched from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 and the first warmer. Control valve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41, respectively.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은 메인공급관(30)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좌측과 우측의 도어윈도로 연장 배치되는 공급관으로서, 좌측용 온기공급관(41a)과 우측용 온기공급관(41b)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 is a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and extended to the door window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nd may be divided into a left warm supply pipe 41a and a right warm supply pipe 41b. Can be.

도6은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a,41b)이 도어에 설치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a,41b)은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자체와 도어힌지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패널 내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도어윈도(4)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윈도(4)의 프레임에 내장된 부분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43)이 형성되어 공급관을 따라 안내된 온기를 여러 방향에서 도어윈도(4)의 표면으로 토출하게 된다. FIG. 6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first warm air supply pipes 41a and 41b are installed in the door,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warm air supply pipes 41a and 41b are formed in the main supply pipe 30, respectively. It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door panel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and is installed in a frame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door window (4). In addition, a plurality of nozzles 4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ortions embedded in the frame of the door window 4 to discharge the warmth guided along the supply pipe to the surface of the door window 4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도면에서는 제1 온기공급관(41a,41b)이 전방도어에 설치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전방도어뿐만 아니라 후방도어의 윈도에도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s, only the first warmth supply pipes 41a and 41b are shown installed in the front door, but, as necessary, the first warm air supply pipes 41a and 41b may be extended and installed in the windows of the rear door.

그리고, 상기 제2 온기공급관(42)은 상기 도어윈도로 연장 설치된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서 각각 분기되어 차량의 도어 외측에 결합된 사이드미러로 연장 설치되는 공급관으로서, 역시 좌측 사이드미러용 온기공급관(42a)과 우측 사이드미러용 온기공급 관(4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cond warmth supply pipe 42 is a supply pipe which is branched from the first warmth supply pipes 41a and 41b respectively extended to the door window and is extended to a side mirro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door. For the warmth supply pipe 42a and the right side mirror warmer supply pipe 42b may be divided.

도7은 상기 제2 온기공급관(42a,42b)이 사이드미러에 설치된 예시도로서, 상기 제2 온기공급관(42a,42b)은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서 분기되어 사이드미러(5)의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고 미러(6) 배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에 다수의 노즐(43)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된 온기를 미러(6)의 배면에서 미러(6)를 향해 토출시키게 된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second warm air supply pipes 42a and 42b are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and the second warm air supply pipes 42a and 42b branch off from the first warm air supply pipes 41a and 41b. Extends into the housing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6. A plurality of nozzles 43 are formed at the position to discharge the guided warmth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6 toward the mirror 6.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온기공급관(41,42)은 플렉시불(Flexible) 관으로 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이나 사이드미러의 유동시에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warmth supply pipes 41 and 42 be flexible tub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rmth supply pipes 41 and 42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or when the side mirror is flowed.

그리고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는 각각 좌측제어밸브(44a)와 우측제어밸브(44b)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밸브는 전기의 단속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a,41b)으로의 온기공급을 각각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warm air supply pipes 41a and 41b are provided with a left control valve 44a and a right control valve 44b, respectively. The control valve is a solenoid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ic interruption. And to control the warmth supply to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a, 41b), respectively.

이러한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44a,44b)는 후술할 장치제어부(50)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운전자는 상기 제어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온기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The left and right control valves 44a and 44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switch of the device control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iver can selectively supply the warmth to the left or the righ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witch. do.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온기공급관(42a,42b) 및 제2 온기공급관이 분기된 후측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 추가로 제어밸브를 각각 구비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를 후술할 장치제어부(50)에 추가함으로써 도어윈도로의 온기공급과 사이드미러로의 온기공급을 선택적으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f necessary, the second warmer supply pipe (42a, 42b) and the second warm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in addition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warmer supply pipe (41a, 41b) is branched and the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is, respectively By adding to the device control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upply of warmth to the door window and the supply of warmth to the side mirror selectively.

