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814B1 - 차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814B1
KR100620814B1 KR1020030050102A KR20030050102A KR100620814B1 KR 100620814 B1 KR100620814 B1 KR 100620814B1 KR 1020030050102 A KR1020030050102 A KR 1020030050102A KR 20030050102 A KR20030050102 A KR 20030050102A KR 100620814 B1 KR100620814 B1 KR 10062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case
gear
ring gear
differentia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130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8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2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input shafts, e.g. mounting of drive gears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ing or crow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디퍼렌셜 케이스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상부와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되고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된 사이드 기어와, 변속기의 출력축에 외측부가 기어 물림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내측부가 스플라인 결합된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기어의 내측부 일측에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보스부가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보스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므로, 링기어가 디퍼렌셜 케이스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링기어가 디퍼렌셜 케이스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차동장치, 디퍼렌셜 케이스, 링기어, 플랜지부, 안착부, 스프링 핀, 피니언 샤프트

Description

차동장치 {Differential gea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가 설치된 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 링기어 62 : 안착부
62a : 제 2 스플라인 64 : 보스부
66 : 관통홀 70 : 디퍼렌셜 케이스
72 : 플랜지부 72a : 제 1 스플라인
74 : 샤프트 홀 80 : 피니언 기어
90 : 피니언 샤프트 100 : 사이드 기어
본 발명은 변속기와 바퀴 사이에 배치된 차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상기 링기어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는 차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동장치는 차량의 선회 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차량의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노면이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차동장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미도시)의 출력축에 기어 물림되어 같이 회전되는 링기어(10)와, 상기 링기어(10)가 외주에 체결볼트(12)로 조립되고 상기 링기어(10)와 일체로 회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20)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30)와, 상기 피니언 기어(30)를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에 고정하는 피니언 샤프트(40)와, 상기 피니언 기어(30)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되고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42)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기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는 외주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2)에는 동일 각도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체결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링기어(10)는 외주에 변속기의 축력축과 기어 물림되기 위한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22)에 장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 1 체결공(22a)과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제 2 체결공(1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링기어(10)는 상기 제 1 체결공(22a)과 제 2 체결공(10a)에 체결볼트(12)가 체결되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의 플랜지부(22)에 장착되며, 상기 변속기에서 변속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동장치는 좌우측 바퀴에 동일한 부하가 작용될 경우 상기 피니언 기어(30)가 디퍼렌셜 케이스(20)와 함께 공전하고, 반면에 부하가 다르게 작용될 경우 상기 피니언 기어(30)는 공전과 자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 기어(30)의 공전 및 자전에 의해 상기 사이드 기어(50)의 회전 속도가 변화되고, 한 쌍의 사이드 기어(50)와 연결된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42)가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되므로 좌우 바퀴의 회전 속도를 같게 또는 서로 다르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동장치는 상기 링기어(10)가 변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 집 중 축하중을 받게되고, 이러한 외팔보 형상의 집중하중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20)에 링기어(1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2)의 자립력을 약화시켜 상기 체결볼트(12)가 풀리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엔진 토크의 향상 및 차량 중량의 향상 추세에 따라 상기 링기어(10)의 일단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 증대되어 차량의 주행시 상기 체결볼트(12)의 풀림 현상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의 미소 풀림시 상기 링기어(10)에 흔들림이 발생되어 기어의 정렬이 어긋나게 되고, 그로 인해 기어 소음이 증대되고, 기어의 내구성도 저하되며, 최종적으로는 변속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아울러 상기 링기어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기어의 소음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는 차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디퍼렌셜 케이스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상부와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되고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된 사이드 기어와, 변속기의 출력축에 외측부가 기어 물림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내측부가 스플라인 결합된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기어의 내측부 일측에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보스부가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보스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의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가 설치된 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1)의 출력축(2)에 기어 물림되어 같이 회전되는 링기어(60)와, 상기 링기어(60)가 외주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링기어(60)와 일체로 회전되는 디퍼렌셜 케이스(70)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내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80)와, 상기 피니언 기어(80)를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에 고정하는 피니언 샤프트(90)와, 상기 피니언 기어(80)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되고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92)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기어(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는 외주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7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72)의 선단에는 제 1 스플라인(72a)이 가공 형성된다.
이와 같은 디퍼렌셜 케이스(70)에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90)가 수직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기 위한 샤프트 홀(74)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샤프트 홀(74)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샤프트(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핀(94)이 삽입되는 제 1 핀홀(78)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홀(74)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홀(74)을 통해 상기 피니언 샤프트(90)가 삽입되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핀(94)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에 배치된 피니언 샤프트(90)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샤프트 홀(74)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된 제 1 핀홀(78)과, 상기 피니언 샤프트(90)에 형성된 제 2 핀홀(96)에 동시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60)는 외주에 변속기(1)의 축력축(2)에 형성된 기어에 물림되기 위한 기어가 구비되고, 내측부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7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72)와 동일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62)가 구비되어 상기 변속기에서 변속된 동력을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62)는 상기 플랜지부(72)의 제 1 스플라인(7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스플라인(62a)이 가공 형성되어 상기 제 1 스플라인(72a)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스플라인 결합된 디퍼렌셜 케이스(70)와 링기어(60)는 종래의 볼트에 의해 체결된 경우보다 상기 링기어(60)와 변속기(1) 출력축(2) 간의 유동방지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구조를 형성하므로, 기어 물림시 기어의 불완전한 치합 작용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 감소되고, 기어의 마모 및 충격이 저감되어 기어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 링기어(60)의 내측부 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스부(6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외측 둘레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스부(64)에는 상기 링기어(60)가 디퍼렌셜 케이스(70)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피니언 샤프트(90)의 양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66)이 상기 샤프트 홀(7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피니언 샤프트(90)는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외측으로 양단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길이가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피니언 샤프트(90)의 양단부는 샤프트 홀(74)을 통해 상기 보스부(64)의 관통홀(66)에 삽입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 샤프트(90)가 보스부(64)의 관통홀(66)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핀(94)이 체결되면, 차동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로부터 상기 링기어(60)가 임의로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외측면에 링기어(60)가 삽입 장착된 후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샤프트 홀(74)과 상기 링기어(60)의 관통홀(66)이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링기어(60)를 회전시켜 위치를 맞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 홀(74)과 관통홀(66)이 연통되게 상기 링기어(60)의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플랜지부(72)로 상기 링기어(60)의 안착부(62)를 형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72)의 제 1 스플라인(72a)에 안착부(62)의 제 2 스플라 인(62a)이 슬라이딩되어 스플라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60)가 결합된 디퍼렌셜 케이스(70) 내부에 피니언 기어(80)가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8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피니언 샤프트(90)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 샤프트(90)는 관통홀(66) 및 샤프트 홀(74)을 통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와 링기어(60)에 삽입 관통되고, 양단부는 상기 관통홀(66) 및 샤프트 홀(74)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 샤프트(90)가 설치되면,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70)의 제 1 핀홀(78) 및 상기 피니언 샤프트(90)의 제 2 핀홀(96)에 스프링 핀(94)을 설치하여 상기 피니언 샤프트(90)의 설치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디퍼렌셜 샤프트(70)의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80)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드라이브 샤프트(92)에 결합된 사이드 기어(100)를 설치하여 차동장치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디퍼렌셜 케이스와 링기어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링기어의 보스부가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부에 걸림되므로, 링기어가 디퍼렌셜 케이스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링기어가 디퍼렌셜 케이스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므로, 디퍼렌셜 케이스에서 링기어가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링기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종래와 같이 링기어의 유동으로 인한 변속기의 출력축과 링기어 사이의 기어 소음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가 간편하게 설치되므로, 차동장치의 조립 또는 정비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체결볼트 및 볼트용 체결공구가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가 저감되고, 상기 체결볼트의 조립공정이 삭제되어 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퍼렌셜 케이스와;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피니언 샤프트와;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상부와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직교 형상으로 치합되고 좌우측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된 사이드 기어와;
    변속기의 출력축에 외측부가 기어 물림되어 같이 회전되고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에 내측부가 스플라인 결합된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기어의 내측부 일측에는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보스부가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보스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 케이스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의 내측부 타측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안착부에는 상호 물림되는 스플라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3. 삭제
KR1020030050102A 2003-07-22 2003-07-22 차동장치 KR10062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102A KR100620814B1 (ko) 2003-07-22 2003-07-22 차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102A KR100620814B1 (ko) 2003-07-22 2003-07-22 차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130A KR20050011130A (ko) 2005-01-29
KR100620814B1 true KR100620814B1 (ko) 2006-09-13

