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932B1 -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932B1
KR100621932B1 KR1020050072804A KR20050072804A KR100621932B1 KR 100621932 B1 KR100621932 B1 KR 100621932B1 KR 1020050072804 A KR1020050072804 A KR 1020050072804A KR 20050072804 A KR20050072804 A KR 20050072804A KR 100621932 B1 KR100621932 B1 KR 10062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water
primary
collision plate
indu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7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수분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노정 벙커에서 광석을 노내로 장입시 동압을 유지하는 1차 균압 라인(10)에 연결하는 플랜지(101)가 마련된 외통(110)과, 상기 1차 균압 라인(10)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외통(110)의 내부 일측 중앙에 마련된 1차 수분충돌판(120)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분 충돌 봉(121)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의 후단에 중앙에 설치되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2차로 포집하는 2차 수분충돌판(130)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핀(131)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의 후단에 설치되어 포집된 수분을 유도하도록 둥근 나선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수분유도부재(140) 및 2차 수분유도부재(150)와, 상기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에 의해서 유도된 수분을 배출시키도록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16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고로, 노정, 호퍼, 균압, 수분, 분리

Description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Water separation apparatus in bunker of furnace top uniform pressure device}
도1은 일반적인 노정 균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균압 라인 101 : 플랜지
110 : 외통 120 : 1차 수분충돌판
121 : 수분 충돌 봉 130 : 2차 수분충돌판
131 : 고정핀 140 : 1차 수분유도부재
150 : 2차 수분유도부재 160 : 배출구
170 : 수분배출장치 171 : 배수관
본 발명은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를 고로내로 원활하고 안정된 장입을 위하여 장입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균압기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분리하여 수분과 분진의 고착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 방지 및 압력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는 자연산의 철광석을 코크스와 산소의 반응으로 만든 일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환원시켜 용선을 만든다. 상기 고로의 하부에서 발생한 환원가스는 노내를 상승하면서 장입된 원료와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고 철광석을 환원시키게 된다. 고로의 하부에는 필요한 용선이 굳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탄산칼슘과 같은 부원료를 사용하여 슬래그(slag)를 만들어낸다. 상승한 가스는 밖으로 배출되고 하부에 모인 용선은 출선구로 해서 출선된다.
종래에는 고로작업시 콘베어벨트에 의해 원료를 노정호퍼에서 수급하고 상기 노정호퍼에 저장된 원료를 고로내로 장입하기 위해서는 노정호퍼와 고로내부의 압력을 균압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고로 노정호퍼는 장입 벨트 컨베이어상의 연,원료 받기 위한 배압과정 과 노내와 동압을 만드는 균압, 배압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연,원료를 노내로 안정되게 장입하기 위하여 노상부에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1차 균압은 반청정 가스를 사용하고 2차 균압은 질소를 사용한다.
상기 호퍼의 1차 균압시 습식제진장치(Bichoff Scrubber)의 반청정 가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습식제진장치의 내부에는 제진을 위해 살수된 수분과 가스중에 함유된 분진이 공존하는 공간이므로 1차 균압중에는 다량의 수분이 호퍼내부로 유입 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유입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① LSV(Low Seal Valve)(1)에 분광과 수분이 접착되어 장기적인 여닫음시 광석과 LSV 병판의 끼임으로 LSV Rubber Packing(2)과 Metal Sheet(3)의 조기 손상을 유발시켜 설비수명을 단축시킨다.
② 습식제진장치 내부의 고 농도 순환수가 호퍼 내부로 유입되어 철피 부식을 촉진시켜 조업중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하여 수시로 작업을 해야함.
③ 호퍼에 장입된 연,원료에 수분이 분사 혼합되어 수분제거를 위해 고로 상부의 많은 열원이 손실되어 불필요한 연료비를 상승시킨다.
