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370B1 - 냉장고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370B1
KR100620370B1 KR1019990056858A KR19990056858A KR100620370B1 KR 100620370 B1 KR100620370 B1 KR 100620370B1 KR 1019990056858 A KR1019990056858 A KR 1019990056858A KR 19990056858 A KR19990056858 A KR 19990056858A KR 100620370 B1 KR100620370 B1 KR 10062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spenser
opening
ice
i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612A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3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얼음토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커버를 개폐시키는 작용레버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대해 소정 범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작용레버를 회동시키며, 외부가압 해지시 탄성적으로 회동복귀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얼음토출레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REFRIGERATOR}
도 1은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얼음토출레버 확대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도3의 조립상태 측단면도로서, 각각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조립상태 측단면도로서, 각각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동실도어 19 : 디스펜서수용부
20 : 디스펜서 30 : 디스펜서케이싱
31 : 얼음토출구 40 : 개폐부
50 : 개폐커버 60 : 얼음토출레버
61 : 작용레버 62 : 조작레버
63 : 비틀림코일스프링 66 : 회동축
67 : 접촉부 68 : 스프링결합돌기
75 : 힌지부 77 : 누름부
70 : 에어댐퍼 73 : 댐퍼커넥팅로드
80 : 감지센서
본 발명은, 얼음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얼음토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대형화추세에 있는 냉장고 중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구획된 냉각실을 가지는 소위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냉장고도 제안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냉장고(1)는,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구획된 한 쌍의 냉각실(냉동실 및 냉장실)을 가지는 냉장고본체(3)와, 냉장고본체(3)의 전면에 설치되어 각 냉각실을 회동개폐시키는 냉동실도어(10) 및 냉장실도어(7)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저온으로 유지되는 좌측의 냉각실을 냉동실(5)이라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유지되는 우측의 냉각실을 냉장실(6)이라 한다.
냉장실(6)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6)내 공간을 구획 분할하도록 복수의 선반(8)이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냉장실(6)의 하부영역에는 야채 및 과일 등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용 서랍(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서랍(9)의 후방측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물저장탱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5)의 상부영역에는 제빙을 위한 제빙트레이(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빙트레이(11)의 하측에는 제빙트레이(11)로부터 제빙완료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도록 얼음저장용기(13)가 마련되어 있다. 얼음저장용기(13)의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얼음유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얼음저장용기(13)내에 저장되는 얼음을 얼음유출구(14)를 통해 배출시키는 얼음공급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도어(10)의 중앙영역에는 냉장실(6)내에 마련된 물저장탱크(미도시)와 냉동실(5)내에 마련된 얼음저장용기(13)로부터 냉수 또는 얼음을 제공하는 디스펜서("A")가 장착되어 있다.
도 9는 종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조립상태 측단면도로서, 각각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도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외판(16)과, 도어외판(16)으로부터 단열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도어내판(미도시), 그리고, 이들 도어외판(16)과 도어내판(미도시)의 상하단부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캡(미도시)을 갖는다.
도어외판(16)의 중앙영역에는 디스펜서(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디스펜서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펜서개구(17)에 대응한 도어내판(미도시)의 중앙영역에는 냉동실(5)측을 향하여 돌출된 디스펜서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펜서수용부(19)의 상단부에는 얼음저장용기(13)의 얼음유출구(14)와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펜서(120)는, 냉동실도어(10)에 형성된 디스펜서수용부(19)에 장착되며 얼음유출구(14) 및 관통공과 연통하는 얼음토출구(131)를 가지는 디스펜서케이싱(130)과, 이 디스펜서케이싱(130)의 얼음토출구(131)의 개구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140), 그리고, 디스펜서케이싱(130)의 전면에 고정 부착되는 전면판(145)을 포함한다.
개폐부(140)는, 얼음토출구(131)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150)와, 개폐커버(150)를 회동개폐시키는 얼음토출레버(160) 및, 개폐커버(150)의 폐쇄방향 회동을 지연시키는 에어댐퍼(170)와, 얼음토출구(13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8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케이싱(130)의 중앙영역에는 후술할 얼음토출레버(160)의 누름부(177)를 누름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공급부(1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급부(133)의 상부에 얼음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커버(150)는 얼음토출구(131)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상의 커버본체(151)와, 커버본체(151)의 얼음토출구(131)측 단부면에 결합되는 막형의 실리콘부재(152)와, 커버본체(151)의 노출측 단부면에 결합되는 원형단면의 단열부재(153)를 갖는다.
