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186B1 -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186B1
KR100623186B1 KR1020007012651A KR20007012651A KR100623186B1 KR 100623186 B1 KR100623186 B1 KR 100623186B1 KR 1020007012651 A KR1020007012651 A KR 1020007012651A KR 20007012651 A KR20007012651 A KR 20007012651A KR 100623186 B1 KR100623186 B1 KR 10062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s
switching
curre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540A (ko
Inventor
앤더스코프닐스
리스보라스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러먼츠 덴마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러먼츠 덴마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러먼츠 덴마크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4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25Discriminating pulses
    • H03K5/1252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D급 증폭기의 출력 스테이지는, 증폭기에 내장된 스위칭 단자들 때문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완화시키는 노이즈 감소회로를 갖는다.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는 노이즈 감소회로의 전원 장치와 스위치 소자들 사이에 접속된 인덕턴스를 포함한다. 측정 저항과 커패시터의 직렬 접속은 인덕턴스와 스위치 소자들 사이의 공통점으로부터 접속된다. 커패시터와 측정 저항은 그들 사이에 일 실시예에서 분압기의 단자와 다이오드의 일단자가 접속된 분압기를 포함하고 있는 전류 측정회로를 접속하고 있다. 다이오드의 타단자는 스위칭 회로의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제공된 측정 커패시터에 접속되어 있다. 측정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전류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스위칭 회로의 스위치 소자들을 즉시 차단시키는 제어회로에 인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A method of measuring current in switched circuits and a circuit for measuring current}
본 발명은 2포트형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위칭 회로의 제1세트의 단자들은 노이즈 감소회로의 한 세트의 단자들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 회로의 제2세트의 단자들은 노이즈 감소회로의 상기 한 세트의 단자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스위칭 단자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2포트형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위칭회로의 제1세트의 단자들은 노이즈 감소회로의 한 세트의 단자들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회로는 노이즈 감소회로의 상기 한 세트의 단자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스위칭 단자를 갖는 제2세트의 단자들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방법 및 회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칭 증폭기(switched amplifier)의 전류 측정에서는, 증폭기의 전원 장치 또는 부하로의 신호 경로에 저항이 필요하다. 다수의 하프 브리지(half bridge)로 구성되어 있고 오디오 증폭에 사용되는 스위칭 증폭기에서의 이와 같은 측정 저항의 사용은, 오디오 성능을 저하시키고 증폭기의 총 효율을 낮게 만든다. 또한, 상기 저항에서 측정된 전압은 아주 작아서 저전력 손실을 얻을 수 있지만, 상기 저전압은 측정 증폭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회로 전압이 통상 5V까지인 표준 오디오 증폭기 회로에서 신호가 사용되기 전에 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오디오 증폭기는 더욱 복잡하게 된다. 또한, 스위칭 증폭기는, 출력이 단락(short circuit)되었을 때 증폭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속반응 전류보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전류 측정회로가 고속, 즉 높은 밴드폭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류 측정회로가 측정 저항과, 높은 이득을 갖는 측정 증폭기를 기초로 한다면, 회로의 높은 밴드폭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은 복잡한 과제라는 것이 이전 설계로부터 알려져 있다.
한편, 스위칭 증폭기는 예컨대 증폭기 출력의 단락에 의한 전류의 파괴적인 고속 상승에 대해 보호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없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원리를 발견하기 위해 오랫동안 시도해 왔다.
하프 브리지의 2이상 또는 다수의 스위치들은, 증폭기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등의 신호의 진폭에 따라, 1주기동안 각각 도통 또는 비도통되도록 절환된다. 오디오 신호의 정보는 오디오 신호의 유용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펄스(상기 신호는 펄스 변조된다)로 변환된다. 스위칭 증폭기의 바람직한 선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펄스들이 명확하게 한정되어야 한다.
