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153B1 -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153B1
KR100622153B1 KR1020050031710A KR20050031710A KR100622153B1 KR 100622153 B1 KR100622153 B1 KR 100622153B1 KR 1020050031710 A KR1020050031710 A KR 1020050031710A KR 20050031710 A KR20050031710 A KR 20050031710A KR 100622153 B1 KR100622153 B1 KR 10062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edded
duct
slab concrete
semi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5003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천장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환기덕트로서 덕트의 일부가 천장(바닥)의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급배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1)는,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2)에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되는 상부 매설부(10); 및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22)에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 노출부(2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상기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10)와 상기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상부 매설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시공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립의 사시 및 단면도,
도8은 종래 덕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본 발명의 덕트 2: 콘크리트 3: 콘크리트 저면
4: 거푸집 5: 스페이스 6: 철근
7: 송풍기 8A: 급기구 8B: 배기구
9: 보온재 10: 상부 매설부 11: 상부 매설부의 저판
12: 상부 매설부의 양측판 13, 13A: 제1 조립수단(홈)
14: 보강돌기 15: 이탈방지편 16: 고정판
16A: 피스 20: 하부 노출부 21: 하부 노출부의 저판
22: 하부 노출부의 양측판 23, 23A: 제2 조립수단(돌기)
30: 공기통로 40: 클립 41: 홈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환기덕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환기덕트로서 덕트의 일부가 천장(바닥)의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급배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쾌적한 공기로 바꿈으로써 공기환경을 생활하기 적합한 위생적인 상태로 개선하는 환기시설이 구축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환기방법으로는 크게 풍력이나 부력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나 환기팬을 이용하는 기계환기로 대별할 수 있다.
자연환기가 원활하지 아니하거나 자연환기만으로는 만족스러운 환기를 달성할 수 없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송풍기, 환기팬, 덕트, 후드, 급배기구 등이 구비된 환기시설을 마련하여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상대적으로 공기환경이 열악하지 아니한 주거기능 건축물의 경우, 주방이나 화장실 등 일부 국소적인 공간에는 환기팬이나 후드 등을 설치한 기계환기를 적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공간은 별도의 환기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정도의 자연환기를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생활환경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새집 증후군 등 주거환경의 환기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공기환경이 열악하지 아니한 건축물의 경우에도, 기계적인 환기시설을 구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주거기능 건축물에 환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천장내부공간(천장 슬라브 콘크리트와 천장마감패널 사이의 공간)에 급배기를 위한 덕트를 설치하여 송풍기와 같은 환기장치와 연결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주거기능 건축물의 천장내부공간은 그 높이가 대략 150MM 내외에 불과하므로 이런 좁은 공간에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물층고를 높여 천장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건축면적의 효율성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건축공사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대안으로서 바닥난방코일의 하부의 단열층인 기포콘크리트에 작은 구경의 관을 매설하여 이를 덕트로 사용하는 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본 방식은 작은 구경의 관을 통과할 수 있는 풍량에 한계가 있어서 만족스러운 환기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현실적으로 150MM 정도의 천장내부공간에 덕트를 설치하는 방안이 최선이지만, 덕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행거가 차지하는 높이, 보온재의 두께,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덕트의 교차부위 등을 고려하면, 공간적인 제한으로 덕트를 최대한 납작하게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로써 덕트의 낮은 높이로 인한 급배기 효율성 저하가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주거기능 건축물에 환기시설을 구축하는 것에 관련된 기술적 배경하에서,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덕트를 설치해야 하는 것에 따른 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는, 상부 매설부와 하부 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매설부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제1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에 저면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된다.
상기 하부 노출부는 상기 상부 매설부에 대응하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상기 상부 매설부의 제1 조립수단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본 발명의 반 매설형 환기덕트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에 상기 하부 노출부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하부 노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립수단과 상기 제2 조립수단은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홈과 돌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저판에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저판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양측판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를 거푸집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하부 노출부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판으로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 매설부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시공방법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위에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제1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매설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여 상기 상부 매설부를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저면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매설부에 대응하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노출부의 상기 제2 조립수단을 상기 제1 조립수단에 조립하여,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로부터 노출된 상기 하부 노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상부 매설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시공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립의 사시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1)는,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천장내부공간이 협소한 환경에 설치하기 적합한 덕트로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호 조립되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매설부(10)는,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매설부(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천장)을 형성하는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된다. 상기 양측판(12)의 하단에는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조립수단(13)은 후술하는 하부 노출부(20)의 제2 조립수단(23)에 조립된다.
상기 하부 노출부(20)는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부 노출부(20)는 콘크리트(2)의 저면(3)에서 노출된다.
