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342B1 -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 Google Patents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342B1
KR100620342B1 KR1020050006491A KR20050006491A KR100620342B1 KR 100620342 B1 KR100620342 B1 KR 100620342B1 KR 1020050006491 A KR1020050006491 A KR 1020050006491A KR 20050006491 A KR20050006491 A KR 20050006491A KR 100620342 B1 KR100620342 B1 KR 10062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cage
rotary dryer
drying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710A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5000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3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moving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26B25/185Spacers; Elements for supporting the goods to be dried, i.e. positioned in-between the goods to build a ventilated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상승성(垂直上昇性) 풍향(風向)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PROPELLER)와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케이지로 형성된 다수개의 건조대위에 건조물품을 등간격으로 삽입,배치한채 상기 건조대를 회전 시키므로서 상기 건조물품들이, 풍향이 "H" 방향인 수평바람을 맞이하는 동시에 프로펠러와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수납 되어있는 상기 건조물품들의 배치형태로 인하여 풍향이 "V" 방향인 수직상승성 바람을 맞이하게 되도록하여 건조물품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고도 강력한 풍량을 제공하므로서 건조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게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다수개의 건조대와, 이 건조대들을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층상배열 하기위한 메인샤프트(SHAFT)와, 상기 건조대와 메인샤프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을 할수있게 하기위한 상,하부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상,하부 베어링하우징을 고정결합 시키기위한 상,하부 프레임들과, 이 상부및 하부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 시키게 하기위한 기둥과, 상기 건조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 등을 포함한다.
Figure 112005004159121-pat00001
건조대(10), 메인샤프트(20), 상부 베어링하우징(30), 프레임부(40), 기둥(50), 감속모타(60).

Description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본골격을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3은 건조물품이 생선(生鮮)일 경우의 건조대 사시도및 정면도.
도 4는 건조물품이 도포된 상태의 발 일 경우의 건조대 사시도및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7은 건조물품이 상자(箱子)내에 수납되어진 경우의 건조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건조기 2대가 한 조를 이루게한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기본골격을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10은 도 9에서 감속모타의 갯수를 1개로 할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건조기의 하부에 완충부재및 지지부를 장착한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12는 도 1에 있어서 평면도상, 건조대 외주면에 발생될 풍향을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13은 도 8에 있어서 평면도상, 건조대 외주면에 발생될 풍향을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 하기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PROPELLER)와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케이지로 형성된 다수개의 건조대위에 건조물품을 등간격으로 삽입,배치한채 상기 건조대를 회전 시키므로서 상기 건조물품들이, 풍향이 "H" 방향인 수평바람을 맞이하는 동시에 프로펠러와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수납 되어있는 상기 건조물품들의 배치형태로 인하여 풍향이 "V" 방향인 수직상승성 바람을 맞이하게 되도록하여 건조물품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고도 강력한 풍량을 제공하므로서 건조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게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물품에 대한 건조작업은 태양열에 노출시키는 자연건조방법, 밀폐된 공간에 적채한채 열원을 통 과시키는 열풍건조방법, 또는 상온의 바람을 강제로 통풍시키는 냉풍건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자연건조는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면서도 건조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건조시 파리등 해충의 접근으로인한 청결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열풍건조는 연료비가 과다하게 들거나 열원으로 인해 건조물품의 선도가 나빠지고 물성의 변화가 유발 되는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냉풍건조는 건조물품 전체표면에 균일하고도 강력한 풍량을 제공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는 건조대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수납된 건조물품을 회전시켜 짧은시간에 신속히, 다량의 건조물품을 건조하며, 파리등 해충이 근접할 수 없도록 하므로서 위생적으로 건조하는 동시에 수평풍향및 수직상승성 풍향의 발생에 의해 건조물품이 밀집된채 다량으로 수납되어 있을지라도 건조물품 전체표면을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능률및 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도록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건조대와, 이 건조대들을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층상배열 하기위한 메인샤프트와, 상기 건조대와 메인샤프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을 할수있게 하기위한 상,하부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상,하부 베어링하우징을 고정결합 시키기위한 상,하부 프레임들과, 이 상부및 하부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 시키게 하기위한 기둥과, 상기 건조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 등을 포함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2, 도 3등을 참조하면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다수개의 건조대(10)와, 이 건조대(10)들을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층상배열 하기위한 메인샤프트(20)와, 상기 건조대(10)와 메인샤프트(20)가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을 할수있게 하기위한 상,하부 베어링하우징(30,31)과, 상기 상,하부 베어링하우징(30,31)들을 고정결합 시키기위한 프레임부(40) 즉, 상,하부 후레임(41,42)들과, 이 상부및 하부 후레임(41,42)들을 일체형으로 고정결합 시키게 하기위한 기둥(50)과, 상기 건조대(10)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타(60)와, 로울러캐스터(70)및, 브레이크레버(71)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대(10)는 중앙에 상기 메인샤프트(20)와 연계하여 고정결합 시키게 하기위한 샤프트 고정결합부재(11) 를 구비하고,