펄스 변조 증폭기(pulse-modulated amplifier)는, 이론상 선형성이 강하고 저전력 손실을 가지므로 왜곡이 적고 효율이 100%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선형이고 효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고성능(High Fidelity) 증폭기에서 사용되기에는 부적당하다. 그 이유는, 증폭기에 대해 이상적인 펄스, 고효율성 및 고신뢰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펄스가 이상적으로 발생될 수 없는 이유들중 하나는 스위치들의 전원 장치에서 찾을 수 있다. 펄스 높이는 전원 전압의 변동의 결과로서 변동한다. 따라서, 아주 명확하게 한정된 전원 전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류가 통할 때 측정 저항에 대한 전압이 변동하기 때문에, 측정 저항을 전원 장치와 스위칭 증폭기 출력 스테이지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명확하게 한정된 전원 전압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측정 저항을 출력 스테이지와 부하 사이에 삽입하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드백을 가진 증폭기에서, 피드백을 증가시킴으로써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제 디지털 증폭기나 스위칭 증폭기와 같은 오픈 루프 또는 제한된 피드백 증폭기에서는 이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저항이 출력 스테이지와 전원 장치 사이 또는 출력 스테이지와 부하 사이에 있고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있으면, 저항에서의 전류 손실에 의해 증폭기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된 A급 및 AB급 증폭기에서는 증폭기 출력 스테이지의 저효율성 때문에, 전술한 효율감소는 손실에 있어서 사소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극도의 고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칭 증폭기에서, 측정 저항의 전력 손실은 증폭기의 총전력 손실을 50% 이상으로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시된 해결책들 가운데 저항을 측정할 때 전류 손실을 감소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 종래 기술에서는 매우 낮은 저항값의 저항기를 사용했지만, 이 역시 측정 저항에 대한 전압을 낮게 하여, 5볼트까지의 전압 레벨에서 동작하는 회로에서 사용되기 전에 이득 측정 증폭기에서 증폭될 필요성이 있었다. A급 및 AB급 회로와 같은 저잡음 회로에서는 제한된 밴드폭으로 아주 작은 전압에 대해 고이득 증폭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증폭기의 환경에서는 증폭기에서의 전압원 및 전류원에 대한 고속의 슬루레이트(slew rate)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 때문에 제한된 밴드폭의 증폭 신호조차도 얻기가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 스테이지의 특징 때문에 스위칭 증폭기의 고속반응 전류보호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전 설계에서는, 전류 측정회로가 높은 저항값을 갖는 측정 저항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손실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폭기의 신호경로에 있는 측정 저항을 사용하지 않으며, 측정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칭 증폭기 출력 스테이지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원하는 전압 레벨에서 높은 밴드폭을 갖는 측정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시퀀스동안 피크 측정으로서 전류 측정이 행해지되, 스위칭 회로에 대해 병렬로 제공된 노이즈 감소회로의 임피던스에서 전류 측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 또는 스위칭 회로의 전원 단자에 손실 및 왜곡을 발생시키는 전류측정 저항을 추가하지 않고, 원하는 전압 레벨에서 유용한 전류 감지신호를 얻을 수 있게 하는 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에 기재된 형태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로는, 스위칭 시퀀스 동안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가 노이즈 감소회로의 측정 임피던스 회로에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는, 측정 임피던스 회로가 스위칭 회로의 제1세트의 단자들중 한 단자와 노이즈 감소회로의 입력 포트의 한 단자 사이에 접속된 임피던스에 의해 형성되고, 커패시터와 측정 저항의 직렬 접속이 스위칭 회로의 제1세트의 단자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된 전류가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단자를 즉시 OFF시키는 제어회로에 입력되는 경우, 스위치들이 과도 전류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어회로가 소정 전류치에서 스위치들을 즉시 단선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종속항에 기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방법 빛 회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삭제
상기 사용에서, 종래의 하프 브리지에 대한 보호 회로보다 더 간단하고 빠른 스위치 보호뿐만 아니라, 적은 펄스 왜곡을 갖는 오디오용 저잡음 하프 브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노이즈 감쇠 회로와 연관하여 사용되기에 가장 적합하며, 이러한 내용은 본 출원과 동일한 우선권 주장에 기초하여 출원된 WO 99/59241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하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가능한 사용을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도3은 예로서, 수동 노이즈 감쇠 및 전류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도5는 스위치들의 결선 및 단선동안 스위칭 회로 내부 및 주변의 전압을 나타낸다.