상기 양측판(22)의 상단에는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조립수단(13)과 제2 조립수단(23)은 상부 매설부(10)에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들 들어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홈(13A)과 돌기(23B)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조립수단(13)과 제2 조립수단(23)으로서 탄성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홈(13A)과 돌기(23B)를 적용하면, 하부 노출부(20)를 상부 매설부(10) 에 일단 조립한 이후에도 필요할 경우 하부 노출부(20)를 상부 매설부(10)로부터 분리하여 덕트 내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예, 청소)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안쪽으로는 보강돌기(14)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매설부(10) 위에 콘크리트(2)를 타설할 때 그 하중을 지탱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저판(11)에 1개의 보강돌기(14)를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보강돌기(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연장선상에는 콘크리트(2)에 매입되는 이탈 방지편(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부 매설부(10)가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부 매설부(10)는 이탈 방지편(15)의 작용으로 의도하지 아니하게 콘크리트(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 매설부(10)의 양측판(12)의 하단에는 고정판(16)을 횡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고정판(16)은 피스(16A)를 박아서 거푸집(4)에 위치시킨 상부 매설부(10)가 거푸집(4)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덕트(1)를 구성하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는, 스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은 물론 플라스틱 합성수지판 등 다양한 소재로 일정 길이로 규격화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단면구조가 사출이 아닌 압출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매설부(10)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면, 콘크리트(2)의 잠열(대략, 18-22℃)과 덕트(1)를 통과하는 급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실내 온도에 가깝게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겨울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콘크리트의 잠열보다 낮으므로 덕트(1)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잠열과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실내에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여름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콘크리트의 잠열보다 높으므로 덕트(1)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잠열과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실내에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부 매설부(10)를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잠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을 주름판(11A)으로 형성하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열전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의 바닥(천장)을 형성할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을 설치한다(도4A).
다음에, 거푸집(4) 위에 상부 매설부(10)를 설계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고정판(16)에 피스(16A)를 박아서 고정시킨다(도4B).
다음에, 거푸집(4)에 스페이스(5) 및 철근(6)을 배근하고 콘크리트(2)를 타설한다(도4C). 이때, 보강돌기(14)가 저판(11)을 지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2)의 하중에 의한 상부 매설부(1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2)가 단단하게 양생되면 거푸집(4)을 제거한다(도4D). 거푸 집(4)을 제거하면 상부 매설부(10)는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하부 노출부(20)의 제2 조립수단(23)을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함으로써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부 매설부(10)와 콘크리트(2)로부터 노출된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덕트가 형성된다(도4E).
상기 하부 노출부(2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현장까지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U자 형상이 아닌 길게 펼쳐진 패널 형상으로 운반하고 상부 매설부(10)에 조립하는 단계에서 U자 형상으로 접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를 콘크리트(2)에 미리 매설하고 여기에 상부 매설부(10)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일부(상부 매설부)가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덕트(1)가 형성되어 진다.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1)를 사용하여 아파트에 환기시설을 구축한 예를 설명한다. 아파트에는 송풍기(7)와 본 발명의 덕트(1)를 포함하는 환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덕트(1)는 천장내부공간을 따라 환기가 필요한 장소로 배관되어 있고, 덕트들(1)은 송풍기(7)에 연결되어 있어서 실내와 실외 사이를 강제로 환기시키고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가 밖으로 표시된 것은 급기구(8A)를 나타내고 화살표가 안으로 표시된 것은 배기구(8B)를 나타낸다.
상기 급기구(8A)와 배기구(8B)는, 급기구(8A)와 배기구(8B)가 형성되는 위치 에만 사용하도록 변형한 급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5에서 원 내부에 도시한 부분 상세도는 덕트가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덕트(1)를 일자형, L자형, 및 T자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덕트(1)를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적용함에 있어서의 덕트 높이 증대효과를 도8의 종래 덕트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6과 도8은 동일한 높이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교차시켜 설치할 때의 본 발명의 덕트와 종래 덕트가 차지하게 되는 높이 공간의 차이를 예시한 것이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덕트(1)를 설명하면, 급기덕트(1A)는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폭이 200MM(W1)이고 양측판(12)의 높이가 20MM(T1)이며, 하부 노출부(20)는 저판(21)의 폭이 200MM(W1)이고 양측판(22)의 높이가 65MM(T2)이므로, 급기덕트(1A)는 전체적으로 200MM(폭)×85MM(높이)의 덕트가 된다.
그리고 교차점을 지나는 부분의 배기덕트(1B)의 높이(T3)를 60MM로 하면, 급기덕트(1A)와 배기덕트(1B)의 총 높이(T4)는 145MM가 되지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만의 높이(T5)는 콘크리트에 매설된 급기덕트(1A)의 상부 매설부(10)의 높이(20MM)를 제외한 125MM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덕트에 의하면, 150MM 정도의 천장내부공간에 85MM 높이의 급기덕트(1A)와 60MM 높이의 배기덕트(1B)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배기덕트(1B)에서 급기덕트(1A)의 바로 아래를 지나가는 부분은 구조적으로 콘크리트에 매설할 수 없는 부분으로서 상부 매설부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하부 노출부에 대응하는 구성만 가지도록 변형되어 있으며, 이때 배기덕트(1B)를 급기덕트(1A)의 하부 노출부(20)의 저판(21)에 예를 들어 피스로 조립함으로써 급기덕트(1B)의 하부 노출부(20)의 저판(21)을 배기덕트(1B)의 상면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4와 도6에서 도면부호 9는 급기덕트(1A)의 하부 노출부(20)를 단열하기 위한 보온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보온재(9)는 하부 노출부(20)에만 적용하면 된다.