④ 고 생산량 조업시 일일 장입량이 증가하여 위와 같은 요인에 의해 조업중 돌발 휴풍 사례가 빈번히 차례 발생하여 생산량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차 균압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시 및 수분 배수구에 집수시킨 후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수분 배출장치의 동작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시켜 수분에 의한 밸브 표면 분광접착을 방지할 수 있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는 수분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노정 벙커에서 광석을 노내로 장입시 동압을 유지하는 1차 균압 라인(10)에 연결하는 플랜지가 마련된 외통과, 상기 1차 균압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외통의 내부 일측 중앙에 마련된 1차 수분충돌판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분 충돌 봉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의 후단에 중앙에 설치되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2차로 포집하는 2차 수분충돌판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핀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의 후단에 설치되어 포집된 수분을 유도하도록 둥근 나선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수분유도부재 및 2차 수분유도부재와, 상기 1차 수분유도부재와 2차 수분유도부재에 의해서 유도된 수분을 배출시키도록 1차 수분유도부재와 2차 수분유도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혼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혼입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정 벙커(도면 미도시)에서 광석을 노내로 장입시 동압을 위해 1차 균압 라인(10)에 포함된 미스트화된 물을 분리하기 위해 수분 분리장치(100)를 상기 1차 균압 라인(10)에 플랜지(101)로 고정하여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 분리장치(100)는 수분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통(1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외통(110)의 내부에는 가스에 포 함된 미스트가 충돌하여 공기는 통과하고 수분은 부착되도록 1차 수분충돌판(120)이 마련되어 있되, 그 1차 수분충돌판(120)은 중앙부는 넓고 양 단부는 좁아지는 원형의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1차 수분충돌판(120)은 복수개의 수분 충돌 봉(121)을 매개로 외통(11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의 후단에는 1차 수분충돌판(120)과 수분 충돌 봉(121)을 통과한 수분을 2차로 포집 할 수 있는 2차 수분충돌판(130)이 마련되어 있되, 그 2차 수분충돌판(130)은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고정핀(131)에 의해서 외통(11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의 후단에는 포집된 수분을 유도하도록 둥근 나선형 띠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의 사이에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분 배출구(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 배출구(160)에는 주기적으로 수분을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는 수분배출장치(17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수분배출장치(170)에는 배수관(171)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로 노정 장입 벙커(도면 미도시)에 균압용 가스인 습식제진장치(Bisshof Scrubber)의 반청정 가스에 에 포함된 수분이 1차 균압 라인(10)에 의해 고속으로 유입되는데 이는 수분 분리장치(100)에 부착된 1차 수분충돌판(120)에 의 해 기체의 직선운동을 곡선화 시켜 외통(110)의 내측 벽면으로 유도하여 벽측에 액체화된 상태로 1차 여과되어진다.
이렇게 통과된 일부 수분은 크기가 다른 2차 수분충돌판(130)에 의해 또다시 분리되어 원통형 외통(110)에 유도되어 진다.