한편, 상기 온기분배부(40)에는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전후방 윈도로 온기를 안내하는 제3 온기공급관(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공급관(30)에서 분기되어 차량 실내의 시트로 온기를 안내하는 제4 온기공급관(47)이 더 추가되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warmth supply pipe 45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to guide the warmth to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and also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30 And a fourth warmth supply pipe 47 for guiding warmth to the seat of the vehicle interior may be further installed.

상기 제3 온기공급관(45)은 상기 메인공급관(30)에 공급된 온기를 차량의 전 방 및 후방윈도로 안내하는 공급관으로서, 전방용 온기공급관(45a)과 후방용 온기공급 관(45b)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third warmth supply pipe 45 is a supply pipe that guides the warmth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to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and is provided to the front warm water supply pipe 45a and the rear warm water supply pipe 45b. Can be distinguished.

상기 제3 온기공급관(45a,45b)은 전방윈도와 후방윈도의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온기를 여러방향에서 상기 전방윈도 또는 후방윈도에 토출시키게 된다.The third warmth supply pipes 45a and 45b are extended to the edges of the front window and the rear window,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at the edge portion to discharge warmth to the front window or the rear window in various directions.

또한, 제3 온기공급관(45a,45b)에는 상기한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 각각 구비된 제어밸브(44a,44b)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제어밸브(46a)와 후방제어밸브(46b)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밸브도 역시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장치제어부(50)에 구비된 제어스위치와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은 동일하다.Further, the third warmth supply pipes 45a and 45b have a front control valve 46a and a rear control valve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control valves 44a and 44b provided in the first warmth supply pipes 41a and 41b, respectively. Each of the control valves 46b is also provided as a solenoid valve, which is connected to a control switch provided in the apparatus control unit 50 so tha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상기 제4 온기공급관(47)은 상기 메인공급관(30)에 공급된 온기를 차량 실내에 마련된 각 시트로 안내하는 공급관으로서, 운전석용 공급관(47a), 조수석용 공급관(47b), 및 뒤쪽의 좌측과 우측용 공급 관(47c,47d)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The fourth warmer supply pipe 47 is a supply pipe for guiding the warmth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to each sheet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includes a driver seat supply pipe 47a, a passenger seat supply pipe 47b, and a left rear side. And right supply pipes 47c and 47d, respectively.

도8은 상기 제4 온기공급관(47)이 시트(7)에 설치된 예시도로서, 상기 제4 온기공급관(47)은 시트(7)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며, 끝단에 온기배출구(48)가 형성되어 공급관을 통과하면서 열을 시트에 전달한 온기가 끝부분에서 배출되도록 한다.FIG. 8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fourth warm air supply pipe 47 is installed on the seat 7, and the fourth warm air supply pipe 47 is installed in a zigzag form inside the seat 7, and the warm air outlet 48 at the end. Is formed to pass the heat through the supply pipe to transfer the heat to the sheet to be discharged from the end.

또한, 상기 제4 온기공급관(47a,47b,47c,47d)에도 각각 시트제어밸브(49a,49b,49c,49d)가 구비되는데, 상기 시트제어밸브도 역시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장치제어부(50)에 구비된 제어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개폐 작동이 제어됨은 동일하다.In addition, seat control valves 49a, 49b, 49c, and 49d are also provided in the fourth warmth supply pipes 47a, 47b, 47c, and 47d, respectively, and the seat control valves are also provided in the apparatus control unit 50 as solenoid valve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control switch.