도7은 일정 규격으로 제공되는 단위 덕트(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클립(4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립(40)은 덕트(1)의 단면에 대응하는 홈(41)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41)에 각각 덕트(1)를 삽입함으로써 2개의 덕트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에 대비되는 종래의 덕트(100)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6의 본 발명의 덕트와 마찬가지로, 급기덕트(100A)는 폭 200MM(W2), 높이(T6) 85MM이고, 배기덕트(100B)는 폭 200MM(W2), 높이 60MM(T7)이다.
그러나, 종래의 덕트(100)는 콘크리트(101)의 저면(102)에 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으로 일정 높이(예, 10MM: T8)의 공간이 생기는 것이 불가피하고, 급기덕트(100A)를 감싸는 보온재(103)가 일정 높이(예, 상하 10MM 씩 20MM: T9)를 차지하게 되며, 또한 덕트(100)를 천장 콘크리트(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행거(104)가 배기덕트(100B)의 아래로 노출되어 또 일정 높이(예, 20MM: T10)를 차지하게 되므로, 급기덕트(100A)와 배기덕트(100B)의 교차점에서 덕트(100)가 차지하는 높이는 총 195MM(T6+T7+T8+T9+T10)에 이르게 되므로, 150MM 내외의 천장내부공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45MM 이상 덕트(100)의 높이를 줄여야 하고, 결국 덕트가 납작해져서 풍량이 적어짐으로 본 발명의 덕트에 비하야 급배기 효율성이 낮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1)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덕트(1)는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로 분할 형성하는 한편 상부 매설부(10)를 바닥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함으로써, 협소한 천장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천장내부공간이 협소한 환경에서 급배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의 덕트는 그 전체적인 구조가 완전하게 조립된 상태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므로 물류 단계에서 많은 체적을 차지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설치가 완료되고 하부 노출부(20)는 길게 펼쳐진 패널 형상으로 운반하여 시공현장에서 U자 형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가 조립식이므로 덕트의 시공 후에 필요에 따라 하부 노출부(20)를 분리하여 덕트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청소도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덕트(1)는 하부 노출부(20)가 조립식이므로, 급기구(8A)와 배기구(8B)가 구비된 하부 노출부(20)의 조립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덕트(1)는 상기 상부 매설부(10)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부가하여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을 주름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2)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2)에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되는 상부 매설부(10); 및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22)에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 노출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상기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10)와 상기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수단(13)과 상기 제2 조립수단(23)은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홈(13A)과 돌기(2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저판(11)에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저판(11)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10)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양측판(12)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10)를 거푸집(4)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7.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4) 위에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2)에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매설부(10)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4)에 슬라브 콘크리트(2)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가 양생된 후에 상기 거푸집(4)을 제거하여 상기 상 부 매설부(10)를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노출부(20)의 상기 제2 조립수단(23)을 상기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하여,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10)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로부터 노출된 상기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시공방법.
KR1020050031710A 2005-04-16 2005-04-16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62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710A KR100622153B1 (ko) 2005-04-16 2005-04-16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710A KR100622153B1 (ko) 2005-04-16 2005-04-16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80U Division KR200388531Y1 (ko) 2005-04-16 2005-04-16 반 매설형 환기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153B1 true KR100622153B1 (ko) 2006-09-19

Family

ID=3763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710A KR100622153B1 (ko) 2005-04-16 2005-04-16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66B1 (ko) 2017-06-01 2018-06-14 (주)대우건설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66B1 (ko) 2017-06-01 2018-06-14 (주)대우건설 층고 축소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한 덕트용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덕트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0305C2 (ru) Центральный ствол коммуникаций панельно-лучистого отопления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подачей воздуха и модуль, и здание, в состав которых он входит
CA2832991C (en) System for forming an insulated concrete thermal mass wall
US10041250B2 (en) Modular panel for thermal energy transfer
US3442058A (en) Concrete floor construction with duct-forming voids
KR100622153B1 (ko) 반 매설형 환기덕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878145B1 (ko) 패널용 천장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패널 조립시스템
KR102171952B1 (ko) 배수가 원활한 구배형 경량 시스템 쿨루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88531Y1 (ko) 반 매설형 환기덕트
US7066239B2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IE86668B1 (en) Structural panel and a building structure formed therefrom
KR100467536B1 (ko) 방열판 및 유리온돌판을 구비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및 그 시공방법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EP2803777A1 (en) A formwork for pouring concrete floors or walls
JP5070000B2 (ja) 蓄熱床構造および蓄熱床施工方法
KR100648225B1 (ko)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레인 스크린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RU2293823C2 (ru) Здание с воздушным отоплением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JP3432200B2 (ja) 床下地構造、およびそれ用の浮き根太匡体
KR20050108807A (ko) 바닥재 겸용 조립식 온돌패널 구조
JP5118524B2 (ja) 建物の地下室
JP2003056068A (ja) 建物ユニットと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KR20200111562A (ko) 난방용 패널조립체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JP3652406B2 (ja) 地下室の断熱材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