외곽으로는, 케이지 원주방향부재(1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채 원주방향을 향하여 바닥면과 외곽벽면이 환봉등 으로서 구성 되어지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채 방사선 방향을 향하여 프로펠러와 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다수개의 벽(壁) 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케이지중심판(11)과 상기 케이지 원주방향부재(12)들은 다수개의 주 보강부재(14)로서 일체형으로 고정결합 되는 구조를 갖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상기 건조대(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 사이에 건조물품을 삽입, 배치하되 상기 건조대(10)가 회전을 하여 건조물품에 원심력이 발생하여도 상기 건조물품이 상기 건조대(10)를 이탈 하지않고 수납되어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은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의 종류나 물성, 형태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추구할 수가 있는데,
우선,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이 생선 등과같이 비교적 균등한 크기에 일정한 면적을 갖춘 경우에는 도 3과같이 프로펠러처럼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다수개의 벽 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춘채 건조물품들을 등간격으로 신속히 삽입및 수거가 될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이 김 이나 뱅어포 등과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춘 발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흡착 되어있는 경우에는 도 4 에서 보여지는 것과같이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이 프로펠러처럼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다수개의 벽 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추되 상기한 발이 경사진채 안정되게 수납 되어질 수 있도록 발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작은 케이지 들을 구성한 후, 상기 케이지 원주방향부재(12)들에 등간격을 유지한채 고정배치하는 구조를 갖을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은 상기 건조대(10)의 제작상 용이성을 추구하기위한 목적에서 혹은, 더욱 다른 형상의 건조물품을 수납 시키게 하기위한 목적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지 원주방향부재(12)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한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수직을 유지한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발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작은 케이지 들인 경우에도 그러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한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은 도 7에서와 같이 넓고 길게 배치 하므로서 건조물품이 상자내게 수납 되어져 있는 경우;
예컨데, 크기가 작은 어류등을 비롯하여 멸치를 삶은 상자 등을 상자채로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얹혀놓고 회전 시킬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이나,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처럼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다수개의 벽 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춘채 회전 하게되는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은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내에 수납 되어진 건조물품에 의해서 상기 건조물품들이 우선 풍향이 "H" 방향인 수평바람을 맞이 하게되고 동시에 프로펠러와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수납 되어있는 상기 건조물품들의 배치형태로 인하여 풍향이 "V" 방향인 수직상승성 바람을 맞이하게 되도록하여 건조물품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고도 강력한 풍량을 제공 하므로서 건조물품들이 밀집된채 다량으로 수납 되어 있을지라도 건조물품 전체표면을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능률및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는 건조물품의 대상을 생선, 김, 뱅어포, 멸치상자 등의 경우로 하여 도시및 설명을 하였지만 이에 국한 되는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지 방사선방향부재(13)들은 건조물품의 특성에 맞춰 본 발명의 목적을 용이하게 실현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농산물및 기타 모든 건조물품의 건조작업에 적용하여 실시 하는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조대(10)들은 메인 샤후드(20)에 의해서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4단이나 6단등 다수개 층을 형성한채 등간격으로 층상배열 되는데,
상기 메인 샤후드(20)의 상측에는, 일체형으로 연계되어 결합된 상기 건조대(10)들의 회전에 의해서 발성된 레이디얼(RADIAL)하중을 감당해 내기위한 볼 베어링, 혹은 로울러 베어링이 삽입된 상부 베어링하우징(30)이 구비되며,
하측에는, 상기 건조대(10)들이 회전을 하면서 발생시키게 되는 수직상승성 풍향에 대한 반력으로 인하여 발생된 트러스트(THRUST)하중을 감당해 내기위한 볼 베어링 혹은,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이 삽입된 하부 베어링하우징(31)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렇게 상기 메인 샤후드(20)의 상측끝단과 하측끝단에 각각 상기 상부 베어링하우징(30)과 상기 하부 베어링하우징(31)으로 지지되는 구조는 상기 메인 샤후드(20)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고 상기 건조기(10)들이 고속으로 회전을 하여도 안정된 구조로 정숙한 운전이 가능해 지게하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메인 샤후드(20)의 이러한 구조는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고 상기와 같이 피고정체를 고정결합한채 회전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 베어링하우징(30)은 상부 후레임(41)의 중앙부위에 장착되어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부 베어링하우징(31)은 하부 후레임(42)의 중앙부위에 장착되어 고정결합된채
상기 상부 후레임(41)과 상기 하부 후레임(42)은 기둥(50)과 연계되어 고정결합된다.