커버본체(151)는 얼음토출구(13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러그부(155)와, 플러그부(15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얼음토출구(131)의 전면 연부에 접촉되는 플랜지부(154)를 가지고 있으며, 플랜지부(154)의 일측에는 디스펜서케이싱(130)의 공급부(133) 상부영역에 결합된 힌지브래킷(135)에 힌지결 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연장된 한 쌍의 연장리브(15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리브(156)에는 힌지브래킷(135)의 힌지핀(137)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힌지핀공(15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힌지핀(137)에는 개폐커버(150)가 얼음토출구(131)를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39)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장리브(156)에는 각각 후술할 얼음토출레버(160)와 상호 작용하는 작용플랜지부(158)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얼음토출레버(160)는, 상호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작용부(161) 및 누름부(177)와, 작용부(161)와 누름부(177) 사이에 개폐커버(150)의 힌지핀(137)과 평행하게 외향 연장된 회동부(175)를 갖는다.
작용부(161)에는 개폐커버(150)의 개폐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개폐커버(150)의 커버본체(151)에 돌출되어 있는 작용플랜지부(158)와 접면하는 작용돌기(164)와, 후술할 에어댐퍼(170)의 댐퍼커넥팅로드(173)와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작용핀(1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부(177)는 디스펜서케이싱(130)의 공급부(133)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힌지부(175)는 작용부(161)와 누름부(177)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 경계영역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외향 연장된 한 쌍의 회동핀(178)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핀(178)은 디스펜서케이싱(130)에 마련된 얼음토출구(131)의 하부에 형성된 도시않은 회동핀공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얼음토출레버(160)의 작용부(161) 일측에는, 댐퍼브라켓에 고정된 에어댐퍼(170)가 개폐커버(150)의 개폐방 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에어댐퍼(17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댐퍼실린더(171)와, 댐퍼실린더(171)내에서 슬라이딩 왕복운동하는 도시않은 댐퍼피스톤, 댐퍼피스톤(미도시)을 슬라이딩시키는 댐퍼커넥팅로드(173)를 갖는다. 댐퍼커넥팅로드(173)는 양단부가 각각 댐퍼피스톤(미도시)과 얼음토출레버(160) 작용부(161)의 작용핀(16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180)는 얼음토출레버(160) 누름부(177)의 회동반경에 대응하는 디스펜서케이싱(130)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음토출레버(160)의 누름부(177)를 도 10과 같이, 내향 가압하게 되면, 도 11과 같이, 얼음토출레버(160)가 회동하면서 작용부(161)와 접촉된 개폐커버(150)를 개방 회동시키게 되며, 이 때, 에어댐퍼(170)의 댐퍼커넥팅로드(173)는 얼음토출레버(160)의 작용부(16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토출레버(160)의 누름부(177)는 감지센서(180)를 누름 조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개폐커버(150)의 개방을 감지한 감지센서(180)로부터 얼음공급장치(15)에 신호가 전달되어 얼음공급장치(15)의 작동이 개시되고, 이에 의해 얼음저장용기(13)내의 얼음이 낙하하여 얼음토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얼음토출레버(160) 누름부(177)의 가압을 해지하게 되면, 개폐커버(150)는 스프링(1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얼음토출구(131)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개폐커버(150)의 패쇄 회동은 에어댐퍼(170)의 저항력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얼음토출레버(160) 또한 그 회동복귀가 소정시간 경과 후, 서서히 이루어지면서, 감지센서(180)의 누름을 해지하게 된다. 그러면, 감지센서(180)로부터의 신호가 얼음공급장치(15)로 전달되어 얼음공급이 중단된다.
이에 의해, 개폐커버(150)가 얼음토출구(131)를 차단하기 전까지 얼음저장용기(13)의 얼음유출구와 디스펜서케이싱(130)의 얼음토출구(131) 사이에 얼음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개폐커버를 회동시켜 얼음토출구를 개방 및 차단하는 얼음토출레버가 상호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작용부와 누름부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작용부에 에어댐퍼의 댐퍼커넥팅로드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얼음토출레버의 가압상태를 해지하여도 얼음토출레버는 즉시 회동복귀되지 않고, 에어댐퍼의 저항력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 후 서서히 회동복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얼음토출레버가 고장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얼음토출레버를 강제적으로 회동복귀 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얼음토출레버가 파손 및 분리되는 등의 고장을 일으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얼음토출레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얼음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얼음토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커버를 개폐시키는 작용레버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대해 소정 범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작용레버를 회동시키며, 외부가압 해지시 탄성적으로 회동복귀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용레버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시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외부 가압시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누름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용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고정되어 외부 가압 해지시 상기 조작레버를 회동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작용레버는 상기 접촉부 하부영역에 마련되는 스프링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권취구간이 상기 결합돌기에 권취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용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에 고정되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용레버의 폐쇄회동을 지연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마련되어 있는 냉장고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냉장고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전술한 냉장고와의 동일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얼음토출레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도3의 조립상태 측단면도로서, 각각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20)는, 냉동실도어(10)에 형성된 디스펜서수용부(19)에 장착되며 얼음유출구(14) 및 관통공과 연통하는 얼음토출구(31)를 가지는 디스펜서케이싱(30)과, 이 디스펜서케이싱(30)의 얼음토출구(31)의 개구면을 개폐시키는 개폐부(40), 그리고, 디스펜서케이싱(30)의 전면에 고정 부착되는 전면판(45)을 갖는다.