도6은 도1 또는 2의 회로(1,2,18)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7은 도6의 회로들의 전류 흐름의 상이한 상태들을 나타낸다
도1에서, 참조부호 1은 노이즈 감소회로를 나타내는데, 노이즈 감소회로의 단자들(5,6)은 2포트형 스위칭 회로(2)의 한 포트의 단자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의 다른 포트는 두 단자들(7,8)을 갖는데, 이들 단자의 일 스위칭 단자(17)는 단자들(5,6)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스위칭 단자(8)는 단자(6)에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는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를 따르는 신호가 존재하는 출력(19)을 갖는다. 이 출력(19)은 출력(20)을 통해 스위칭 회로(2)의 스위치들을 아주 빠르게 차단할 수 있는 제어회로(18)에 접속되어 있다.
도2는 노이즈 감소회로(1), 제어회로(18) 및 스위칭 회로(2)가 외부회로(9,10)에 접속될 수 있는 방법의 기본예를 나타낸다. 하나의 외부회로(9)가 노이즈 감소회로의 단자(3,4)들에 접속되고, 다른 외부회로(10)가 단자(8)와 인덕턴스(11)를 통해 스위칭 회로의 단자(7)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회로들(9,10)은 각각 전압원 및 부하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외부회로들(9,10)은 각각 부하 및 전압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3은 노이즈 감소회로(1)가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노이즈 감소회로(1)는 단자들(3,5) 사이에 삽입된 인덕턴스(13)와, 커패시터(14) 및 측정저항(15)의 직렬 결합을 갖는다. 다이오드(16), 측정 커패시터(21) 및 저항(24)으로 구성된 전류 측정회로는 측정저항(15)에 대해 병렬로 삽입된다. 다이오드(16)의 애노드는 측정저항(15)과 커패시터(14) 사이의 공통점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는 단자(19)와 측정 커패시터(21)의 일단자에 접속되는 반면, 상기 측정 커패시터의 타단자는 단자(6)에 접속된다. 저항(24)은 측정 커패시터(21)에 대해 병렬로 삽입되어 적정 시상수에서 상기 측정 커패시터(21)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측정 신호가 단자들(6,19) 사이의 차동 신호로서 측정 커패시터(21) 및 저항(24)에 대해 제공된다. 상기 다이오드를 역방향의 도전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역극성의 측정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4는 노이즈 감소회로(1)가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노이즈 감소회로(1)는 단자들(3,5) 사이에 삽입된 인덕턴스(13)와, 커패시터(14) 및 측정저항(15)의 직렬 결합을 갖는다. 다이오드(16), 측정 커패시터(21) 및 저항들(22,23,24)로 구성된 전류 측정회로는 측정저항(15)에 대해 병렬로 삽입된다. 저항들(22,23)은 측정저항(15)과 커패시터(14)의 공통점과, 단자(6) 사이에서 직렬 결합으로 삽입된다. 다이오드(16)의 애노드는 저항(22,23)들 사이의 공통점에 접속되는 반면 그 캐소드는 단자(19)와 측정 커패시터(21)의 일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자는 단자들(4,6)과 접속된다. 저항(24)은 적정 시상수에서 상기 측정 커패시터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측정 커패시터에 대해 병렬로 삽입된다. 따라서, 측정신호가 단자(6,19)들 사이의 차동 신호로서 측정 커패시터(21)와 저항(24)에 대해 제공된다. 상기 다이오드를 역방향의 도전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역극성의 측정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5는 스위칭 시퀀스동안 측정저항(15)에 걸리는 전압(25)이 어떠한지를 나타낸 예이다. 전압 피크(27)는, 단자(7)로의 정의 전류에서 스위칭 단자(17)가 단자(6)로부터 단자(5)로 절환될 때 스위칭 회로(2)의 전류에 저항(15)값을 곱한 값으로 주어진다. 전압 피크(36)는, 단자(7)로의 정의 전류에서 스위칭 단자(17)가 단자(5)로부터 단자(6)로 절환될 때 스위칭 회로(2)의 전류에 저항(15)값을 곱한 값으로 주어진다. 참조부호(26)는 측정 커패시터(21)의 전압의 경로를 나타낸다. 측정 커패시터에 걸리는 평균 전압은 측정 저항에서의 피크 전류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6은, 단자들(7,8) 사이에 부하가 접속될 수 있고 단자들(3,4) 사이에 전원이 접속될 수 있는 경우, 도1 또는 2의 회로(1,2)가 구현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소자들(22,23,16,21,24)로 구성된 전류측정회로(37)는 저항(15)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데, 이때 단자(4)는 노이즈 감소회로(1) 및 전류측정회로(37)의 공통 접지가 되고, 단자(19)는 저항(15)에 흐르는 피크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을 제공한다.
