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897B1 -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897B1
KR100619897B1 KR1020040066067A KR20040066067A KR100619897B1 KR 100619897 B1 KR100619897 B1 KR 100619897B1 KR 1020040066067 A KR1020040066067 A KR 1020040066067A KR 20040066067 A KR20040066067 A KR 20040066067A KR 100619897 B1 KR100619897 B1 KR 10061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erminal
portable terminal
main body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405A (ko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97B1/ko
Priority to CNB2005100027293A priority patent/CN100548010C/zh
Publication of KR2006001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듀얼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구현하되 상기 각 스피커가 음향유도장치를 통해 단말기 본체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음향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스테레오 사운드, 유도관

Description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FORTABLE TERMINAL HAVING SOUND GUIDE DEVICE}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스피커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스피커 및 음향유도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1 : 입력버튼
112 : 송화부 113 : 본체힌지부
114 : 음방출공 120 : 폴더
121 : 엘씨디패널 122 : 수화부
123 : 폴더힌지부 130 : 스피커
131 : 유도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휴대용 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 중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듀얼 스피커를 채용하여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기들이 상용화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스피커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0)와, 내면에 소정의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패널(21) 등을 구비하여 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되며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쌍의 스피커(3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각 스피커(30)는 본체의 상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스피커 수용부(11)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피커 수용부(11)에는 스피커(30)를 통해 방출된 음향이 통과되며 외부로 방출 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방출공(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상기 스피커(30)가 설치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방출되는 음향이 본체(10)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방출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스피커(30)가 본체(10)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야 했던 바,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각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음향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음향유도장치를 통해 유도되 는 음향이 통과되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방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유도장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스피커의 전면 방향으로부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유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도관은 복수개가 연장(連裝)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유도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스피커 및 음향유도장치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각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음향유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본체(110)와 이 본체(110)에 절첩에 절첩되며 본체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12)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피시비(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복수개의 입력버튼(111)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폴더(120)의 전면에는 정보를 화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패널(121)과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폴더(120)는 본체(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11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폴더(12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120)에는 본체힌지부(113)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좌우측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되며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쌍의 스피커(13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각 스피커(130)는 본체(110)의 내부에 본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피커(130)를 통해 방출되는 음향은 음향유도장치를 통해 본체(110)의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좌우 측면에는 음향유도장치를 통해 유도되는 음향이 통과되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음방출공(11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음향유도장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유도관(131)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유도관(131)은 본체의 내부에 각 스피커(130)의 전면 방향으로부터 본체(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어 스피커(13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본체(110)의 좌우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도관(131)은 최적의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연장(連裝)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스피커(13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각 유도관(131)의 직경을 서로 달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피커(130)로부터 본체(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방출되는 음향은 유도관(131)을 통해 본체(110)의 좌우측 방향으로 유도됨과 아울러 음방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스테레오 사운드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130)가 본체(110)의 판면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됨에 따라 본체(11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바(bar)형 및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 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듀얼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구현하되 상기 각 스피커가 음향유도장치를 통해 단말기 본체의 판면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의 판면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음방출공과;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한 쌍의 음향출공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관을 갖는 음향유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단말기 본체에 내부에 상기 스피커의 전면 방향으로부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복수개가 연장(連裝)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도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KR1020040066067A 2004-08-20 2004-08-20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1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67A KR100619897B1 (ko) 2004-08-20 2004-08-20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B2005100027293A CN100548010C (zh) 2004-08-20 2005-01-19 具备声音引导装置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67A KR100619897B1 (ko) 2004-08-20 2004-08-20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05A KR20060017405A (ko) 2006-02-23
KR100619897B1 true KR100619897B1 (ko) 2006-09-19

Family

ID=3608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067A KR100619897B1 (ko) 2004-08-20 2004-08-20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897B1 (ko)
CN (1) CN100548010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8010C (zh) 2009-10-07
KR20060017405A (ko) 2006-02-23
CN1738323A (zh)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61764B2 (en) Mobile terminal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EP2717550A1 (en) Portable apparatus with a receiver and two sound holes
JP2006157464A (ja) 音響装置
KR100656052B1 (ko) 휴대형 전자 기기
EP0651546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set
US6965790B1 (en) Acoustic pipe for flip style cellular telephone
KR100619897B1 (ko) 음향유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801571B2 (en) Multi-use acoustic leak path system
JP3862724B2 (ja) 携帯端末装置
CN1157916C (zh) 带有包括传声通道的电池块的无线电话
EP2693309A2 (en) Input device with wireless headset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KR100641160B1 (ko) 가동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520093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筐体
JPH09135286A (ja) 送受話装置
JP2006157199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KR10054361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JPH10290491A (ja) 携帯電話用マイクロホン
KR100501303B1 (ko) 다수의 스피커홀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CN102217290B (zh) 听筒的声音通路
JP4162688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1582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270161Y1 (ko) 핸즈프리형 헤드셋의 송화기 구조
KR200429327Y1 (ko) 좌우 절곡형 휴대폰장치
KR200298969Y1 (ko) 양방향 출력 스피커부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