개폐부(40)는, 얼음토출구(31)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50)와, 개폐커버(50)를 회동개폐시키는 얼음토출레버(60) 및, 개폐커버(50)의 폐쇄방향 회동을 지연시키는 에어댐퍼(70)와, 얼음토출구(31)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케이싱(30)의 중앙영역에는 후술할 얼음토출레버(60)의 누름부(77)를 누름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공급부(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급부(33)의 상부에는 얼음토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커버(50)는 얼음토출구(31)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상의 커버본체(51)와, 커버본체(51)의 얼음토출구(31)측 단부면에 결합되는 막형의 실리콘부재(52)와, 커버본체(51)의 노출측 단부면에 결합되는 원형단면의 단열부재(53)를 갖는다.
커버본체(51)는 얼음토출구(3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플러그부(55)와, 플러그부(5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얼음토출구(31)의 전면 연부에 접촉되는 플랜지부(54)를 가지고 있으며, 플랜지부(54)의 일측에는 디스펜서케이싱(30)의 공급부(33) 상부영역에 결합된 힌지브래킷(35)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연장된 한 쌍의 연장리브(5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리브(56)에는 힌지브래킷(35)의 힌지핀(37)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힌지핀공(5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힌지핀(37)에는 개폐커버(50)가 얼음토출구(31)를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39)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장리브(56)에는 각각 후술할 얼음토출레버(60)와 상호 작용하는 작용플랜지부(58)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얼음토출레버(60)는, 디스펜서케이싱(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커버(50)를 회동시키는 작용레버(61)와, 작용레버(61)와 상호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용레버(61)를 회동시키는 조작레버(62)와, 작용레버(61)와 조작레버(62)사이에 개재되는 비틀림코일스프링(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레버(61)에는 개폐커버(50)의 개폐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개폐커버(50)의 커버본체(51)에 돌출되어 있는 작용플랜지부(58)와 접면하는 작용돌기(64)와, 후술할 에어댐퍼(70)의 댐퍼커넥팅로드(73)와 연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작용핀(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용레버(61)의 양측 하부영역에는 개폐커버(50)의 힌지핀(37)과 평행하게 외향 연장된 한 쌍의 회동축(6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66)은 디스펜서케이싱(30)에 마련된 얼음토출구(31)의 하부에 형성된 도시않은 회동핀공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이들 회동축(66) 사이의 작용레버(61) 하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연장된 접촉부(67)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부(67)의 하부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63)의 권취구간이 회동지지되는 스프링결합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레버(62)는 작용레버(61)의 회동축(6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75)와, 힌지부(75)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가압시 작용레버(61)의 접촉부(67)에 접촉되는 판상의 누름부(77)를 갖는다. 힌지부(75)는 누름부(77)의 양측으로부터 외향 연장된 한 쌍의 회동리브(78)와, 양 회동리브(78)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작용레버(61)의 회동축(66)에 결합되는 회동축공(7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름부(77)는 디스펜서케이싱(30)의 공급부(33)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비틀림코일스프링(63)은 권취구간이 작용레버(61)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결합돌기(68)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권취구간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가 각각 작용레버(61)와 조작레버(62)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레버(62)에 가해진 외부가압이 해제되면, 조작레버(62)는 비틀림코일스프 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즉시 회동 복귀되게 된다.