Family

ID=3722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102A KR100620814B1 (ko) 2003-07-22 2003-07-22 차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51B1 (ko) * 2006-09-27 2008-05-20 다이모스(주) 자동차 차동기어장치의 드라이브기어 장착구조
CN111022607A (zh) * 2019-10-09 2020-04-17 重庆神箭汽车传动件有限责任公司 差速器齿轮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130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440B2 (en) Method for converting a non-driven tag axle system to a driven axle system
US6623396B2 (en) Differential gear assembly
US8113979B2 (en) Four pinion differential with cross pin retention unit and related method
US4305313A (en) Differential case fastener
US20060281598A1 (en) Axle assembly with contaminant deflector
KR100620814B1 (ko) 차동장치
EP1555460A1 (en) Differential gear for vehicle
US7059215B1 (en) Rear assembly tandem axle differential carrier
JPS58211053A (ja) 差動装置
JP2004068873A (ja) ピニオンワッシャー
KR20110040482A (ko) 자동차용 차동장치
JP3963836B2 (ja) 環状ハウジングを備えたアングル駆動装置
KR100412830B1 (ko) 차동기어장치용 디퍼렌셜베어링의 설치구조
KR102219950B1 (ko) 트랜스퍼 케이스
KR100489392B1 (ko) 차량용 차동장치
KR200247105Y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붐회전장치
KR100280000B1 (ko) 차동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692697B1 (ko) 탠덤 액슬장치용 디퍼렌셜
JP2597781Y2 (ja) ブルドーザの終減速装置
JPH0527296Y2 (ko)
JPH06341494A (ja) 動力伝達装置
KR100284345B1 (ko) 차량의동력전달장치
KR20040090073A (ko) 차동장치의 링기어 설치구조
KR20020017450A (ko) 차량용 디퍼렌셜
KR20050012448A (ko) 자동차의 차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