상기한 제1 온기공급관(41), 제2 온기공급관(42), 제3 온기공급관(45), 제4 온기공급관(47)은 관 내부를 이동하는 온기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좁은 공간에 내설되기 쉽도록 가요성을 가지면서 내열성, 내식성이 좋은 테프론이나 실리콘, 또는 PVC 재질로 된 튜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 the second warmth supply pipe 42, the third warmth supply pipe 45, and the fourth warmth supply pipe 47 prevent the heat of the warmer moving inside the pip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protect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tube made of Teflon, silicone, or PV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good corrosion resistanc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한편, 상기 장치제어부(50)는 상기 온기분배부(40)의 온기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control unit 50 is a part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warmth supply of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상기 장치제어부(50)는 상기 온기분배부(40)를 구성하는 제어밸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의 단속을 통해 상기 제어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스위치들로 구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온기공급관(41a,41b)에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44a,44b)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제어스위치와, 제3 온기공급관(45a,45b)에 각각 구비된 전방 및 후방제어밸브(46a,46b)와 연결되는 전방 및 후방제어스위치, 및 상기 제4 온기공급관(47a,47b,47c,47d)에 각각 구비된 시트제어밸브(49a,49b,49c,49d)와 연결되는 다수의 시트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진다.The device control unit 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s constituting the warmth distribution unit 4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valves through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Left and right control switche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ontrol valves 44a and 44b provided in the first warmth supply pipes 41a and 41b, respectively, and front and rear provided to the third warmth supply pipes 45a and 45b, respectively. Front and rear control switches connected to the control valves 46a and 46b, and seat control valves 49a, 49b, 49c and 49d provided in the fourth warmth supply pipes 47a, 47b, 47c and 47d,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at control switches.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제어부(50)는 상기 공기압축기(10)의 전기모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스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온(On)상태가 된 경우에 상기 전기모터(12)가 작동되고 모든 제어스위치가 오프(Off)상태인 경우 작동이 중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controlle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12 of the air compressor 1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ntrol switches is operated to be in an on stat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when the electric motor 12 is operated and all the control switches are in the off state.

상기한 구성의 장치제어부(50)는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스위치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 전방의 계기판 부분이나 인스투루먼트패널(I/P)부분의 여유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vice control unit 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free space of the instrument panel part or the instrument panel I / P part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the switch more convenient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warmth supply device for a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온기공급을 원하는 부분의 제어스위치를 누루게 되면 해당 제어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압축기(10)가 작동을 시작하여 해당 부분으로 온기를 공급하게 된다.When the driver presses the control switch of the desired part to supply the warmth as needed, the control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switch is opened and the air compressor 10 starts operation to supply warmth to the corresponding part.

예컨대, 좌우측 도어윈도와 사이드미러에 성애가 끼어 측후방의 시야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 상기 좌측제어밸브(44a)와 우측제어밸브(44b)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좌측제어스위치와 우측제어스위치를 누루게 되면 상기 제어밸브(44a,44b)가 개방되고 공기압축기(10)가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and the side mirror are stuck,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ew of the rear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control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eft control valve 44a and the right control valve 44b are pressed. In this case, the control valves 44a and 44b are opened and the air compressor 10 starts to operate.

상기 공기압축기(10)에서 압축된 공기는 공기가열기(20)로 공급되고, 공기가열기(20)는 배기관의 열에 의해 온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온기는 메인공급관(30)으로 공급된다. 메인공급관(30)에 공급된 온기는 상기 메인공급관(30)에 분기 접속된 온기공급관 중에서 제어밸브(44a,44b)가 개방된 제1 온기공급관(41a,41b) 및 제2 온기공급관(42a,42b)을 따라 안내되어 노즐(43)을 통해 상기 도어윈도와 사이드미러에 토출되어 상기 도어윈도와 사이드미러에 존재하는 성애를 제거하게 된다.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or 10 is supplied to the air heater 20, the air heater 20 generates warmth by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the generated warmer is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 The warmth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is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41a, 41b) and the second warmth supply pipe (42a), in which the control valves (44a, 44b) are opened, among the warmth supply pipes branched to the main supply pipe (30). 42b) is discharged to the door window and the side mirror through the nozzle 43 to remove the frost on the door window and the side mirror.