전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회로(1,2)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도7a - 7g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a - 7g는 회로(1,2)의 전류 흐름도를 나타내는데, 이 전류 흐름도는 도 7a 내지 7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1,2)의 6개의 상태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전류측정회로(37)는 회로(1,2)의 전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도7a는 스위치(35)가 양의 부하전류를 도통하게 하고 그 전류는 스너버(snubber) 인덕터(13)와 2개의 기생 인덕터(30,31)에 흐르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7b는 스위치(35)는 OFF되고 스위치(34)는 ON된 경우의 회로(1,2)를 나타내는데, 스너버 인덕터(13)에 흐르는 전류와 기생 인덕터(30,31)에 흐르는 전류는 동시에 변화될 수 없다. 따라서, 인덕터(13,30,31)에 저장된 에너지가 0이 될 때까지 커패시터(14) 및 저항(15)에 전류가 흐른다. 회로(1,2)가 구현된 구성에서, 인덕터(13)에 저장된 에너지는 인덕터(30,31)에 저장된 에너지보다 많기 때문에, 인덕터(13)에 흐르는 전류가 더 오랫동안 저항(15)에 흐를 것이다. 이를 도7c에 나타낸다.
도7c는 기생 인덕터의 에너지가 0이 된 바로 직후의 회로(1,2)를 나타내며, 부하전류가 스위치(34) 및 그 기생 인덕턴스(28,29)를 통해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덕터(13)에 있던 전류는 인덕터(13)의 에너지가 0이 될 때까지 계속 커패시터(14) 및 저항(15)에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덕터(13)에 흐르는 전류는 기본적으로 저항(15)의 전압을 설정하고 있고, 부하를 절환하기 바로 직전의 인덕터의 전류가 부하 전류와 같았다는 사실로 미루어 저항(15)에서 발생된 피크 전압은 부하 전류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전류측정회로(37)의 구성소자(16,21,22,23,24)의 적당한 값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레벨에서의 단자(19)의 전압과, 부하 전류에 비례하는 밴드폭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저항(15)의 전압은 도7에 주어진 정의를 이용했을 때, 부하 전류와 동일한 부호를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7d는, 스위치(35)에서 스위치(34)로의 절환이 끝나고 스위치(34)가 정의 부하 전류를 도통하는 상태에 있고 그 전류는 스위치(34) 그 자체와 2개의 기생 인덕터(28,29)에 흐르는 상태에 있는 회로(1,2)를 나타낸다.
도7e는 스위치(34)에서 스위치(35)로 부하를 절환하는 경우의 회로(1,2)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며, 부하로부터의 전류는 커패시터(14) 및 저항(15)에 흐른다. 저항(15)에 걸리는 전압은 도7에 주어진 정의를 이용할 때, 부하 전류와 반대의 부호를 갖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도7f는 스위치(34)에서 스위치(35)로 절환이 행해진 후의 회로(1,2)에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며, 부하 전류는 스너버 인덕터(13)에 의해 커패시터(14) 및 저항(15)으로부터 전해진다.