이렇게 유도된 수분은 둥근 나선형 띠의 형상으로 부착된 1차 수분유도부재(140)에 의해 유도홈(141) 및 수분 배출구(160)로 유도되어 수분 배출구(160)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수분 배출구(160)에 연결된 수분배출장치(170)가 동작되면 배수관(171)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균압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시 및 수분 배수구에 집수시킨 후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수분 배출장치의 동작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므로 수분에 의한 밸브 표면 분광접착을 방지하여 시트 및 패킹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정으로 수분의 혼입이 방지되므로 광석 중 포함된 수분의 감소를 위한 환원재비가 절감됨은 물론, 노내 수분 유입에 의한 노구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분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노정 벙커에서 광석을 노내로 장입시 동압을 유지하는 1차 균압 라인(10)에 연결하는 플랜지(101)가 마련된 외통(110)과,
    상기 1차 균압 라인(10)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외통(110)의 내부 일측 중앙에 마련된 1차 수분충돌판(120)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분 충돌 봉(121)과,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의 후단에 중앙에 설치되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2차로 포집하는 2차 수분충돌판(130)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핀(131)과,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의 후단에 설치되어 포집된 수분을 유도하도록 둥근 나선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 수분유도부재(140) 및 2차 수분유도부재(150)와,
    상기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에 의해서 유도된 수분을 배출시키도록 1차 수분유도부재(140)와 2차 수분유도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1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수분충돌판(120)은 중앙부는 넓고 양 단부는 좁아지는 원형의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수분충돌판(130)은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중앙부는 넓고 양단부는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구(160)의 단부에는 그 수분 배출구(160)에 모아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71)이 구비된 수분배출장치(17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KR1020050072804A 2005-08-09 2005-08-09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KR10062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04A KR100621932B1 (ko) 2005-08-09 2005-08-09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04A KR100621932B1 (ko) 2005-08-09 2005-08-09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932B1 true KR100621932B1 (ko) 2006-09-08

Family

ID=3762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04A KR100621932B1 (ko) 2005-08-09 2005-08-09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13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포스코 베인장치 및 고로가스 함유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404A (ja) 1982-02-22 1983-08-27 Kawasaki Steel Corp 高炉装入原料の乾燥装置
KR20010000972U (ko) * 1999-06-23 2001-01-15 이구택 고로 장입 호퍼의 실 밸브 손상 제어장치
KR20010054879A (ko) * 1999-12-08 2001-07-02 이구택 원료저장호퍼의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404A (ja) 1982-02-22 1983-08-27 Kawasaki Steel Corp 高炉装入原料の乾燥装置
KR20010000972U (ko) * 1999-06-23 2001-01-15 이구택 고로 장입 호퍼의 실 밸브 손상 제어장치
KR20010054879A (ko) * 1999-12-08 2001-07-02 이구택 원료저장호퍼의 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13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포스코 베인장치 및 고로가스 함유물 처리장치
KR102175424B1 (ko) 2018-10-22 2020-11-06 주식회사 포스코 베인장치 및 고로가스 함유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313354A3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 дисперсной железной руды в губчатое железо с последующим переплавом в чугу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CN108369071B (zh) 用于清洁高炉炉气的工艺和过滤装置
CA2729434C (en) Process gas purification device for a melt reduction system for extracting pig iron
FR2467884A1 (fr)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a reduction directe de l'oxyde de fer en fer metallique a l'aide d'un gaz a forte teneur en soufre
CN105463153B (zh) 一种转炉烟气净化回收系统及方法
ATE475722T1 (de) Abgasreinigungssystem für einen hochofen
KR100621932B1 (ko) 노정 균압기의 벙커내 수분 분리장치
CN103002967A (zh) 含粉尘气流的净化方法
US3041059A (en) Combined gas cleaner and cooler
CN201036727Y (zh) 煤气过滤器
KR101561278B1 (ko) 용철 제조 설비의 환원가스 제진장치 및 제진방법
KR20110106581A (ko) 가스 청정설비의 수분 제거 장치
CN210065816U (zh) 一种高炉放散荒煤气净化装置
CN211871887U (zh) 一种流化床气化炉干法排渣系统
US821425A (en) Gas-cleaner.
CN101327402B (zh) 冲天炉用水膜除尘脱硫装置
CN1508269A (zh) 干湿一体高炉煤气除尘器
CN206069799U (zh) 一种低温甲醇洗装置
CN2699141Y (zh) 燃煤锅炉烟道除尘化硫装置
CN217796648U (zh) 一种带有辊筒螺旋溜槽的煤体净化装置
KR101129945B1 (ko) 소결배가스 정제장치
CN211688937U (zh) 一种煤气脱水装置
CN216395600U (zh) 一种钢厂废气除尘脱硫装置
CN112654413B (zh) 用于给转炉气体除尘的装置
CN212594717U (zh) 一种新型的烟气脱水装置及烟气脱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