이때의 상기 상부 후레임(41),하부 후레임(42),기둥(50) 들은 원형 혹은, 각형의 금속성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후레임(42)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의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의 이동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하여 브레이크레버(71)가 장착된 로울러캐스터(70)를 구비 하게되고,
상기 상부 후레임(41)의 상부에는 상기 건조대(10)들을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감속모타(60)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 지게 되는데 이 감속모타(60)와 상기 메인 샤후드(20)의 연결은 카프링(미도시)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는, 상기 상부 후레임(41),하부 후레임(42),기둥(50) 들의 재질을 금속성의 파이프로서 규정하고 도 2에서와 같이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 되는것은 아니며 상기한 후레임들(41,42)및 기둥(50)들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혹은 본 발명의 목적을 좀더 용이하게 실현하고 만족 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를 1대로서 독립되어 운전 되는것으로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또한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건조기 2대를 1조로 구성하여 동시에 동방향으로 운전을 개시하면 회전건조기와 회전건조기 사이의 중심부위 에서는 공기흐름에 있어서 와류현상이 발생 하게되고, 이러한 현상은 상기 건조대(10)위에 적치 되어있는 건조물품들이 더욱더 다양한 방향으로, 더 많은 바람을 접 할수있는 바람직한 배치가 되는 것이며,
이런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2대 혹은, 그 이상의 다수대가 1조가 되어 동시에 운전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2는 독립된 1대의 회전건조기가 회전할때 원주의 외측으로 발생되는 풍향을 설명한 참고도 이며,
도 13은 회전건조기가 2대 혹은 그이상 다수대가 동시 회전을 할 경우 원주의 외측으로 발생되는 풍향을 설명한 참고도 이다.
그리고 도면 8및 도 9에서는 상기 감속모타(60)가 2대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감속모타(60)는 1대가 사용 되면서 벨트(61)에 의해 동력전달 시키는 방법도 가능한 것이며,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키는 동력전달의 방법이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 하는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 에서는 로울러캐스터(70)가 하부 후레임(41)의 하부에 밀착된채 고정결합 되어있는 것으로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또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즉, 상기 건조대(10)들이 회전 하므로서 발생할 수 있는 편심에 의한 흔들림 현상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후레임(42)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부(80)를 구비하고, 이 지지부(80)와 상기 하부후레임(42) 사이에 완충부재(90)를 장착한후 상기 지지부(80)와 상기 하부후레임(42)이 항상 일정간격 즉, 제한된 범위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케 하기위한 완충부재 이탈 방지장치(91)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80)의 하부에 상기 로울러캐스터(70)를 고정결합 시키므로서 상기 건조대(10)들의 회전 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원활하게 완충하여 더욱 안정된 성능의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를 제공할 수도 있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도 14에서와 같이,
밀폐된 공간 즉, 챔버내에 삽입한채 운전하되, 동 공간내에는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건조물품에 미량의 열량을 지 속적으로 공급 하게하고, 이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습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내기위한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열에너지가 높여진 콤팩트한 공간내에서 극소량의 열원제공 만으로도 일반적인 열풍건조기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프로펠러와 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채 수납된 건조물품을 회전 시키므로서 짧은시간에 신속히, 다량의 건조물품을 건조하며, 파리등 해충이 근접할 수 없도록 하므로서 위생적으로 건조하는 동시에 수평풍향및 수직상승성 풍향의 발생에 의해 건조물품이 밀집된채 다량으로 수납되어 있을지라도 건조물품 전체표면을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능률및 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품인 것이다.