도7g는 회로(1,2)의 이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류 흐름이 도7a와 동일하고 전류 흐름도가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하 전류를 측정하고 과도 전류에 대해 스위칭 회로의 반도체를 보호하는 노이즈 감소회로를 제공하며, 상기 노이즈 감쇠 회로를 복잡하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노이즈 감소회로(1)의 한 세트의 단자들(5,6)과 접속되는 제1세트의 단자들과,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의 상기 한 세트의 단자들(5,6)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스위칭 단자(17)를 갖는 제2세트의 단자들(7,8)을 구비하는 2포트형 스위칭 회로(2)에서의 전류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스위칭 회로에 대해 병렬로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시퀀스 동안에 피크 측정으로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 내의 상기 임피던스에 대해 수행되는 전류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전압원이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의 입력 포트(3,4)에 인가되고, 부하 회로(10)와 직렬인 인덕턴스(11)는 상기 스위칭 단자(17)를 갖는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세트의 단자들(7,8)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전류측정방법.
  2. 삭제
  3. 노이즈 감소회로(1)의 한 세트의 단자들(5,6)과 접속되는 제1세트의 단자들과,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의 상기 한 세트의 단자들(5,6)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스위칭 단자(17)를 갖는 제2세트의 단자들(7,8)을 구비하는 2포트형 스위칭 회로(2)에서의 전류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스위칭 회로에 대해 병렬로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시퀀스 동안에 피크 측정으로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 내의 상기 임피던스에 대해 수행되는 전류측정단계를 포함하고,
    부하 회로(9)가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의 입력 포트(3,4)에 삽입되고, 인덕턴스(11) 및 전압원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 단자(17)를 갖는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세트의 단자들(7,8)에 인가되어 있는 전류측정방법.
  4. 노이즈 감소회로(1)의 한 세트의 단자들(5,6)과 접속되는 제1세트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2포트형 스위칭 회로(2)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2)는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1)의 상기 한 세트의 단자들(5,6)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는 스위칭 단자(17)를 갖는 제2세트의 단자들(7,8)을 포함하고,
    스위칭 시퀀스동안 상기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가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 내의 측정 임피던스 회로를 흐르게 되며,
    상기 측정 임피던스 회로는,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1)의 단자(5)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회로(2)의 제1세트의 단자들중 한 단자와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1)의 입력 포트의 단자(3)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인덕턴스(13)에 의해 형성되고,
    커패시터(14)와 측정 저항(15)의 직렬 접속은 상기 스위칭 회로의 제1세트의 단자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자(17)에 의한 결선 및 단선동안 상기 측정 저항(15)에 걸리는 과도 전압은 다이오드(16)에 의해 정류되며, 상기 다이오드의 일 단자는 상기 측정 저항(15)과 상기 커패시터(14) 사이의 공통점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타단자는 측정 커패시터(21)를 통해 접지되도록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저항(15)와 상기 다이오드(16) 사이에 접지 분압기(23)가 삽입되거나, 상기 다이오드(16)와 상기 측정 커패시터(21) 사이에 접지 분압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16)의 전 또는 후에 저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9. 제4항, 제6항,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된 전류는 상기 스위칭 회로(2)의 상기 스위칭 단자(17)를 즉시 오프(OFF)시키는 제어회로(18)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10. 제4항, 제6항,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감소회로 및 상기 스위칭 회로는 기판 상에서 일체화된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된 유닛 상에서의 도통 경로는 회로의 유도(inductive) 성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12. 삭제
  13. 삭제
KR1020007012651A 1998-05-11 1999-05-11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 KR100623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64298 1998-05-11