운전자는 인스투루먼트패널 상에 구비된 장치제어부(50)의 제어스위치만을 조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온기공급장치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데, 모든 제어스위치를 눌러 온(On)시킴으로써 모든 윈도와 사이드미러에 존재하는 습기, 성애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시트난방까지 동시에 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필요한 부분의 제어스위치만을 온(On)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어느 한 부분만으로 온기가 집중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driver can easily control the warmth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only the control switch of the device control unit 50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and by pressing all the control switches on all windows and side mirrors Moisture, defrost, etc. existing in the, or even heating up the sheet at the same time, and by only turning on the control switch of the necessary portion (On) may be to selectively supply the warmth to only one part.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Although the warmth supply device for a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also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quivalent configuration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이다.Therefore, modifications or changes in equivalent configur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constraine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는 대기 중으로 버려지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하여 온기를 생성한 후 이를 차량의 윈도, 사이드미러의 김서림, 습기, 성애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시트를 난방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배기관의 열을 효율적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warmth supply device using the exhaust pipe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warmth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discarded into the air, and then generates the warmth of the vehicle window, the mist of the side mirror, moisture, sex, and the like. By removing or using to heat the she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can be efficiently used as an energy source.

또한, 배기관의 열에 의해 생성된 온기를 이용하므로 종래의 엔진 냉각수 열을 이용한 히팅방식에 비해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온기를 생산하여 습기, 성애 등 이물질 제거 및 난방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uses the warmth generated by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ating method using the engine cooling water heat to produce the warmth in a faster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moisture, sex and heating.

그리고 전자기장을 전혀 생성하지 않는 온기를 이용하여 시트를 난방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한 난방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윈도, 전후방윈도, 시트로의 온기공급을 필요환경에 따라서 동시에 또는 어느 한 부분 만에 집중적으로 온기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heating the seat using warmth that does not generate any electromagnetic fields,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 heating means to the human body and to supply the warmth to the door windows, front and rear windows, and the seat at the same time or in any part of the environment. The warmth can be supplied intensively, so the driver can use it easily.

Claims (8)

삭제delete 차량의 엔진룸에 구비되어 흡입한 외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An air compressor provided i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to compress the intake air; 상기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면서 차량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배기관의 열에 의해 온기를 생성하는 공기가열기;An air heater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and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exhaust pipe and generating warmth by heat of the exhaust pipe; 상기 공기가열기에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온기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A mai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heater to receive the generated warmth;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좌우측 도어윈도의 테두리부로 각각 연장 배치되며 상기 윈도를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1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에서 각각 분기되어 차량의 좌우측 사이드미러 하우징 내부로 연장 배치되며 미러의 배면을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2 온기공급관과, 상기 제1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온기분배부; 및A first warmth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and extending to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door windows of the vehicle,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warmth toward the window, and branched from the first warmth supply pipe, respectively; A second warmth supply tube extending into the mirror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warmth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irror, and a left and right control valv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warmth supply tube to control the flow of warmth; Mood distribution; And 상기 좌측 및 우측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좌측 및 우측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진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And a device control unit comprising left and right control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ontrol valve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온기분배부는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의 전후방 윈도의 테두리부로 각각 연장 배치되며 상기 윈도를 향해 온기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제3 온기공급관;   A third warmth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and extending to the edges of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the third warmth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warmth toward the window; 상기 제3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전방 및 후방제어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further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control valves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third warmth supply pipes to regulate the flow of warmth.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전방 및 후방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The apparatus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front and rear control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control valve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온기분배부는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차량 실내의 각 시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배치되고 끝단에 온기배출구가 형성되어 공급된 온기로 시트를 난방하는 제4 온기공급관;The warmth distribution unit is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extending in a zigzag form in each sea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warmth outle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th warmer supply pipe for heating the sheet with the supplied warmer; 상기 제4 온기공급관에 각각 구비되어 온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다수의 시트제어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t control valve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ourth warmth supply pipe to regulate the flow of warmth,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시트제어밸브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다수의 시트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The apparatus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at control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at control valves, respectively,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공기압축기는 전후단에 각각 제1흡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흡입부의 직후단 외주면에 복수의 흡입공이 천공된 제2흡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흡입부 후단부터 후방으로 테이퍼 형태를 이룬 중공의 케이스;The air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 first suction part and a discharge part at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d a second suction part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perfor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mmediately after the first suction part, and has a tapered shape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ction part to the rear. Hollowed case; 상기 제1흡입부 전방에 구비된 전기모터에 연결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상기 제1/제2흡입부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팬; 및An air suction fan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suction part and coupled to a rotary shaft extending into the case and suctioning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 second suction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rotary shaft; And 상기 공기흡입팬 후방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며 스쿠류길이가 후방으로 갈수록 점감하는 테이퍼 형태의 공기압축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And a tapered air compression fan coupled to the rotary shaft behind the air suction fan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ry shaft and having a spool length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rear.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공기압축기는 상기 공기흡입팬과 공기압축팬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된 외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The air compressor is provided between the air suction fan and the air compression fan further comprises an air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cked outside air, the warmth supply of the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공기가열기는 전후면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몸체부;The air heater includes a pair of body parts which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which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by mutual coupling of fastening member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채널; 및 A plurality of air channels provided inside the body to guide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and lower zigzag; And 배기관 외주면과 대향하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열접촉면을 넓힌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 And a heating plate for heating the compressed air moving along the air channel by forming an unevenness in which a thermal contact surface is wide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공기가열기는 전후면에 각각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몸체부;The air heater includes a pair of body parts which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which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by mutual coupling of fastening member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상기 몸체부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출구와 결합되는 공기이송관; 및An air transport tube fixed in a zigzag 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l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let; And 배기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열접촉면을 넓힌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이송관 내부로 이동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는 가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열을 이용한 차량의 온기공급장치. The warmth supply device of a vehicle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ing plate for heating the compressed air moving to the inside of the air transfer pipe by forming a concave-convex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
KR1020050023564A 2005-03-22 2005-03-22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KR100623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64A KR100623437B1 (en) 2005-03-22 2005-03-22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64A KR100623437B1 (en) 2005-03-22 2005-03-22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437B1 true KR100623437B1 (en) 2006-09-19