Claims (9)

  1. 원형의 둘레를 따라 경사진 케이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1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10)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층상배열을 하기위한 메인샤프트(20)와;
    상기 메인샤프트(20)의 양단부 들을 지지하는 프레임부(40); 및
    상기 메인샤프트(20)를 구동하는 모터(6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추므로서,
    상기 경사진 케이지에 건조물품을 등간격으로 삽입,배치한채 상기 메인샤프트(2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건조물품들이, 풍향이 "H" 방향인 수평바람을 맞이하는 동시에 경사진채 수납 되어있는 상기 건조물품들의 배치형태로 인하여 풍향이 "V" 방향인 수직상승성 바람을 맞이하게 되도록하여 건조물품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고도 강력한 풍량을 제공하므로서 건조물품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대(10)는,
    중앙에는 샤프트 고정결합용부재(11)를 구비하고,
    외곽으로는, 원주방향부재(12)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와;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를 구비하되,
    상기 원주방향부재(12)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공기소통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채 원주방향을 향하여 바닥면과 외곽벽면이 구성 되어지며,
    상기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공기소통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로서 경사진채 방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벽 들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이 생선 등과같이 비교적 균등한 크기에 일정한 면적을 갖춘 경우에는,
    다수개의 벽 들이 경사진채 상기 원주방향부재(12)들 위에 동일한 형상으로 등간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어 건조물품들을 등간격으로 경사지게 삽입및 수거가 될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이 김 이나 뱅어포 등과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춘 발 위에, 일정한 크기및 두께로 도포되어 흡착 되어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발이 경사진채 안정되게 수납 되어질 수 있도록 발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이중 케이지 들을 구성하되,
    이 별도의 이중 케이지 들은 평면상 에서 볼때 가로에 비해서 세로가 협소하게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춘채 이중벽을 형성한 것을 한 조로 하여 상기 원주방향부재(12)들 위에 경사진채 등간격으로 고정배치 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건조 하고저하는 건조물품이 멸치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은 어류여서 상자내에 수납 되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벽 들이 상기 원주방향부재(12)들 위에 동일한 형상으로 등간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추되,
    상기 어류상자의 폭과 같거나 어류상자의 폭보다 약간만 좁게 배치 되므로서 상기 어류상자가 상기 원주방향부재(12)들 위에서 경사진채 수납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방향부재(13)들로 구성되어진 케이지는,
    제작상의 용이성을 추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혹은, 더욱 다른 형상의 건조물품을 수납 시키게 하기위한 목적을 달성 하기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벽 들이 수직을 유지한채 구성할 수도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2대 혹은 그 이상의 다수대가 일체된 1조가 되어 메인샤프트가 동시에 동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건조기를 수용하는 챔버에 넣어둔채 운전하되, 동 챔버 내에는 별도의 가열장치와,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는,
    상기 건조대(10)들이 회전 하므로서 발생할 수 있는 편심에 의한 흔들림 현상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후레 임(42)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부(80)를 구비하고, 이 지지부(80)와 상기 하부후레임(42) 사이에 완충부재(90)를 구비 하므로서, 상기 건조대(10)들의 회전 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원활하게 완충할 수도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KR1020050006491A 2005-01-25 2005-01-25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KR10062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491A KR100620342B1 (ko) 2005-01-25 2005-01-25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491A KR100620342B1 (ko) 2005-01-25 2005-01-25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85U Division KR200382672Y1 (ko) 2005-01-25 2005-01-25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710A KR20060085710A (ko) 2006-07-28
KR100620342B1 true KR100620342B1 (ko) 2006-09-14

Family

ID=3717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491A KR100620342B1 (ko) 2005-01-25 2005-01-25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50A (zh) * 2018-08-12 2018-12-11 杭州金知科技有限公司 一种干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37B1 (ko) * 2007-09-07 2008-01-02 주식회사 상천 회전식 건조기
CN107990660A (zh) * 2017-12-08 2018-05-04 安徽省达亿粮油食品有限公司 一种多层烘干房
CN108787675B (zh) * 2018-05-23 2020-12-22 浙江鼎兴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应用于金属制品清洗的安置架
CN110926168A (zh) * 2019-12-11 2020-03-27 日照市伟业工具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生产用烘干装置
KR102481489B1 (ko) * 2022-07-03 2022-12-23 김성철 회전식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50A (zh) * 2018-08-12 2018-12-11 杭州金知科技有限公司 一种干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710A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342B1 (ko)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KR200382672Y1 (ko) 수직상승성 풍향을 발생하게하는 회전건조기
CN201177442Y (zh) 一种回转式玻片干燥装置
JP2005500872A5 (ko)
CN104819629A (zh) 一种农副产品烘干除杂装置
KR20140100649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160143367A (ko) 위치결정형 건조기
CN105926244A (zh) 一种电动衣架
KR102002524B1 (ko) 자전운동을 이용한 농작물 건조장치
CN210320950U (zh) 一种稳定性好的高效烘干机
CN106812715A (zh) 一种空气调节扇
CN212150038U (zh) 一种具有干燥结构的书刊包装成品存放装置
CN219147071U (zh) 一种储存装置
CN216569026U (zh) 一种中药保存柜
JP5484698B2 (ja) 物品搬送用容器の脱水乾燥装置
JPH05285299A (ja) 衣類乾燥機
JP3178888U (ja) タンク型除湿剤の除湿促進具
JP3223052U (ja) 整流機能を備えた台車式乾燥機
CN215952079U (zh) 节能医用烘干机
CN207066045U (zh) 一种新型干燥装置
CN208871992U (zh) 一种震荡式热风烘干箱
CN211575700U (zh) 一种新型消化内镜用干燥装置
CN220229959U (zh) 一种高油酸花生选种用烘干装置
KR102050231B1 (ko)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CN208907721U (zh) 真空干燥装置的干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