그리고, 작용레버(61)의 일측 디스펜서케이싱(30)에는, 댐퍼브라켓에 고정된 에어댐퍼(70)가 개폐커버(50)의 개폐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에어댐퍼(70)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댐퍼실린더(71)와, 댐퍼실린더(71)내에서 슬라이딩 왕복운동하는 도시않은 댐퍼피스톤, 댐퍼피스톤(미도시)을 슬라이딩시키는 댐퍼커넥팅로드(73)를 갖는다. 댐퍼커넥팅로드(73)는 양단부가 각각 댐퍼피스톤(미도시)과 얼음토출레버(60) 작용레버(61)의 작용핀(6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센서(80)는 얼음토출레버(60)의 조작레버(62) 회동반경에 대응하는 디스펜서케이싱(30)의 일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2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레버(62)의 누름부(77)를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내향 가압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조작레버(62)가 회동하면서 누름부(77)의 일영역이 작용레버(61)의 접촉부(67)에 접촉되고, 계속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레버(62)가 회동하여 작용레버(61)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작용레버(61)의 작용돌기(64)에 접촉되어 있는 개폐커버(50)가 개방 회동하여 얼음토출구(31)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 때, 에어댐퍼(70)의 댐퍼커넥팅로드(73)는 얼음토출레버(60)의 작용레버(6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조작레버(62)의 누름부(77)는 감지센서(80)를 느르게 된다. 그러면, 개폐커버(50)의 개방을 감지한 감지센서(80)로부터 얼음공급장치(15)에 신호가 전달되어 얼음공급장치(15)의 작동이 개시되고, 이에 의해, 얼음저장용기(13)내의 얼음이 낙하하여 얼음토출구(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조작레버(62) 누름부(77)의 가압을 해지하게 되면, 조작레버(62)는 비틀림코일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즉시 회동 복귀되면서, 감지센서(80)의 누름을 해지하게 된다. 그러면, 감지센서(80)로부터의 신호가 얼음공급장치(15)로 전달되어 얼음공급이 중단되는 한편, 개폐커버(50)는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얼음토출구(31)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개폐커버(50)의 패쇄 회동은 에어댐퍼(70)의 저항력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작용레버(61) 또한 그 회동복귀가 소정시간 경과 후,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개폐커버(50)가 얼음토출구(31)를 차단하기 전까지 얼음저장용기(13)의 얼음유출구(14)와 디스펜서케이싱(30)의 얼음토출구(31) 사이에 얼음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얼음토출레버를 개폐커버를 회동개폐시키는 작용레버와, 외부 가압에 의해 작용레버를 회동시키는 조작레버를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조작레버를 회동 복귀시키는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마련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얼음토출레버의 조작레버가 외부 가압 해지시 즉시 회동 복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얼음토출레버를 강제적으로 회동복귀 시켜 파손 및 분리되는 등의 고장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얼음토출레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Claims (5)

  1. 얼음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얼음토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커버를 개폐시키는 작용레버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대해 소정 범위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 가압에 의해 상기 작용레버를 회동시키며, 외부가압 해지시 탄성적으로 회동복귀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레버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시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와, 외부 가압시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누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용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고정되어 외부 가압 해지시 상기 조작레버를 회동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용 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레버는 상기 접촉부 하부영역에 마련되는 스프링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권취구간이 상기 결합돌기에 권취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용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에 고정되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레버의 폐쇄회동을 지연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19990056858A 1999-12-11 1999-12-11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62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58A KR100620370B1 (ko) 1999-12-11 1999-12-11 냉장고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58A KR100620370B1 (ko) 1999-12-11 1999-12-11 냉장고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2A KR20010055612A (ko) 2001-07-04
KR100620370B1 true KR100620370B1 (ko) 2006-09-06

Family

ID=1962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58A KR100620370B1 (ko) 1999-12-11 1999-12-11 냉장고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438B2 (en) 2010-04-27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9724343A (zh) * 2017-10-31 2019-05-07 清湖乃思株式会社 改善了门的工作机构的供冰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606B1 (ko)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50114109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얼음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621108B1 (ko) 2004-12-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776294B1 (ko) * 2006-08-30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35183B1 (ko) * 2006-08-30 200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75564B1 (ko) * 2006-09-08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154887B1 (ko) * 2007-04-06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ITTO20120248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in particolare di uso domestic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CN108324107B (zh) * 2015-11-11 2019-11-26 嵊州市春凯新材料有限公司 一种加冰装置的加冰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641A (en) * 1976-08-26 1978-05-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door mechanism
KR19980020956U (ko) * 1996-10-17 1998-07-15 김광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0170259Y1 (ko) * 1999-09-0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641A (en) * 1976-08-26 1978-05-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door mechanism
KR19980020956U (ko) * 1996-10-17 1998-07-15 김광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0170259Y1 (ko) * 1999-09-0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438B2 (en) 2010-04-27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383531B1 (en) * 2010-04-27 2018-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9724343A (zh) * 2017-10-31 2019-05-07 清湖乃思株式会社 改善了门的工作机构的供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2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370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1639405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WO2009057888A1 (en) Ice making system
KR100277578B1 (ko) 디스펜서를갖는냉장고및그작동제어방법
KR20060029097A (ko) 냉장고
EP3236183A1 (en) Dispenser module
KR100277592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EP2781861B1 (en) Refrigerator with an ice dispenser
KR100286037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에어댐퍼
KR10027758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86018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526827B1 (ko) 냉장고
KR10028603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에어댐퍼
KR101714443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101637351B1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565415B1 (ko) 냉장고
KR100565613B1 (ko) 제빙기커버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제빙기
KR200165381Y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286038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에어댐퍼
KR100260739B1 (ko) 냉장고
KR101596834B1 (ko) 냉장고
KR10027135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844625B1 (ko) 냉장고용 저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운전하는 방법
KR100373071B1 (ko) 냉장고
KR101023332B1 (ko) 냉장고용 얼음저장용기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