Family

ID=3763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64A KR100623437B1 (en) 2005-03-22 2005-03-22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8202A (en) * 2020-08-03 2020-11-03 沈阳理工大学 Utilize preheating device of automobile exhaust quick clear frost sno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752U (en) 1984-03-21 1985-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Automobile front window de-ic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752U (en) 1984-03-21 1985-10-08 矢崎総業株式会社 Automobile front window de-ic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8202A (en) * 2020-08-03 2020-11-03 沈阳理工大学 Utilize preheating device of automobile exhaust quick clear frost sn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437B1 (en) The supply equipment of warm air for vehicle by using heat of exhaust pipe
US9855920B2 (en) Panoramic roof panel thermal management module of panoramic roof panel
US6049939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defroster using hot air
US20040134995A1 (en) Vehicle windshield ice and snow melt system
US6481636B2 (en) Arrangement for heating of a motor vehicle interior
US6171184B1 (en) Heat window system
EP1679241A2 (en) Heater, in particular for glass panes of a vehicle
KR20110065138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465015Y1 (en) the rainwater and freezer defrost system on the rear-view mirror of car
RU2148501C1 (en) Car body ventilation and heating device
RU190910U1 (en) Guide for air flow in the vehicle
SU1546297A1 (en) Device for air treatment in vehicle cabin
CN219382415U (en) Defrosting and demisting system and automobile
RU24667U1 (en) WINDOW WASHER SYSTEM FOR CAR
KR101193637B1 (en) A system for removing demist of bus side glass
KR0135159Y1 (en) Ice removing equipment for motor's rear mirror
KR0134713Y1 (en) Windshield heating apparatus of exhaust manifold heat
KR100872603B1 (en) Instantaneous air-heating unit
KR200237773Y1 (en) Car interior heating
FR3001682A1 (en) De-icing device for rear side pane of car, has electric pump placed to suck and heat air from passenger compartment interior and comprising outlet so as to expel heated air in direction of pane through air outlet opening of trimming element
JP5627657B2 (en) Air dehumidifying device and air dehumidifying process
JP5627657B6 (en) Air dehumidifying device and air dehumidifying process
KR19980047466U (en) Indoor air purifier for vehicle
KR20010060913A (en) apparatus for unfreezing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door
RU2381914C1 (en) Device to maintain normal ambient air parametres in vehicle cab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