DK0642/98 1998-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540A KR20010043540A (ko) 2001-05-25
KR100623186B1 true KR100623186B1 (ko) 2006-09-11

Family

ID=809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651A KR100623186B1 (ko) 1998-05-11 1999-05-11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00327B1 (ko)
EP (1) EP1086527B1 (ko)
JP (1) JP4298919B2 (ko)
KR (1) KR100623186B1 (ko)
CN (1) CN1114263C (ko)
AT (1) ATE243892T1 (ko)
AU (1) AU3517099A (ko)
DE (1) DE69909087T2 (ko)
DK (1) DK1086527T3 (ko)
WO (1) WO19990592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687A (ko) * 2003-04-07 2005-12-2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지털 증폭기, 리플 억제 회로 및 리플 억제 방법
CN101710134B (zh) * 2009-12-02 2011-06-15 洛阳轴研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轮毂转速传感器电气参数测试装置和测试方法
DE102015112105B4 (de) * 2015-07-24 2020-02-06 Infineon Technologies Ag Sensorvorrichtung, Auswertungsvorrichtung und entsprechende Systeme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2987A (en) * 1970-07-06 1972-09-19 Western Electric Co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he measured noise and resistance of a thin-film resistor between the resistor proper and the contact pads therefor
US3798559A (en) * 1971-04-20 1974-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oise reduction system
JPH02134006A (ja) * 1988-11-14 1990-05-23 Nec Corp 増幅回路
US4929886A (en) * 1989-07-26 1990-05-29 Hanwa Electronic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noise in the measurement of very small resistance
US5627708A (en) * 1995-04-10 1997-05-06 Yin Nan Enterprises Co, Ltd. High power factor electronic stabilizer with prot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5666A (ja) 2002-05-28
DK1086527T3 (da) 2003-10-20
US6600327B1 (en) 2003-07-29
WO1999059242A2 (en) 1999-11-18
JP4298919B2 (ja) 2009-07-22
DE69909087D1 (de) 2003-07-31
CN1305659A (zh) 2001-07-25
ATE243892T1 (de) 2003-07-15
KR20010043540A (ko) 2001-05-25
DE69909087T2 (de) 2004-05-13
WO1999059242A3 (en) 1999-12-29
CN1114263C (zh) 2003-07-09
EP1086527A2 (en) 2001-03-28
AU3517099A (en) 1999-11-29
EP1086527B1 (en)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055B2 (en)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thermally induced offsets caused by large differential signals
US20040251952A1 (en) High-frequency switching device and semiconductor
CN1829085B (zh) 三态脉冲密度调制器
US6359514B1 (en) Switchable path power amplifier with combining network
US20010033206A1 (en) Phase compensated switched attenuation pad
KR20040068182A (ko) 정전 방전 보호 제공 방법 및 정전 방전 보호 제공트랜지스터 회로
US6556084B2 (en) Linearized class C amplifier with dynamic biasing
EP0789458B1 (en) Circuit with overload current protection for power transistors
US20090115465A1 (en) Low power, high slew rate ccd driver
KR100623186B1 (ko) 스위칭 회로에서의 전류 측정방법 및 전류 측정회로
US5268649A (en) Bias circuit for bipolar transistors
KR100747808B1 (ko) 트랙 및 홀드 증폭기
JPH03178216A (ja) 信号切換え装置
US20030184383A1 (en) Distributed amplifier
US10636477B2 (en) Digital-unit interface
CN110022136B (zh) 滤波器网络
US5781068A (en) Transadmittance amplifier for a motor
US6538790B1 (en) Optical receiver array
US4751473A (en) FET amplifier circuit
CN104639069A (zh) 一种射频放大电路及其功率限制模块
US6400222B1 (en) Linearizer
KR100426150B1 (ko) 방출 전류와 흡입 전류를 부하에 공급되는 출력 전류로서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원 장치
US7518454B2 (en) Operational amplifier selecting one of inputs, and an amplifying apparatus using the OP amplifier the verification method
US6847513B2 (en) Current limiter for magneto-resistive circuit element
KR20030029856A (ko) 전력 증폭기에 사용되는 전력 검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